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르투갈어와 한국어의 개념적 은유 대조 연구 - ‘인기’와 ‘인터넷’을 중심으로

        성효정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2023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20 No.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the abstract concepts of ‘fame’ and ‘internet’ is structured in Portuguese in the scope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contrast them to Korean ones. To that aim, the study presents Conceptual Metaphor Theory which explains how metaphor is present in the way we think about the world and how it this way of thinking can vary according to a culture of language. A parallel corpus was constructed with metaphors from the dialogue in two Brazilian movies and with its legends in Korean and complemented with existing metaphoric expressions in case the translation had not been effectuated into a metaphor. The analysis shows that the notion of ‘fame’ is structured in the following metaphors for both Portuguese and Korean: FAME IS RESULT OF VITORY IN A WAR, FAME IS PUMP, FAME IS POWER. Meanwhile, for Korean, CHARM CAUSES DEATH, FAME CAUSES DEATH and FAME IS HOT metaphors. Metaphors about ‘internet’ for both Portuguese and Korean were INTERNET IS SPACE, INTERNET IS A ENTITY, INTERNET IS A BOARD, INTERNET IS TOOL and A SPACE IN THE INTERNET (BLOG) IS POSSESSION. INTERNET IS A POSTAL PACKAGE metaphors is coherent only in Portuguese and INTERNET IS GOSSIP, INTERNET IS UP and INTERNET IS A COMPANY are valid only in Korean. Despite the contribution this study may have in the field of Portuguese-Korean studies, it was held with a small corpus extracted from two Brazilian movies and limited to conceptual metaphors, without discerning metonymies or metaphoric express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언어학적 시각에서 ‘인기’와 ‘인터넷’ 개념이 포르투갈어에서 어떠한 개념적 은유 체계를 갖는지 살펴보고, 한국어의 체계와 대조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은유가 일상적 개념체계의 근본이 된다고 설명하는 개념적 은유이론을 소개하여 인간이 어떻게 사고하는지, 어떠한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는지, 그리고 사회 문화적 맥락의 차이점 등으로 인해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법이 문화마다 다를 수 있음을 이론적 배경으로 제시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포르투갈어와 한국어 병렬코퍼스를 대상으로 양 언어를 대조 분석한다. 브라질 영화 <오늘부터 로그아웃>과 <러브닷컴>에서 ‘인기’와 ‘인터넷’과 관련된 은유를 추출하여 소규모 포르투갈어-한국어 병렬코퍼스를 구축하여 ‘인기’와 ‘인터넷’에 대한 포르투갈어 개념적 은유를 한국어와 대조하여 살펴보는데, 본 연구를 위한 병렬코퍼스는 포르투갈어 대사와 해당 대사의 한국어 자막으로 구성된다. 분석 결과, 포르투갈어에서 ‘인기’는 [인기는 전쟁 승리의 결과물], [인기는 펌프], [인기는 권력] 은유로 이해하여 개념화하는 것을 보았다. 이와 달리, 한국어에서는 [매력은 죽음], [인기 많음은 죽음], [인기는 뜨거움] 은유가 사용되는 것을 보았다. ‘인터넷’에 대한 [인터넷은 공간], [인터넷은 개체] [인터넷은 게시판], [인터넷은 도구] 은유는 포르투갈어와 한국어에서 모두 사용되고 있음을 찾아냈다. [인터넷 공간(블로그)은 소유물]은유는 포르투갈어에서 발견되었고, [인터넷 게시물은 우편물] 은유는 한국어와 정합하지 않아 포르투갈어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반대로 한국어에서만 정합하여 포르투갈어 개념체계에서 발견되지 않는 은유는 [인터넷은 소문], [인터넷은 위에 위치함], [블로그는 기업]이다. 본 연구를 통해 포르투갈어-한국어 언어쌍의 개념적 차이를 부분적으로 조명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하지만, 분석 대상이 영화 두 편이라는 소규모에 그쳤다는 점과 개념적 은유만을 살피는 연구로써 환유, 은유적 표현 등으로 세부적으로 다루지 못한 점 등을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밝힌다.

      • KCI등재

        은유를 통해 본 인터넷의 성격과 속성

        이창봉(Lee, Chang-Bong),허인혜(Her, Inhye) 담화·인지언어학회 2013 담화와 인지 Vol.20 No.2

        The paper aims to characterize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the Internet by analyzing the expressions of its conceptual metaphors both in Korean and in English. By doing so, it attempts to shed light on how we view the Internet and how it has influenced our life. The analysis of the data reveals that the Internet is understood to have the following three main types of properties; (1) instrumentality (as it is used as a convenient tool in our everyday life) (2) interactivity (as it is a space where people get involved in diverse interactions with one another) and (3) influencer (as it is a being that influences every aspect of our lives).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finding reflect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Internet since its invention as it used to be a simple source of information in the past but now it has become a virtual space where all kinds of interactions and transactions are taking place. A close review of the data also reveals that our view of the Internet has changed accordingly as its sociocultural environment has undergone diverse changes and developments. The Internet has become a predominant entity that has a great impact on almost all phases of our life. This study reveals that language reflects culture as how we view and use the Internet is faithfully reflected in its metaphorical data.

      • KCI등재

        网络流行语“X+精”研究 ― 从“戏精”、“杠精”、“柠檬精”等谈起

        유철 ( Yoo¸ Cheol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1 중국언어연구 Vol.- No.96

        本文以词语模理论为基础, 对网络流行语“X+精”进行了多纬度考察。“X+精”为“前空型”词语模, “精”为单音节自源性模标, 模槽“X”主要容纳单音节、双音节语素。“X+精”词语模可作主语、定语和宾语, 也可作谓语。“X+精”生成的词语模体现了概念隐喻、概念转喻、原型范畴化等认知方式。“X+精”词语模的语义为具有某种特征的人, 它的语义色彩随着具体语境而变化。推动“X+精”产生及传播的语言内动因主要是类推机制和语言的经济原则, 以及语言模因的驱动。语言外动因主要为社会环境变化及人们的心理需求等。“X+精”对语言文化和社会产生了积极影响和消极影响。“X+精”词语模对我们了解相关语言现象和社会文化具有重要的价值, 值得进一步研究。 The study on the theory of word modules, this article conducts a multi-dimensional investigation of the Internet buzzword “X+精”. “X+精” is a “preemptive” word module, “精” is a monosyllable autogenous module, and the module “X” mainly contains monosyllable and two-syllable morphemes. The word model “X+精” can be used as subject, attributive and object, as well as predicate. The word model generated by “X+精” embodies cognitive methods such as conceptual metaphor, conceptual metonymy, and prototype category theory. Semantics is a person with certain characteristics, and its semantic color changes with the specific context. The motivation within the language that promotes the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X+ Jing” is mainly the analogy mechanism and the economic principles of language, as well as the drive of language memes. The extra-linguistic motivations are mainly social environment changes and people’s psychological needs. “X+精” has had a positive and negative impact on language, culture and society. The “X+精” word model has important value for us to understand related language phenomena and social culture, and it is worthy of further study.

      • KCI등재후보

        网络流行语“X+人”探析―从“打工人”、“尾款人”、“工具人”等谈起

        유철 한국중국문화학회 2021 中國學論叢 Vol.- No.71

        本文以词语模理论为基础,对网络流行语 X+人 进行了多角度考察。首先分析 X+人 词语模的结构类型和句法功能,然后讨论了 X+人 词语模的语义内涵,具体为模槽和模标的语义分析,以及 X+人 词语模的认知分析。再考察了 X+人 词语模生成和流行的动因,分为语言内动因和语言外动因。最后探讨了 X+人 词语模的双向影响,主要从它对社会、语言文化及媒体的积极影响和消极影响展开讨论。通过上述考察,我们预测 X+人 还会继续衍生发展, X+人 还会得到越来越多的学者们的关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