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언사>의 담론 특성과 텍스트 형성

        육민수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2

        이 글은 <만언사>의 산출 기반이 여항-시정 문화권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기존 논의에서는 <만언사>의 특성을 양면성, 즉 사대부 문학 특성과 서민 문학 특성의 공존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이는 작자의 신분이 중인이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보았다. 하지만 <만언사>의 양면성은 작자의 신분이 중인이어서 나타난 현상이기보다는 사대부 문화권, 서민 문화권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원천 소재를 가져오되 이를 불특정 다수 대중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새롭게 재창조하는 여항-시정 문화권에서 <만언사>가 산출되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만언사>의 산출 기반이 여항-시정 문화권임을 밝히기 위해 <만언사>가 첫째, 공동 담론에 의한 사설 짜임, 둘째, 반복적 확장을 통한 흥미성의 제고, 셋째, 대중적 전고의 나열이라는 여항-시정 문화권의 텍스트 형성 문법을 따르고 있음을 논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만언사>는 조선왕조실록 순조 10년의 변창감 처벌 사건과 상당히 흡사한데 이 사건이 궁중을 중심으로 회자되다가 여항-시정의 재미있는 이야기 거리가 되고 <만언사> 산출자가 이 소재를 중심에 두고 여항-시정의 공동 담론화 한 사설을 엮어 텍스트를 산출했을 개연성이 높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만언사>는 실존적이며 역사적인 개인에 의해 진지성을 기반으로 하여 텍스트가 산출된 것이 아니라, 여항-시정 문화권의 텍스트 형성 문법에 따라 대중 독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면서 동시에 유배라는 문맥에 걸맞은 소재들을 선택하되, 작자성을 상실하고 공동 담론화 한 텍스트의 사설들을 엮어 풍부한 읽을거리를 갖춘 대중적 독서물로서 산출된 것이다. I determined that had been created from the Yeohang-civic culture through this article. For now, most discussions have figured characteristics of out the double-sided character like the coexistence of the characteristics both gentry literature and popular literature. This situation was understood what had happened because of author’s social position as the middle class of people. But the double-sided character of is not come from its author’s position. The situation is come from that was created from the Yeohang-civic culture which newly recreated the original materials from both sides gentry culture and popular culture by the concern and interest of the unspecific general public. I take notice of the three points to determine the base of is the Yeohang-civic culture. First, the lyric of was organized by the joint discussion. Second, interest was reconsidered through repeated extensions. At last, it was followed the text developing grammar of the Yeohang-civic culture. In addition, is highly probable to being created by compiling other lyrics based on Byon Chang-gam incident in Sunjo 10th year written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 studied that the incident was turned on the famous story at the Yeohang-civic culture after it had been the talk of the court, and then the author of compiled lyrics which had been the joint discussion of the Yeohang-civic culture. is not created of being based on the seriousness by a historical and existential individual. Although the materials of had been selected by both inducing interest of public readers through the text developing grammar of the Yeohang-civic culture and commensurating with the context as the main theme ‘exile’, was compiled of the texts which had lost its authorial tendency and had been the joint discussion of the time. was created as a reading for the general public including plenty interested reading matters.

      • KCI등재

        정치 문화 개념의 일고찰

        이관열(Kwan Youl Lee),박경숙(Kyong Suk Park) 한국사회이론학회 2018 사회이론 Vol.- No.53

        이 연구는 알몬드와 베르바의 정치 문화 개념의 한계를 파악하고,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서 서구 유럽 봉건주의 시대의 정치 문화적 유산을 분석했다. 알몬드와 베르바의 정치 문화 분류는 정치 문화 연구의 이정표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나 정치 발전의 근본적인 동인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봉건주의 시대를 거친 서구 유럽 국가들의 ‘지방형 정치 문화’와 ‘신민형 정치 문화’적 유산이 알몬드와 베르바의 ‘시민정치 문화’의 형성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분석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pt of political culture of Almond & Verba and its limitation in understanding the political culture. It analyzed the legacy of political culture of feudalism in an attempt to overcome its limitations. Almond & Verba’s study on political culture has been accepted as a milestone in the research of political culture. It does not, however, include the fundamental factors why some countries develop ‘civic culture’ of democracy and some do not. It investigated how the legacy of political culture of feudal age in Europe contributed to the ‘civic culture’ of democracy in Europe.

      • KCI등재

        한국 시민정치의 전개와 반기업주의

        조대엽(Cho, Dae-yop)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6 亞細亞硏究 Vol.59 No.1

        한국사회에서 반기업의식의 뿌리는 친식민적이고 독재유착적인 기업행태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한국의 반기업의식은 정치변동 및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확대 재생산되었다는 점에서 민족해방운동 및 민주화운동과 일치된 기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반기업의식이 지속적으로 재생산되어 체계적인 가치나 이념으로 작동하게 되면 ‘반기업주의’로 고착된다. 반기업주의는 정치영역과 시장영역을 감시하고 이에 저항하는 시민사회영역에서 가장 체계적으로 드러난다. 특히 반기업주의는 특정의 역사국면에서 전개된 사회운동주기를 거치며 구체화되고 변화되었다. 이 글은 민주화운동을 포함하는 시민사회의 운동정치를 ‘시민정치’로 규정하고, 해방 후 전개된 시민정치의 역사적 주기에 따라 반기업주의 프레임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글에서는 해방 이후 1987년 6월 항쟁까지의 시기를 ‘민족민주운동주기’, 1990년대 이후를 ‘시민사회운동주기’로 구분하고 전자를 ‘비시장적 반기업주의’의 시기, 후자를 ‘시장적 반기업주의’의 시기로 설명한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changes in the anti-corporate culture frame in modern Korean civic politics, defined as the political movements of civil society developed after emancip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he roots of South Korean anti-corporate consciousness are based in the negative perception of corporate behaviors such as pro-colonial attitudes and adhesive relationships with dictators and their governments. South Korean anti-corporate consciousness can be said to have its origins in the process of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and the pro-democracy movement, and has expanded and reproduced through political change and the democratization process. Anti-corporate culture has become stronger while an anti-corporate consciousness continues to operate in systemic values ndideologies. Anti-corporate culture is clearly evident in civil societyamong those who monitor the corporate and political spheres and often resist them. Obviously, anti-corporate culture has been intensified and trans formed through the cycle of social movements in this specific historical conjuncture. In this regard, this article analyzes the anti-corporate culture frame during two periods, the period of the National Democratic Movement from the emancipation in 1945 to the June Uprising of 1987, and the period of Civic Social Movement after the 1990s. While the former is explained as a period of non-market anti-corporate culture, the latter is described as a period of market anti-corporate culture.

      • KCI등재

        시민적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중·일 3국을 중심으로

        이희창 ( Hee-chang Lee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7 국가정책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우리사회의 시민적 도덕성 증진에 필요한 영향요인 규명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시민적 도덕성의 양 축인 정치제도와 시민문화에서 강점을 보이는 중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우리사회와 비교하였다. 한·중·일 3국 주민 3,468명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 ① 시민적 도덕성 수준에 있어 국가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일본이 가장 높고, 한국이 다음이고, 중국이 가장 낮았다. ② 제도적/문화적 인식에도 큰 차이를 보였다. 중국은 정치제도에 대한 믿음이 강했고, 일본은 타인이나 공동체의 도덕성을 매우 높이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한국은 정부성과나 사회 도덕성 모두를 아주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③ 시민적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도 국가별 차이를 보였다. 중국은 제도적 요인이 강했고, 한국과 일본은 문화적 요인이 강했다. 한국과 일본 간에도 차이를 보였다. 일본이 한국보다 문화적 요인의 효과가 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우리사회의 시민적 도덕성 증진방안으로 정부부패 척결, 정부성과 제고, 사회 전반에 걸친 도덕적 풍토 조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re necessary to promote the civic morality of Korea. To this end, this article compared the results of our society with those of China and Japan, which have strengths in the political system and civic culture. Based on the 3,468 residents in Korea, China, and Japan, the results showed that ① In the levels of civic morality, Korea, China and Japan showed a clear difference. Japan is the highest, Korea is the next, and China is the lowest. ② In the levels of institutional/cultural perceptions, China has a strong belief in political institutions, and Japan has a highly appreciate the morality of others and communities. On the other hand, Korea was evaluating both government performance and social morality very low. ③ Factors affecting civic morality were also different by country. In China, institutional factors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civic morality. In Korea and Japan, cultural factors had a strong influence on civic morality. There were also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effect of cultural factors was stronger in Japa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eradicating government corruption, enhancing government performance, and creating a moral climate for society as a way to improve the civic morality of our society.

      • KCI등재

        한국 현대사 정치문화에 대한 고찰: 쿠데타군의 재집권시기를 중심으로

        임선우(Im, Sun Woo),윤황(Youn, Hw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5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한국현대 정치사에서 군부의 쿠데타 재집권체제적 주요 문화적 특성을 밝히고 21세기 지속가능한 정치문화를 민주주의와 연관해서 논의하는 데에 있다. 연구 분석 결과, 기본적으로 쿠데타군의 재집권체제적 정치문화는 국가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모순과 한계로 나타났다. 그에 따른 국가체제는 민주주의의 제한성과 퇴행성을 가진 과도기적 민주정치문화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에 기초한 한국의 반민주적 정치문화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즉 첫째, 권위주의가 만연화되었다. 둘째, 중앙집권적 중앙집중주의가 심화되었다. 셋째, 계파/족벌주의가 보편화되었다. 넷째, 보수와 진보의 이념대립구도가 격화되었다. 이런 특성에서 벗어나 21C 바람직한 한국 정치문화의 방향은 한국문화의 고유적 특성과 결합된 국민주권의 시민 참여적 민주정치문화 창출로 나아가야 한다. 한국문화의 고유적 특성은 공동체가 강한 아시아적 가치로서는 문화자본이다. 이 자본과 결합된 시민의 정치정향에 따른 국민주권의식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민주정치문화의 창출도 가능해진다. 비록 부진한 정치권의 개혁만이 아닌 그동안의 후진적인 사회 형태를 벗어난 시민의 권력으로 더불어 사는 새로운 새 시대의 비전을 향해 함께 나아가야 한다. 21C 대한민국 시민이 이룩한 촛불평화혁명은 박근혜 정권의 퇴진요구와 맥을 같이하는 지금까지의 불공정 ․ 불평등의 반민주적 적폐청산문화에 그 본질을 두고 있다. 이에 촛불혁명 이후의 방향은 기존 질서와 장벽에 막혀있는 동등한 권리와 기회를 요구한 시민참여의 민주정치문화를 새롭게 형성해 나가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바로 한국 민주주의 회복에 당위성을 둔 세계시민사회를 향한 휴머니즘에 의한 삶의 대화이자 연대성의 정치환경에 부응하는 것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major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second coup regime in the modern Korean political history, and to discuss sustainable political culture in relation to democracy in the 21st centur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olitical culture of the ruling system of the coup is basically a contradiction and limitation to maintain the state system. It was analyzed that the national system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democratic political culture with the limitation and degeneracy of democrac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anti - democratic political cul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uthoritarianism has become prevalent. Second, centralized centralism deepened. Third, the field / nepotism was universalized. Fourth,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conservatism and progress has intensified. Apart from these characteristics, the direction of desirable Korean political culture in the 21st century should move toward the creation of citizen participatory democratic political culture combined with the inherent traits of Korean culture. The inherent character of Korean culture is cultural capital as a strong Asian value of community. It is also possible to create a democratic political culture with a change in the sovereignty of the people in accordance with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citizens combined with this capital. Though it is not only the reform of the sluggish political realm, but it should go along with the vision of a new era of living with the power of the citizen out of the backward social form. The candlelight peace revolution achieved by Korean citizens in the 21st century has its essence in the culture of anti-democratic abolition of inequality and inequality that has been in tandem with the demand for the resignation of Park Geun-hye. Therefore, the direction after the candlelight Revolution calls for the formation of a democratic and political culture of citizen participation that requires equal rights and opportunities that are obstructed by existing order and barriers. This is correctly a response to the political environment of solidarity and dialogue of life through humanism toward the global civil society, which is in accordance with the recovery of Korean democracy.

      • KCI등재

        여항 - 시정 가사의 담론 특성 -잡가집 수록 <과부가>를 중심으로-

        육민수 ( Min Su Yook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5

        이 글에서는 여항-시정 문화권을 산출 기반으로 하는 가사 작품 중 <과부가>를 주요대상으로 삼아 그 담론 특성을 밝히려고 하였다. <과부가>를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과부 담론의 보편적 정서라 할 수 있는 사별의 정한을 여항-시정 문화권에서는 이 문화권의 대표적 텍스트 생성 문법인 감상성과 자극성의 메커니즘 속에 활용하고 있는 점을 분명하게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었다. <과부가> 계열의 가사 작품(각편으로서)은 필자가 지금까지 조사한 바로는 15종이 있으며 이 중 13종은 규방문화권의 작품이며2종은 여항-시정 문화권의 작품이었다. 각편으로는 2종에 불과하지만 이 두 작품이 여항-시정 문화권에서 활발하게 향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항-시정 가사 2종은 <과부가>와 <쳥츈과부곡>인데 <과부가>는 14종의 이본이 있으며 <쳥츈과부곡>은 5종의 이본이 있다. 구체적 분석 과정에서는 여항-시정의 담론 특성을 온전히 간직하고 있는 <과부가>를 주요 대상으로 삼고, 이를 주로 규방문화권의 <과부가>류와 대비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실존적 성격을 지닌 인격적 서술자의 서술 유무, 사설 양상(부모 양육 대목과 혼인대목)의 차이, 동일 문화권 혹은 인접 문화권과의 공동담론 활용 등에 대하여 대비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규방문화권의 <과부가>류는, 작자의 실존성과 결합하여 과부로서의 고단한 일상을 일생 동안 살아야 할 처지에서 이에 매몰되지 않고 스스로‘주체로 서기’ 위하여, 그리고 同質的艱苦를 견뎌낸 규방 부녀자의 ‘共感’을 얻고 치유하기 위하여 창작되고 향유되었음을 파악하였다. 이에 비하여 여항-시정 가사 <과부가>는, 서술자의 애상적 탄식 대목의 집중적 서술, <규슈샹곡> 및 <사친가>류와의 공동담론의 활용, 인간 본연의 정감의 直情的토로 등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는데, 이는 여항-시정 가사 <과부가>가 잡가집에 수록된 하나의 문화 상품으로서 작자의 실존성에 굳이 결합할 필요가 없는 텍스트이며, 불특정 계층인 도시 대중의 통속적 미감을 자극하기 위하여 산출된 작품이기 때문이라는 점을 고찰하였다. In this paper, I figured out the discoursive characteristics of Gasa works -especially <Guabu-ga> based on Yuhang - Sijung cultural area. The reason that studied the <Guabu-ga> is, it could clearly stand out the emotion of bereavement which is an universal emotion of the discourse about widow. This also could possible to stand out because the emotion was utilized in the mechanism of the stimulation and sentiment at Yuhang - Sijung cultural area. The number of Gasa works of <Guabu-ga> series(as a version) are 15 types in accordance with my investigation so far. 13 types of them are the works from a culture of boudoir, 2 types are from Yuhang - Sijung cultural area. There are only two types from Yuhang - Sijung cultural area but it was found that it had enjoyed actively in the cultural area. 2 types of Yuhang - Sijung Gasa are <Guabu-ga> and <Chyungchunguabu-gok>. There are 14 different editions of <Guabu-ga> and 5 different editions of <Chyungchungua- bu-gok>. In the course of the specific analysis, <Guabu-ga> kept characteristics of Yuhang - Sijung cultural area is the object and compared to <Guabu-ga> types of a culture of boudoir. The comparison is focused on whether being descriptions of the personal descriptor who has existing personality or not, differences of the aspect of phrases(on parts of marriage and supporting one`s parents) and the utilizing common discourse among the areas of adjacent culture or identical culture. As a result, <Guabu-ga> types of a culture of boudoir, combined with the existence of the author, were created and enjoyed in order to healing themselves, standing as a subject and gaining ‘sympathy’ by women from a boudoir who endured adversities. Compared to this, <Guabu-ga> from Yuhang - Sijung cultural area shows some characteristics such as concentrative depicting the part of sad sigh by the descriptor, using common discourses with <Gyusyusyangsa-gok> and <Sachin-ga> types, and sincere revealing emotions of human intrinsic because it was a work stimulating a popular esthetic sense to the random city public. There was no need to combine the existence of the author with <Guabu-ga> as a cultural goods included on the collections of Japga.

      • KCI등재

        문화민주주의 기반의 문화도시재생에서 커뮤니티댄스의 역할에 관한 고찰

        김지안,박정주 여가문화학회 2020 여가학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community dance and the possibility of a win-win relationship in the cultural urban regeneration of Korea based on the cultural democracy view. To this end, academic discussions based on the concepts of cultural capital, cultural capacity, and cultural diversity were considered. Based on thi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for the role of local-based community dance that could contribute to cultural urban regeneration: Firstly, local-based community dance creates a community culture that is the basis for cultural and urban regeneration through creative participation of local citizens in culture and arts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Secondly, local-based community dance becomes a cultural content reflecting the phenomenon and potential value of the region's uniqueness, such as indigenous traditions or lifestyles, cultural and artistic enjoyment and promotion, common problems and solutions, solidarity consciousness and interaction. Thirdly, local-based community dance can play a role in realizing the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values of the community in the cultural urban regeneration of a convergent creative way that adds to the traditional culture and products that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region and creative culture. Finally, in cultural urban regeneration, community dance can form a solid culture of community that promotes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mmunity. Therefore, the potential possibility of community dance to contribute to cultural urban regeneration was emphasized in this study as a creative community practicing cultural democracy. This argument presupposes that community dance can be a cultural capital that can inspire the cultural capabilities of local members and lead to civic creativity.

      • KCI등재

        위드 코로나 시대 시민문화예술의 향유 현황과 코로나 블루 완화를 위한 움직임 퍼포먼스의 방향성 탐색

        홍애령 한국무용과학회 202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40 No.1

        The study aimed to find ways to alleviate the sadness/depression/blu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at has affected many citizens. To this end, I investigated the cases of citizens enjoying arts and culture at home and abroad; I considered citizens' preferences and interests, and sought directions to plan a movement performance program to relieve depression and anxiet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following measures need to be taken. First, domestic and foreign arts and culture-related institutions should implement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programs to aid citizens' artistic experiences and emotional purifica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share them online through YouTube and their own platforms. Second, the reactions to COVID-19 by citizens during the pandemic included anxiety, depression and lethargy, and stress. Third, the selection of expression topics and methods which include lectures and movement creation, the composition of inquiry-based movement performance and the use of blended performance, and the convergence of narrative-motion-media were proposed for movement performance.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movement performance-based civic arts and culture to alleviate the ill effects of COVID-19 and highlighted the need for research on performanc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cases by applying various expression methods and types. 이 연구는 COVID-19 팬데믹을 거쳐 위드 코로나(With Corona) 시대를 맞이하는 가운데 다수의 시민들이 경험한 코로나 블루의 완화 방법 모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시민들이 팬데믹 상황에서 경험한 코로나 블루를 현상학적으로 파악하고 국내외에서 실행된 시민문화예술 향유 사례를 조사하여, 시민들의 기호와 흥미를 고려하고 우울감이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움직임 퍼포먼스 프로그램을 기획하기 위한 방향성과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외의 문화예술 유관기관에서는 COVID-19 상황 속에서도 시민들의 문화예술체험과 정서적 순화를 위한 대면, 비대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유튜브 및 독자적인 플랫폼을 통해 이를 온라인에서 공유하고 있었다. 둘째, 팬데믹 기간 시민들이 인식한 코로나 블루의 유형별 특성은 불안형, 우울 및 무기력형, 스트레스형으로 나타났다. 셋째, 움직임 퍼포먼스는 강연과 창작을 통한 표현 주제 및 방식의 선정, 탐구기반 움직임 퍼포먼스의 구성과 블랜디드 퍼포먼스의 활용, 내러티브-움직임-미디어의 융합적 활용이 제안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코로나 블루를 완화하기 위한 움직임 퍼포먼스 기반 시민문화예술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표현방식과 유형을 적용한 퍼포먼스 기획 및 실행 사례에 대한 연구가 요청되었다.

      • KCI등재

        문화적 실천으로서 독일의 정치교육 혹은 민주시민교육 -제도적 이상과 현실

        홍은영 ( Hong Eun-yong ),최치원 ( Choi Chi-won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16 유럽사회문화 Vol.0 No.17

        Politische Bildung(Civic Education) in Germany has been recognized as a good model for Korea. It has greatly contributed to building a civic political culture and strengthening democracy in Germany. Its biggest advantage is that it is, based on a pluralistic structure, performed in an organic linkage with various political institutions. Today, however, Politische Bildung in Germany has financial problems, and is even confronted with the survival problem. Furthermore, the educational subjects has no special interest in it. Politische Bildung has to respond to the modernization of education by which it should provide practical education program. Despite the many challenges and problems facing the German Politische Bildung, it can give provide many implications for Korea which has now unsolved problems of democratization. Activation of Politische Bildung or Civic Education in Korea will play a important role in fostering the public mind and forming a democratic political culture.

      • KCI등재

        이탈리아 COVID-19 재난의 문화적 배경에 관한 연구

        이상엽 ( Sang Yeob Ii ),이선필 ( Son Phil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1 국제지역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2020년 전반기 이탈리아가 겪은 COVID-19 재난의 배경에 이탈리아의 문화가 있음을 고찰하고자 한다.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한 이탈리아 정부 정책의 핵심은 다른 나라들처럼 봉쇄와 격리 그리고 사회적 거리두기, 개인위생의 강조이다. 하지만 격리와 사회적 거리두기 등 정부의 조치를 강제할 수 있는 국가의 수단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그 결과는 시민들의 참여와 순응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시민들의 참여와 순응의 정도는 사람들의 생활방식과 문화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 3월부터 5월까지 이탈리아가 겪은 재난상황을 생활문화, 시민문화, 위기에 대한 인식, 정치에 대한 불신 등 다양한 이탈리아의 문화를 통해서 설명한다. 이탈리아는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한 가족주의와 물리적으로 가까운 생활방식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시민문화와 상대적으로 낮은 위기인식은 시민들로 하여금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감염 예방을 위한 행동수칙의 준수에 소홀하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정치인과 정부에 대한 오래된 불신은 시민들이 정부의 규제조치에 대해 반감을 가지고 저항하게 만든다. 결국 3월부터 5월 사이에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 이탈리아에서 더 많은 COVID-19 감염자와 사망자가 발생한 배경에는 이탈리아만이 가진 독특한 문화가 있었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talian culture behind the COVID-19 disaster that Italy experienced in the first half of 2020. The core of Italian government policy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virus is the emphasis on containment, quarantine, social distancing, and personal hygiene, as in other countries. However, because the state's means to enforce government measures such as isolation and social distancing are limited, it can be said that the result could be depended on citizen's participation and compliance. And the degree of citizen's participation and compliance is bound to be influenced by people's lifestyle and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explains the Italian disasters experienced in Italy from March to May 2020 through various Italian cultures, such as life style, civic culture, risk perception, and the degree of confidence in politics and politicians. Italy has a lifestyle that is physically close distance, which is vulnerable to viral infection. In addition, civic culture and relatively low risk perception make citizens neglect to observe the rules of conduct for preventing infection, such as social distancing. Finally, the distrust of Italians in politicians and governments leads them to resist the government's regulatory measures. After all, it can be said that the reason why Italy has had so many COVID-19 cases and deaths between March and May compared to other countries derives from the Italian cultures that are at a disadvantage for the spread of the inf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