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Rice Husk as a Food Carrier Forselective Enrichment of Tea Catechins

        Meng Shi,Long-Yue Huang,Rong-Rong Han,Qiao Lin, Jian-Hui Ye,Yue-Rong Liang,Jian-Hui Ye 한국차학회 2015 한국차학회지 Vol.- No.S

        The potentials of rice husk, oat bran and soya milk cake as food carriers for tea catechins(TC) were studied. Adsorption properties, contact time and temperature effects and the concentration of tea catechins, as well as digestive stability were investigated in this paper. The result showed that the adsorption capacity of rice husk for tea catechins was 32.04 mgg-1 which was 28.1 % and 17.7 % higher than those of oat bran and soya milk cake and no obvious adsorbability to caffeine was observed for these materials. The selectivity coefficient K of EGCg to TC for rice husk was 4.44 in comparison with 1.87 and 1.96 of oat husk and soya milk cake. This guarantees rice husk a selective food carrier to tea catechins with enrichment of EGCg. Also, 20 min contact time and tea extract concentration above 1.75 g L-1 are recommended in order to obtain a high loading amount of tea catechins onto rice husk, and low temperature is favorable for the adsorption processof tea catechins onto rice husk. Digestive study showed that combination of tea catechins with rice husk was propitious to increase the digestive stability of tea catechins in simulated gastrointestinal fluids. Thus, rice husk is a promising food carrier for tea catechins. Further studies would be focusing on the identification and separation of the functional constituent of rice husk and its interaction mechanism with tea catechins.

      • 유기농 茶와 주요 Catechins의 대장암세포 사멸효과

        김민지;유민주;이범진;이정대;김영걸;정하숙 덕성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2 자연과학 논문집 Vol.18 No.-

        건강한 삶을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한 현대인의 요구에 부응하며, 건강효능이 우수한 천연소재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음용되고 있는 차(Camellia sinensis L.)는 항산화, 항염증, 항암작용을 가진 phytochemicals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천연소재 발굴을 목적으로, 무발효차(우전, 세작, 중작, 대작)와 발효차{선향, 운향, 삼다연)롤 열수 추출물로 제조한 후 HT-29 세포증식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茶에 함유된 주요 catechins 성분의 함량을 분석하고, 함량이 높은 EGCG, ECG, EGC를 분리하고, 대장암세포 성장저해 효과를 규명하였다. 실험 결과, 무발효차의 경우 총 catechins 함량이 12.8%로 우전과, 발효차의 경우 8.01%로 선향이 가장 높았으며, catechins 중에서도EGCG가 가장 많이 함유되었다. HT-29 대장암세포증식은 중작, 선향과 운향이 200ug/mL농도에서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catechins 함량이 높을수록 낮은 농도에서도 대장암세포 증식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catechins 중 ECG가 가장 높은 사멸효과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제주지역 차나무 품종 4월 신초의 카테킨 함량 및 그 생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량 비교

        김주형(Ju-Hyung Kim),반유진(Eu-Jin Ban),문두경(Doo-Gyung Moon),이소진(So-Jin Lee),이동준(Dong-Jun Lee),문제학(Jae-Hak Moon),조정용(Jeong-Yong Cho) 한국차학회 2022 한국차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육종하고 있는 차나무 유전자원의 찻잎 특성을 이해하고자 4월 제주지역에서 자란 차나무 7개 품종(재래종, 금설, 보향, 상목, 참녹, 대차, 야부기다)의 1아2엽 신초를 대상으로 catechin류 함량 및 그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먼저, ODS-HPLC를 이용하여 차나무 품종 별 4월 신초분말에서 caffeine 및 catechin류를 정량하였다. 그 결과, 금설 신초는 다른 차나무 품종의 신초에 비해 총 catechin 함량뿐만 아니라 esterified catechin류인 EGCG와 ECG의 함량이 높았으나, 그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량은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임을 알 수 있었다. 보향 신초는 EGC 함량이, 그리고 보향과 참녹 신초는 EC 함량이높은 경향이었다. 또한 차나무 품종 별 4월 신초에서 real-time qPCR을 이용하여 catechin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차나무 품종에 따라 4월 신초에서 catechin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량은 다소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4월 신초에서 dihydroflavanol 4-reductase (DFR), anthocyanidin synthase (ANS) 및anthocyanidin reductase (ANR) 등의 유전자의 발현량은 total catechin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4월제주지역에서 생육하고 있는 차나무 7개 품종 신초에서 DFR, ANS 및 FGS가 catechin 생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들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고품질의 찻잎 생산 및 이를 이용한 다양한 용도의 차 가공품 개발을 위한우리나라에서 육종하고 있는 차나무 유전자원의 찻잎 특성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atechin content and its biosynthesis-related gene expression in six different cultivar tea leaves of Camellia sinensis harvested in April at Jeju Island. The caffeine and catechin contents in tea shoots with one apical bud and two terminal leaves were analyzed by octadecylsilan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expression of the catechin biosynthetic genes was also investigated using a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caffeine content of the tea shoots harvested in April ranged from 1.62 to 1.93 g/100 g dry wt. and the Chamnok cultivar tea shoot had the highest caffeine content among the cultivars. The total catechin content of the tea shoots harvested in April ranged from 5.22 to 7.18 g/100 g dry wt. The Kemsull cultivar had the highest total catechin content. The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and epicatechin gallate (ECG) contents in the tea shoots of the Kemsull cultivar were 2.93 ± 0.04 and 1.26 ± 0.02 g/100 g dry wt., which was higher than the other cultivars. The EGC content in the tea shoots of Bohyang cultivar was 2.07 ± 0.04 g/100 g dry wt., followed by the Chamnok cultivar (1.69 ± 0.05 g/100 g dry w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expression levels of dihydroflavanol 4-reductase (DFR), anthocyanidin synthase (ANS), and flavan-3-ol gallate synthase (FGS) and the total catechin content were identified in the April tea shoots. However,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expression levels of flavonoid 3 ,5 -hydroxylase(F3 ,5 H), and total catechin content were also identifi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FR and FGS are potentially key genes that affect catechin accumulation in tea leaves grown in April at Jeju Island.

      • SCOPUSKCI등재

        Bioavailability and Efficiency of Ten Catechins as an Antioxidant

        Shi, John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2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Vol.7 No.3

        Tea is a pleasant, popular and safe beverage in the world. During the past decade,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shown that tea catechins intake is associated with lowe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ea provides a dietary source of health-promoting components to help humans reduce a wide variety of cancer risks and chronic diseases.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ea-derived catchins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The antioxidant effect is a synergistic action between catechins e.g. EGCG, EGC, ECG, EC, pheophytins a and b, and other components in tea leaves, which aye more bioavailable for human body. Green tea has a Higher content of catechins than other kinds of tea. Green tea extract with hot water has high potential and more efficiency to reduce cancer risk than any other tea products or pure EGCG. Protein, iyon, and other food components may interfere with the bioavailability of ten catechins. Interaction of catechins with drug affects the cancer-preventive activity of some cancer-fighting medication.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the bioavailability of tea catechins and cancer-preventive functionality.

      • KCI등재후보

        우림조건에 따른 녹차 기능성 성분의 용출양상

        손경현(Gyeong Hyun Son),추민아(Min-A Choo),조정용(Jeong-Yong Cho),문제학(Jae-Hak Moon),김선재(Seon-Jae Kim),마승진(Seung-Jin Ma),김두운(Duwoon Kim),박근형(Keun-Hyung Park) 한국차학회 2012 한국차학회지 Vol.18 No.2

        우림 조건에 따른 녹차 유용 성분의 용출 양상을 구명하고자, 가공 방법이 다른 우리나라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는 증제 녹차와 덖음 녹차를 대상으로 우림 온도(60-95℃), 우림 시간(60-120초), 우림 횟수(1-5회) 등의 우림 조건을 달리 하여 조제한 녹차 우림물에 용출된 catechin류, caffeine, ascorbic acid의 용출 양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catechin류는 우림 온도와 우림 시간에 따라 용출 양상에 차이가 있었으며 두 종의 녹차 모두 1회째에서 5회째까지의 우림물에서 검출되었으며 2회째 혹은 3회째의 우림물에서 가장 많은 양이 용출되었다. 특히 catechin류는 높은 온도의 우린 물에 서 긴 시간 동안 우릴 때 많은 양이 용출되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Caffeine은 catechin류와 유사하게 모든 우림물에서 검출되었으나 catechin류 보다 용출이 더 잘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Ascorbic acid는 덖음 녹차보다 증제 녹차에 다량 존재하고 있었으며, 두 녹차 모두 1회째와 2회째의 우림물에서 대부분 용출됨이 확인 되었다. 이 결과, 우림 조건을 달리 할 때 증제 녹차와 덖음 녹차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성분인 catechin류, caffeine, 그리고 ascorbic acid의 용출 양상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녹차 우린물의 함유된 기능성 성분에 관한 정보와 최적 녹차 음용 방법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catechins, caffeine, and ascorbic acid of Korean steamed and roasted green tea infusions prepared under different infusion conditions. The teas were infused by different water temperature (60-95℃), infusion time (60-120 sec), and infusion number (1-5 times), respectively. Catechins were detected in all infusions (1-5 times) of both steamed and roasted green teas, although their contents were differed by different infusion condi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infusion time. Second and third tea infusions showed the highest catechin contents. Caffeine infused faster than catechins and the infusion pattern of caffeine was similar to that of catechins. Almost of ascorbic acid was elut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infusions. Steamed green tea showed higher ascorbic acid content than roasted green tea. These results may be helpful in choosing the correct way to drink tea with biological active compounds.

      • KCI등재

        재배 온도에 따른 금설 및 야부기다 품종의 수확시기 및 성분 차이 비교

        문두경,김주형,이소진,권용희,김천환,조정용 한국차학회 2019 한국차학회지 Vol.25 No.2

        This study compar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bioactive compound contents of Kemsull and Yabukita leaves grown in two different growth temperature (Temperature: +5 ℃), by using a temperature-gradient tunnel, during the months of April and June. Kemsull and Yabukita leaves in the high temperature region (HTR) (Temperature: +5℃) showed the fastest germination and growth. The growth of two cultivar leaves (1 bud 1 leaf, and 1 bud 5 leaves) was faster by about 12 days in the HTR than that in the low temperature region (LTR) (T: 0℃) during the first season of harvest. Yabukita had faster leaf growth than that of Kemsull. The two cultivars showed faster leaf growth in June than that in April. The Kemsull leaves had a relatively higher caffeine content (1.72~2.08 g/100 g) than did the Yabukita leaves (1.30~1.60 g/100 g),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ultivars according to the growth season and cultivation temperature. The Kemsull leaves had a significantly higher total catechin content (8.03~11.22 g/100 g) than that of the Yabukita leaves (7.27~8.84 g/100 g). The two cultivar leaves had a higher total catechin content in June than that in April. Under the same conditions of leaf growth in both April and June, the Kemsull and Yabukita leaves showed higher total catechin contents in the HTR and LTR, respectively.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epigallocatechin were the main catechins of the two cultivar leaves.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epicatechin gallate were the main catechins of the Kemsull leaf grown in Ju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af growth and bioactive compound contents of Kemsull and Yabukita differ depending on the growing season and cultivation temperature. 본 연구에서는 4월과 6월에 온도구배터널을 이용하여 재배 온도가 다른 두 지역(T+5℃)에서 재배한 야부기다와 금설 찻잎의 생육특성 및 catechin류와 카페인 등을 포함한 성분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금설 및 야부기다 품종은 온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발아 및 생육시기가 빨라 1아 1엽부터 1아 5엽까지 수확시기를 보면 안쪽(T+5℃)이 중간(T+2℃) 및 바깥쪽(T+0℃)보다 각각 6일 및 12일 정도 빠르다. 야부기다는 금설에 비해 찻잎 생육이 빨랐으며, 두 품종 모두 4월보다 6월에, 그리고 재배 온도가 높은 지역에서 찻잎의 생육속도가 빠름을 확인하였다. Caffeine 함량은 금설의 찻잎(1.72~2.08 g/100 g)이 야부기다(1.30~1.60 g/100 g)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금설 및 야부기다 모두 생육 시기 및 재배 온도에 따라 뚜렷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금설의 총 catechin 함량(8.03~11.22 g/100 g)은 야부기다의 찻잎(7.27~8.84 g/100 g)에 비해 높았으나 두 품종 모두 4월에 비해 생육온도가 높고 일조량이 많은 6월에 더 높은 총 catechin 함량이었다. 그러나 4월과 6월에 생육하는 동안 일조량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금설은 재배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 야부기다는 재배 온도가 낮은 조건에서 총 catechin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확인하였다. 두 품종 모두 개별 catechin류 중 EGC와 EGCG가 총 catechin 함량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다량 성분들이었으며, 6월에 재배한 금설 찻잎은 EGC와 EGCG가 catechin류의 다량 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총 flavon-3-ol 함량은 금설에 비해 야부기다 찻잎에 더 높은 함량이었으며, 두 품종 모두 4월 보다는 6월에, 그리고 재배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조건에서 그 함량이 더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금설 및 야부기다는 생육 시기 및 생육 온도에 따라 찻잎의 형태 및 유용 성분 함량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SCIESCOPUSKCI등재

        Effects of Catechins and Wheat Bran on the Beef Color in the Late Fattening Period of Hanwoo Steers

        Kim, Do-Hyung,Oh, Young-Kyoon,Jang, Sun-Sik,Kwon, Eung-Gi,Seo, Yong-Joo,Ok, Ji-Un,Park, Keun-Kyu,Lee, Sung-Sill,Kim, Kyoung-Hoon Asian Australasian Association of Animal Productio 2012 Animal Bioscience Vol.25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techins and wheat bran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color using forty-eight Hanwoo steers. Each steer wa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treatments. Treatments were as follows: control, catechins, wheat bran, and catechins+wheat bran (CW). At the end of the feeding tria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of hemoglobin and iron concentration, and then steers were slaughtered at a commercial abattoir. Catechins, wheat bran, and CW had no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Percentage of myoglobin in M. longissimus dorsi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s. Percentage of oxymyoglobin was increased (p<0.05) by CW and maintained at the highest level (p<0.05) for CW during meat display time up to 24 h. Percentage of metmyoglobin was the lowest (p<0.05) for CW between 5 and 24 h during display time. Although blood iron concentration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s, total concentration of muscle iron was the lowest (p<0.05) for CW compared with that of other treatments.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CW may provide good protection against oxidation of myoglobin, and might be an effective dietary supplement for improving meat color in the late fattening period of Hanwoo steers.

      • KCI등재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catechins-rich and -poor tea tree (Camellia sinensis L.) lines

        김용덕,정미진,김종철,최명석,송현진 한국산림과학회 2012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Vol.8 No.1

        Catechins-rich and -poor tea tree lines were selected through a colorimetric selection method from 160 tea tree lines used in previous studies. The selected tea tree lines, catechins-rich lines (HR-52, HR-29, HR-82, HR-123, and HR- 55) and catechins-poor lines (HP-19, HP-108, HP-138, HP-150, and HP-18), were analyzed through morphological (leaf width, leaf length, leaf area, and shoot length) and genetic analysis. The cluster pattern of morphological characte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atechins contents and the leaf morphology. In RAPD analysis, the amplified DNA bands did not appear with 10 primers, however, the various sizes of DNA bands were detected with 22 primers. The special DNA bands between the rich and poor lines were not fou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rph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 may be somewhat related to secondary metabolites of tea trees.

      • HPLC를 이용하여 녹차사료를 급여한 산란계의 계란에서 catechins와 caffeine의 분석

        김지민,손호창,최양호 한국가금학회 2010 한국가금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7 No.-

        녹차는 항산화, 항암, 항비만, 항스트레스 등 많은 유익한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녹차에 함유된 catechins와 같은 성분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금분야에서도 녹차의 이용가능성이 연구되고 있으나, 녹차 사료를 섭취한 산란계의 계란 내 녹차 성분분석에 대한 연구는 아주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HPLC를 이용하여 계란 내 녹차 성분분석법을 확립하는 것이고, 둘째, 녹차사료를 섭취한 닭의 계란에서 녹차성분을 동정하는 것이며, 셋째, 사료의 녹차함량이 계란 내 녹차성분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다양한 정량방법을 검토한 결과, 계란 내 caffeine 및 catechins의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그 후 녹차사료를 섭취한 산란계의 계란 속에서 caffeine 및 catechins의 분석이 수행되었다. 그 결과, 난백 및 난황에는 caffeine과 catechin의 일종인 EGCG 및 EC가 검출되었다. Caffeine의 함량은 난황 및 난백에서 사료 내 녹차의 함량과 비례하지만, catechins는 난황에서만 사료 내 녹차의 함량과 비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HPLC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재현 가능한 계란 내 녹차성분 분석법이 확립되었다.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료녹차성분은 계란 내에 축적되며, 이 축적은 어느 정도까지는 사료 중 녹차함량에 비례한다고 사료된다.

      • SCOPUSKCI등재

        보성산 유기농 녹차의 품질에 따른 카테킨 함량과 항산화능 비교 분석

        박경련(Kyung Ryun Park),이상길(Sang Gil Lee),남태규(Tae Gyu Nam),김영준(Young Jun Kim),김영록(Young-Rok Kim),김대옥(Dae-Ok Kim) 한국식품과학회 200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1 No.1

        유기농 녹차의 등급별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은 각 추출 용매에 따른 수율을 확인하였을 때 물 추출에 비하여 수용성 유기용매의 추출 수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수율은 물을 이용할 때 보다 총페놀 함량은 1.5에서 3.2배, 항산화능은 1.8에서 3.8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HPLC 분석을 통하여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의 상관관계를 비교 시 총페놀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능이 1차 선형관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PLC분석을 통하여 유기농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카테킨의 함량이 채엽시기에 따라 변화가 나타났다. 유기농 녹차의 카테킨 성분 중 가장 많이 존재하는 EGCG가 건조중량당 5.8-7.7%의 함량을 보였고, caffeine은 1.7-2.9%의 함량을 보였다. 유기농 녹차의 카테킨 함량은 일반적으로 채엽 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점차 감소하였다. 유기농 녹차의 등급에 따른 항산화능은 최상급인 우전에서 가장 높았으며 최하등급인 엽차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HPLC 분석에 의한 유기농 녹차의 등급에 따른 총 카테킨 함량(㎎/g)은 우전(155.4), 세작(147.7), 중작(143.2), 엽차(135.1), 대작(130.5)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녹차의 채엽 시기가 유기농 녹차의 카테킨 성분 및 항산화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상급의 유기농 녹차 일수록 총페놀 및 카테킨 함량이 많으며 또한 더 높은 항산화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solvents on extraction of bioactive phenolics and to analyze the antioxidant capacity and contents of individual catechins in various grades of green teas organically grown in Boseong, Korea. The organic green teas, based on their harvest seasons, were categorized into five grades such as Woo-Jeon, Se-Jak, Jung-Jak, Dae-Jak, and coarse tea. Solvents used to extract phenolics from these teas included water at 23℃ and 70℃ as well as 80% (v/v) aqueous methanol and ethanol. In general, aqueous organic solvents of methanol and ethanol led to higher extraction yields of phenolics than water at 23℃ and 70℃.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the teas extracted with the aqueous organic solvents were approximately 1.5 to 3.2 and 1.8 to 3.8 times higher than those with water at 23℃ and 70℃, respectively. Coarse tea, the lowest grade of green tea, showed approximately 30-60% lower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nt capacity compared with the higher grade ones. Reversed-phase HPLC analysis was performed quantitatively to identify individual catechins, gallic acid, and caffeine in teas extracted with 80% (v/v) aqueous methanol. Based on their dry weights, the organic green teas contained about 1.7 to 2.9% of caffeine. Content (㎎/g dry weight) of tea catechins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Woo-Jeon (155.4) > Se-Jak (147.7) > Jung-Jak (143.2) > coarse tea (135.1) > Dae-Jak (130.5). (-)-Epigall℃atechin gallate was the most abundant among the catechins analyzed. The highest grade of green tea, Woo-Jeon, had the highest amount of (-)-epigall℃atechin gallate at 77.4 ㎎/g dry weight. Overall, the higher grade of organic green teas tended to have the higher level of antioxidant capacity and catech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