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디지털콘텐츠의 특허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송대종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1 지식재산연구 Vol.6 No.1

        The appropriate and effective protection of digital contents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In Korea as well as around world, copyright is the main legal system of protecting digital contents. In addition, the Contents Industry Development Act(CIDA) may protect also protect digital contents. While copyright protects digital contents by awarding copyright owner exclusive rights, the CIDA does from the perspective of unfair competition.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re are serious limits in protecting digital contents through copyright or the CIDA, and therefore, patent protection of digital contents is inevitable. Copyright and the CIDA cannot protect some elements of idea inherent in the digital content itself.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subject matter of the digital contents itself. In order to meet with the subject matter of the KIPO's patent law, the digital contents itself must be the product as the sort of the category of patent invention. Accordingly,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definition of the product and goods in the civil law and the value add tax law. In the end, this thesis study the applicable possibility for the digital contents to conform to the subject matter of the patent law.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a means for the digital contents to be efficiently protected by the KIPO's patent law.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analyzes the meaning and classification of digital contents, what is going on the protection of digital contents around the world and Korea, what are problems in protecting digital contents through copyright and the CIDA, what industry needs, and what the ripple effect would be when digital content is protected by patent. 디지털콘텐츠의 저작권에 의한 보호는 디지털콘텐츠의 창작성 있는 표현 부분만을 보호하므로 디지털콘텐츠에 내재해 있는 발명적인 요소, 곧 아이디어를 복제한 경우에는 저작권에 의하여 보호할 수 없는 한계에 직면하게 된다. 게다가 디지털콘텐츠는 컴퓨터나 네트워크 등의 하드웨어를 통해서만 생성․사용되는 기술기반의 성질을 띠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쇄매체를 통한 서적의 출판을 보호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 저작권에 의해 보호가 이루어져 왔다는 것 자체가 저작권의 본질적인 한계일 것이다. 여기로부터 저작권법 및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 디지털콘텐츠를 보호할 수 있는 특허의 필요성이 나타나게 되고, 특허법에 의한 보호의 논의도 디지털콘텐츠를 생성, 서비스, 사용하는데 있어서 기술적인 부분의 특허보호방법론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디지털콘텐츠는 정보처리장치나 정보처리시스템으로 제작되어 물체의 형식으로 존재하거나 비물체의 형식으로 존재한다. 물체의 형식을 가지는 디지털콘텐츠는 관리가능한 물체이고, 독립적이고, 사람의 신체가 아니므로 물건에 명백히 해당하므로 별도의 특허법적인 성립요건을 검토가 필요 없을듯하다. 반면에 비물체형의 디지털콘텐츠인 경우 물건인지 여부에 따라 특허법상 발명의 대상에 포함될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므로 비물체형의 디지털콘텐츠가 물건인지 여부를 따지는 것은 특허법적 보호의 선결문제로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비물체형의 디지털콘텐츠는 민법 제98조의 물건 해당성 중에서 ‘관리가능성’이 핵심적인 요소이다. 디지털콘텐츠는 컴퓨터상에서 파일의 형태로 존재하며, 컴퓨터하드웨어 조작기술에 의해 사용자가 사용 수익을 하는 데 있어서 기술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또한 거래의 대상이 되며 디지털콘텐츠를 사용 수익 처분하는 데 있어서 법률적으로 통제도 가능하고, 새로운 법률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비물체형의 디지털콘텐츠는 민법상 요구되는 ‘관리가능성’요건을 만족하고 있으므로 민법상의 물건에 해당됨에는 별 무리가 없는 듯하다. 비물체형의 디지털콘텐츠가 민법상의 물건에 해당한다면, 우선적으로 특허법상의 실시양태인 물건에 해당됨은 당연한 귀결이고, 특허법상의 보호대상에 진입할 수 있는 강력한 근거가 마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인문학과 문화콘텐츠

        김기덕(Kim, Ki-Duk)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2

        본 글은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와의 관련성을 심층 고찰함으로써, ‘인문콘텐츠학회’의 정체성을 모색해 본 것이다. 특히 기획특집으로 수록된 <문화콘텐츠, 융합교육의 현재와 미래>와 관련하여, 대학에서 문화콘텐츠학과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먼저 융합교육이라고 할 때에 흔히 기술융합만을 생각하는 측면을 재검토할 것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문화콘텐츠 관련 교육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인문학이 결합된 문화콘텐츠 창출의 전형을 제시해줄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특히 그 방법에 있어서는 OSMU의 모범사례를 명확히 제시해 주어야 한다고 보았다. 현재 문화콘텐츠분야는 인문학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분야와의 연결고리를 정립하는 과제와 문화콘텐츠산업의 발전과 트렌드를 잘 이해해야 하는 이중의 과제를 안고 있다. 그런데 인문콘텐츠학회가 출범한 10년 전과는 달리, 지금은 교과과정 및 수업론이 현저하게 후자에 치우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의 과제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데, 그렇게 된다면 인문콘텐츠의 정체성을 상실할 우려가 있을 것이다. 본 글은 그와 같은 우려에서 담론 위주로 인문콘텐츠학회의 정체성의 문제를 문화콘텐츠학과의 인문학 교육을 중심으로 제기하여 보았다. 끝으로 이러한 논의와 관련하여 한국연구재단 융복합 분류표를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다시 한 번 인문학 바탕의 문화콘텐츠 논리 개발 및 수업론 정립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nsider the identify of the ‘Korean Humanities Contents Society’ by making an in-depth investig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humanities and cultural contents. Especially, it attempted to examine how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in college in relation to the <present situation of cultural contents education>. First, it presented the need to reexamine the aspect that Convergence education might remind us only of technology. Next, it argued that there might be a need to present the model for creation of cultural contents combined with humanities among other things in relation to the education related to cultural contents. Especially it argued the need to present the model example of OSMU in terms of its method. Currently,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s contains both the task of establishing the link of connecting it with humanities and the task of having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and trend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But the problem is that unlike the situation when the Korean Humanities Contents Society was launched 10 years ago, the curriculum and teaching theory of cultural contents currently concentrate remarkably on the latter. Accordingly, the task of the former is relatively negligently treated, which may lead to the loss of identity of humanities contents. Finally,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table of fusion and combination presen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 relation to it and consequently emphasized the need to develop the humanities-based cultural contents logics and establish the teaching method.

      • 원천콘텐츠 <백설공주>의 현대적 변용에 나타나는 여성상 변화 연구 - 영화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을 중심으로

        이채론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2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Research for female archetype change in modern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content <Snow white> - Focused on the film <Snow white and the huntsman> Lee, Chae-Ron Culture industry is a difficult field to measure economic value. However, successful content generates additional values as OSMU by reproduced through changes of media as original content later. First, it is important to have one content showing successful achievement and although it is an excellent content, if understanding of each media and context in progress of converting media is insufficient, it will have difficulties of creating more of additional values using various medias. This research for thesis begins with having attention to creation of content able to generate higher economic value must have understanding of excellent original content. The KHM of Grimm brothers has been used as content for children for time time as continuously used original content and the <Snow white> is the work with adaptation and transition more than any other work of KHM. The <Snow white> has celebrated its 200th years anniversaryin 2012 and there were two film works having <Snow white> as its motive in hollywood at the same time. Each film work has same basic plot but has different screen color, costume and implementation of characters. Among these, the most noticeable characteristic occurred in progress of fairy tale content known as children's preserves being transferred to public media is highlighted characteristic of german folk tale became original source of KHM. This means that the folk tale was originally adult enjoying target and it contains intrinsic human desire internally. The original content transforms proper to era and tabor is connected to intrinsic human desire and the first content in research of this thesis is to exam existence of folk tale's cruelty in such characteristic. With these cruelty as most contrasting characteristic from modern society and historical society, I would wish to exam changes of female archetype studied in previous KHM to confirm distinction of female archetype existed. Therefore, I have selected the film <Snow white and the huntsman> which shows cruelty that is intrinsic property of german folk tale and changes of female character as analysis target, and to highlight value of <Snow white> as generally useable content and to compare changed female archetype in modern media detailly, selected conscious shape of whole task that witch and step mother, passive behavior of female and <Snow white> have as analysis itmes. Characteristic of folk tale developed and used without disappearing in progress of passing down for long time is on borderline with human amusement that circulating over generations. Based on these, this thesis has meaning on excavation of valuable source content and on providing direction of development in whole generation. 원천콘텐츠 <백설공주>의현대적 변용에 나타나는 여성상 변화 연구- 영화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을 중심으로이채론문화산업은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기 어려운 분야다. 하지만 성공한 콘텐츠는 이후 원천콘텐츠로서 매체전환을 통해 확장 재생산 되면서 OSMU로서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우선 하나의 콘텐츠가 성공적인 성과를 보이는것이 중요하며, 훌륭한 콘텐츠일지라도 매체전환의 과정에서 각 매체의 성격과 콘텍스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다양한 매체에서 활용되어 보다 많은 부가가치를 생산하기에 어려움을 겪는다. 보다 높은 경제적 가치를 산출해 낼 수 있는 콘텐츠의 발생은 훌륭한 원천콘텐츠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함에 주목하며 본 논문의 연구는 시작된다. 그림형제의 KHM은 지속적으로 활용되는 원천콘텐츠로서 어린아이들을위한 콘텐츠로 활용된 지 오래이며, 그 중 <백설공주>는 KHM의 다른 작품들 보다 많은 각색과 전환이 이루어진 작품이다. 2012년은 <백설공주> 탄생 200주년이 되는 해로, 할리우드에서는 <백설공주>를 모티프로 한 작품두 편이 동시에 개봉이 되는 전례를 남겼다. 각 작품은 기본 플롯은 동일하지만 영상의 색감이나 의상, 캐릭터의 구현에 차이점을 드러냈다. 이 중, 어린아이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동화 콘텐츠가 대중매체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가장 눈에 띄는 특성은 KHM의 원형소스가 된 독일민담의 특성이 부각된 점이다. 이는 민담이 본래 성인들이 향유하던 대상이었으며, 인간이 가진 본질적인 욕망이 내포함을 상징한다. 시대와 소구대상에 알맞게 변용되는 원천콘텐츠는 인간이 가진 본질적인 욕망과 연계되어 있으며 이러한특성에 민담의 잔혹성이 존재함을 확인하는 것이 본 논문의 첫 연구 내용이다. 이러한 잔혹성과 함께 현대 사회와 과거 사회와 가장 대비되는 특성으로여성상의 차별점이 자리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과거 KHM에서 연구된 여성상 유형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독일 민담의 본질적 속성인 잔혹성과 여성 캐릭터의 변화가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영화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 통시적으로 활용 가능한 콘텐츠로서 <백설공주>의 가치를 조명하고, 현대 영상매체에서 변화된 여성상을 구체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마녀와 계모, 수동적인 여성의 행동, 그리고 <백설공주>가 가진 통과제의 의식 형상을 분석 항목으로 정했다. 오랜 세월 전승되어오는 과정 속에서도 사라지지 않고 콘텐츠로 개발되고활용되는 민담이 가지는 특성은 시대를 넘어 순환하고 있는 인간의 유희와경계선상에 있다. 이를 바탕으로 통시대적으로 가치 있는 원천콘텐츠의 발굴 및 개발에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본 논문의 의의를 둔다.

      • KCI등재

        19세기∼20세기 전반 한문학 자료의 원천콘텐츠로서 가치

        김보성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3 고전과 해석 Vol.39 No.-

        ‘Cultural contents’ refers to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various cultural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media and contents with cul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texts, pictures, films, and cultural assets through multimedia technology. 'Contents with cultural characteristics' refers to cultural heritage created by mankind, so it must be reviewed by establishing specific criteria such as period or genre. In this paper, the discussion was limited to the 'classical literature'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his is because it has not been reviewed relatively in connection with cultural contents. The cultural contents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has been studied focusing on historical facts including literary narratives, bureaucrats' experiences of work or travel, poems about the living space or surrounding objects of royalty and scholars, diaries of scholars, and records of various stories. It is necessary to review whether these classic writings have elements of ‘killer content’ or to continue research to find another cultural contents. The classical literature of the 19th century contains many materials that arouse intellectual curiosity. And the classical literature of the early 20th century put forward emotionally sympathetic content. The classical literature of the two periods, in general, arouses readers' interest with new materials and passionate content without citing the works of representative writers of East Asia or widely known historical events. Therefore, classical literature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s considered to be qualified as a source of cultural contents.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value of cultural contents of classical literature materials of this period, it is necessary to seriously consider the method of translation. ‘문화콘텐츠’는 매체를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문화 정보나 그 내용물 또는 글·그림·영화·문화재 등 문화적 성격을 가진 내용물을 멀티미디어 기술을 통하여 산업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통틀어 이른다. ‘문화적 성격을 가진 내용물’은 인류가 축적한 문화유산을 총칭하므로 그 내용물의 창작 시기나 장르 등 세분화된 기준을 세워서 살필 수밖에 없다. 본고에서는 시기상 ‘19세기∼20세기 전반’, 장르상 ‘한문학’에 국한해서 논의를 전개하고자 했다. 이 범주는 비교적 문화콘텐츠와 연계해서 설명되지 못한 면이 있다. 그간 한문학 자료의 문화콘텐츠적 가치를 살핀 연구는 문학적 서사를 내포한 역사적 사실, 관리의 부임지나 여행에 관한 경험, 왕족이나 사대부의 생활 공간 혹은 주변 사물을 읊은 시문, 사대부의 일상 기록, 다양한 이야기를 담은 잡록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여기에 소개된 자료가 스토리텔링의 영역에서 이른바 ‘킬러 콘텐츠’가 되기 위한 요소를 갖추고 있는지 검증하는 작업과 또 다른 문화콘텐츠를 찾아내는 작업이 꾸준히 진행되어야 유의미한 결과가 축적될 것이다. 19세기 한문학 자료는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소재를 광범위하게 내포하고 있고, 20세기 전반 한문학 자료는 정서적 공감을 일으키는 내용이 한 차례 콘텐츠화 되어 있다. 두 자료는 대체로 동아시아 전통에서 바이블이 된 문장 대가와 그의 작품, 혹은 널리 알려진 전고와 고사를 재차 인용하지 않으면서도 참신한 소재와 내용으로 향유자의 흥미을 끌어낸다. 지적 호기심을 만족시키고 정서적 울림을 제공하는 내용을 갖춘 19세기∼20세기 전반 한문학 자료는 문화콘텐츠의 원천소스로서 자격이 충분하다고 여겨진다. 다만, 이 시기 한문학 자료의 원천콘텐츠로서 가치를 높이기 위해 번역의 가공 정도를 치열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콘텐츠 향유와 이용자 복지 확대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이기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9 문화정책논총 Vol.33 No.1

        This study explores policy measures that can be implemented to enhance content enjoyment and user welfare, as away of moving beyond the current industrial approach to content. To the extent that content involves socio-cultural values, before It is considered as a product, content users retain a right to enjoy contents that is a cultural right. The content ecosystem is evolving as the media environment changes, which means that the user’s status as a source of purchasing power and productivity in the market is changing, and the content enjoyment is becoming more indispensable from a user-oriented viewpoint. Sustainable user welfare aims to activate autonomous cultural practices by cultivating users’ creative abilities, and is also an essential issu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 industry. In this paper, we review examples of content polices adopted around the world and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expanding content enjoyment in the future, such as reinforcing content usage ability, increasing content usage satisfaction, and improving content usage environment. 이 연구는 콘텐츠에 대한 기존의 산업적 접근시각을 넘어서 콘텐츠 향유와 이용자 복지의 확대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탐구하고 있다. 콘텐츠는 경제적 재화이기 이전에 사회문화적 가치를 지니며, 동시에 콘텐츠 이용자들은 문화적 권리로서 콘텐츠를 향유할 권리를 지닌다. 이러한 이용자 중심의 시각에서 콘텐츠 향유가 중요한 이유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콘텐츠의 생태계가 진화하며 시장에서의 구매력과 생산력의 근원으로서 이용자의 위상이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속가능한 이용자 복지는 이용자들의 창의적 능력을 배양하여 자율적인 문화적 실천이 활성화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콘텐츠 생태계의 발전적 진화를 위해서도 필수적인 사항이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기존 정책사례에 대한 검토를 통해 향후 콘텐츠 향유 확대를 위한 미래 정책 방안으로서 콘텐츠 이용 능력의 향상, 콘텐츠 이용 만족도의 제고, 콘텐츠 이용 환경의 개선 등을 논의하고 있다.

      • KCI등재

        축제콘텐츠의 원천콘텐츠화 전략 -<강릉부사 납시오>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해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3

        2023년에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공식적으로 개최되는 지역축제는 1129개에 이를 만큼 전국각지에서개최되어 단순한 지역행사를 넘어 국가적인 차원에서그 성과를 관리해야 할 중요한 문화와 경제의 한 분야다. 하지만 온라인과 오프라인 등의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지속적으로 향유와 소비가 가능한 문화콘텐츠와 달리 지역축제의 다양한 행사와 프로그램들은축제장에서 1회성 행사로 그치고 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유사한 속성을 지닌 두 분야의 제품수명주기(Product Life Cycle)는 매우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문화콘텐츠는 이야기를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이야기산업이라고도 불릴 만큼 이야기와 스토리텔링이 매우중요하다. 따라서 콘텐츠 장르전환으로 경제적 가치를극대화 하기 위해서 이야기자원의 확보는 제조업의에너지나 원자재 확보만큼이나 콘텐츠의 창작과 개발에 반드시 필요한 필수요소라 하겠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서 본고는 전국 각지에서 활발하게 성장하고 발전하는 지역축제에 담긴 축제콘텐츠를 콘텐츠제작의이야기자원으로 기능할 수 있는지 즉 원천콘텐츠로서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려 하고자 한다. 나아가 축제콘텐츠가 콘텐츠의 창구화, 장르전환에 있어서 충분한 가치가 있는지도 살펴보려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연구결과를 실증하기 위해 강릉문화재야행의 축제콘텐츠인 <강릉부사 납시오>’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축제콘텐츠의 원천콘텐츠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출발한 본고는 축제콘텐츠와 관련한 기존논의를 바탕으로 축제콘텐츠의 창구화와 장르전환에 대해 살펴본결과 축제콘텐츠는 콘텐츠산업에 있어서 원천콘텐츠로 기능하기에 충분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강릉부사 납시오>의 사례를 분석해서 논의를 실증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신뢰성을 획득했다고 판단한다. As there are 1,129 local festivals officially held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 2023, local festivals held in various parts of the country are not just local events, but are a nationally important cultural and economic sector to manage their achievements at the national level. However, unlike cultural contents that can be continuously enjoyed and consumed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online and offline, various events and programs of local festivals are often only one-time events at the festival venue, so the product life cycle in the two fields with similar properties is very different. Since cultural content is based on stories, stories and storytelling are so important that it is also called the story industry.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economic value through content genre conversion, securing story resources is as essential for content creation and development as securing energy and raw material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Considering this, this paper intends to discuss whether festival content contained in local festivals that are actively growing and developing across the country can function as a story resource for content production, that is, source content. Furthermore, I would like to examine whether festival content is sufficiently valuable for windowing and genre conversion of content. For this, I summarized the results in order to review prior research at home and abroad and demonstrate the research results, and To demonstrate this, this paper analyzed the case of <Here comes the Gangneung Governor!>, a festival content of Gangneung Cultural Heritage Night, and summarized the results. This paper, which star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original content of festival content, examined the windowing and genre conversion of festival content based on existing discussions on festival content, and found that festival content was sufficient to function as original content in the content industry. In particular, <Here comes the Gangneung Governor!>, a representative festival content of Gangneung Cultural Heritage Night Tour. It is judged that it has obtained some reliability in that it has demonstrated the discussion by analyzing the case.

      • KCI등재

        지역어와 콘텐츠

        김정우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Ultimate aim of every contents is to provide users interesting experiences. Because, contents industry is a business which controls emotions of users. So, every element which are used for contents must contribute to provide interesting experiences to users, dialect too. The point of analysis in this study is how dialect contribute to achievement of aim of every contents. 4 aspects are found by analysis of contents. One is 'providing new experiences' . A combination between existing contents and dialect make users feeling brand new. So, user can get new and interesting experiences from the contents. Second is 'expansion of sympathy' . When contents deliver the point with expression of dialect, users can vibe on it. Third is 'raise of synergy effect'. A combination between the informations and experiences of users on dialect and dialect-using contents gives users more interesting experiences. Because of the synergy effect between users and contents. Fourth is 'raise of friendliness'. One of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dialect is friendliness. So, dialect makes users feeling at home and accepting formal informations easi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way of raising competitiveness of contents by using dialect. Because the competitiveness of contents is very important for continuous growth of contents industry. 모든 콘텐츠의 목적은 대중들에게 재미있는 경험을 전달하는 데에 있다. 대중들은 콘텐츠로부터 부여받은 경험과 자신의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던 경험을 결합하여 새로운 재미를 찾아내거나 재미를 심화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어가 이러한 콘텐츠의 목적의 달성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가를 파악하는 데에 초점을 둔다. 그 결과 총 4가지 양상이 파악되었다. 지역어를 통해 기존의 콘텐츠와 차별화된 재미를 전달하는 '새로운 경험의 제공' , 지역어를 통해 대중들로 하여금 콘텐츠가 주장하는 바에 대해 몰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공감의 폭 확대' , 기존의 지역어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활용하여 재미를 증폭시키는 '시너지 효과 제고' , 마지막으로 지역어가 갖고 있는 친근감을 활용하여 대중들이 딱딱한 내용의 콘텐츠를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게 하는 '친근감 증대'등의 양상을 찾아낼 수 있었다. 콘텐츠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콘텐츠의 개발이 필수적인데, 본 연구는 지역어라는 관점에서 콘텐츠 개발의 한 방법론을 모색해보았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이용자의 웹콘텐츠 속성 지각과 관여 행동이 웹콘텐츠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민희,김문용 한국기업경영학회 2018 기업경영연구 Vol.25 No.3

        본 논문에서는 웹기반 동영상 콘텐츠 이용자들의 웹콘텐츠 속성 지각과 관여 행동이 웹콘텐츠 이용 만족도를 매개로 웹콘텐츠 광고 효과(웹콘텐츠 광고에 대한 태도, 웹콘텐츠 간접광고 상품에 대한 태도, 브랜디드 웹콘텐츠의 광고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웹콘텐츠 이용 만족도에 대해 웹콘텐츠 속성 중에서는 오락성, 이용편이성, 경제성 순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출된 웹콘텐츠에 대한 참여, 추천, 공유 행위 같은 관여 행동도 웹콘텐츠 이용 만족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웹콘텐츠 광고 효과 측면에서는 웹콘텐츠 속성 중 자신과의 부합성, 경제성, 그리고 웹콘텐츠 관여 행동이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웹콘텐츠의 이용편이성, 경제성, 오락성, 웹콘텐츠 관여 행동이 웹콘텐츠 이용 만족도를 거쳐 웹콘텐츠 광고 효과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웹콘텐츠 이용 만족도의 매개적 역할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경제성 인식과 이용자의 웹콘텐츠 관여 행동은 웹콘텐츠 광고 효과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반면, 오락성과 이용편이성 인식은 웹콘텐츠 이용 만족도를 통해 간접적으로만 웹콘텐츠 광고 효과에 기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가 제시하는 이론적·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와 미래의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In the current paper, we conduct an exploratory research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users' attribute perceptions of and involvement behaviors toward web-based video contents on advertising effects of web-based video contents (i.e., attitude toward the ads of web-based video contents, attitude toward the indirect action ads of web-based video contents to promote a particular product or service, and advertising effect of branded web-based video cont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usage satisfaction of web-based video conten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1) three attributes of web-based video contents (i.e., ease of use, economic value, and fun) and involvement behavior toward web-based video contents have positive effects on usage satisfaction of web-based video contents; (2) two attributes of web-based video contents (i.e., congruency and economic value) and involvement behavior toward web-based video contents positively influence the abovementioned advertising effects of web-based video contents; and (3) usage satisfaction of web-based video contents mediates the impacts of three attributes of web-based video contents (i.e., ease of use, economic value, and fun) and involvement behavior toward web-based video contents on the abovementioned advertising effects of web-based video contents. Finally,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develop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문화 버라이어티 KBS ‘1박2일’ 성격 분석

        김관섭(Kim, Kwan Seob)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8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이 연구는 방송콘텐츠와 인문학의 관계에 대한 논의, 방송미디어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됐다. 이 연구는 방송콘텐츠, 문화소재, 문화 버라이어티 개념의 논리적 확립과 방송콘텐츠 예능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방송소재로써의 문화소재 적용 방법론 제시를 목적으로 했다. KBS 해피선데이 ‘1박2일’은 대한민국 방방곡곡을 출연자들이 여행하면서 겪는 에피소드로 구성된다. 이 연구의 시각에서 ‘대한민국 방방곡곡’은 문화유산이 소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된다. 실제로 ‘1박2일’은 10년 동안 문화소재의 수용에 있어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이 연구에서의 항목별 분석을 통해 ‘문화 버라이어티’ 개념 설정의 근거가 된다. 그리고 ‘문화 버라이어티’ 제작 표준 설정에 기준으로 작동한다. ‘1박2일’ 10년이 이 연구의 주된 대상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연구의 목표는 ‘KBS 1박2일의 10년’의 양상과 특성을 분석해, 방송콘텐츠 예능장르에서의 ‘문화 버라이어티’의 개념 설정과 방향성을 탐구하고, ‘문화 버라이어티’의 가능성을 통한 의미와 가치를 제시해 ‘문화 버라이어티’의 표준을 정립하는 것이다. 인문학의 구체적 결과물로써, 방송콘텐츠의 내용물로써 문화소재는 적극 수용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방송미디어를 창구로 인문학은 대중과 소통해야 한다. 방송콘텐츠 홍수 속에 인문학의 역할이 대두되고 있는 시대에 어떠한 문화소재를 어떻게 방송콘텐츠에 수용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하다. 방송콘텐츠 제작방법론 정립과 더불어 인문학에서의 방송소재에 대한 연구와 비평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그 해답을 구해가는 과정이다. 맥락의 중심에 문화소재가 있고, 문화콘텐츠가 있고, 방송콘텐츠가 있다. 세 가지 개념을 통해 KBS ‘1박2일’ 10년의 양상과 특성을 분석․비평하고 ‘문화 버라이어티’로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것은 방송콘텐츠의 공공재로서의 가치실현과 소재개발의 다양성을 담보하는 것이기도 하다. 문화소재 수용 ‘문화 버라이어티’ 개념 정립과 ‘문화 버라이어티’ 제작표준 설정은 문화콘텐츠학과 방송콘텐츠 현장이 상호작용하며 양립하는 소통의 방안이다. The study began with a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casting content and humanities, and on the social function of broadcasting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broadcasting contents, culture materials, and culture variety logically and to present the method of applying cultural materials as broadcasting material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broadcasting contents entertainment program. KBS Happy Sunday ‘One night two days(1박2일)’ consists of episodes that performers experience travelling through all over the coun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is study, ‘every corner of Korea’ means that cultural heritage can work as a material. Actually, ‘One night two days’ showed the possibility of acceptance of cultural material for 10 years, and became the basis of setting up the concept of ‘culture variety’ through analysis by items. It also works as the criteria in setting up the standard of ‘culture variety’ production. This is why 10 years of ‘One night two days’ are the main target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ualization and direction of ‘culture variety’ in broadcasting contents entertainment genre by analyzing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10 years of KBS One night two days’, and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culture variety" by presenting the meaning and value through the possibility of ‘culture variety’. Cultural materials should be actively accepted as broadcasting contents and as a concrete result of humanities. In conclusion, humanities shoul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rough the window of broadcast media. It is very important how to accept what kind of cultural material in broadcasting contents in the era where the role of humanities is emerging in the flood of broadcasting contents.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research and criticize the broadcasting materials in humanities, together with establishing the method of producing broadcasting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process of seeking the answer. At the center of context, there are cultural materials, cultural contents, and broadcasting content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10 years of KBS ‘One night two days’ were analyzed and criticized through the three concepts, attempting to present the direction as ‘cultural variety’. It is also to realize the value of broadcasting contents as public goods, and to guarantee the diversity of material development.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culture variety’ that accepts cultural materials, and setting up the criteria of producing ‘culture variety’ are a measure of communication in which 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broadcasting contents field are interacted and compatible.

      • KCI등재

        문화콘텐츠산업 관련 법체계 정립에 대한 고찰

        조용순 한국지식재산학회 2013 産業財産權 Vol.- No.42

        “Contents Industry Promotion Act(CIPA)” has been, in fact, under control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MCST). Consequently, additional basic law has come to co-exist with the pre-established “Cultural Industry Promotion Basic Act(CIPBA)”, under which so far, cultural contents and digital cultural contents has been promoted. The revision also made the role of the former one unclear that has solely given base to other the subordinating specific laws including Game Industry Promotion Act, Music Industry Promotion Act. Basic Act for Development of Broadcast and Communication also contains legal ground for the promotion of contents industry, which shall be problematic in relation with CIPA. With respect to Intellectual Property Basic Act(IPBA), clear relations between the intellectual property and contents, and clear and definitive roles between Intellectual Property Committee and Contents Industry Promotion Committee, both are to be installed, need to be considered. CIPA contains mixed ranges of provisions acting as basic law and specific law, in which there is limit that provisions as basic law should be embodied in a specific law. In this regard, CIPA is required to establish a reasonable relations with specific laws. While CIPA is constituted primarily with provision of “programmed regulation”, CIPBA contains provision that is not represented in a specific law, so that no duplication is incurred and each are made up for among CIPA, CIPBA and other specific laws. Considering the concerns about conflict between MCST and 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the article 4 of CIPA seems to need revision in a way to secure that Basic Act for Development of Broadcast and Communication is consistent to the basic concept of CIPA. With respect to Intellectual Property Basic Law, IPBA is completely programmed regulation, CIPA is consistent with the purpose and basic concept of IPBA, no direct conflicts are expected. However, contents can be concluded in intellectual property, when planning policy involved, it is need to reconcile with intellectual property Committee. In particular, up on now the Minister of MISP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takes on the management of business associated with digital contents. However, upon examination of the organization of Ministry of Culture and MISP, digital contents exclude digital “cultural” contents. In conclusion, the author argues that digital contents means information contents only. In other words, in the field of digital contents MISP should pursue the industry of multimedia contents excluding multimedia “cultural” contents; Internet-related industry; an promotion policy of digital contents distribution and user protection excluding digital “cultural” contents. On the other hand, the area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contents can problematically cause duplicative works with MSIP, KCC and MCST, especially, on their fields which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and promotion policy. Therefore, through amendments to the CIPA, a legal supplementation is needed on the legal application order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contents. For the days coming, legal environments need to be improved consistently in a way the relations among laws involved with contents industry promotion are clarified and optimized, from which participants around contents industry benefit from more supports and the consistent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