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자의 가치 절대주의

        정달현(Jung, Dal-hyun)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1 No.-

        『노자』에서 도(道)는 존재의 법칙이면서 완전한 가치이다. 노자에서, 존재의 법칙으로서의 도는 우주의 유기적 질서를 의미하고, 완전한 가치로서의 도는 모든 가치 평가의 절대 근거이다. 노자에서는 도를 가치평가의 절대 근거로 하는 가치 절대주의 이외의 가치론들도 수용되지만, 『노자』의 가치론의 이상은 도를 가치 평가의 절대 근거로 하는 가치 절대주의의 보편화이다. 『노자』에서 성인(聖人)의 존재와 현존재들의 덕(德)의 내면화는 가치 절대주의의 보편화를 가능하게 하는 두 가지 주요 조건이다. 이러한 조건들을 구비한 현존재들은 도를 체현하게 되고, 그 결과 가치 절대주의가 보편화된다. 이 과정에서, 노자의 가치 절대주의 이외의 다른 가치론들은 소멸하게 되어, 『노자』의 도를 가치 평가의 절대 근거로 하는 가치론만이 존속한다. 『노자』가치 절대주의가 보편화되면, 현존재들은 무위(無爲)하게 되어, 현동(玄同)이 이루어진다. In Laozi Tao(道) is not only the universal law of all existence but the eternal law of morality. In Laozi Tao as the eternal law of morality is the absolute criteria of value-judgement. In this respect in Laozi Tao is the perfect value or the absolute criteria of value-judgement. And so someone can evaluate Laozi’s perspective on the theory of value is value-absolutism. Nonetheless, Laozi allows all theories of value in Laozi. Laozi’s thought on the value is indifferent to what kind of value one has. But Laozi’s ideal of the theory of value is value-universalism through Tao as the absolute criteria of value-judgement. So in Laozi the perspective on value is the universalization of value-absolutism. In Laozi, the medium of value-universalism is being of Sage(聖人) and all human’s in personation of Teh(德). If this two conditions fulfilled, all human beings can reach the state of “subtle identification(玄同)” and can be sages, and value-universalism take the form of valuelessism.

      • KCI등재후보

        교양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

        손동현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0 교양기초교육연구 Vol.1 No.1

        가치의 주관의존성과 독립적 실재성에 관한 대립적 쟁론을 중재할 수 있는 가치 관점주의를 토대로 종교교육이 교양교육이 될 수 있는 요건을 검토해 본다. 가치관 점주의란 가치의 주관독립적 실재성을 인정하면서도 가치에 대한 상대적 인식 및 실현이 가치에 대한 관점의 차이에서 온다는 견해이다. 종교교육이란 영원불변의 절대적 존재나 상태를 지향하는 신앙을 갖게 하여 유 한한 인간으로서 보다 완전한 삶을 영위케 하려는 교육이라 하겠다. 그런데 종교적 신앙의 내용 및 그것의 실행에는 이러한 절대적인 보편적 요소만 있는게 아니라 사회문화적 현실을 반영하는 상대적인 특수 요소들도 있다. 따라서 종교교육이 실정종교의 차별을 넘어서는 진정한 교양교육, 즉 자유교육- 일반교육으로서의 교양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종교적 신앙에 내포돼 있는 절대적 보편적 요소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교양에도 현실을 넘어서는 보편적 가치를 지향 하는 요소와 특수한 현실적 여건에 영향 받는 요인이 함께 있지만, 진정한 교양교 육은 가급적 후자를 극복하고 전자를 추구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종교교육이 종교의 보편적 가치 지향을 외면한 채 특정종교의 교리나 규범 또는 의식 등의 학습에 머문다면, 이는 그 종교의 역사적 사회문화적 특수성에 얽매여 역시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교양교육의 본래적인 이념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종 교교육이 바람직한 교양교육이 되려면 특정종교의 교시나 신념체계 자체가 아니라 원숙한 인격교육을 위해 필요한 종교성 즉 초현실적인 궁극적 가치지향성을 교육하 는 것이어야 한다. 그렇게 할 때, 서로 다른 다양한 실정 종교들은 인정하면서도 이 들의 사회문화적 상대성을 뛰어넘는 종교성 자체를 추구하는 종교교육이 교양교육 의 이름 아래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quirements which religious education has to meet in order to be liberal-general education. It is to be done from the viewpoint of Value-Perspectivism that can overcome the controversy between the Realism and the Ralativism(Subjectivism) of Value. The former insists on the dependence of value on subject, whereas the latter on the subject-free independent existence of values. Value-Perspectivism mediates these two controversial standpoints, by suggesting that the relativity of value comes from the difference of ‘perspective’, not from the differences of value itself. Religious education aims at inducing people as imperfect human Being to come closer to perfect life by giving faith in the absolute being or state of eternity. However, there are not only absolute and universal elements in the content of religious faith and its practice, but also the relative and specific elements that reflect the sociocultural reality. Therefore, the religious education, in order to be true liberal-general education that goes beyond the difference of actual religions, has to focus on the absolute universal elements in the religious faith, not on the relative specific elements in it. In culture there are also elements pursuing the universal value beyond the specific reality as well as factors influenced by specific practical conditions. But true liberal-general education aims at overcoming the latter and pursue the former as much as possible. If religious education remains in teaching the doctrines, norms, or rituals of a certain particular religion, ignoring the universal value of various religions, it is bound by the historical socio-cultural specificity of that religion and thus deviates from the original idea of liberal-general education that pursues universal values. Religious education, in oder to be desirable liberal-general education, must not teach the belief system of a certain particular religion, but the ultimate religious value contained in all positive religions in reality. The ultimate religious value contributes surely to building the mature humanity. In doing so, religious education, recognizing on the one hand various different real religions, but seeking on the other hand the universal religious value itself beyond their socio-cultural relativity, can be carried out to reach its goal under the name of liberal-general education.

      • KCI등재

        수렴검증 및 총 요소생산성 증가율 추이를 통한 지역경제 성장분석: 16개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박추환 한국경제통상학회 2022 경제연구 Vol.40 No.4

        By extending the period of convergence hypotheses and verification for manufacturing productivity by 16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rify the hypothesis convergence by region and to check the change in the convergence speed. In addition, during the analysis period, the trend of the increase rate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by region was compared, and a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added value per capi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nvergence (absolute and conditional) for manufacturing productivity by 16 metropolitan and provincial cities was established, indicating that the regional income disparity is somewhat easing. Looking at the speed of convergence, the productivity of the national manufacturing industry is converging to 8% per year in terms of the absolute speed of convergence, while taking the conditional speed of convergence into account, the productivity gap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by region is resolved at a relatively fast rate at about 15.9%. could confirm that there wa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the per capita value-added gap in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through a fixed-effect model including various factor variables, labor (L), capital (K), technological progress (g), and R&D investment (RND) were all While it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dded value,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human capital (Sh) and number of patents (PA). In other words, as the importance of human capital does not appear to be highly emphasized, diversified policy execution is required so that investment in human capital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actual added value.

      • KCI등재

        지리 정보량에 따른 고등학생의 공간 인식 변화에 대한 연구

        신영재(Yeong Jae Shi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지리 정보량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공간 인식 변화에 대해 지가 형성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사례 연구 지역은 송탄관광특구의 일부 지역으로 설문 대상 학생들에게는 생소한 지역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시가지와 신시가지인 두 지역의 ``최고가라고 학생들이 인식하는 표준지와 그렇게 인식한 이유``에 대한 분석 결과, 최고가 표준지의 지가 형성 요인으로 절대적 요인보다는 상대적 요인이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특성이 다른 두 지역의 최고가 표준지의 선택 이유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셋째, 같은 지역이더라도 지리 정보량에 따라 지가 형성 요인에 대한 인식이 변하고, 제공한 지리 정보량이 늘어나면서 최고가 표준지의 선택율도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떤 지역의 지가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설이 존재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space recognition chang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ographic information quantities, focused on Factors Influencing the Land Value. The region of case study was some places of Songtan Special Tourism Zone, which responding students were unfamiliar wit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highest valued standard land and choice reasons`` in two regions of the old town and the new town, it is perceived that the relative factor of land is more important than the absolute factor a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and value of the highest valued standard land. Second, there are students` recognition differences in the choice reasons of the highest valued standard land of two regions which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ird, though in the same region, recognitions about factors influencing the land value change according to geographic information quantities, and as students` knowledge about geographic information increases, the choice rate of the highest valued standard land increases. Lastly, it is perceived that there is a facility which has a decisive effect on formating the land value of a certain region.

      • 현대정신과 가정의 위기 그리고 가정에 대한 교회사회사업가의 성서적 가치관 고찰

        유장춘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09 교회와 사회복지 Vol.10 No.-

        본 연구는 현대정신에 기초한 사회복지전문가치관과 이에 대립되는 성서적 가치관을 어떻게 통합하여 교회사회사업을 설정할 것인가를 가정이라는 주제를 통하여 토론하였다. 개인주의(individualism), 실용주의(pragmatism), 상대주의(relativism), 쾌락주의(hedonism), 물질주의(materialism) 등은 현대정신을 대표하는 철학적 사상들이다. 이 사상들은 현대가정의 위기가 심화되는 것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사회복지전문가치관은 현대정신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현대가정의 문제를 치유하고 극복하는 데는 매우 한계가 있다. 성서적 가치관은 현대정신과 매우 대립되는 개념들로 구성된다. 교회사회사업의 가치관은 사회복지전문가치관과 성서적 가치관을 통합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연구자는 가정을 위한 교회사회사업의 가치관으로서 영성적 이타주의(spiritual altruism), 복음의 세속적 타당성(secularistic validity of gospel) 절대 진리의 상대적 적용(relativistic applications of absolute truth), 보다 높은 차원의 쾌락 추구(pursuit a high level pleasure) 영성적 공유(spiritual public ownership)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에서 이러한 가치를 가정문제에 어떻게 적용하여 실천할 지를 설명하였다. Professional values of social welfare, based on modern ideology and biblical values are up against each other. This study is discussing on the way to integrate these two opposite values and how to establish a set of church social work values. These philosophical theories represent for the modern ideology: individualism, pragmatism, relativism, hedonism and materialism. These ideologies are having great effects on deepening the crisis of modern family. There is a limit to the professional values of social welfare to treat and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modern family, for the value-system is based on modern ideology. The values of church social workers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integration of professional values of social welfare and biblical values. The researcher has brought up spiritual altruism, secularistic validity of gospel, relativistic applications of absolute truth, pursuit a high level pleasure and spiritual public ownership as a values of church social work. Also he suggested the proper way to apply these values to the family problems and practice it.

      • 루치안 블라가의 신화시극(神話詩劇), 에 나타난 사상과 상징

        이호창(Lee,Ho-Chang)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1

        블라가의 '신화시극(神話詩劇 teatru mitic ?i poetic)'들 중에서 첫 번째로 발표된 작품인 는 루마니아의 고대 신화이자 종교였던 자몰세와 그의 사상에서 영감을 받고 이를 재구성하여 신과 인간과 우주의 관계를 철학적으로 조명하고 있는 작품이다. 블라가가 고대 신화 속의 자몰세를 자신의 신화시극 속에 불러들인 것은 현세의 불합리한 가치관들을 극복할 수 있는 초월자의 모습을 표현할 모형으로 삼기 위함이었다. 블라가는 자몰세의 삶에 독창적인 사건들을 가미하고 새로운 주변 인물들을 등장시킴으로 인류 역사를 전반적으로 암시하는 풍부한 상징들을 더했으며 그 속에 인류가 나아가야 할 바를 제시하는 새로운 사상들을 내포시켜 놓았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각각의 인물들은 특정한 개인인 동시에 인간 사회 각 집단의 특징을 상징하는 인물들이기도 하다. 자몰세는 인간과 자연이 진정으로 소통할 수 있는 길을 찾기 위한 정신적 여정에 나선 목마른 시인인 동시에 존재의 절대 가치를 찾아내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철학자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마그사제는 자신의 권력만을 추구하려는 현대의 정치 권력가들 또는 보편종교의 배타적 성직자들과 다를 바 없는 모습을 지니고 있다. 마그사제의 친구인 주술사는 권력가들의 기득권을 유지시키기 위한 이념적 체계를 만들어 내거나 그것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어용 지식인들을 나타낸다. 양치기는 지배 이데올로기의 대변자 역할을 하는 언론매체들의 모습과 유사한다. 보초서는 병사는 신념을 행동으로 옮기는 실천가나 사회 운동가를 상징하는 인물이다. 게보스는 비록 곱사등이라는 신체적 결함을 타고 났지만 세속적인 가치관들로부터 해방된 삶을 누리는 진정한 자유인이라 할 수 있다. 이 신화시극은 이들 등장인물들을 중심으로 두 개의 축을 이루는 갈등구도가 서로 엮이면서 사건들이 진행된다는 특징을보인다. 갈등구도 중의 하나는 마그사제를 중심으로 야기되는 자몰세와 인 간들 사이의 갈등에서 찾을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자몰세가 스스로 겪고 있는 내면적 고뇌에서 발견할 수 있다. 자몰세와 인간들 사이의 갈등은 정신 중심의 가치관과 물질 중심의 가치관의 대립, 탈세속적 이상(理想)과 세속적 지배이데올로기의 대립 구도로 나타나고 있다. 자몰세의 내면적 갈등은 절대가치에 대한 끝없는 동경에서 출발하여 결국에는 그 절대가치를 위해 숭고한 희생을 치르는 것으로 막을 내린다. 이 작품은 복잡한 사회 속에서 물질적 가치관의 노예가 되어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삶의 총체적 가치를 되새길 수 있는 자기성찰의 계기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Lucian Blaga was an eminent writer, but at the same time he was a famous philosophe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lluminate thoughts and symbols included in his first ‘mythological poetic drama’, inspired by Geto-Dacian's supreme god, named Zamolxe and his religion. In this drama, ancient Zamolxe is reborn as a new character, like a poet who is on his mental journey to find a way through which human being and nature can communicate Stating “God is dead”, Nietzsche expressed the gloomy of present age when we are neglecting “the absolute value”. In a similar way Blaga said in his philosophy-essay, “The destiny of our age is very tragic, because we need to have a new religion but we can not find a new god for this religion anywhere”. Blaga's work was inspired by a myth of the ancient people of Dacia but it is basically a mirror which reflects our tragic ages. For us who have become slaves to the material values in complex societies, this work gives us an opportunity of self-examination, that is to contemplate the whole value of life. In addition, myth of “The Great Blind”, spoken by Zamolxe, which regards god, human and nature as one absolute existence, will make us to reflect on the absolute value of human that he should be.

      • KCI등재

        니체의 도덕 '부정'의 논리적 구조

        김효섭(Kim, Hyo-sup)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8 No.-

        니체는 서구 기성도덕의 신랄한 비판가로 유명한 동시에 악명 높다. 니체의 도덕 비판은 그의 윤리학, 더 나아가 그의 철학 전체 내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고, 그 자체로서 상당히 복잡하며 방대한 하나의 '체계'로 간주될 수 있다. 그 체계는 도덕의 상이한 측면들을 (공격의) 대상으로 삼는 몇 가지 부분들로 이루어진다. 짧게 말해, 도덕의 기원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라 할 수 있는 '계보학적 비판', 도덕의 인식론적 지위와 객관타당성을 문제시하는 '인식론적 비판', 도덕의 윤리적 의미나 가치를 묻는 '실천적 비판', 그리고 도덕의 진리성(truth)을 반성하는, 도덕의 '내용 비판'이, 니체의 도덕 비판 전체를 구성하는 차원들이라 하겠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필자가 '도덕의 내용 비판'이라 칭한 도덕 비판의 일부에 대한 조명을 시도한다. 한마디로 이 비판의 주요 논지는 (대체적으로 보아) 도덕은 거짓이라는 명제이다. 즉, 니체는 도덕이 객관타당성을 결여하기에 '지식'의 지위를 지닐 수 없는 신념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는 것('인식론적 비판'의 논지)을 넘어서, 도덕을 문자 그대로 '부정'하는 것이다. 도덕의 내용 비판은 또한 '가치의 재평가'라는, 니체 자신이 특히 강조하는 프로젝트로 구성되는데, 이는 니체의 도덕 부정에 있어 직접적인 논거로서 기능한다. 가치의 재평가 작업에서 니체는 기성도덕이 상정하는 다양한 '가치들', 즉 일반 대중이 '가치'라고 상식적으로 믿고 있는 항목들이 실제 어떤 윤리적 지위를 지니는가를 묻고, 결과적으로 그것들에 새로운 윤리적 의미를 부과한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재평가에 기초하여, 니체는(그 항목들을 가치로서 제시하는) 도덕의 신념들을 부정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 도덕의 재평가, 즉 도덕상의 '가치'에 대한 새로운 의미 부여는 자의적이지 않고, 그 반대로 니체 나름의 대안적 규범 윤리학적 틀, 좀 더 구체적으로는 그의 내재적(본래적) 가치에 대한 관점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도덕의 내용 비판의 구조, 즉 도덕 부정의 논리적 구조에 대한 집중적인 분석을 시도한다. 필자는 그래서, 니체가 어떤 도덕의 가치 판단/신념들을 거짓이라 판단하는지, 그리고 그런 판단의 직접적인 논리적인 근거인 니체의 (가치) '재평가'은 어떤 구조를 지니는지를 살펴본다. 아울러, 필자는 이 재평가의 근거요 도덕 부정의 궁극적 토대는 무엇인지, 특히 니체 나름의 가치 기준은 무엇인지를 묻는다. Indeed, Nietzsche is famous (and notorious) for his severe critique of conventional morality. His critique of conventional morality forms the core of his philosophical ethics, and arguably, of his entire philosophy. It can be seen as involving some mutually related parts, each of which engages with a different aspect of morality and is far-reaching and hugely complicated. That is to say, the entire critique is composed of (1) the well-known 'genealogical critique', which criticises the origin of morality, (2) 'epistemological critique', which problematises the epistemological status and objective validity of morality, (3) 'practical critique', which assesses the (ethical) value of morality itself, and finally, (4) the critique of the contents of morality, which reflects on the truth of its constitutive judgements/beliefs. In this writing, I attempt to illuminate the fourth dimension of morality, which I term 'the critique of the contents of morality'. In short, the main point of this critique is that for the most part, conventional morality is 'false'. Thus, going further from arguing that morality lacks objective validity, and hence, is a mere faith unable to possess the status of 'knowledge', Nietzsche here literally 'denies' or 'negate' morality. Moreover, the critique of the contents of morality also consists of the task of the "revaluation of values" the importance of which Nietzsche so often emphasizes, and this task functions as the direct logical ground of the denial of morality. The revaluation of values lies in the ethical re-assessment of items morality views as values and in the conferment of new evaluative-normative meanings on them. And it is on the basis of this form of revaluation that Nietzsche negates the related moral beliefs. Furthermore, the revaluation of values construed as such is not arbitrary but reflective of Nietzsche's own, alternative normative ethical framework, more precisely, his perspective on intrinsic value. The present work focuses its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the contents of morality, that is,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denial of morality. It thus explores what value-judgements constitutive of morality Nietzsche regards as false, what Nietzschean revaluation of values consists in, and finally, on what basis Nietzsche revalues the 'values' presented by morality.

      • KCI등재후보

        회생절차에 있어서 이해관계인들의 공정 · 형평한 권리조정 실현을 위한 방안

        강선호(Kang Sun Ho)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학논총 Vol.23 No.2

        The reorganization is a legal procedure that debtor is able to continue the operation of its business under the bankruptcy law when debtor falls into financial distress. The reorganization plan is aimed solely at altering the claims of creditors and equity holders. The bankruptcy law lay emphasis on efficiency in processing of reorganization and treating fairly and equitably the interests of creditors and equity holders. Adjustment factors of interests of creditors and equity holders being treated fairly and equitably in processing reorganization are the going concern value and scope of modifications to the rights of creditors and equity holders. The going concern value is the base of modifications to the rights of creditors and equity holder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ppraise the going concern value. If the going concern value is not appraised objectively and fairly. The modification to the rights of creditors and equity holders becomes distorted. For fair and equitable modifications to the rights of creditors and equity holders, the going concern value appraised is divided to creditors and equity holders by the relative priority rule. Junior interests is not divided as much as senior interests. The secured creditors have the priority to payment orders and the amount of collateral value. They will receive payment in the cash and equity of reorganization corporation. Non secured creditors will received payment in the cash and equity of reorganized corporation not as much as the amount of secured creditors. Equity holders will received the rest of going concern value.

      • 연령에 따른 우선순위 설정은 사회적 선호를 반영하나?

        배은영 한국보건사회약료경영학회 2020 한국보건사회약료경영학회지 Vol.8 No.1

        Cost-effectiveness is basically based on the principle of health maximization. A decision based on cost per QALY has an ethical implication that 1 QALY incurred by everyone is of equal value. However, many literatures found that the public preferences depend on who the beneficiaries are, and therefore the social values of a QALY are not equal to everyone. This study focuses on the age amo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ocial value of a QALY. It examines the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debate that considers age as a criterion of priority setting, including the concept of “fair inning” and outlines the direction of social preference found in empirical studies. In addition, this paper will briefly examine how the prioritization formula proposed in other countries relates to age, and seek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트로일러스와 크레시다』 : 확실성과 절대성의 상실

        이용은(Yongeun Lee)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08 셰익스피어 비평 Vol.44 No.1

        This thesis aims at proving firstly that characters in Troilus and Cressida such as Troilus and Achilles are not unified and fixed and secondl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represent the situation and philosophy of the late Elizabethan period. The period was the age of uncertainty. The reign was unstable because the queen was aging and the country had no successor. Furthermore, England was becoming increasingly distant from 'universal' Catholicism and its loyalty to one ruler was gradually getting transferred to that of 'the notion of nation'. The medieval values that had been represented as unity and singleness were disappearing. And Magellan's achievement, Copernicus's study, and Columbus' discovery gave the period strong anxiety and confusion, because, with those new discoveries, everything that was once true and fixed could not get the same status any more. So these discoveries became a force that caused scepticism to emerge. Therefore, the Elizabethan age experienced the emerging force of a new philosophy named Scepticism whose basis was on Pyrrhonism of the Greek period. Erasmus and Montaigne, the representative philosophers of the age, were the typical sceptics. The slogans of Pyrrhonism are 'I can't understand anything', or 'I can't determine anything'. The latter signifies that I(the speaking subject) am not in the state of mind to insist or deny anything, which is an attitude that delays the final judgement. This attitude makes it impossible to judge that anything is right or false. So everything in the world is in a state of indeterminacy. Troilus insists that he is a true person and his loving mind to Cressida will never change. But against what he says earlier, he acts and says differently later. At first he was a unified person believing that his loving mind will be eternal, but when the situation shifts, he changes too, therefore the absolute value disappears in him. When Troilus sees Cressida give his gift to Diomedes, he experiences the denial of his senses, which is the attitude of scepticism. According to scepticism, the senses don't give any guidelines of judgement of events. Achilles also shows the absence of absolute values. At first, he is indulged into his private world, not fighting in the battlefield, but enjoying mimicking games in his tent which is his closet. He does not do any heroic acts, on the contrary, what he does is all the time unheroic, diminishing his fame. However, when he encounters the hypothesis of Ulysses that present eyes praise only present heroic acts, not the past acts, he completely changes. He tries to be a heroic person to be praised by the people and to attain fame again. Ulysses' hypothesis denies the absolute value and affirms that all values change with the passing of time. Achilles succumbs to the idea that all things are changeable within the frame of time. Not only Troilus and Achilles, but also many other main characters in the play such as Cressida, Ulysses, and Hector are neither fixed nor unified. The world in the play shows no certainty, because one conviction and one judgement are soon denied by the characters' next experiences and events. Troilus and Cressida as the most 'modern' work by Shakespeare reveals the idea that we, human beings, live in a constantly changing world which has no absolute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