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연에서 나타나는 "전이"와 배우의 "심리적 경계"에 관한 연구

        김종구 ( Jong Gu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2 공연문화연구 Vol.0 No.25

        일반적으로 공연을 준비하는 배우들은 처음 텍스트(희곡)를 접하면서 배역과 배우 자 신과의 경계를 허물려는 노력을 통해 일상의 공간에서 극중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심리적 전이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전이``는 실제로도 나타난다고 할 수 있는데 무대에 서기전까지 분장실이나 윙(무대에 등장하기 직전의 공간), 그리고 무대(관객을 접하는 공 간)라는 물리적 공간이 그것이다. 공연을 하는 배우는 공연기간이 완전히 종료되는 순간까지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심리 적·물리적 공간들을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각각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은 ``전이``이며, 이 ``전이``과정 속에서 배우들이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변화의 지점을 ``심리적 경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심리적 경계``는 실제 배우들이 각각의 공간에서 전이되는 순간 느끼 는 심리적 양상들을 통해 그 존재 자체를 유추할 수 있다. 배우의 ``심리적 경계``를 알 수 있는 변화 양상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예가 바로 ``긴장``, ``불안`` 등으로 표출되는 ``무대공포`` 인데, 연구에 따르면 가장 많은 수의 배우가 무대에 등장하기 직전의 공간에서 이 같은 심리적 양상을 경험하게 된다고 한다. 즉 회피의 감정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연을 완성해 무대에서 구현하기까지 과정 중에서 배우가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물리적 공간과 이를 관통하는 전이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경계``와 배우의 심 리적 변화에 대한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심리적 경계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배우가 경험하는 ``공간``과 그 전이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경계``에 대한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둘째, 공연과정에서 나타나는 ``전이영역``을 물리적 공간과 심리적 공간으로 재분류하 여 개념 정리를 하였다. 셋째, ``심리적 경계``를 체험하는 배우들의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긍정적 요소로 작용 가능한 ``경계``의 다각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해 본다. 공연을 하는 배우가 경험하는 심리적 현상은 무대공포 등의 부정적인 측면이외에도 긍정적인 측면도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전이 영역에서 일어나는 긴장이 배우에게 긍정 적이고 에너지화로 발전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이``와 ``심리적 경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공연중 배우가 경험하는 ``심 리적 경계``에서 실제 배우가 어떤 변화를 일으키며 심리상태가 유지되어 공연의 전 과정 을 수행하는 것인지를 분석하여 무대공포, 부끄러움 등으로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집중력 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체성의 다변화와 방어기제로 활용되는 무대 현존의 긍정적 인 요소를 찾아본다. The performers preparing for a performance usually experience the process of mental transference, contacting with text (drama) for the first time. It is movement from their everyday life to space in the play, when they try to break the wall between cast and themselves. The transference happens actually at the physical space, such as a dressing room, wing, (place just before appearing at a stage), and a stage (place to contact with audience). Performers keep moving among each psychological and physical space repeatedly, until the performance finishes totally. The transference means moving to each space to another, and the mental borderline means the point of mental change the performers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of transference. The mental borderline can be guessed to exist through mental aspects the performers feel when they move from each space to another. The most typical example, that shows performer`s mental borderline well, is stage fright shown as tension, or anxiety among the variety of aspects. According to a research, the most performers experience that kind of mental aspect just before appearing at a stage. The study on it is already referred by my article.` A Study on Korean Performer`s Stage Fright.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and physical space the performers experience, mental borderline when transferring and penetrating those spaces, and performer`s mental change First, the concept of mental borderline is to be understood totally with preceded research. And the space the performers experience and mental borderline at transference are to be reorganized. Secondly, the area of transference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is to be reclassified into physical and mental space. Third, analyzing the actual case of performers experiencing the mental borderline, the diversified use should be searched to make use of mental borderline as a positive element. The psychological symptoms, performers experience in the performance, can have positive consequence beside negative one. The tension occurring at the area of borderline is positive, and it can be the actual borderline for the performers. It will be researched how the performers change at the mental borderline, the state of mind is maintained, and they perform in an overall performance, through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erence and the mental borderline. And the stress and concentration caused by stage fright, and shyness will be confirmed, and the positive element of a stage, which is used as various defense mechanism.

      • KCI등재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자의 이분법적 사고와 단일차원적 사고

        강희명,이영호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4 인지행동치료 Vol.14 No.1

        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자를 대상으로 경계선 성격장애의 주요 병리 기제인 이분법적 사고를 확인하고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678명(남자 298명, 여자 380명)을 대상으로 경계선 집단, 회피성 집단, 통제 집단을 선발하여 대인관계 상황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이분법적 사고를 유발하기 위한 자극으로 여섯 개의 시나리오(거부, 유기, 무시, 보살핌, 부정적 사건, 중립사건)를 제시하고, 시나리오의 인물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계선 집단은 경계선 성격장애의 특정적인 정서적 주제(거부, 유기, 무시)에 대한 인물 평가에서 회피성 집단이나 통제집단보다 이분법적 사고를 많이 하였다. 또한 경계선 성격장애의 특정적 주제인 보살핌 시나리오, 경계선 성격장애와 무관한 부정적 사건 시나리오, 그리고 중립사건 시나리오에서는 통제집단보다 이분법적 사고를 많이 하였지만 회피성 집단과는 차이가 없었다. 다음으로 경계선 집단의 단일 및 다차원적 사고 경향을 탐색했다. 단일차원적 긍정-부정 사고 점수를 집단별로 비교한 결과, 경계선 집단은 유기 및 거부 시나리오에 대한 인물 평가에서 회피성 집단이나 통제집단보다 단일차원적 사고를 많이 하였다. 영역별로 이분법적 사고 점수를 살펴본 결과, 경계선 특정적 주제(거부, 유기, 무시)에 있어 경계선 집단은 능력-품성 영역과 정서성 영역에서 회피성 집단이나 통제집단보다 이분법적 사고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dichotomous thinking of individuals with BPD tendency. For that purpose, total 678 college students(298 men and 380 women) were divided into the borderline, avoidant, and control group and presented with interpersonal situation scenarios. Total six different scenarios(refusal, abandonment, invalidating, caring, a negative event, a neutral event) were presented to cause dichotomous thinking, and the subjects were asked to assess characters in the scenarios. As a result, the borderline group exhibited more dichotomous thinking in the assessment of characters in the borderline-specific emotional topics(abandonment, refusal, and invalidating) than the avoidant and control group. The borderline group also engaged in more dichotomous thinking in the scenarios of caring, which is one of the borderline-specific emotional topics, the negative event of nonspecific topic, and the neutral event than the control group with no difference from the avoidant group. Then the borderline group was examined for its uni-dimensional and multi-dimensional thinking tendency.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uni-dimensional positive-negative thinking scores among the groups, the borderline group did more uni-dimensional thinking in the assessment of characters in the abandonment and refusal scenarios than the avoidance and control group. As for dichotomous thinking scores according to the areas, the borderline group did more dichotomous thinking in the ability-character and emotionality area on the borderline-specific emotional topics(refusal, abandonment, and invalidating) than the avoidant and contro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조작활동과 수학동화를 활용한 뇌 기반 도형학습 프로그램이 경계선 지능아동, 학습장애 아동의 뇌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하정숙,김자경 한국특수아동학회 202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4 No.3

        Purpo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brain-based shape learning program that utilizes manipulative activities and mathematical assimilation on the shape performance, perceptual reasoning ability, and brain function index of borderline-intelligent children and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purpose, eight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and five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selected from the 2nd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 city and S county. We applied a pre-post design and verified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Results: First, the brain-based shape learning program that utilizes manipulative activities and mathematical assimil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ape achievement i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but not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the brain-based shape learning program that utilizes manipulative activities and mathematical assimil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ual reasoning indicators of the perceptual reasoning ability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in weaving dirt curtains, and in finding common pictures. It was not significant for matrix reasoning. We found that the perceptual reasoning ability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brain-based shape learning program that utilizes manipulative activities and mathematical assimil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tivity index and brain function index i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significant on the activity index but not on the Blaine index.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found that the brain-based shape learning program that utilizes manipulative activities and mathematical assimilation was more effective fo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than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조작활동과 수학동화를 활용한 뇌 기반 도형학습 프로그램이 경계선 지능아동과 학습장애 아동의 도형학업성취도, 지각추론능력, 뇌 기능 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J시와 S군에 있는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경계선 지능아동 8명, 학습장애 아동 5명을 선별하였다. 그들에게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하였고, 사전과 사후에 수집된 자료들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작활동과 수학동화를 활용한 뇌 기반 도형학습 프로그램이 경계선 지능아동의 도형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학습장애 아동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조작활동과 수학동화를 활용한 뇌 기반 도형학습 프로그램이 경계선 지능아동의 지각추론능력의 지각추론지표, 토막 짜기, 공통그림 찾기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행렬추리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학습장애 아동의 지각추론 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작활동과 수학동화를 활용한 뇌 기반 도형학습 프로그램이 경계선 지능아동의 뇌 기능 지수 중 활성지수와 브레인 지수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학습장애 아동은 활성지수에는 유의했지만 브레인 지수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작활동과 수학동화를 활용한 뇌 기반 도형 학습 프로그램이 학습장애 아동보다 경계선 지능 아동에게 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境界人의 고뇌 - 燕巖 朴趾源

        김혈조(Kim Hyul jo)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2 No.-

        경계라는 말은 연암이 언급한 '際'라는 글자를 번역한 것이고, 그 경계에 선 사람을 경계인이라고 한 것이다. '경계'라는 말을 제시한 연암은 그 자신 경계인의 자세를 견지하였다. 연암은 양 극단의 어느 한쪽에 속하지 않은 중간지대에 있으면서 양극단을 지양하고 상호보완하면서 제3의 영역을 모색 지향하는 삶을 살았다. 따라서 연암에게 있어서 '경계'라는 말은 그의 문학은 물론, 그의 인간자세까지 연역해낼 수 있는 핵심어이다. 본 논문은 경계인의 관점에서 청나라에 대한 인식 및 정조 임금에 대한 신하로서의 자세 등을 집중적으로 따져 보았다. 그리하여 연암이 보인 北伐과 北學이라는 양 극단을 지향한 제 3의 관점, 국왕 정조에 대해서도 주체적인 신하의 자세 등이 모두 경계인이라는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었다. Borderline is translated from Chinese letter Jae(際) refered to by Yeonam(燕巖), and man standing between the two extremes is called man in borderline. Yeonam who has suggested the word borderline has held the stance of man in borderline. Yeonam has pursued the boundary which does not belong to any of both extremes, tried to avoid both in a mutually supplementary way, and finally explored the third zone. Accordingly the word borderline, for Yeonam, is the linchpin from which what he is and his literature can be deduced. This paper has closely debated Yeonam's viewpoint for Chung Dynasty and his attitude toward the king Jung-Joh as a subject. Thereby not only the third way overcoming both extremes : Northern Expedition(Bukbeol-北伐) and Northern Learning (Bukhak-北學), but also his independent attitude toward the king Jung-Joh(正祖) as a subject can be interpre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man in borderline.

      • KCI등재후보

        Differences in perioperative outcomes after laparoscopic management of benign and malignant adnexal masses

        Mohamad S. Gad,Nabih I. El Khouly,Enrique Soto,Michael Brodman,Linus Chuang,Farr R. Nezhat,Herbert F. Gretz 대한부인종양학회 2011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22 No.1

        Objective: To compare the feasibility and safety of the laparoscopic management of adnexal masses appearing preoperatively benign with those suspicious for malignancy. Methods: Retrospective study of 694 women that underwent laparoscopic management of an adnexal mass. Results: Laparoscopic management of an adnexal mass was completed in 678 patients. Six hundred and thirty five patients had benign pathology (91.5%) and 53 (7.6%) had primary ovarian cancers. Sixteen patients (2.3%) were converted to laparotomy; there were 13 intraoperative (1.9%) and 16 postoperative complications (2.3%). Patients divided in 2 groups: benign and borderline/malignant tumors. Patients in the benign group had a higher incidence of ovarian cyst rupture (26% vs. 8.7%, p<0.05). Patients in the borderline/malignant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conversion rate to laparotomy (0.9% vs. 16.9%, p<0.001), postoperative complications (1.9% vs. 12.2%, p<0.05), blood loss, operative time, and duration of hospital stay. The incidence of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was similar between the 2 groups. Conclusion: Laparoscopic management of masses that are suspicious for malignancy or borderline pathology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in specific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morbidities in comparison to benign masses. Surgeons should tailor the operative risks with their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operative likelihood of the mass being carcinoma or borderline malignancy. Objective: To compare the feasibility and safety of the laparoscopic management of adnexal masses appearing preoperatively benign with those suspicious for malignancy. Methods: Retrospective study of 694 women that underwent laparoscopic management of an adnexal mass. Results: Laparoscopic management of an adnexal mass was completed in 678 patients. Six hundred and thirty five patients had benign pathology (91.5%) and 53 (7.6%) had primary ovarian cancers. Sixteen patients (2.3%) were converted to laparotomy; there were 13 intraoperative (1.9%) and 16 postoperative complications (2.3%). Patients divided in 2 groups: benign and borderline/malignant tumors. Patients in the benign group had a higher incidence of ovarian cyst rupture (26% vs. 8.7%, p<0.05). Patients in the borderline/malignant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conversion rate to laparotomy (0.9% vs. 16.9%, p<0.001), postoperative complications (1.9% vs. 12.2%, p<0.05), blood loss, operative time, and duration of hospital stay. The incidence of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was similar between the 2 groups. Conclusion: Laparoscopic management of masses that are suspicious for malignancy or borderline pathology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in specific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morbidities in comparison to benign masses. Surgeons should tailor the operative risks with their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operative likelihood of the mass being carcinoma or borderline malignancy.

      • KCI등재

        장애와 공간에 대한 문학적 상상력 -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를 중심으로 -

        박성애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3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32

        Disability has been recognized as a defect that creates the borderline between normal and abnormal. However, disability can be seen as a experience of human origin that everyone experiences in their individual lives. Therefore, it is currently necessary to loosen the borderline between disability and non-disability, and to imagine a society of mutual dependence and a space of ‘enablement’ that naturally accepts the experience of living in between. In this paper, I analyzed it centering on the two spaces of Why do pilgrims not return. The main character DN with a disability, dreamed of a world without disabilities through making the perfect human, but the birth of ‘new mankind’ only separates the space into ‘center’ and ‘periphery’. In response, DN creates a space(village) for people who do not perceive differences, but this space becomes a space of Identity that does not feel difference. The space of perfect human or the space of people that does not recognize differences are all based on the Identity. The Others do not appear in the space of identity. Accordingly, the people of the ‘village’ stay on Earth where they can discover the Others. Where they stay is the borderline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that is, the borderline between the normal and the abnormal. They try to resist ‘separation’ in solidarity with the Others here, loosen the borderline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and create an alternative space. Currently, our society is moving in the direction of affirming various aspects of life, but the discourse on disability still remains at ‘crossing borderline’. In order to make the solid borderline between normal and abnormal flexible, it is necessary to diagnose Identity of our society and secure a critical eye on its one-sidedness.

      • KCI등재

        하늘을 돌진하는 별들의 소리: 제인 존스톤 스쿨크래프트의 경계선의 시적 담론

        임진아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24 현대영어영문학 Vol.68 No.1

        Lim, Jin A. “The Sound the Stars Make Rushing through the Sky: Jane Johnston Schoolcraft’s Poetic Discourse on the Borderline.” Modern Studies in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68.1 (2024): 279-97. This study aims to study Jane Johnstone Schoolcraft's poetic discourse on the borderline. Schoolcraft was the first known American Indian female poet. In the midst of the war clouds of the Indian extinction myth in her time, Native Americans were on a borderline or a middle ground. Schoolcraft's identity, which was from the metis family, was also on a borderline. Schoolcraft tried to inspire the indigenous aesthetics, which could be represented by "survivance"(a newly-coined word from survival and resistance) and viewed reality as a time for survival, change, and a new opportunity, rather than as a scene of tragic fate and its victim. Schoolcraft's poetry, in its contemplative and emotional tone, contains the spirit of her native tribe and resistance for survival. The characters in her stories go through an active transformation process in a moment of crisis and build and start a new life as a new existence. To sum up, Schoolcraft's works carry "The Sound the Stars Make Rushing through the Sky" as her Native Indian name Bamewawagezhikaquay means. (Cheongju University)

      • KCI등재

        대학생의 경조성 성격과 경계선 성격에 따른 군집유형과 정서반응성 및 대인관계 유능성의 차이

        김소희,권해수 한국공안행정학회 2019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8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daptative characteristics of hypomanic personality compared to borderline personality. This defines what sorts of clusters are composed in accordance with the tendencies towards hypomanic personality and borderline personality and verifies the differences of emotional reactiv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etween clusters. Participants include 512 university students in Gwangju and Jeollanam Do. They answered a questionnaire under a guidance with purpose of this study informed. Data were analysed by SPSS 21.0 and K-means cluster analysis verified four types of clusters: hypomanic-dominant, borderline-dominant, intermixed, and average.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 hoc were conducted. As the results, intermixed group shows the highest emotional reactivity and average group shows the lowest. Emotional reactivity of borderline-dominant group appears higher than that of hypomanic-dominant group. Interpersonal competence is the highest in hypomanic-dominant group and the lowest in the borderline-dominant group. Counseling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hypomanic tendency could refer to this findings. 본 연구는 대학생의 경조성 성격과 경계선 성격의 특성으로 구성된 군집유형 간의 정서반응성과 대인관계 유능성을 비교하여 경조성 성격의 하위유형과 그 특징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소재 4년제 대학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550명을 대상으로 경조성 성격 척도(HPS),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PAI-BOR), 정서반응성척도(ERS),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K-ICQ)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조성 성격과 경계선 성격을 군집 변인으로 하여 Hair와 Black(2000)이 제안한 2단계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경조성 우세 집단, 경계선 우세 집단, 혼합집단, 보통집단의 4개 집단이 도출되었다. 군집유형 별 정서반응성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차이가 있는지 일원변량분석(ANOVA)과 사후검증(Scheffe)을 실시한 결과, 정서반응성에서 가장 취약한 집단은 ‘혼합집단’이었으며, 대인관계 유능성에서 ‘경조성 우세 집단’이 가장 높았고, ‘경계선 우세 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경조성 성격이 단독으로 우세한 경우와 경계선 성격 특성과 동반 상승한 경우 정서반응성과 대인관계유능성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대학생 상담 실제에 미치는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紹興和議를 통해 본 宋・金 외교관계와 국경 — 唐州와 鄧州 交割을 중심으로

        정일교 순천향대학교 공자아카데미 중국학연구소 2024 沽山中國學報 Vol.9 No.-

        宋과 金의 1120년 海上의 盟을 통해 遼를 멸망시키고, 송은 맹약의 조건인 燕雲 16주를 금으로 부터 돌려받기로 하였다. 그 후 송과 금은 크고 작은 전쟁을 치렀고 결국 1142년(紹興 11) 紹興和議를 체결하면서, 東으로는 淮河 중류로부터 西로는 大散關( 현 陝西 寶鷄 西南)에 이르는 국경을 확정하였다. 송과 금이 소흥화의를 통해 회하 중류부터 대산관이 이르는 국경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수차례 친서와 사신이 왕래하였다. 소흥화의를 통해 양국은 일부 국경을 확정 지었지만, 이는 국경을 완전히 확정한 것은 아니었다. 국경 확정의 구체적인 진행 과정은 많은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매우 복잡한 문제이다. 화의에서 규정한 것처럼 단순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안 될 것이다. 양국 간의 국경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淮河가 어떻게 선택되었는지 주목 해야 하고, 소흥화의에서 회화의 중류를 경계로 唐州와 登州를 인계하고 구제적인 인계와 섬서 지역에 대한 협의와 인계 등의 협의를 하였다. 이는 남송과 금의 국경 협의 과정에서 외교정책과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간, 외교 교섭의 참여자 등의 관점에서 소흥화의의 협의 과정을 환원해야 남송과 금의 국경 확정의 최종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송과 금이 국경 확정 교섭 과정을 되돌아보면, 소흥화의에서 국경을 확정하는 것은 외교적 행위로 인해 영토의 교할을 확인하는 일종의 의식이 되었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국경을 확정하는 협의에서 영토의 득실은 외교의 성패와 연결되어있었다. 協議官과 交割官는 권력과 이익을 대표하는 자였고, 그들이 어떤 이익을 바라보고 있느냐에 따라 득실이 결정되었다. 그들은 利益이라는 전쟁터에서 많은 관심을 받았지만, 사실상 그들은 권력자의 그림자에 불과하였다. 협의 과정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그들의 배후에 있는 실질적인 권력자인 宋高宗과 完顔宗弼이다. 송 고종과 완안종필의 서신 왕래에서 송 고종은 종종 금에 대한 “事大之誠”을 드러냈고 이는 소흥화의 협의 과정에서 기본적인 기조였다. According to the alliance Conducted at Sea[海上之盟], the Song dynasty[宋] and Jin dynasty[金] destroyed the Liao dynasty[遼] in 1120. And, under the contract, the Song dynasty would get back the Sixteen Prefectures[燕雲十六州] of the Jin dynasty. After several big and small conflicts, the two countries signed the peace treaty between the Song and Jin dynasty, called Shaoxing treaty[紹興和議] in 1142. And the boundary line was decided from the midstream of Huai River[淮河] to Dasan Pass[大散關, Now southernwest area of Baoji city(陝西 寶鷄)].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 about peace, the two countries corresponded several times each other. Through the treaty, the two countries drew the borderline almost the whole. But there were still some troubles. Setting up frontiers are very difficult matters to be a conflict of interests. It was never simple as the text of the treaty. In the treaty to drow the borderline, we have to focus how Huai River was selected. And We also have to focus on the discussion about how Dengzhou[登州] and Tangzhou[唐州] transferred and how Shaanxi was discussed and transferred, too. Also we have to discover the diplomatic policies and the diplomat’s points of view in the negotiation process, in the process of the treaty to drew the borderline. Then we can get the final result of the negotiation. In the negotiation to drew the borderline between the Song dynasty and the Jin dynasty, it seems like a kind of ceremony, because of the exchange the territory. In the negotiation, the gains and losses of the territory were connected to succeed or fail. The diplomats[協議官] and negotiators[交割官] were represented the powers and profits, and what they wanted decided their gains or losses. They were received a lot of attention in the diplomatic war for the gains, but they were just the substitutes of the men of power. We have to focus on the men of power, Emperor Gaozong of Song[宋高宗] and Wanyan Zongbi[完顏宗弼]. In the letters between they corresponded each other in negotiation, Emperor Gaozong showed a toadyism to the Jin dynasty, and it was the fundamental keynote of the Song dynasty in the negotiation.

      • KCI등재

        국내 경계선 지적지능 학생의 언어 관련 연구동향 분석

        류인혜(Ryu, In-Hye)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0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경계선 지적 지능 학생의 언어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으며, 이를 위해 연구에 나타난 경계선 지적 지능 학생의 언어 관련 연구 동향과 중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연구들은 2005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학술지 논문 31편이다. 분석 결과, 연도별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으나 경계선 지적 지능 학생의 언어와 관련된 연구의 수가 많지 않았고, 연구대상은 초등학생이 주를 이루었다. 이들은 모두 지능지수에 의해 진단되었다. 또한 비교연구와 중재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경계선 지적 지능학생의 언어적 특성을 밝히는 비교연구는 주로 구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중재 효과를 밝혀내고자 하는 중재연구는 주로 문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연구는 주로 상위언어기술과 읽기, 쓰기를 다루고 있었는데, 경계선 지적 지능 학생들은 평균지능 또래집단에 비해 수행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경계선 지적 지능 학생의 중재는 모두 구조화된 상황에서 이루어졌는데, 읽기 중재는 주로 1:1의 개별 형태에서 중재자 주도의 직접 교수인 전통적 중재가 이루어졌으며, 쓰기 중재는 주로 그룹 형태에서 기능적 중재가 이루어졌다. 중재 자료는 읽기 영역에서는 문학작품이 가장 많이 이용되었고, 쓰기 영역에서는 연구자가 자체 제작한 자료가 많이 이용되었다. 중재 기간은 1~15회기가 가장 많았다. 중재 목적은 전반적인 읽기, 쓰기 하위 발달들의 능력 향상이었으며, 중재 결과 모두 긍정적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language­related studi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functioning at the borderline, and to do so, it is analyzed focusing on the linguistic intervention analysi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functioning at the borderline. The research subjects were 31 journal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2005 to 20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ntinuous research was conducted by year, but there were not many studies related to the language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functioning on the borderline,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intervention studies that tried to reveal the intervention effects were mainly focused on literary. The study mainly dealt with meta­linguistic, reading and writing, and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students had difficulty performing compared to the average intelligence peer group. The intervention purpose was to improve the ability of the overall reading and writing sub­developments, and the intervention results showed positive impr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