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 기관의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 및 개발 방안 연구

        이명진(Lee, Myungji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科學硏究 Vol.21 No.-

        동덕여대 한국어교육원은 2013년 3월에 개원하여 가을학기 현재 20명의 학생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국내 한국어교육에서 전문성을 살린 교육기관으로 발돋움 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교육과정과 실제적 한국 문화 프로그램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국내 주요 대학 기관의 정규과정과 단기과정 현황을 살핀 후 동덕여대의 교육과정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부분 기관에서 정규과정은 4학기 10주 과정으로 총 200시간의 한국어 수업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오후 특별수업으로 주 1~3회 태권도, 한자, 한국문화, K-POP 댄스 등의 문화 수업과 발음반, 한자반, 문법반 등의 영역별 수업을 진행한다. 동덕여대는 현재 정규과정 오후 특별반으로 TOPIK반이 있으나, 영역별 강화 수업과 다양한 문화수업도 개설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수업의 체계적인 교육 방안과 교재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어 도우미 프로그램도 활성화해야 한다. 단기과정은 대부분 18세이상 재외동포 및 외국인을 대상으로 1~5주 과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주 4~5일 하루 4시간 한국어를 학습한다. 그리고 문화 프로그램으로 이천 도자기 마을, 에버랜드, 서울 시티 투어 등의 여행 및 답사와 한국 요리 배우기, 사물놀이, 민속놀이, 태권도 등 문화 체험을 한다. 단기과정에서는 단기간의 교육에서 성취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하여 한국어에 자신감과 동기를 심어줄 수 있는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단기 과정 성격에 알맞은 교재 개발이 필요하며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적절한 문화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 Dongduk Women's University's Korean Language Institute was founded in March 2013, and currently 20 students are learning Korean during the fall semester. To develop into a special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 in Korea, effective curriculum and practical Korean culture-oriented programs need to be established. To explore such aspects, this study has examined regular courses and short-term courses of major university-affiliated institutions in Korea. After that, the curriculum development schemes of Dongduk KLI were presented. In most institutions, regular Korean language courses run 10 weeks over 4 semesters, totaling 200 hours. In addition, the following classes are offered as special afternoon classes: cultural classes 1-3 days a week such as Taekwondo, Chinese characters, Korean cultures, and K-POP dance; language area-specific classes, including pronunciation class, Chinese character class, and grammar class. Although Dongduk KLI has TOPIK class as a special afternoon class of its regular curriculum, language area-specific classes and various cultural classes should be established. It requires developing systematic education schemes and textbooks for each class. Also, 'Korean language helper program' should be stimulated. Most short-term courses run 1-5 weeks targeting overseas Koreans and foreigners who are 18 or above; the courses are taught 4 hours a day 4-5 days a week. As a cultural program, field trips and travel to places such as Icheon Ceramics Village and Everland and Seoul City Tour, along with cultural experiences such as learning to cook Korean dishes, samulnori,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quartet), and taekwondo are offered. Such short-term courses should have a curriculum that inspires confidence and motivation to learn Korean under a realistic goal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short-term education. To accomplish the task, appropriate textbooks for short-term courses and proper cultural programs reflecting the demands of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여성’의 사회적 해석과 1976년의 박완서 소설-《휘청거리는 오후》의 대중성을 중심으로-

        이선미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1

        UN set International Women’s Day in 1975. Korean intellectulas did something in the various area. This was the important event for the Korean Women’s circumstances. National ideology for Korean Women was established, and the feminism theory in Korea was officially fomulated. Many novels including the serial stories of newspapers represented the Korean Women’s circumstances through the heroines. ≪Groggy Afternoon≫ wrtten by Park Wanseo is the work that analized Korean women. Chohee and Woohee as characters married by the their way, but they were miserable. Korea take modernity by nationalism and dictatorship. Although expantion of productivity in the 1960s’ made the middle class, they were unhappy because of over-competition for the material properity. The women of the middle class internalized the materialism and consumerism. It is said that they were the sacrifices of the national modernization. ≪Groggy Afternoon≫ represented the special aspect of the Korean modernity, and described the totally identity of middle class. ≪Groggy Afternoon≫ became the best seller all the time. Many readers thought that they shared with the emotion of misery, pain, and shame through reading. It can be call that to share with the emotion and recognition made the symphasizing commnity. 1975년은 유엔이 정한 세계여성의 해이다. 세계적인 화제에 민감했던 한국의 미디어는 1974년부터 세계여성의 해를 각종 기사거리로 활용한다. 상업적인 의도로 활용된 사례가 많았지만, 한국 여성의 사회적 역할과 지위를 성찰하는 계기라는 점에서 주목할 사건이었다. 여성과 여성의 삶을 둘러싼 담론들은 사회 각분야의 현장의 목소리로 구성되기도 하지만, 학계나 정부가 주도하는 여성 단체를 중심으로 전분야에서 다양하게 구성된다. 통치 이데올로기로서 ‘현모양처’의 여성상을 구체화하는 여성담론도 이 시기에 더욱 공고해지며, 여성학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한 학계의 여성학 논의나 여성운동론자들의 여성이론도 이 시기에 체계화된다. 여성과 관련된 사회적인 관계나 제도, 조직의 구성, 의식 전반에서 일대 지각 변동이 일어났다고 할 정도로 1975년 세계여성의 해는 한국사회의 여성 현실에 많은 변화를 초래한 사건이다. 문학의 영역에서도 예외적이지 않다. 사르트르에 비해 주목받지 못했던 보봐르는 1975년 번역된 ≪위기의 여자≫를 기점으로 적극적으로 한국에 소개되어 페미니즘을 대표하는 이론가로 명성을 얻는다. 대중독자층이 두터운 신문연재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들도 여성과 관련된 사회적인 문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재현한다. 1976년 『동아일보』에 연재된 박완서의 ≪휘청거리는 오후≫ 역시 당시 여성문화를 좌우하던 연애와 결혼 풍속을 통해 여성의 삶을 전면화시킨 소설로서, 대중적으로 성공한 작품이다. 1970년 등단 이후 중산층 여성의 일상을 소재로 한 단편소설들을 매년 서너 편씩 발표한 박완서는 1976년 ≪휘청거리는 오후≫를 신문연재 소설로 발표하여 인기작가의 반열에 오르고 문단의 호평을 받는다. 이 소설은 1975년을 계기로 형성된 한국사회의 여성과 관련된 논의들 속에서 현실적인 여성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새로이 부상하는 중산층의 삶의 방식과 한국적 근대화의 성격을 생활 풍속의 측면에서 조명했다. 대중적 관심을 이끌어낸 ≪휘청거리는 오후≫는 1975년 세계여성의 해를 중심으로 본격화된 한국사회 여성담론장에서 중산층 여성과 근대화의 관계를 구체적 실상으로 제안함으로써 어느 사회학 이론보다도 1970년대 한국의 ‘여성’을 사회학적으로 해석한 경우로 평가할 수 있다. 박완서는 자본주의적 물질주의 가치관과 과소비 풍조를 조장하는 결혼 문화가 여성의 허영심이나 도덕적 해이로 인한 것이라는 세간의 여성 책임론을 부정하는 반론으로서 초희와 우희의 삶을 총체적으로 공개한다. ≪휘청거리는 오후≫는 이를 위해서 중산층 가정에서 자라서 평범하게 살아가는 여성으로서 초희와 우희, 또는 말희의 삶을 재현하는데서부터 시작된다. 초희를 과도하게 허영기 많은 여성으로 재현하는 양상은 이런 주제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들은 전쟁을 겪고 절대적 빈곤상태에서 출발한 한국사회 구성원의 경험으로 인해 가난을 혐오하는 뿌리깊은 정신을 대변하는 세대이다. 부모의 가난을 대물림하지 않기 위해서 과도한 듯 보일정도로 가난 혐오적 태도를 취한다. 1950년대부터 ‘가난’은 사회적으로 증오와 부정의 대상이었으며, 1960년대 이후 중산층을 중심으로 소비문화가 형성되면서 가난은 절대 악인 듯이 혐오의 대상이 된다. 1970년대에 전사회적으로 담론화된 빈부에 대한 과도한 의식은 역으로 사회적으로 퍼져 ...

      • KCI등재

        여성의 사회적 해석과 1976년의 박완서 소설 -《휘청거리는 오후》의 대중성을 중심으로-

        이선미 ( Sun Mi Lee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1

        1975년은 유엔이 정한 세계여성의 해이다. 세계적인 화제에 민감했던 한국의 미디어는 1974년부터 세계여성의 해를 각종 기사거리로 활용한다. 상업적인 의도로 활용된 사례가 많았지만, 한국 여성의 사회적 역할과 지위를 성찰하는 계기라는 점에서 주목할 사건이었다. 여성과 여성의 삶을 둘러싼 담론들은 사회 각분야의 현장의 목소리로 구성되기도 하지만, 학계나 정부가 주도하는 여성 단체를 중심으로 전분야에서 다양하게 구성된다. 통치 이데올로기로서 ‘현모양처’의 여성상을 구체화하는 여성담론도 이 시기에 더욱 공고해지며, 여성학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한 학계의 여성학 논의나 여성운동론자들의 여성이론도 이 시기에 체계화된다. 여성과 관련된 사회적인 관계나 제도, 조직의 구성, 의식 전반에서 일대 지각 변동이 일어났다고 할 정도로 1975년 세계여성의 해는 한국사회의 여성 현실에 많은 변화를 초래한 사건이다. 문학의 영역에서도 예외적이지 않다. 사르트르에 비해 주목받지 못했던 보봐르는 1975년 번역된 ≪위기의 여자≫를 기점으로 적극적으로 한국에 소개되어 페미니즘을 대표하는 이론가로 명성을 얻는다. 대중독자층이 두터운 신문연재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들도 여성과 관련된 사회적인 문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재현한다. 1976년 『동아일보』에 연재된 박완서의 ≪휘청거리는 오후≫ 역시 당시 여성문화를 좌우하던 연애와 결혼 풍속을 통해 여성의 삶을 전면화시킨 소설로서, 대중적으로 성공한 작품이다. 1970년 등단 이후 중산층 여성의 일상을 소재로 한 단편소설들을 매년 서너 편씩 발표한 박완서는 1976년 ≪휘청거리는 오후≫를 신문연재 소설로 발표하여 인기작가의 반열에 오르고 문단의 호평을 받는다. 이 소설은 1975년을 계기로 형성된 한국사회의 여성과 관련된 논의들 속에서 현실적인 여성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새로이 부상하는 중산층의 삶의 방식과 한국적 근대화의 성격을 생활 풍속의 측면에서 조명했다. 대중적 관심을 이끌어낸 ≪휘청거리는 오후≫는 1975년 세계여성의 해를 중심으로 본격화된 한국사회 여성담론장에서 중산층 여성과 근대화의 관계를 구체적 실상으로 제안함으로써 어느 사회학 이론보다도 1970년대 한국의 ‘여성’을 사회학적으로 해석한 경우로 평가할 수 있다. 박완서는 자본주의적 물질주의 가치관과 과소비 풍조를 조장하는 결혼 문화가 여성의 허영심이나 도덕적 해이로 인한 것이라는 세간의 여성 책임론을 부정하는 반론으로서 초희와 우희의 삶을 총체적으로 공개한다. ≪휘청거리는 오후≫는 이를 위해서 중산층 가정에서 자라서 평범하게 살아가는 여성으로서 초희와 우희, 또는 말희의 삶을 재현하는데서부터 시작된다. 초희를 과도하게 허영기 많은 여성으로 재현하는 양상은 이런 주제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들은 전쟁을 겪고 절대적 빈곤상태에서 출발한 한국사회 구성원의 경험으로 인해 가난을 혐오하는 뿌리깊은 정신을 대변하는 세대이다. 부모의 가난을 대물림하지 않기 위해서 과도한 듯 보일정도로 가난 혐오적 태도를 취한다. 1950년대부터 ‘가난’은 사회적으로 증오와 부정의 대상이었으며, 1960년대 이후 중산층을 중심으로 소비문화가 형성되면서 가난은 절대 악인 듯이 혐오의 대상이 된다. 1970년대에 전사회적으로 담론화된 빈부에 대한 과도한 의식은 역으로 사회적으로 퍼져나간 ‘부’를 향한 절대적 욕망을 정당화하기도 했던 것이다. 중산층은 ‘가난’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무한 경쟁을 스스로 내면화한다. 박완서는 퇴폐풍조, 사치풍조, 과시욕과 천박한 물질주의로 흘러가는 결혼문화가 사회적 악습으로 변질되고, 이를 주도하는 것은 중산층 여성이라는 ‘여론’에 대항해서 1970년대 ‘여성’을 사회적 맥락에서 해석함으로써 물질주의적 가치관으로 과소비풍조에 휩쓸리는 결혼을 따르지도 거부하지도 못하는 여성의 딜레마적 상황과 분열적 양상을 내면에서부터 공론화하는 것이다. 여성학 이론 상에서도 이 여성들은 허무를 내장한 행복론 속에서 소외되는 중산층 여성으로 해석되지만, 소비적 행동의 내면이 공적으로 논의되지는 않는다. ≪휘청거리는 오후≫는 이 여성들이 스스로 해석하지 못하는 분열적이고 갈등적인 내면의 상황이나 행동의 근거가 되는 심리적 동기를 신문소설이라는 담론장을 통해 공개함으로써 소비문화의 주체인 중산층(독자)을 담론 공동체로 모아낸다. 행동은 없이, 수동적이고 분열적인 상태로 드러나기에 행위방식이나 실천적 활동으로 평가되는 페미니즘 영역에서는 별달리 주목받지 못하지만, 평범하게 살아가는 중산층 여성들은 독서로서 반응한다. ≪휘청거리는 오후≫는 사회학적 논리로는 해석하지 못하는 부분까지도 해석함으로써 ‘여성’을 사회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인식의 공동체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시공간적 현실에서 실체화되지는 않았지만, 공감과 잠재된 소통 가능성으로 구성되는 독자의 해석적 공동체는 1970년대 ‘여성’을 사회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인식의 지평으로 도약하게 한다. ‘세계여성의 해’와 ≪휘청거리는 오후≫는 서로 어우러져 1970년대 후반 ‘여성’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도록 담론적 지평을 확장시켰다 할 것이다. UN set International Women`s Day in 1975. Korean intellectulas did something in the various area. This was the important event for the Korean Women`s circumstances. National ideology for Korean Women was established, and the feminism theory in Korea was officially fomulated. Many novels including the serial stories of newspapers represented the Korean Women`s circumstances through the heroines. ≪Groggy Afternoon≫ wrtten by Park Wanseo is the work that analized Korean women. Chohee and Woohee as characters married by the their way, but they were miserable. Korea take modernity by nationalism and dictatorship. Although expantion of productivity in the 1960s` made the middle class, they were unhappy because of over-competition for the material properity. The women of the middle class internalized the materialism and consumerism. It is said that they were the sacrifices of the national modernization. ≪Groggy Afternoon≫ represented the special aspect of the Korean modernity, and described the totally identity of middle class. ≪Groggy Afternoon≫ became the best seller all the time. Many readers thought that they shared with the emotion of misery, pain, and shame through reading. It can be call that to share with the emotion and recognition made the symphasizing commnity.

      • KCI등재후보

        초등돌봄전담사의 무상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신혁금(Shin, Hyuk Keum),양윤이(Yang, Yun Yi)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21 방과후학교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에 대한 운영현황과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에 대한 초등돌봄전담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의 개선방안에 따른 초등돌봄프로그램의 질적제고의 기초자료 마련 및 초등돌봄교실의 질적제고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교육청 소속 초등돌봄교실에서 오후돌봄을 운영하는 초등돌봄전담사를 대상으로 전자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22.0의 통계분석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KMO와 Bartlett검증), 빈도분석,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의 수는 주당 3개이며, 체육・음악・미술과 관련된 예체능프로그램을 주로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인식으로는‘무상프로그램의 필요성, 돌봄학생의 특기와 재능개발 도움, 인성과 창의성 함양 도움, 사교육비 절감 도움, 초등돌봄 운영 취지 도움’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그 외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으로는‘돌봄프로그램 질 저하, 초등돌봄전담사 역할에 대한 모호성, 초등돌봄 운영취지’그리고 ‘수요자 요구가 반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으로는 무상프로그램만의 운영은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수익자 부담과 무상프로그램에 대한 혼합운영에 대하여는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초등돌봄전담사가 프로그램의 기획 및 관리의 주체자가 되어야 하며 초등돌봄전담사의 전문성 향상이 초등돌봄교실의 질적 서비스 향상과 연관성이 있으므로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lementary care free program and the awareness of the elementary care specialist, and to contribut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elementary care programs and the quality of elementary care classe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care practitioners operating afternoon care classes in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s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to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KMO and Bartlett verification),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free elementary care programs per week is three, and that sports, music, and art-related arts programs are mainly operated. The perception of free primary care program management was positive about the need for free programs, helping care students develop their talents and talents, helping to foster personality and creativity, reducing private education costs, and other problems were decreasing quality of care programs, ambiguous purpose of primary care and demand. The improvement plan was positively recognized for the operation of the free program, but for the mixed operation of the free program, the burden of beneficiaries and the free program were negatively recognized. This requires policy support because elementary care professionals should be in charge of planning and management of the program, and the improvement of the expertise of elementary care professionals i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services in elementary care classes.

      • KCI등재

        독립된 종일반 오후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운영과 놀이 특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한영(Han young Lee) 한국육아지원학회 2007 육아지원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해 독립된 종일반의 오후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운영 특징과 유아의 놀이 행동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오후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의미 있는 시간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오전과 오후의 활동을 연계성 있게 진행하고, 새롭고 역동적인 다양한 활동을 찾아 실시하며, 건강과 안전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들은 오후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자발적으로 놀이를 계획하고 참여하며, 한 영역에 계속 머무르면서 놀이하였고, 개별 유아의 특성이나 상황에 따라서 놀이를 신속하게 혹은 천천히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종일제 교사들이 오후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유아들과 함께 발달적ㆍ교육적으로 적합하고 의미 있게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다각적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lassroom management and the children’s play behaviors during free choice activity time in the afternoon through an ethnographic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management during free choice activity time in the afternoon, connection between morning and afternoon was found. In addition, a number of various and dynamic activities were conducted to avoid the change from a daily experience to boredom. Lastly, teachers supported children to spend being healthy and act appropriately to each one’s physical condition. Second, in terms of the children’s play behaviors during free choice activity time in the afternoon, the children themselves were planning how to play in the afternoon and participated in play voluntarily. Moreover, once they started a play, they continued that play alone or with peers longer than they did in the morning. Finally, some children started to play slowly with tiredness but others started to play in a hurry to enjoy more. A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diverse studies are needed for developmentally and educationally appropriate management during free choice activity time to help full-day class children and teachers.

      • KCI등재

        자본주의를 비판하며 자본주의와 교섭하기

        한경희(Han, Kyunghee) 한국여성연구소 2016 페미니즘 연구 Vol.16 No.2

        1970년대 중반 이후 한국 경제는 본격적인 시장 자유주의 경제 체제로 전환한다. 본고는 도시 세태 비판 혹은 중산층의 속물의식 비판이라고 얘기되어왔던 일련의 박완서 소설들이 이러한 경제 구조 변화와의 길항 작용 속에서 등장했음을 밝히고자 한다. 박완서의 소설들은 근면·절제·노력·인내와 같은 개인 윤리를 기반으로 근면하게 노동하는 이가 더 이상 부를 얻지 못하고 대신 돈과 땅과 같은 재산으로 부를 쉽게 얻는, ‘돈이 돈을 낳는’ 자본주의 메커니즘을 비판한다. 그러나 노동가치에 근거한 이러한 비판은 근면한 노동의 주체를 남성으로 자본주의적 욕망의 주체를 여성으로 상정하며, 프롤레타리아 계급을 무절제하고 게으르며 따라서 지도를 받아야 하는 집단으로 본다는 한계를 갖는다. 그러나 자산 소유만이 자신을 보호해줄 수 있는 것으로 여기는 상태에서 자본주의는 개량의 대상이지 타도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은’ 자본주의를 위해 다른 사람의 노동력을 고용하면서 자신도 직접 노동하는 중산층이 부르주아 계급을 대체할 대안 계층으로 상정되며, 특히 지적인 여성이 자본 소유의 자격을 갖춘 주체로서 등장한다. 이 과정에서 토지가 자립경제의 가능성을 지닌, 그러나 폐쇄성과 배타성이 노정된 생산 수단으로서 실험된다. From the mid-seventies, the Korean economy switched to a full-scale free market system. In this paper I intend to discuss how a series of novels by Park Wansuh, which are commonly considered to be critiques of urban social conditions or middle-class materialism, emerged through the antagonism of the economic structural change. Park’s novels criticize the ‘money begets money’ capitalist mechanism in which the personal ethics of hardworking people, such as diligence, restraint, effort, and patience, can no-longer help them acquire wealth, and instead wealth is easily gained through assets such as land and money. This criticism introduces the subject of diligent labor as male, and the subject of capitalist greed as female. Under the mindset of seeing intellectual labor as needing more diligence, restraint, effort and patience than physical labor, the proletariat who performs physical labor or simple labor is viewed as intemperate and lazy, thereby seen as a group which needs guidance. Middle-class women who operate under this understanding of social structure continue this sense of moral superiority while also devising many ways to gain the capital that will protect them from poverty.

      • 프로그램 변화에 따른 중학생 영어캠프 운영효과

        송정미 한국교통대학교 2014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49 No.-

        Last year was a turning point for Jeungpyeong English Camp, since we had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first time in the camp. We operat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amp activities separately with different programs. We found it difficult to operate two different programs at the same time. Thus this year we made a new combined program in whic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ork together and help each other. Dinner activities were dramatically changed, which allowed students to choose their ow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last year's and this year's program and suggest an effective way of operating the middle school English camp. The results showed that confidence and interest in using English language of this year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last year’s students. The students in the new program became more motivated for future English language learning. The previous year, evening activities were assigned to students without choice. The students had to practice their roles in an English play, which made it very difficult to encourage them. However, this year by their own electiv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actively, helped elementary students, and played a major role among students.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instead of making and operating the program separately, if middle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amp at the same time with the same program adjusted for students’ English language level and needs, the students will have more confidence and interest in using Englis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