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 교과와 철학, 그 연속성과 불연속성 : 홍윤기의「도덕?윤리의 철학귀속성과 도덕?윤리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도덕교육론적 응답

        박병기(Pak Byung-kee)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7 사회와 철학 Vol.0 No.14

        우리의 도덕 교과는 전통교육과 근대화 사이의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는 통로로 출범한 이후 한편으로 지속적인 정착의 과정을 거쳐 왔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많은 비판과 도전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한국 철학계는 도덕 교과가 국민윤리 교과로 정착하는 과정부터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그 이후에도 대학 국민윤리 강의를 상당한 정도로 분담하면서도 동시에 비판에도 앞장서는 모습을 보여 왔다.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을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철학계는 도덕 교과가 안고 있는 문제들 중에서 특히 그 이데올로기적 한계와 배경 학문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보였고, 본고의 주된 비판 대상인 홍윤기의 논문『도덕·윤리교육의 철학귀속성과 도덕·윤리교육의 정체성』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의 주장의 핵심은 도덕 교과의 배경 학문은 철학이고, 따라서 도덕·윤리교육의 정체성도 철학 안에서 찾아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장이 정당화될 수 있기 위해서는 먼저 교과와 그 배경 학문에 관한 이해가 앞서야 하고, 그 이후에 과연 도덕 교과의 배경 학문이 철학일 수 있는지를 물어야 한다. 홍윤기는 이 과정을 도덕·윤리, 윤리학은 당연히 철학의 한 영역이라는 명제 하나로 대신하고 있는데, 이는 배경 학문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 단계와 경험 세계를 중심에 두고 구성되는 도덕 교과에 대한 일면적 이해에 불과하다. 또한 도덕 교과의 주요 배경학문으로 윤리학을 설정한다는 전제를 할 경우에도 윤리학이 끊임없이 그 외연과 학제성을 강화해 가는 과정에 있고 동양적 전통 속에서 윤리를 찾아가기 위한 차후의 과정으로 철학적 사유 또는 철학함을 강조해 왔다는 점, 도덕 교과에는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 단계를 파악할 수 있는 사회과학적 성격의 도덕심리학도 주요 배경 학문으로 설정되어야 한다는 점 등을 고려해 볼 때 반드시 도덕 교과의 배경 학문 또는 모학문으로 철학을 설정해야 한다는 홍윤기의 주장은 설득력을 갖기 어렵다. 도덕교육은 교사와 학생 사이의 만남을 전제로 해서 삶의 어느 국면에서든 마주치게 되거나 마주쳐야만 하는 윤리적 문제들을 화두(話頭)로 삼아 보다 치열한 삶을 추구하는 지난한 노력이다. 이 과정에서 철학이 상당 부분 도움을 줄 수 있고 또 그런 점에서 배경 학문의 하나로 설정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도 철학적 사유를 배제하지 않는 윤리학만으로도 일정한 완결성을 지닌다. It has been a disputable issue that what is the academic background of moral subject at the process of curriculum revision recently. This problem is connected with the issues of objects of moral education, that is, universal object or special object. The academic background of moral subject has taken a interdisciplinary domains, and its cores has been ethics and politics. But 2007's revisional version of moral subject has intensified ethical background and its result has strengthened philosophical background. Dr. & professor Hong's assertion is that the background of moral education is to be a philosophy. But the academic background of moral education has to be considerate the students at each moral developmental stage, and its background is moral psychology. Additionally, the traditional forms of moral education at Korea were focused on ethics, not philosophy. So the background of moral education is to be focused on ethics and moral psychology.

      • KCI등재

        韓国の経営哲学に関する一考察-文化的背景とCSRの特徴を中心に-

        安兌爀 ( Ahn Tae-hyuk ) 한국일본근대학회 2020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8

        本稿では、企業経営における共通的価値観から生れる経営哲学が確立されているCSRこそ、その企業が果たすべきである最善のCSRのモデルであり、その国の文化的背景と経営哲学を探ることによって、その国のCSR経営の特徴が明らかになるという問題提起をした。そして、そのような問題提起のもとで、文化的背景と経営哲学およびCSRはどのような関連性をもっているのかについて先行研究から概観した。その上で、果たして韓国型CSRモデルとはどのようなものであるのか、またどのようなものであるべきかを提示するために、韓国の文化的背景といえる儒教主義と家族主義が韓国の経営哲学とどのような関連性をもつのかについて考察してみた。その結果、 宗教的性向による「内面的個人主義」、アメリカの経営学や経営者からの影響による「個人主義」、儒教主義の血縁主義思想からの影響による「個人主義」が、日本的経営の影響による「集団主義」と一緒に混ざり合って、「韓国の家族主義」を形成する。そして、その「韓国の家族主義」の中から生れてくるのが、今日の「韓国の経営哲学」であると考えられる。 それより重要なのは、CSRの問題と経営哲学の問題は、ともに経営学と経営実践の基本主題であるということである。韓国の文化的背景と経営哲学がどのようなものであれ、利害関係者がお互いの価値観を理解·包容できるCSR経営が求められているのである。 In this paper, CSR which has established a management philosophy born of common values in corporate management is the best model of CSR that the company should fulfill and explores the cultural background and management philosophy of the country the report clar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s CSR management. Then, I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background, management philosophy and CSR from previous research. In order to show what the Korean-style CSR model really looks like, we examined how Confucianism and familyism in the Korean cultural background relate to the Korean management philosophy. As a result, “inner individualism” due to religious tendencies, “individualism” due to the influence of American business administration, “individualism” due to the influence of Confucian kinship, and the influence of Japanese management “Collectivism” together forms “Korean familyism.” And “Korean management philosophy” is born from “Korean familyism”. More importantly, both the issue of CSR and the issue of management philosophy are fundamental subjects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business practice. Whatever the cultural background and business philosophy of Korea, CSR management is required to enable stakeholders to understand and embrace each other’s values.

      • KCI등재

        의철학 연구의 최근 경향

        권상옥(Sang-Ok Kwon) 한국의철학회 2008 의철학연구 Vol.6 No.-

        유럽 의철학은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으며, 후에 생겨난 생명의 료 윤리학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40년 정도의 짧은 역사를 지닌 미국의 의철학은 생명의료 윤리학과 같은 시대에 태어났지만, 별개의 학문으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수렴되어 가는 점이 유럽과 다르다. 학제간 분야인 생명의료 윤리학이 발전하는데 의철학 및 철학 지식은 많은 기여를 하였다. 의철학이나 철학 지식이 생명의료 윤리학 이론에 적극 도입된 대표적인 예로는 인간에 대한 존경이라는 칸트 이론과 법철학의 권리 이론, 자아 동일성 이론과 생물 철학, 언어 분석, 몸과 마음의 관계에 관련된 심리 철학, 인격 이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의철학은 의료 윤리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초기에는 ‘의사와 환자의 치유 관계’에서 의료의 본질을 파악하여, 이 위에 생명의료 윤리학을 정초하고자 하는 토대주의가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의료의 본질이나 의료윤리의 정당성을 의료 내적인 가치나 규범뿐만 아니라 의료 외적인 사회문화적 전통과 가치 위에 세워져야한다는 주장이 호응을 받고 있다. 의철학을 의학에 대한 철학적 성찰이라고 정의할 때, 최근 의철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분야는 생명의료 윤리학이며, 형이상학과 인식론이 뒤를 잇고 있다. European philosophy of medicine has come from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medicine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regarded the biomedical ethics as part of philosophy of medicine. But the philosophical interest of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has burgeoned over the last three decades. The philosophy of medicine and biomedical ethics were thought of as quite separate fields of study. Currently philosophy of medicine includes all sorts of philosophical reflection on medicine, and is dominated by biomedical ethics The philosophy of medicine has supported the critical examination of the concepts and argument underlying the field of biomedical ethics. The philosophy of medicine has helped biomedical ethics to solve the ethical dilemma, clarifying the value-context and to construct the grounding, analysing the goals of medical practice. The core issues of philosophy of medicine and other specialities in philosophy has penetrated into discussion of biomedical ethics. Both field has evolved from debates about ethical conduct(primarily conduct of physician) to a basic reformulation of what medicine is about. There is the gradual convergence of themes in philosophy of medicine with specific issues in biomedical ethics.

      • KCI등재후보

        이케다 다이사쿠의 평화사상의 배경과 평화실현 방법

        박상필 ( Park Sangpeel ) 현대일본학회 2017 日本硏究論叢 Vol.45 No.-

        대체로 현대적 산물인 평화연구는 그 대상이 인간의 마음부터 시작하여 국제체제의 구조까지 다양하다. 평화사상가에 대한 연구도 활발한데, 종교지도자의 평화사상에 대한 연구도 일정한 의미를 지닌다. 이 연구는 평화사상가로서 이름이나 있지만, 제대로 연구되지 않은 SGI(Soka Gakai International)회장, 이케다 다이사쿠(池田大作)의 평화 사상의 배경과 평화실현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언어적 접근법을 통해 개념간 연계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범위는 그가 1983년 이후 매년 제언하고 있는 1 · 26 평화 제언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방법은 최근에 개발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문제로 인해 □ 글에서 키워드로 검색하는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35년간 총 35회의 평화제언에서 이케다는 적극적 평화의 사회윤리적 측면(6405회)에 대한 평화 관련 개념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그 다음으로 정치윤리적 측면(1616회), 타자윤리적 측면(1214회) 순이었다. 이러한 적극적 평화의 사상적 배경으로서는 정치윤리적 측면에서는 대체로 불교사 상과 연계된 것이 많았고(총 118회 중 80회), 사회윤리적 측면에서는 스승의 지도와 유훈과 많이 연계되어 있었다(총 223회 중 140회). 타자윤리적 측면에서는 전체적으로 적었지만, 역시 스승의 지도와 유훈과 연계된 것이 많았다(총 54회 중 31회). 평화실현의 방법으로서는 정치윤리적 측면에서는 주로 유엔의 역할을 강조하였고(총 339회 중 217 회), 사회윤리적 측면에서도 유엔의 역할과 연계된 것이 다수를 차지하였지만(총 719회 중 437회), 시민사회/NGO의 활동(100회), 국가의 역할(99회), 개인의 노력(83회)도 평화 실현의 방법으로서 적지 않게 등장하였다. 타자윤리적 측면에서도 유엔의 역할과 연계 된 것이 다수를 차지하였지만(총 652회 중 355회), 시민사회/NGO의 활동(144회)도 평화 실현 방법으로서 일정 정도 언급되었다. 전반적으로 그는 평화에서 사회윤리적 측면의 전쟁·폭력 반대(4930회)에 대해 가장 많이 언급하였고, 그 중에서도 핵무기와 같은 대량살상 무기의 금지를 가장 강조하였다. 그리고 그 해결방법으로서는 유엔의 역할을 가 장 중시하였다. Peace researches, which in general started in the modern age, are diverse ranging from studies on human mind to those on the structure of international regime. Peace philosophers are also actively studied and studies on religion leaders have some significance. This paper aims to study peace philosophy of Daisaku Ikeda who is the leader of SGI(Soka Gakai International). He is renowned as a peace philosopher, but relatively less studied. I will grasp relations between concepts of positive peace and the background of Ikeda`s peace philosophy as well as methods of peace realization with a sociolinguistic approach targeted at his peace proposals which proceeded on January 26th each year since 1983. He referred to social ethics 6405 times on concepts related positive peace, subsequently 1616 times to political ethics and 1214 times to ethics of the other in the peace proposal. In the background of peace philosophy, political ethics was mainly related to buddhism(80 times among 118 times), while social ethics and ethics of the other to his teacher`s guidance(140 times among 223 times and 31 times among 54 times respectively). In the method of peace realization, he put emphasis on the role of the UN in the aspect of political ethics(217 times among 339 times). On the other hand, he underlined the activities of NGOs(100 times), the role of state(99 times), and individual efforts(83 times) besides the role of the UN(437 times among 719 times) in the aspect of social ethics. Meanwhile, in the aspect of ethics of the other, the UN`s role(355 times among 652 times) was emphasized the most with the activities of NGOs(144 times). In general, he described on anti-war and anti-force the most(4930 times) and above all, on opposition against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s nuclear weapons. He thought the role of the UN as the most important method of peace realization.

      • KCI등재

        기대치-경쟁 모형을 통한 특허제도 公正 고찰

        김대영 한국지식재산학회 2019 産業財産權 Vol.- No.59

        The patent systems of every country are based on the rational allocation of profits to the monopolistic of the patentee and social interests, and aims for timely and balanced distribution of profits between the protection of inventions and the utilization of inventions. But in recent decades, with the trend of globalization, the world trade has been unified and the patent system has been standardized as a pro-patent policy. Amid this rapidly changing trend, some countries are making enormous sacrifices, not realizing or ignoring the seriousness of the bias of intellectual property profits generated during international trade. On the issue of biased profit sharing of intellectual property, which has not been studied so far, this article sought to explore the prior study of the fundamental philosophy of the patent system and the economic patent model of the patent system and seek alternative. Specifically, as the background philosophy of the modern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we looked at the concepts of natural rights and utilitarian ideas and the limitations that appear in applying them as moral rules.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e economic model, such as reward theory, prospect theory and cumulative innovation theory established in terms of the economic utility of the current patent system, were analyzed, and a new expectation-competition model was established, including the public and the prior art, as a complement to this. It also intended to establish patent justice rules to support the legitimacy and rationality of the patent system by introducing Aristotle's virtue justice along with utilitarian justice in the model simulation. Meanwhile, patent globalization has generated external factors in patent system in terms of patent royalties and social costs. Thus, developing countries will have to consider various policy systems to compensate for the ‘excess’ state caused by such patent globalization. 각 국의 특허제도는 특허권자의 독점이익과 사회공익에 대해 합리적 이익 배분을 기본으로 하며, 발명보호와 발명 활용 간의 시의적절한 균형된 이익형량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몇 십 년간 불어 닥친 세계화의 추세에 따라, 세계무역은 단일화되고 특허제도는친특허정책으로 표준화되고 있다. 이런 급변하는 흐름 속에서 어떤국가는 국제무역 중 발생되는 지식재산 이익형량 편중의 심각성에대해 실감하지 못하거나 무시하고 있어, 막대한 희생을 치루고 있는중이다. 본 글은 이제까지 잘 연구되지 않은 지식재산의 이익형량 편중 문제에 대해, 특허제도의 근원철학과 경제학적 특허모형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그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현대 지식재산 제도의 배경철학으로서 자연권설 및 공리주의 사상의 개념과, 이를 도덕규칙으로 적용 시 나타나는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또한현재 특허제도의 경제학적 효용 관점에서 수립된 보상론, 기대치론및 누적 혁신론 등 경제모형의 한계점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서 일반시민과 공지기술을 포함하는 새로운 기대치-경쟁 모형을 수립하였다. 아울러 모형 모의에 공리 공정과 함께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성(德性)’ 공정을 도입함으로서 특허제도의 정당성과 합리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특허공정 규칙을 세우고자 하였다. 한편 특허 세계화는 특허제도에 특허사용료와 사회적 비용 방면에서의 외부적 요인을 발생시켰다. 따라서, 개도국에서는 이러한 특허세계화에 따른 외부성으로 인한 ‘과도’ 상태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제도를 검토해야 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구축배경과 추진방향

        김원경 ( Wonkyung Kim ) 한국장기요양학회 2014 장기요양연구 Vol.2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구축배경을 정리하고 그 이념과 운영현황을 살펴본 뒤 향후, 추진방향과 과제를 정리하여 우리나라 제도가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2000년에 개호보험제도가 시작된 일본에서는 제도개혁과 함께 2008년에 창설된 지역포괄케어연구회를 중심으로 지역포괄케어시스템 구축에 대하여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다. 노인의 재가생활 지원을 의의로 하는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은 “욕구에 따른 주택이 제공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생활상의 안전·안심·건강을 확보하기 위하여 의료 및 개호뿐만 아니라, 복지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생활지원 서비스가 일상생활 공간(일상생활권역)에서 적절하게 제공 가능한 지역에서의 체제”라고 정의되고 있다.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기본이념은 개호보험의 목적인 노인의 ‘존엄 유지’와 ‘자립생활 지원’으로 ‘주거와 주거방식, 생활지원, 의료·간호, 개호·재활, 보건·예방’의 5가지가 구성요소이다. 또한, 지역포괄케어 제공의 전제개념으로 ‘자조(自助)·호조(互助)·공조(共助)·공조(公助)’가 있으며, 이는 시대와 지역사회에 따라 그 범위와 역할이 달라질 수 있다. 지역포괄케어시스템에 대한 논의가 현재 진행형인 일본에서는 향후, ‘마을 만들기’ 시점에서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종말기의 Quality of Death 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향후 과제로는 1) 지역사회의 현황을 진단할 도구 개발, 2) 다직종·다기관간 네트워크 형성 및 연계방법 검토, 3)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평가 척도 개발이 있다. 일본과 유사한 사회적인 과제를 안고 있는 우리나라도 향후, 한국형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장기요양, 보건, 의료, 복지 등의 서비스를 포함한 각종 자원들을 확인하고 그 역할과 연계 가능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동시에 이미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지역포괄케어시스템에 상응하는 실천 사례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mmarize the structural background of integrated commnity care system in Japan, along with their philosophy, operational conditions, and future directions and challenges to suggest the direction in which such systems should take in a South Korean context. In Japan, where the elderly care insurance system was launched in 2000, discussions have begun in earnest on how to build community care networks, primarily in connection with the Integrated Community Care Study Group founded in 2008 along with reforms to the existing arrangement. Systems that place significance on providing assistance for the home lives of the elderly are defined as “community systems that enable the appropriate provision of a variety of life support services, including medical treatment, long-term care, and welfare services in order to ensure safety, security, and healthcare requirements of daily life, with housing provided according to individual needs.” The basic philosophy of this system involves “independent living support” and “maintenance of dignity” for the elderly as the goals of long-term care insurance. It is comprised of the following five elements: housing and way of life; lifestyle support; medical treatment and nursing; long-term care and rehabilitation; and health and prevention. In addition, the provision of integrated community care is premised on the basic concepts of self care, mutual aid, shared support, and public assistance, whose respective roles and ranges may vary over time and place. In Japan, where discussions toward such systems are ongoing, it will be necessary to build future systems that incorporate a community development (“Machizukuri”), perspective. Emphasis has also been placed on the importance of ensuring the quality of death at the terminal life-stage. Future challenges include 1) the development of tools to diagnose current conditions in target communities, 2) a study of how networks take shape and work together between multiple agencies and across multiple disciplines, and 3) the development of a scale for evaluating such systems. South Korea is now experiencing social challenges similar to those facing Japan. Thus, it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to develop integrated community care system on a Korean model. To this end, it will be necessary to assess the various resources that already exist in local communities and examine possibilities for their mutual collaboration. At the same time, it will be necessary to undertake further examination by collecting case studies that correspond to South Korea’s existing system.

      • KCI등재

        의료(醫療) 윤리(倫理) 배경 철학으로서의 삼재(三才) 사상(思想)에 대한 연구(硏究)

        백진웅,Baek, Jin-Ung 대한예방한의학회 2007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11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at the SamJae Theory(三才思想) was applied for a philosophic background of medical ethics. SamJae theory is not the system of three categories, which is unlike to the meaning of the word 'Sam(三)', but it is the system of two categories with 天(陽) and 地(陰) which are dividing all creations and phenomenons in the universe into two. Nevertheless, the reason why we divide all the universal creations and phenomenons into three, 天, 地 and 人, and also why we give a name 'SamJae' to this theory using the word 'Sam' meaning three, is to emphasize the human free volition that comes from the independent human life in the universe composed of 天(陽) and 地(陰). In other word, the core concept of SamJae theory is not 天(陽) and 地(陰) but 人 which symbolize the independent free volition of human. Therefore, if we try to use SamJae theory as a philosophic background of medical ethics, we can establish a comprehensive theoretical system including the existing ethical theories such as utilitarianism.

      • KCI등재
      • KCI등재

        도시재생의 역사적 배경과 원인에 따른 인식 및 정책변화에 관한 고찰

        박진수,김기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1

        본 연구는 근대이후 선진산업국가의 다양한 동시재생의 배경과 원인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국내 지방대도시의 현황등과 비교하여 국내 도시재생 정책과 인식 변화의 필요성에 관하여 고찰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기별로 다양한 국가의 도시재생 배경과 원인 및 정책변화, 최근 국내 지방 대도시의 도시재생 현황 등에 관하여 비교 고찰한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비교를 통하여 보다 발전되고 지속가능한 국내 지방대도시의 도시재생을 위한 인식과 정책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이유와 향후 도시재생과 공공성과 관련된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지대추구의 사회화와 인지.개념체계화

        사공영호(Sakong, Yungho) 한국경제연구원 2010 규제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 지대추구 행위가 매우 넓게 확산되어 있을 가능성을 논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첫째, 경쟁억제에 따른 이전 소득을 추구하는 행위들을 가급적 최대한 수집하여 정리함으로써 지대추구 행위가 얼마나 넓게 확산되어 있는지 검토하였다. 둘째, 지대추구 행위가 일반화되어 있다면, 사회구성원들은 분명히 이에 대하여 어떠한 개념을 구성하고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일상언어에 대한 분석과 일상 언어화의 인지적, 사회적 의미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우리 사회에서의 지대추구 행위는 정부영역에 그치지 않고 경제.사회영역에 넓게 확산되어 있다. 정치와 정책영역에서 매우 폭넓고 다양하게 지대추구 행위가 이루어져 왔을 뿐만 아니라 일반 민간분야에서도 경쟁억제, 권력을 이용한 지대추구, 의도적 지대 조성 등 다양한 형태의 지대추구 행위가 관찰되고 있다. 사실상 지대추구가 사회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사회에서 지대추구 행위는 이를 지칭하는 일상언어의 발전을 통하여 사회구성원들의 인지․개념체계로 발전되어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은 여러 가지의 지대추구 행위들에 대하여 '철밥통', '밥그릇싸움'과 같은 은유적인 개념체계들을 통하여 이들 현상들을 이해하고 있다. 사회과학도들이 학술적인 목적으로 정의하는 이론 속의 개념이 아니라 일상적인 언어에 의하여 사회구성원들이 지대추구 현상을 개념체계화하고 있다면 이런 개념이 갖는 사회적인 영향력은 지대하다. 이러한 현상은 이미 그런 의미로 사회구성원들 사이에 소통되고 있다는 점에서 객관적인 사회현상이 되었음을 의미한다(비트겐슈타인). 또한 이처럼 일상화된 개념은 사회구성원들이 자신들의 경험을 해석할 수 있는 선입견으로 작용하면서 자신의 경험을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학습하는 해석의 틀로 작용하게 된다(하이데거).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rent-seeking behaviors are so extensively generalized and, therefore, have become a conceptually systemized daily phenomenon in Korea. To reveal this phenomenon, this study examined two issues: First, this study collected diverse cases of rent-seeking behavior to show the degree of generalization. Second, this study examined daily words that refer to rent-seeking to observe the chance whether people developed conceptual scheme to recognize generalized rent-seeking. Research result shows two significant findings. First, Rent-seeking behaviors are generalized extensively not only among government policy but also within the economic and social realms. Diverse methods have been employed to acquire rent such as limiting competition, rent-exploitation by superior position, and intentional rent extraction within economic and social trade relations. Second, this study revealed the fact that wide spread rent-seeking behaviors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conceptual scheme of daily life words that refer to the rent-seeking behaviors. We are understanding rent-seeking behaviors intuitively through the metaphorical words like ‘iron rice bowl’, ‘battle to get or to keep the iron rice bowl’. If the members of a society have the daily languages to signify the rent-seeking behaviors, its impact can be unimaginably huge. Considering the perspective of Wittgenstein's claims on language, this language determines the inter-subjective being of the world which is referred to by the words. According to Heidegger, furthermore, this daily language can function as the preconception or prejudice that need to be employed to interpret human experience. Hermeneutic circle of the ‘iron rice bowl’ preconception may well result in the continuous expansion of rent-seeking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