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통과 사이코드라마 -의사소통 능력 증진을 위한 사이코드라마 활용 방안-

        최윤미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11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14 No.2

        This is to find ways enhancing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psychodram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communication styles first : verbal vs. nonverbal, intrapersonal communication v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o communicate effectively, the person has to aware what he/she wants to communicate, desire, emotion, his/her states, attitudes, etc. first,; intrapersonal communication. Then he/she can transmit what he/she really wants to tell verbally and nonverbally;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y reviewing various researches this study find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communication. As a way to enhance communication ability many psychologists uses various intervention technique. Among them, people can develop one's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group psychotherapy. In this study eleven therapeutic factors of group psychotherapy were reviewed to understand therapeutic factors in psychodrama. In conclusion psychodrama can contribute to enhance communication ability both through enhancing self-awareness, that is intrapersonal, and developin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본 연구에서는 언어적 방식과 비언어적 방식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대인간 의사소통 양식을 살펴보고 사이코드라마가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대인간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우선 자신의 욕구, 정서, 상태, 태도에 대한 인식, 즉 개인내 소통이 선행되어야 함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부정적인 기분을 덜 느끼는 것과 관련될 뿐 아니라 부정적인 기분에서 회복도 빠르게 한다는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개인 내 소통은 자존감 증진과도 관련이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자신의 정서를 잘 인식하는 것이 타인과의 소통을 원활히 하는 출발점이 되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를 얻기 쉽다는 것을 시사하며 따라서 대인간 소통에 있어서 개인의 내적 소통의 결과들, 즉 정서나 태도, 욕구의 인식, 자신에 대한 알아차림은 대단히 중요한 기본적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심리학자들이 대인간, 개인내 소통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집단 상담 방식의 치료적 측면과 사이코드라마가 가진 기법적 특성이 개인 내 욕구와 태도, 정서를 인식하고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켜 대인간 소통을 원활히 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시뮬레이션 기반의 SBAR 의사소통 교육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의사소통능력 -영유아 대상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김동원,신정순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6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communication skills of nursing students who received simulation-based SBAR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Recommendation) communication education. To provide basic data for systematic SBAR communication education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We used fever care scenario of urinary tract infection for infant childhood and dyspnea care scenario of pneumonia for early childhood. This is a single-group pre- and post-experimental design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85 fourth-grade students who took simulation practice courses enrolled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one university located in B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3 to December 6, 2021,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simulation practice. For data analysis, using SPSS/WIN 24.0 program,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communication skills of nursing students were analyzed with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communication skills before and after SBAR communication education were analyzed using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communication clarity averaged 3.91±0.70 points before education and 4.37±0.66 points after education, and communication confidence averaged 7.56±1.42 points before education and 8.19±1.48 points after education. Communication skills averaged 3.96±0.44 points before education and 4.12±0.44 points after education. Communication clarity before and after SBAR communication education based on simulation (t=-4.37, p<.001), communicator confidence (t=-2.83, p=.005), communication skills (t=-2.46, p=.015)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necessary for nursing universities, which are prospective nurses, to actively use the SBAR communication format in various subjects from the lower grades for systematic education on communication.

      • KCI등재

        프랑스 방통융합법제와 그 시사점

        박균성(Park Kyun-Seong)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2008 경제규제와 법 Vol.1 No.1

        In Franc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have traditionally been separately regulated, and broadcasting-communication convergence has been regulated by Act on Internet Broadcasting and Broadcasting Services on July 9,2004 (Act No. 2004-669). The legal systems on broadcasting-communication convergence in France hav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Problems arising from broadcasting-communication convergence has been settled by setting up technological and organic relations between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while retaining peculiarity in each realm. 2) Regulatory authorities are different from policy-making authorities. Basically, policies are made by administrative authorities, and independent regulatory authorities are in charge of regulation. Nevertheless, systems are provided for collaboration in policy-making or regulation between such administrative authorities and independent regulatory authorities. 3) Regulatory authorities are independent form the government, and are divided into general regulatory authorities and special regulatory authorities. 4) Following broadcasting-communication convergence, the term, ‘electronic communication’ has emerged from such existing terms as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5) Regulation on network is separated from regulation on contents. The Broadcasting Committee regulates broadcasting programs that air through internet. Nevertheless, the Broadcasting Committee does not have control over contents that are not broadcasting programs (for instance, VOD). On the other hand, the Office of Postal Services and Communication regulates not only communication networks, but also broadcasting networks. 6) Prior to the legislation of Electronic Communication Act in 2004, electronic network business runners and service providers used to need approval from the relevant Minister, however they just need to report their businesses to the Office of Postal Services and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is Act.

      • KCI등재

        서비스기업 종사원의 의사소통환경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유정선 관광경영학회 2014 관광경영연구 Vol.6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is proc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was consisted with Toward, Horizontal, and Informal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consisted with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he self-Communication method was adopted to collect the data for March 2014. It was found as follows: There i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details, first, Toward, Horizontal, and Informal Communication positively effect to Job Satisfaction and Toward Communication effect most to Job Satisfaction. Second, Job Satisfaction positively effect to all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It was certain that Job Satisfaction was an antecedent of Organization Commitment. Third, Communication Environment positively effect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details, all of Toward, Horizontal, and Informal Communication positively effect to Affective Commitment. Both of Horizontal and Toward Communication positively effect to Continuance Commitment. Also, Both of Toward and Informal Communication positively effect to Normative Commitment. Result of study shows that smooth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critical in order to increase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언어능력과 화법

        이지현(Lee Ji Hyun) 영상영어교육학회 2013 영상영어교육 (STEM journal) Vol.14 No.1

        This study suggests that how to talk should be included in communication strategies. Even though the definition of communication strategies does not lack controversy, one working definition many researchers accept is that communication strategies are used to compensate for deficiencies in the linguistic system. In real life, however, we need very different strategies for communication. We experience difficulties from a deficiency of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dealing with people, not only with the language that is emphasized in classrooms or the academic world. In other words, it is scarcity of the art of talk that makes us in trouble in communication. This study examined 11 scenes of episode 3 in season 6 of Friends to find out the communication features of the character Chandler. The results showed that his communication is frequently fruitless. In spite of having good language competence, this ability isn't used effectively in communication. Chandler has linguistic competence, but falls short of the art of speech, resulting in aimless communication. These features have implications in classrooms that emphasize language in communication. If communication activities bring a focus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speakers and goal-driven communication,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producing learners like Chandler.

      • KCI등재

        한국인 20대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유형 인식에 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 능력과의 비교를 통하여

        이유미(Yi Yumi),김양지(Kim Yangjee)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한국 20대 대학생이 생각하는 각 유형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한 사람이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데 있어서 드러내는 포괄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Norton,1978:99) 이러한 포괄적인 개념의 커뮤케이션 스타일은 단순히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라는 차원의 역량적 측면이기보다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이해하게 되는 이미지적인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측면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을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Norton(1983)과 Rubin & Martin(1994)를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능력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20대 대학생이 인식하는 10개의 유형이 어떤 의미인지를 확인해 보았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yle and competence and identify the meaning of each type to Korea’s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e findings. Communication style can be seen as a comprehensive concept which one shows while communicating (Norton,1978:99). Communication style, as a comprehensive concept, is not only about competence, aspect of communication skills, but about an aspect of images understood verbally and non-verbally through communication. Therefore, communication style is expected to be related to various aspects of communi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yle and competence and identifies the meaning of the ten typ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e review of Norton (1983) and Rubin & Martin (1994).

      • KCI등재

        신종 통신매체에 대한 통신제한조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광민,이성대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5 No.2

        Criminal techniques were developed and advanced at rapid change of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make change of investigation techniques, and supporting laws and systems were not actively made. The National Assembly recently suggested bills of limitation upon communication including new types of communication media, and regulations on abuse were not made to face severe opposition from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nd civic organizations.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likely to make change continuously and not to postpone reformation of concerned systems: This study investigated reformation of legal limitation on the communi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problems of SNS and other communication media that were important at rec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examined contents of limitation on the communication, problems and limitations of limitation on the communication according to current communication secret protection law, and reformation of limitation upon communication of current law. New types of communication media such as SNS, mobile messenger and others at rapid change of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give limitation on the Communication Secret Protection Law: So, laws should be revised in the era of Smart to overcome wired telephone communication environment that communication secret protection law was enacted. New investigation such as mobile phone tapping, packet tapping and investigation into base station had problems and limitation to violate the Constitution, and basic rights infringed were not said to be basic rights not to have limitation by laws. Risks of misuse and abuse of infringement upon citizens' basic rights in the name of effective counteractions against the crime should be removed. Current limitation upon communication should be permitted to add permit of tapping in legislation cases in the United States and to lessen unnecessary limitation upon communication and to add legal conditions of limitation upon communication considering legislative cases in foreign countries and to prevent misuse and/or abuse of limitation upo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should have obligation of communication equipment buildup subject to removal of misuse and/or abuse to allow indirect tapping. These days, communication environment made change technology to make change of legal environment in relation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In other words, limitation upon communication should be revised at relation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in the future. Infringement upon basic rights at limitation upon communication from point of view of not only legal systems but also technology should be lessened. 최근 국회에서는 신종통신매체 등에 대한 통신제한조치를 구체화하는 내용의 법률안이 지속적으로 발의되고 있지만, 국회내부에서 뿐만 아니라 국가인권위원회 및 시민단체들로부터 극심한 반대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통신환경의 변화는 앞으로도 계속될것이라는 점에서 관련제도의 정비를 더 이상 미룰 수는 없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인식에서 현행 법제상 통신제한조치의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최근의 통신환경변화에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이루고 있는 SNS 등의 신종통신매체를 둘러싼 문제점을 중점과제로 삼고자 하였는데, 이를 위하여 통신제한조치의 내용과 현황,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상 통신제한조치의 문제점과 한계, 현행 법제상 통신제한조치의바람직한 개선방안 등에 대하여 차례대로 살펴보았다. 먼저, 오늘날 급격한 통신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SNS서비스 및 모바일 메신저와 같은신종 통신매체의 등장은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의 한계를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으므로통신비밀보호법이 제정되었던 당시의 유선전화중심의 통신환경을 넘어 스마트 융・복합시대에 적합한 법률개정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는 의문이 없었다. 다음으로 휴대전화 감청, 패킷감청, 기지국수사 등의 새로운 수사방식은 그 자체가안고 있는 고유의 문제점과 한계로 인하여 그 위헌성이 문제될 수 있지만, 이들을 통해서 침해되는 기본권을 절대적 기본권이라 할 수는 없으므로 법률로써 이를 제한할 수있다고 보았다. 다만, 범죄에의 효율적 대응이라는 미명하에 일반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오・남용의 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현행 통신제한조치의 허용요건을 강화하여 미국의 입법례와 같은 감청의허용요건을 추가하여 불필요한 통신제한의 여지를 축소하고 통신제한조치의 적법절차의 요건을 외국의 입법례를 고려하여 이를 보완하는 것 등을 통신제한조치의 남용을방지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최근의 통신환경변화는 단순한 기술의 변화뿐만 아니라 개인정보보호법제와의 관계에서 법률적 환경변화를 내포하고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즉, 향후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법률들과의 관계에서도 통신제한조치의 정비방안을지속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법률적 관점에서의 개선방안이외에 기술적 측면에서 통신제한조치에 따른 기본권침해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연구할 필요성도 존재한다고 보았다.

      • KCI등재

        판소리 연행 동작의 메타의사소통적 활용과 그 의미

        이채은(Lee, Chae-Eun) 한국구비문학회 2021 口碑文學硏究 Vol.- No.61

        이 글은 소리판에서 창자가 보여주는 연행 동작이 메타의사소통적으로 활용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창자의 몸을 통해 시도되는 메타의사소통이 청중들이 연행 텍스트를 의미화하는 데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메타의사소통이란 다양한 의사소통의 유형 중에서도, 소통 행위의 주체와 대상을 구분하고, 의사소통 자체를 의사소통의 대상으로 삼는 것들을 통칭한다. 메타의사소통은 자기지시성·자기성찰성을 특징으로 하며, 일상적 소통 현장에서는 의사소통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있을 수 있는 혼란을 방지하거나 해결하려는 담화 전략으로서 기능한다. 판소리 연행이라는 특수한 소통 현장에서는 메타의사소통을 통해 창자가 청중들의 텍스트세계 내 몰입의 정도를 통어하거나 연행의 의미를 이해하는 과정을 조력할 수 있다. 소리판에서 벌어지는 메타의사소통은 언어적 층위에서뿐만 아니라 연행 동작을 구성하는 작업을 통해서도 실현될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이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폈다. 첫 번째, 연행 텍스트에 대한 자기지시적 객관화를 촉발하는 동작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메타의사소통적 연행 동작은 청중들로 하여금 텍스트세계 내로의 몰입으로부터 벗어나, 텍스트세계를 현실세계와 구분된 하나의 실체로서 반성적으로 바라보게 만든다. 두 번째, 판소리 사설(언어)로는 미처 유표화되지 않은 함축적 의미들을 현실세계에 현존하는 창자의 몸으로 표현해내는 동작이다. 이 유형은 텍스트세계 내적 의미를 현실세계와 연결짓게하여 확장하게 만든다. 세 번째, 연행 현장에서 즉흥적으로 펼쳐지는 몸동작으로, 무대장치나 판소리 참여자, 의상이나 공간 등 연행 현장의 구성요소를 완전히 전경화시키는 유형이다. 세 번째 유형의 동작은 텍스트세계 내적 의미와 현실세계의 의미의 경계를 허물어버린다. 소리판에서 이 세 가지 유형의 신체적 메타의사소통이 시도될 때, 청중들의 추임새가 현격하게 증가한다. 이러한 현상이 빚어지는 이유는 청중들이 연행 대상이 되는 텍스트 자체를 반성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면서, 이것이 자연스럽게 ‘텍스트에 대한 담론하기’ 활동을 촉발하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창자가 ‘메시지에 관한 메시지’인 메타의사소통을 시도하는 것은 판소리에 대한 청중들의 역동적인 참여를 끄집어내는 잠재력을 가지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처럼 판소리 연행 동작의 메타의사소통적 활용을 살펴보는 일은 연행 현장에서 판소리의 참여자들이 경험하게 되는 지각의 창발적(emergent) 현상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관점은 판소리가 아닌 다른 구술서사물의 연행이나 전통 연희의 연행에도 확대 적용해볼 수 있다.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연행 현장에서는 모두 자기 자신을 소통의 대상으로 발견해 내고, 연행을 연행으로서 틀짓게 만드는 메타의사소통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연행현장에서 시도되는 메타의사소통의 과정을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우리는 연행 참여자들이 텍스트세계와 현실세계를 어떻게 연관지어 의미를 해석하게 되는지, 또 그 해석의 절차와 과정은 어떠한지를 짚어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ta-communicative aspects of singers’ performative behaviors in Pansori and how meta-communication conveyed through the singers’ bodily acts can facilitate audiences’ comprehension of the verbal text of the performance. Meta-communication is a type of communication referring to acts that communicate something about communication itself, in which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the subject (speaker) and the object (listener) of communication. It is self-referential and self-reflexive in nature. In the daily communication environment, meta-communication functions as a dialog strategy to prevent or resolve misunderstandings in communication. In the specific circumstance of communication occurring through performative acts in Pansori, meta-communication may help a singer to control the audience’s attention to the verbal text of the performance or to assist with their comprehension of the performance. During a Pansori performance, meta-communication occurs both at the verbal and non-verbal levels. Non-verbal meta-communication in Pansori is achieved through a singers’ bodily performance, which in this study is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of meta-communicative performative behaviors, according to how each type of performance behaviors facilitates the audience’s perception of the reality of the verbal text and the extra-textual reality of the performance. The first type of meta-communicative performative behavior consists of bodily actions that are self-referential, enabling the audience to objectively comprehend the verbal text. These action prevent the audience from being immersed in the textual reality, allowing them to reflectively perceive the textual reality as something separated from the extra-textual reality, during the performance. The second type includes performative behaviors that expressively convey the implicative meanings of the verbal text, which are not literally articulated, onto bodily actions in the extra-textual reality. These action assist the audience in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the implied meanings of the verbal text in linkage with the extra-textual reality. The third type is composed of improvised actions that are made up on the spot during the performance, and that completely foreground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performance, including spectacles on the stage, participating performers, costumes, and the space of the stage. This type of action results in the disruption of boundaries between the meanings of textual reality and those of extra-textual reality. These three types of meta-communicative performative behaviors noticeably increase audience reactions, during Pansori performances. This is because they help the audience to reflectively perceive the verbal text of the performance and accordingly naturally facilitate the audience’s discursive engagement, on the subject of the verbal text. By conducting these performative behaviors, a singer can promote communication about communication and potentially elicit the audience’s dynamic participation. The examination of how Pansori singers’ performative behaviors achieve meta-communicative purposes helps to explain the emergent aspect of the audience’s perception that occurs during the performance. This approach to analyze the meta-communicative aspects of Pansori performance can be expansively applied to other kinds of performances based on oral narratives or traditional performing arts. Metacommunication, which is self-referential in nature, seems to be an essential element in performing arts. 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types of performing arts to promote communication that self-reflectively discusses performances, by framing themselves as performance.

      • KCI등재

        사대부 시조에 나타난 사회적 소통 양상 고찰 ―훈민시조와 강호시조를 중심으로―

        김성문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2

        “Communication”has had an important meaning in our lives well before human language was organized, and has been the greatest driving force behind the material and spiritual achievements enjoyed by humanity today. However, the reality is that lack of social communication is causing various problems these days. This study analyzed the social communication patterns of the Middle Ages, especiall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rough an analysis of the ancestral work of four generations, and of the meaning of the book. Communication has various dimensions, depending on its scope or nature, whether it is feedback or direction. In this study, the discussion focused on two dimensions: one-sided social communication, especially bottom-up communica tion, and one-sided communication, considering the medieval time of Joseon and the identity of the ambience of the cross-strait communication. First, top-down communication confirmed the meaning and aspect of communication in Hunmin-sijo. The Hunmin-sijo aims to consolidate the system of dynasties by extending and sharing the relevant principles with the general public, as it has the creative intention to educate the people through Confucianism—a major ideology of the time. To achieve this goal, it is either the form that shows a firm order to the people or a willingness to stick to the Confucian id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loist. Next, the form and meaning of upward communication were examined on the basis of Gangho-sijo. Gangho-sijo, who is stronger in lyricism than the Hunmin-sijo, confirmed that the aristocrats sang their attachment to the political reality with the sentiment of Yeon-gun or Ae-gun, which also affirmed the principles of the Joseon Dynasty. As such, it can be seen that medieval aristocrats used literature to constantly try to communicate with society. This suggests a lot in terms of diagnosing the present through the past, and preparing for the future based on it. ‘소통’은 인간의 언어가 체계화되기 이전부터 우리 삶에 중요한 의미를 지녔으며, 이는 오늘날 인간이 누리고 있는 물질적, 정신적 성취를 가능케 한 가장 큰 원동력이었다. 그런데 요즈음 사회적 소통의 미흡과 부재로 인하여 다양한 문제들이 야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고는 중세, 특히 조선시대의 사회적 소통의 양상을 사대부들의 시조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확인하고, ‘溫故知新’의 측면에서 그 의미를 살핀 결과물이다. 소통은 그 범위나 성격, 피드백의 여부, 방향성 등에 따라서 다양한 양상을 띠게 되는데, 본고에서는 조선이라는 중세의 시간적 특성과 양반 사대부라는 신분적인 특수성을 감안하여 일방적 사회적 소통, 특히 상향식 소통과 하향식 소통의 두 양상에 주안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먼저 하향식 소통은 훈민시조에서 그 의미와 양상을 확인하였다. 훈민시조는 당대의 주요 이념인 유교도덕으로 백성들을 교화(治人)하기 위한 창작 의도를 가지기 때문에 인간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일반 백성에게까지 확대․공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왕조의 체제를 공고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백성들에게 단호하게 명령하거나, 혹은 솔선수범의 입장에서 유교이념에 충실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는 형식을 취한다. 다음으로 상향식 소통의 양상과 그 의미는 강호시조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훈민시조에 비하여 교술성보다는 서정성이 강화되는 강호시조는 양반 사대부들이 정치 현실에 대한 애착(修己)을 연군이나 애군의 심정으로 노래한 경우로, 이 또한 조선왕조 체제의 원리를 긍정하는 면모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중세 양반 사대부들은 문학을 활용해서 끊임없이 사회적 소통을 시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과거를 통해서 현재를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비한다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 KCI등재

        종교교육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관한 연구

        전영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9 기독교교육논총 Vol.21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religiou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and to explore alternative communication models for religious education in a global age. Religious education can be understood as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Conveying religious messages effectively and facilitating productive teacher-learner interaction are essential in religious education and are inseparably related to the issues of communication. Thus analyses of communication models used in religious education will provide useful insights for religious educators in improving their teaching process,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More specifically, I first analyze a communication model used in traditional religious education, which is identified as the transmission model in communication. The transmission model is characterized by its one-way linear communication structure. It entails hierarchical and authorita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learner. The learner in this model is typically regarded as a passive receiver of the message delivered by the teacher. Religious education based on this transmission model tends to lack concerns for learners’ status,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James Michael Lee, Ronald Sarno, and Pierre Babin suggest alternative communication models of religious education. The present paper also reviews each of these alternative models, and suggests some directions for religious educators in selecting and creating communication models which are relevant and appropriate for contemporary learners and their global environment. 커뮤니케이션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활동 중의 하나이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에서 볼 때 종교교육도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한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종교교육이란 교사와 학생 간에 종교교육적인 내용을 의사소통하는 과정이다. 종교교육의 내용들을 어떻게 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것인가,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의미 있는 결과를 산출해낼 것인가와 관련된 문제들은 모두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적인 관심사들이다. 이런 면에서 종교교육과 커뮤니케이션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종교교육에서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는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근본적이고도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교사와 학생 간의 의사소통 스타일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특성과 종교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선택하고 개발하는 일은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종교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우선 전통적 종교교육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분석하였다. 전통적 종교교육에서의 지배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전수모델(transmission model)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전수모델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함께 종교교육 분야에서 이에 대한 대안적 커뮤니케이션 모델들을 제시한 세 가지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제임스 마이클 리의 종교교수 모델과 로날드 사르노의 총제적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피에르 바뱅이 제안한 일체 모델은 공통적으로 전통적 종교교육에서의 의사소통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보다 쌍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과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 다양한 교육 방법과 매체의 활용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을 토대로 필자는 종교교육의 네 가지 주요 요소인 학습자, 교사, 교육내용, 교육환경의 네 가지 측면에서 현대사회의 특성과 종교교육의 본질적 특성에 적합한 커뮤니케이션 모델은 어떤 것인지 그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