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9년은 어떻게 기억되는가 Ⅱ - 3.1운동 100주년 기념식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식의 수행을 중심으로

        태지호 ( Tae Ji-ho ) 한국기호학회 2021 기호학연구 Vol.66 No.-

        본 연구는 3.1운동 100주년 기념식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식을 통해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대한 기억이 현재 우리에게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억과 기념식 그리고 기념식 중계가 일련의 연속적인 재현이라는 과정에 놓여있음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기념식과 기념식 중계는 제도적 실천과 재현 관습을 내포하고 있음을 다루었다. 우선 기념식에 대해 참여자들의 몸에 체화되는 기억 퍼포먼스로써, 이는 근대적 통치성을 담지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후 기념식 중계에 대해서는 그것이 일상의 문화 정치의 전형으로 제시되는 미디어 이벤트의 특성을 공유함과 동시에 그것은 텔레비전 방송 재현 시스템 속에서 구성된 몽타주 기억임을 다루었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본 연구는 기념식 중계를 구체적인 연구 대상으로 삼고, 이를 통해 기념식의 의미와 더불어 그것의 중계가 재현되는 양상을 다루었다. 연구 결과, 이 둘 기념식 모두 기념사의 의미를 공고히 함과 동시에, 숭고와 유희라는 대별되는 가치를 대중적인 참여와 미디어의 향연을 통해 수행되는 문화적 실천임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기념식 중계는 기념식 실황에 매체 구성적 실천이 더해진 새로운 미디어 이벤트임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저자의 기존 연구인 ‘1919년은 어떻게 기억되는가’에서 다루지 못한 기념식을 논의함으로써, 기존 연구를 계승 및 보완하는 동시에 연구사의 연속성을 강화하는 연구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commemorat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this, this study has suggested a proposition that the memory, commemoration, and broadcasting the commemoration are in the process of a series of consecutive representations and addressed the fact that the commemoration and broadcasting the commemoration, in particular, imply the institutional practice and representation convention. First of all, the study has discussed that the commemoration features modern governance as a memory performance embodied among the participants and addressed that broadcasting of the commemoration is a part of montage memory built in the television reproduction system while sharing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events presented as the epitome of everyday cultural politics. For this discussion, this study has adopted the commemoration broadcasting as a specific research subject, through which the study has dealt with the representation of its broadcasting whil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commemoration. The study has found that both commemorations are a cultural practice of implementing the two separate values of nobility and play with public participation and media’s feast while consolidating the meaning of the commemoration. In addition, the commemoration broadcasting has been confirmed to be a new media event with the media constitutive practice added to the actual status of the commemoration. This study find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discusses the commemorations that are not addressed in my previous study, ‘How is 1919 remembered?’, thus building up the continuity of research history while inheriting and complementing the previous studies.

      • KCI등재

        2·28민주운동의 기억과 기념 방식

        박승희 ( Park Seung-h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0 嶺南學 Vol.0 No.75

        본 논문은 2·28민주운동에 대한 새로운 기념 방식을 제안한 것이다. 기념이란 역사를 공적으로 기억하고, 이를 통해 우리 시대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문화 기획이다. 2·28운동에 대한 기념 또한, 1960년 2월 28일의 역사를 多衆이 기억하도록 전략적으로 재구성한 문화적 행위이다. 2·28민주운동 기념회관 등 현재의 2·28 기념 콘텐츠는 전통적 메모리얼 방식에 가깝다. 근대 이후 메모리얼의 전형적인 기념 방식은 기념비나 기념탑, 조형물, 상징 문구 등 시각적 상징물을 통해 사건과 특정 인물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는 사건의 역사성을 홍보하는 한편, 이를 근거로 하는 특정 권력 이미지를 선전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2·28운동의 가치는 민주주의와 정의를 향한 학생들의 저항에 있다. 결코 역사적 성전이나 영웅 서사가 아니다. 말 그대로 정의를 향한 학생들의 저항이 2·28의 정신이다. 그런 의미에서 2·28민주운동의 기념 방식 또한 기존의 메모리얼을 방식을 넘어 기억의 역사화를 위한 새로운 기념 방식이 필요하다. 즉 기억의 동시대성과 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기억의 공유를 기획해야 한다. 따라서 2·28에 대한 기념은 역사적 기억을 호명하는 우리시대의 가치, 즉 정의의 기념이어야 한다. 2·28민주운동의 기념 방식은 2·28을 관람하거나 기념하는 사람들 스스로가 구성하거나 재현하는 참여자 중심의 공유 방식이 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전제 위에 2·28운동의 기념 공간 및 집단 지성 콘텐츠, 관람자 중심 전시 콘텐츠와 디지털 프로그램 등을 제안한 것이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of commemoration for the February 28 Democratic Movement. Commemoration is a plan to publicly remember history and rediscover social and cultural valu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group. In commemoration of the February 28 Movement, it is also a cultural act that strategically reconstructed the history of February 28, 1960 to be remembered by social multiple groups. However, the current contents of the February 28 Memorial Hall and others are closer to the mythical Memorial method. The typical method of commemoration since modern times is to emphasize only events and specific figures through visual symbols such as monuments, memorial towers, sculptures and symbolic phrases. This is a way of promoting the historicality of events, while promoting the image of power in a particular society based on them. However, the value of the Feb. 28 movement lies in the resistance of student intellectuals toward democracy and justice. It is neither a historical holy book nor a hero's epic. It was literally the pure resistance of youth intellect to justice. In this sense, the commemoration method of the February 28 Democratic Movement also needs a new method of commemoration to mean memory beyond the existing memory method. The contemporaries of memory are the contemporaries of value, and can be realized through the sharing of memories centered on value. Therefore, the method of remembrance should be a memorial of the value of calling historical memory. In that sense, the commemoration of the February 28 Democratic Movement should consist of justice-value content. And avoid the formal display of justice or the method of mythical commemoration of the character. Rather, it should be a way of commemoration through the sharing of justice, which is organized or reproduced by those who watch or participate in the Feb. 28 commemoration. Based on this premise, visitors can propose commemorative spaces and collective intelligence contents of the February 28th Movement, and visitors-oriented exhibition contents and sharing programs.

      • KCI등재

        민주화 이후 세종대왕의 국가영웅화와 기념문화의 변천

        권오헌(Gwon O Heon)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3

        본 논문은 세종대왕 기념을 중심으로 하여 역사 인물의 국가기념과 영웅화를 고찰한 연구로서 특히 민주화 이후의 변화를 정치적․사회적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국가권력의 역사 전유와 역사인물 활용을 살펴보고, 국가권력의 성격 변화로 인한 역사인물의 기념과 상징의 변천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세종대왕의 국가기념은 사실상 유신시대 이후 시작되었다. 그러나, 5공화국과 6공화국을 거치면서 세종대왕 기념은 크게 주목받지 못했으며, 문민정부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국가에 의해 주목받기 시작한다. 이 시기 이후 세종대왕 기념은 점차 부각되기 시작하는데, 그 변화와 그 특성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세종대왕은 문민성과 친화력을 가짐으로써 문민정부 이후의 정부들이 자연스럽게 기념하고 주목하는 역사인물이 되었다. 둘째, 세종대왕의 상징적 의미는 민주주의와 인권, 문화 등을 포괄하며 점차 그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그에 따라 세계화와 지방화라는 변수에도 불구하고 세종의 국가기념은 다양하게 되었다. 셋째 국가의 기념방식에 변화가 발생했다. 과거에는 대규모 동상과 기념관, 의례를 통해 국민의 시선을 특정 기념에 고정시켰다면, 민주화 이후에는 역사 인물의 이름을 국가 프로젝트 명칭에 부여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민주화 이후 세종기념의 이같은 변화는 2000년 이후 더욱 확고해져서, 세종은 국가기념에서 뚜렷한 위상을 차지하여 전국가적인 차원에서 기념되는 인물이 되었다. 이같은 변화는 기념문화와 이를 둘러싼 정치적․사회적 환경의 상호작용을 여실히 보여주며 더 나아가 1990년대 이후 역사인물을 매개로한 상징정치와 문화정치를 생생히 보여주는 사례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national commemoration and national heroization of the historical figures, focusing on the Great King Sejong(GKS), and particularly, analyzes changes since democratization in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In this way, this study reviews the appropriation of history and utilization of historical figure by state power. Actually the national commemoration of GKS was begun since the era of Yushin. But It didn’t receive significant attention during the fifth and sixth republic and state noted in earnest this commemoration since the Civilian government. After this period, the commemoration of GKS gradually began to attract attention. So, the trans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KS has an affinity for civilian. Therefore, GKS was the natural historical person to commemorate after the Civilian government. Second, the symbolic meaning of GKS, while encompassing democracy and human right and culture, has gradually expanded its scope. So, despite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national commemoration of GKS becomes more diverse. Third, changes occurred in the way of national commemoration. In the past, through a large-scale commemorative culture, the attention of the people was fixed on a certain memorial. But after the democratization the commemorative method was changed in a way that gives the name to the national project. This transformation of the commemoration of GKS are more robust since 2000 and spread of the commemoration of GKS spread more after the democratization. So, GKS was taken a distinct position and then become the historical figure that was commemorated in nation-wide dimension. These changes are clearly shows the interaction of the commemoration and the 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 and are vividly show the symbolic politics and cultural politics which are mediated by historical figure.

      • KCI등재

        국경과 국치 -근대 중국 기념식의 표상 전략-

        ( Onodera Shiro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5 No.-

        19세기 서유럽에서 발전한 Commemoration이라는 정치문화는 동아시아로 전해진 후 먼저 일본에서 ``기념(紀念)``으로 번역되어 1880년대에 기념비, 기념회 등으로 널리 쓰였다. 무술변법 전후 중국에서는 梁啓超로 대표되는 입헌파가 일본의 ``기념회``라는 모델에 독자적인 해석을 덧붙여 국치기념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는데, 이를 통해 국민감정을 고취시킴으로써 자강을 도모하는 전략이었다. 또한 梁啓超는 프랑스 혁명기념일과 미국의 독립기념일과 유사한 ``축전(祝典)``도 필요하다며 과거의 ``사업``을 표창함으로써 민중의 애국심을 강화하자고 제안했다. 신정시기 입헌파는 이러한 방안을 채택해 국치기념회를 열고 만청사(晩淸史)를 외세에 받은 치욕으로 가득한 국치사(國恥史)로 묘사하는 한편, ``축전``을 열어 신정을 국치를 설욕하는 묘책으로 삼아 대중들로부터 개혁에 대한 찬성을 얻어내려 했다. 청조 전복을 목표로 했던 혁명파는 입헌파와 달리 한족이 만주족의 압제를 받은 ``국치``를 더 강조했다. 신해혁명 성공 후에 경축 분위기 일색에서 새로 수립된 민국정부에서는 국경일 등 ``축전``을 채택하고 국치기념은 거들떠보지 않았다. 하지만 1915년 ``21조 요구`` 사건으로 중국 지식인은 홀대 받던 ``국치기념``의 필요성을 다시금 깨달았다. 게다가 이후에 반복적으로 ``치욕``을 당하는 사건이 일어나면서 ``국치``는 ``국경``보다 더 영향력 있는 근대 중국의 자아 표상과 국민감정을 자극하는 요소가 되었다. The political culture of modern commemoration was developed in nineteenth century Europe. It was subsequently introduced into East Asia, with kinen-hi(monu-ment for commemoration) and kinen-kai(meeting for commemoration)becoming very popular in Japan in the 1880s. In China, during the Hundred Days Reform in 1898, Liang Qichao took the Japanese kinen-kai as a model, interpreting it in his own way to propose the new idea of commemorating China`s national humiliation, thereby stirring up people`s patriotic emotion, and mobilizing them to make their own country rich and strong. On the other hand, Liang also recognized that it was also important for China as a modern country to celebrate positive historical events, in a similar vein to the Independence Day in the United States or Bastille Day in France. After the defeat of the Boxer Uprising, Qing Reformists adopted Liang`s idea, holding the ceremonies to commemorate national humiliations, painting the late Qing history as a miserable time full of foreign invasions and defeats. In addition, they also held ceremonies to celebrate the fruits of their policies, insisting that reform was the only way to wipe off such national shames, as an attempt to win the people`s approval. Meanwhile, the Revolutionaries tried to overthrow the Qing government and as such tended to stress the shame which the Han nation had suffered at the hands of the Manchu nation. After the 1911 Revolution, the new Republican government, in an entirely celebratory mood, adopted only a national day to celebrate the success of the uprising, and did not adopt any national humiliation days. However, the Twenty-one Demands issued to China by Japan in 1915 reminded Chinese intellectuals of the importance of commemorating national humiliation. Subsequent to that point, continuous foreign invasion has made commemorating national humiliation a far more effective method for Chinese intellectuals to adopt in order to mobilize the public than any celebration of national days.

      • KCI등재

        사이공간과 반영웅들의 재현 정치 ―2019 뮤지컬-오페라의 독립운동

        전우형(CHON Woohyung) 역사비평사 2020 역사비평 Vol.- No.130

        This paper attempted to identify one aspect of the rift in the political politics of commemoration performed by musicals and operas in 2019. And the tentative goal of the writing is to identify the dynamics of this fissure carrying out some sort of representational politics of remembering and commemorating history. The musicals, The Eyes at Dawn and Opera 1945, were the media of commemoration. They boldly escaped the content and form of musical and operas of the past, reinventing the location of the subject who gave reflection to the commemoration itself. The Eyes at Dawn and 1945 do not deal directly with the historical event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liberation and the people and scenes involved in the dramatic style of the memorial. he archiving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history and culture outsid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the two works through the in between space and antiheros is related to the will to create a close dialogue space between it and the present. The Eyes at Dawn and 1945 reinforce the meaning of the memorial to presentize history. The two works did not remain in the realm of commemoration because they did not fully reflect the problems of history raised in Korean society. At least the musical The Eyes at Dawn and Opera 1945 are commemorations of those who have not returned, come back, uncovered, revealed, remembered or recorded, and never been celebrate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is performed in that it is a memorial that has never been done before.

      • KCI등재

        한국 민주화운동의 정신 계승과 선양의 의미

        이장희 ( Lee Jang Hee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6

        이 연구는 민주화운동에 대한 보훈의 구체화된 내용으로서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계승하고 선양하는 작업이 어떤 헌법적 의미와 성격, 헌법적 근거를 지니고 또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체계적으로 밝힌 것이다. 또한 민주화운동의 정신 계승과 선양의 과제를 주도하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의 주요 활동과 성과를 살펴보고, 나아가 또 다른 주체로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민주화운동 관련 사회단체의 활동까지 함께 아울러 살펴보았다. 우리 법제에서 민주화운동은 제대로 된 보훈의 대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물론 일부 4·19나 5·18 등 몇몇의 민주화운동에 대해서는 법적 수용이 이루어졌고 그 자체에 대해서는 별다른 이견이 없도록 법률적 근거를 명시하고 있지만, 그 밖의 민주화운동에 대해서도 헌법과 법률적 근거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를 중심으로 한 공훈과 나라사랑정신의 선양 내지 공훈선양사업 등이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지만, 여전히 시민들이 민주화운동의 정신계승과 선양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데에는 부족함이 있다. 관련 법령의 개정을 통해 민주화운동의 정신계승과 선양 사업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고 국민의 참여와 민주주의의 실질적 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clarify the constitutional significance, nature, and legal basis of the embodiment of commemoration for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work involves inheriting and promoting the spirit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explaining how it should be carried out. Furthermore, it examines the main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Commemoration Project,' which leads the tasks of inheriting and promoting the spirit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t also explores the activities of the state, local government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s additional actors. In our legal system,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s not properly recognized as a subject of commemoration. While legal acceptance has been granted for certain democratization movements, such as 4.19 or 5.18, with specific legal grounds explicitly stating there are no objections, debates still exist for other democratization movements. However, as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tself undergoes constitutional evaluation and recognition, it is crucial to evaluate other democratization movements that hold equal significance historically, explicitly specifying them in the law (based on democratic commemoration and the principle of legal formalism) to ensure no deficiency in the commemoration of democratization movements.

      • 49재를 퍼포먼스로 읽기 - 유족의 치유와 성장을 중심으로 -

        정미경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1 무형문화연구 Vol.0 No.4

        This study examines how buddhist 49th funeral commemoration can expand into an lifetime rite in order to meet multi-religious needs of bereaved families. To do this, I apply “a new audience” model of contemporary western performance theory to “the bereaved” participating in buddhist 49th funeral commemoration. Instead of text and author, performance theory focuses on active interplay between actors and audiences who both perceive the present being of their body and cross the thresholds into new realms of existence. If we take in this performativity to buddhist 49 th funeral commemoration, as a co-performer of the three jewels, the bereaved not only mourn the dead and transform their subjects but also find their own meaning of life and death. This study suggests buddhist 49th funeral commemoration be a contemporary life time rite by offering consolation and comfort for the bereaved, and by helping them to comprehend the integrated buddhist view of life and death as well. 본 연구는 전통적 종교의 역할이 약해진 현대사회에서 불교의 49재가 유족의 다종교적 의례 요구를 반영하여 현대적 일생의례로 정립될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대 공연예술의 퍼포먼스 이론을 49재에 유비적으로 적용한다. 퍼포먼스 이론은 관객이 행위자와 상호작용하며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는 지각을 통해인식적 경계를 넘어 변환하는 주체가 된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관점을 적용하면 49 재는 유족을 49재라는 ‘사건’의 공동수행자로 대우하고 그들이 망자를 애도하고 생사의 의미를 새롭게 자각하는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돕는 의례가 된다. 관객의 수행과변화를 지향하는 퍼포먼스의 통찰에 기대어, 본 연구는 현재의 49재가 유족의 참여와 변화를 의례의 주요한 목적으로 수용하여 좁게는 천도재로서의 종교적 기능을제공하고, 넓게는 생사관 정립과 같은 사회문화적 기능을 수행하는 일상 의례로 그위상을 확대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심청전에 나타난 추모의 양상과 의미

        신호림 ( Shin Ho Rim ) 판소리학회 2021 판소리연구 Vol.51 No.-

        본고에서는 심청전에 나타난 추모의 양상을 ‘기념비 건립’과 ‘심봉사의 황성행’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기억과 망각의 교차가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여 심청전의 서사를 완성시키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심청의 죽음을 둘러싼 기억과 망각에로의 요구가 심청전에 나타난 ‘효’라는 규범과 맺는 관계까지 구명하고자 했다. 심청전의 이본군을 장자 계열(A), 장자부인 계열(B), 장승상부인 계열(C)로 구분했을 때, 기념비 건립은 장자부인 계열(B)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충효비나 타루비의 이름으로 건립된 기념비는 심청과 그의 죽음을 둘러싼 사건에 대한 도화동 사람들의 집단기억이 물질화된 것이다. 하지만 기념비의 건립이 심청을 위한 것인지, 심청의 죽음을 통한 효의 완성에 대한 것인지 혼란이 일어나면서 심청은 역설적으로 망각된다. 심청에 대한 기억은 점차 사라지고 심청의 죽음이 남긴 ‘효’만이 그 자리를 대체하게 된 것이다. 심봉사의 황성행을 통해 망각되었던 심청에 대한 기억이 소환된다. 심청에 대한 기억은 심봉사의 삶에 활력을 불어넣으며 새로운 삶의 주체로 성장시킨다. 물론, 심봉사는 황후 앞에 섰을 때 죄의식을 전면에 드러내며 자신을 죽여 달라는 마지막 절규를 통해 ‘황성’이라는 공간을 심청에 대한 ‘기억의 터’로 자리 잡게 한다. 기념비에 새겨진 집단 폭력과 기억은 해체되고, 온전한 추모를 바탕으로 비로소 효는 완성된다. 심청전은 효에 대한 이야기지만 동시에 추모에 대한 이야기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features of commemoration and its meaning in the Shimcheong Jeon. Since oblivion is a part of memory, possibly it is the mechanism between remembering and forgetting that leads the narrative of Shimcheong Jeon to form a story of filial piety. Therefore, focusing on the aspects of commemoration could be a vital method for understanding Shimcheong Jeon. In the text, commemoration is reflected in a movement to erect a monument to Shim Cheong called the Chunghyo-bi or Taru-bi. The monument is the materialization of collective memories of the people of Dohwadong. However, the purpose of the monument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whether it is meant to remember Shim Cheong or the filial piety represented by her death. After the monument is erected, Shim Cheong is gradually forgotten, and her memory is replaced by the concept of filial piety. The memory of Shim Cheong the narrative of Shim Bongsa’s travel to Hwangsung. This memory makes Shim Bongsa, and when he stands before the empress, he expresses his feelings of guilt. His weeping makes Hwangsung a Shim Cheong. Finally, the collective violence to Shim Cheong is dissolved and the commemoration is completed. Thus, Shimcheong Jeon is not only the story of a dutiful daughter but also that of a commemoration.

      • KCI등재

        광복기 경남·부산 시인들의 문단 재편 욕망과 해방 1주년 기념시집 『날개』

        이순욱(Lee Soon-Wook) 韓國批評文學會 2012 批評文學 Vol.- No.43

        이 글은 광복기 조선청년문학가협회 경남지부의 인적 구성과 조직 활동을 고찰하고, 광복 1주년을 맞아 전략적으로 발간된 기념시집 『날개』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청문협 경남지부는 청마 유치환이라는 상징자본과 인적 고리를 바탕으로 경남·부산 지역의 기성문인뿐만 아니라 신진문인까지 아우르며 결성되었다. 여기에 『중성』과 『낭만파』라는 매체자본이 작품 뿐만 아니라 청문협의 논리를 재생산하는 이데올로기 기구로서 지부 활동을 뒷받침하고 있었다. 출범 직후 지부의 문학적 역량과 조직의 위세를 안팎으로 드높이기 위해 '해방 1주년 기념시집' 『날개』를 발간하고 '해방기념공연: 시와 음악과 가요의 성전'을 개최하였다. 기념 형식을 통해 민족주의 담론을 전유하고 경남의 여러 지역에서 분산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회원들의 느슨한 결속력을 강화할 목적으로 마련된 기획이었다. 이 대회를 부산에서 개최한 까닭은 좌파 주도의 문학 활동에 대한 경남·부산 지역 우파 문학사회의 위기의식과 부산이 갖는 지역 대표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날개』는 명망가 문인의 작품과 경남지부 회원의 작품을 한데 모아 엮은 사화집이다. 박종화, 서정주, 박목월, 김동명, 김영랑, 김상용, 변영로, 모윤숙, 이봉래의 시를 수록하고 있는데, 필진 구성에서 정지용으로 대표되는 시문학파와 문장파의 그늘이 깊게 드리워져 있었다. 이 때문인지 명망가 문인들을 앞자리에 두고 지역문인들을 뒤에 놓은 기념시집의 형식을 통해 편집주체가 근대문학사의 위계를 내면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날개』 소재 명망가 문인의 작품은 대체로 『문장』에 발표된 작품들이 많고 한결같이 구작(舊作)인 반면, 지부 회원들의 작품은 급하게 창작했거나 기관지 『주간 중성』이나 월간 『중성』에 발표된 시를 가려 뽑아 되실었을 가능성이 높았다. 그런데도 『날개』는 '해방 1주년 기념시집'이라는 표제의 의미가 무색할 정도로 을유광복이라는 역사적 사건과 무관한 감상적 서정과 낭만적 사랑에 대한 환상을 노래한 시들이 지배적이었다. 문단 재편 욕망과 매체 투쟁의 방편으로 발간된 『날개』가 민족주의 담론을 전유할 '기념'의 문학화에서 일정한 수준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점은 한계로 남는다. The independence period in Korea was the era of ideologies plagued by a series of rallies. It was also a time when writers rushed to clarify their political lines and media strategies to dominate the hegemony of the literary circles. Studies on the literary works during the independence period have been well accumulated over the years at the national literary history level. Reorganization of the literary circles and media activities at the local level, however,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formation of the regional literary circles in Gyeongnam and Busan, organizational activities by the Gyeongnam Branch of the Chosun Association of Youth Writ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algae", a strategic publication by the Gyeongnam Branch, which is a collection of poems in commemoration of the 1st anniversary of the Independence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First, the Gyeongnam Branch of the Chosun Association of Youth Writers was established by embracing both established and new writers, based on symbolic capital and human network of Cheongma Yu, Chi-whan, and such media as "Jungseong" and "Nangmanpa" supported its activities as an ideological tool to reproduce not only literary works but also logics of the Association. The imminent task after its establishment was how to commemorate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nation's independence because it was a good opportunity to strengthen solidarity among members scattered across the Gyeonam area and to spread the nationalistic discourse in the form of commemoration. To this end, the Gyeongnam Branch decided to publish a collection of poems "Nalgae" aimed at showing its literary ability and to stage a commemorative performance titled "a holy war with poems, music and popular songs" designed to show off its capabilities. Second, "Nalgae" is a florilegium comprised of literary works by renowned writers and members of the Gyeongnam Branch. The line-up included Park, Jong-hwa, Vice President of the Chosun Writers Association and Honorary President of the Chosun Association of Youth Writers, Seo, Jeong-ju and Park, Mok-wol from the city branch as well as Kim, Dong-myeong, Kim, Yeong-rang, Kim, Sang-yong, Byeon, Yeong-ro, Mo, Yun-suk and Lee, Bong-rae. From the Association's headquarters, Yu, Chi-hwan, Kim, Dal-jin and Jo, Yeon-hyeon as well as Kim, Su-don, Jo Hyang, Tak, Chang-deok, Go, Du-dong, Kim, Chun-soo, Choen, Se-uk, Oh, Yeong-soo and Jo, Bong-je contributed their literary works, in order to wield Gyeongnam Branch's literary authority. Third, renowned writers of the 1st generation of the modern literature took the front pages, while the works of local writers were arranged behind, showing the hierarchy of the modern literary history. This layout strategy aimed at attracting symbolic capital from the literary circles was the result of the efforts to display the power of the Gyeongnam Branch and to facilitate the reorganization of the regional literary circles. Fourth, most of the works by renowned writers included in "Nalgae" had already been published in "Munjang" and almost all of them were old work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works contributed by the branch members were the ones that had already been published in such bulletins as a weekly "Jungseong" or a monthly "Jungseong" and then the selected few might have been just reprinted. We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Nalgae" voluntarily collected poems that had already published and that the works of local poets might be reused in the bulletin "Jungseong" after published in "Nalgae". Lastly, only a few poems commemorated the independence, so it was shame to call "Nalgae" a collection of poems in commemoration of the 1st anniversary of the independence. "Now that you have returned" by Jeong, Ji-yong and "May" by Jo Hyang, "Sikmokje" by Yu, Chi-hwan and "Sijoijang" by Go, Du-dong dealt with the subject of independence or addressed by implication the reality

      • KCI등재

        재난사건에 대한 추모의 지속성과 사회참여

        홍숙영 ( Sookyeong H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본 연구는 세월호 사건이 일어난지 5년 후 이 사건이 청소년들의 삶과 가치관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그러한 인식이 현재와 미래의 삶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보고 재난 사건에서 국가와 사회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어떻게 소통하고 대응해야 하는지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번슨과 루빈의 사건중심성 척도를 활용하여 세월호 사건중심성 인식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추모의 양상과 지속성 및 사회참여도를 측정하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사건중심성은 추모의 지속성과 추모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참여 활동에 있어 중요성 인식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이 상실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미디어를 통해 접하는 재난 사건을 올바로 해석할 수 있도록 적절한 미디어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지속적 추모와 사회참여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사회적 지지와 협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adolescent’s life and formation of value five years after the Sewol ferry incident and how the perception of this event influences their perception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how the state and society should communicate and respond to youth in disaster incidents. An online survey of 160 college students was conducted using Berntsen & Rubin’s centrality of event scale (CE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centrality of Sewol ferry incident, persistence and types of commemor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s a result, the CES affected the persistence and types of commemoration. In regards to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 meaningful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groups based on the degree of the CES. This indicates that appropriate media literacy should be provided to adolescents to interpret the disaster encountered through the media and that social support and cooperation are needed to ensure continuous commemor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to overcome the feeling of lo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