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반도 출토 통형동기와 자루의 접속방법

        細川 晋太郞(Shintaro, Hosokawa) 부산고고학회 2010 고고광장 Vol.- No.6

        본고에서는 한반도에서 출토된 통형동기와 자루의 접속 1) 방법에 대해 검토했다. 우선 통형동기의 내부에 자루가 양호하게 잔존하는 자료의 관찰을 통해서 세별 4류의 접속방법이 있는 것을 밝혀 접속에 임해 자루의 하부에 어떠한 가공이 베풀어지고 있을까에 주목했다. 그 결과 자루는 장부상( 狀) 2) 으로 만들어져 그 하단은 구연부내로 들어가 통형동기의 내부에 공간을 확보하도록 접속되고 있으므로 동요(動 搖)를 주는 것에 의해서 소리를 발생시킨다고 하는 통형동기의 기능과의 관련성을 상정했다. 또 통형동기의 형태와의 관계성에 대해서도 검토해 통형동기에는 다양한 형태차이가 있는 한편, 자루의 접속방법이나 자루의 하단이 멈추는 위치 등에 있어 강한 규칙성을 찾아낼 수 있었다. 그러한 상황으 로부터 통형동기의 형태차이에 관계없이 통형동기의 기능이나 부여된 성격 등에 관한 정보가 대체로 공유되고 있었던 가능성이 높은 것을 지적했다. In this paper, I examined how to connect a tub-form bronze ware and a handle excavated in Korea Peninsula. First, observing the handle which is well preserved in the tub-type bronze ware, I defined that there are 4 kinds of connection method and focused on some process on the bottom of the handle when connected. As a result, the handle was made on tenon form and it insert into a hole with securing space. It has relevance to the function making a sound with flourishing. In addition, even though tub-form bronze ware comes in various forms, there is strong regularity in the connection method and stopped position of the bottom of the handle. From such situation, the information about the function or the character should be mostly shared, irrespective of the form dif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