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친자연의식,백색의식 형성의 원인규명

        이중희 ( Jung Hee Lee ) 한국미학회 2015 美學 Vol.81 No.2

        백색미와 자연미, 두 가지는 조선시대 유학이 탄생시킨 일란성 쌍둥이 미의식이다. 그것이 오늘날에도 한국의 대표적인 미의식으로 자리 잡고 있는 점에서 주제의비중 성이 있다. 조선시대에서는 애초에 이들 미의식이 국가단위의 거대한 집단양식으로 부각되었던 점을 감안할 때,그것은 분명히 유학의본질 문제와 관련성을 가진다. 유학뿐만 아니라 중국철학의궁극적 근원은 생명과 덕성의본 원체인 천계(天界:우주,하늘,자연)에 두고 있다. 그러니 인간이 천계에 다가서려는 천인합일지향은 모든 중국철학의기본설 정이다.유학에서 천의 마음[天地之心]이란 절대 순선의경지로 서 최고의 순정함이다. 그것을 이어받은 원초적인 상태[未發]의 인간의 본성도 역시 허(虛), 허령(虛靈), 허명(虛明)한 경지로서 비어서 맑은 최고의순 정함이다. 그렇다면 인간이 천계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성실(誠實)의자세가 필수적인데, 이것 역시 진실되고 거짓없는 마음가짐이다. 이런 조건이 갖추어지면‘이(理)’라는 순정함 속으로 천인함께 융합될 수 있다. 문제는 조선유학에서 어떻게 순정한 미의식으로 결실되어 사회의식으로 발전되고, 백색미 자연미가 결실되었는가를 밝히면 된다. 그 해답은 조선유학이 경(敬)사상에 대표되는 마음수양의심학적 성격, 그것을 실천유학으로 유도한 도학정신이라는 조선특유의강 력한 실천유학의길을 걷는 데서 찾고 있다. Two concepts of white beauty and natural beauty are twin-like aesthetic consciousness created by Confucianism in the Joseon period. These theme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have positioned themselves as the typical aesthetic consciousness of Korea even today. Considering that these two concepts had been emphasized as big organizational styles at the national level in the Joseon period, they are clearly related to the fundamental issues of Confucianism. The ultimate source of Chinese philosophy as well as Confucianism is the heavens(天界: universe, sky, nature), which are the origin of life and virtue. Accordingly, aiming for unity of heaven and man that men try to approach the heavens is the basic idea of all Chinese philosophy. The mind of the heaven and earth(天地之心) in Confucianism is the highest level of purity in the realm of absolute virtue. The human nature in the basic state that inherited such virtue is also the highest level of purity that is empty(虛) and lucid in the empty(虛靈), ethereal and clear(虛明) stage. For men to approach the heavens, the attitude of sincerity(誠實) is essential, which is also represented by sincere and pure mindset. Once these requirements are fulfilled, men and heaven can be in convergence inside the essence of pure realm. The question is how this came into fruition as pure aesthetic consciousness in Joseon Confucianism and developed into social consciousness, and how it resulted in white beauty and natural beauty. This study seeks the answer in the character of mind theory( ) of mind discipline 心學represented by the idea of respect(敬) in Joseon Confucianism, and the path to powerful practical Confucianism unique to Joseon, also known as the spirit of moral philosophy(道學), that led such idea into practical Confucianism.

      • KCI등재후보

        조선중기 엘리트 관료의 정치사상적 특성

        박병련(Park Byung-ryu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1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0 No.2

        조선시대 사상사연구는 ‘이기론’이나 ‘붕당론’의 틀위에서 전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분석의 단위도 ‘학파’나 ‘당파’를 선택하여 개별 정치적 행위자의 특징을 학파나 당파의 특징 속으로 환원하여 이해하였다. 그러나 정치사상을 이기론 등으로 환원해서 이해하는 것은 지나친 추상화나 과도한 연역의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조선조를 경영해낸 구체적 정치사상에 대해서는 주자학으로 환원되는 유교적 보편론의 입장에서 이해하기보다 정치주체와 정치현실의 구체적 교섭과정에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각에서 접근한다. 구체적 연구대상인 정치적 행위자로서의 유근(柳根)은 임진왜란이라는 극적인 정치상황 속에서 정부의 고위직을 맡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엘리트 관료였다. 그는 이기론이나 심성론 등 성리학에 관한 저서를 거의 남기지 않았다. 그럼에도 절박한 정치사회적 상황 속에서 정책문제의 제기와 문제해결의 대책 속에는 그의 사상과 가치관이 녹아 있었다. 그는 문형(文衡)으로서 기존의 관학적 전통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었으며, 국가경영의 요체를 이해했고, 전란 중에는 국가방어와 백성들의 안정을 위해 진력했다. 주자학이 번성하고 정치세계에서 ‘주희(朱熹)’모델이 전형으로 자리잡아가는 시기에 그는 ‘범중엄(范仲淹)’을 모델로 제시하고 그 관료로서의 자세를 본받고자 하였다. 범중엄을 강고한 국방과 구체적인 대책을 통한 체제유지를 모색한 실용적 체제유학자라고 규정할 수 있다면 유근도 이러한 범주에 들 수 있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실제의 조선정치를 담당했던 사람들은 순정성리학자(純正性理學者)들이 아니라 기존체제의 유지 존속을 추구하는 체제유학자(體制儒學者)들이었다. 유근은 이들 가운데서도 유교의 본령에 충실한 실용적 개혁을 추구한 체제유학자였다. 이들이 ‘어떤 생각’을 바탕으로 어떤 구체적인 조치들을 추구해나갔는가를 탐색하지 않고 몇 성리학자들의 환원적 사유의 결과를 조선의 정치사상으로 이해하는 것은 조선조 정치사상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길이 아닐 것이다. Most extant studies on the history of philosophy during the Joseon dynasty usually proceed within a framework of the ‘principle(yi/li:理)’- ‘material force(ki/qi:氣)’ duality or theories on factional politics (bungdang:朋黨) during the era. It should be noted that attempts to comprehend political philosophy of the era by reducing it to an issue of yi(理)-ki(氣) duality carries the risk of excessive abstraction or deduction. Instead of relying on generalized views on Confucianism (often reduced to mean jujahak, or Zhu Xi Confucianism, exclusively), this treatise suggests instead concrete interaction between protagonists in the actual body politic and political realities as the essential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political philosophies actually applied to the operation and administration of the Joseon dynastic state. Yoo Geun, the subject of this study as well as the main political actor cited, was an elite scholarofficial who was given and handled an important official position during a time of extreme crisis, the Imjin War of 1592-98. Unlike most scholars of his age, he did not leave behind any writing on Neoconfucian subjects such as the ‘yi-ki’ duality or the philosophy of character and nature (simsongron: 心性論). However, his proposals concerning policy issues and measures in response/solution exhibit philosophical thoughts and a value system all his own. As the Chief Royal Scholar (daejehak), he was well-versed in traditional scholarship, but had also a clear grasp of the essence of state administration, and spared no effort for the sake of national defense as well as returning normalcy to the lives of people in the chaos of war. What is especially notable about Yoo is that, at a time when neoconfucianism was increasing its sway and Zhu Xi was gaining wide currency as the model to follow in the political scene, he held up a figure named Fan Zhongyan of Northern Song(北宋) as the model to follow. Considering that Fan Zhongyan was a pragmatic Confucian official, calling for strong defences and concrete measures for maintaining the state system, Yoo Geun can also be deemed an official in the same mould. While acknowledging that officials responsible for governance in Joseon were not pure Neoconfucians but “State Confucians” who cared more for the maintenance of the regime, Yoo Geun stands out by virtue of his pursuit of pragmatic reforms that were actually true to the basic spirit of Confucianism. Neglecting to uncover the thinking that lay at the base of concrete measures pursued by these ‘State Confucians’, and instead equating Joseon political thought as products of reductionist thinking by a handful of Neoconfucians, does grave injustice to the study of political philosophy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朝鮮時代の「儒教」と「樂」について : 思想史からの一試論

        崔在穆(Choi Jae-Mok)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1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8

        This paper is a preliminary study on confucianism and music in the Joseon dynasty. In Joseon dynasty, not only having the development of Confucian ritual(禮, Rye), but also having the development of the Confucian music(樂) by Confucian scholars and Scholars officials. In the first time, the Confucian music did not highlighted on the front of the society in the Joseon Dynasty that was the Confucian society, compare with the Confucian ritual. The Confucian rituals had became widely available even in the palaces also in the private life of people. But the Confucian music, at first, was used only for ceremonies and the national level events. It is the Aak(雅樂) that is the music for use in ceremonies, and the Dangak(唐樂) that is the music for use making be bright, be correct the palace. Hyangak(郷楽) is the unique music of the country have inherited in Korea. The Aak and Jeongak is based on classical texts of ancient and medieval Chinese literature and philosophy, such as the Riji(禮記, The text on confucian ritual), the Analects of Confu년 (論語) etc. In the the Joseon dynasty, as a national project created the most important Confucian classic music books is Akhakgwebeom(樂學軌範) edited by Songhyon(成俔), a canon and the manual of confucianism music of Joseon, musical instruments, music system etc is recorded in detail. When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the national level to the private sector be discussed and practiced, by the Confucian scholars, so called, Sonbi(士, confucian scholars). It is just Muinomak(文人音樂, Confucian scholars Music), such as Jeongak(正樂) as the Aak(雅樂), means just correct, pure and good music.

      • KCI등재

        동학과 성리학의 수련법 비교- 수심정기와 경법(敬法)을 중심으로

        손병욱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7

        The method to protect original pure mind of Donghak and the method to maintain original bright mind of neo-Confucian theory both are regard as very important point to maintain original good mind through the method of sitting in meditation. Futhermore Donghak is try to practice In-Yi-Yea-Chi(仁義禮智) belong to confucian virtures. What are the common points between Donghak and neo-Confucian theory? How we can explain the different points of Donghak and neo-Confucian theory? I will answer to these question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mind training method between Donghak and neo-confucian theory. These two mind training methods concloud calming state and movement, the principal and its application. These two methods are regard as very important points to recover and to maintain the bright consciousness through the cultivation of concentration power. Donghak trys aiming at the spiritual enlightenment such as attaining the ultimate energy so called SICHEONJU(侍天主). But neo-Confucian theory trys aiming at the state of Saint or heaven-human not-two body(天人合一). The method to maintain original bright mind of neo-Confucian theory has very reasonal feature. So this method requests comparatively high intellectual level. But the method to protect original pure mind of Donghak has the features of loving life, respecting great character, and feeling emotion. So this method has a strong hold on the public. The mind training method of Donghak has the feature of community life, but that of neo-Confucian theory has very indivisual character. The method of Donghak represents korean specific character. Donghak always speaks that the ultimate energy-heaven exists in now and here, not in the future or in the past. In the future, if more the people, especially modern koreans want to live in spiritual enlightenment, they must utilize the excellent aspects of the method to protect original pure mind of Donghak. 동학의 수심정기 수련법과 성리학의 경법(敬法)에서는 다 같이 정좌존심(靜坐存心)을 중요시한다. 그리고 동학에서는 수심정기를 통하여 유교의 덕목으로 알려진인의예지를 실천하려고 한다. 그렇다면 두 사유체계의 수련법에 상통점이 있을 것이다. 그 상통점은 무엇이며, 또 서로 다른 특징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을 것인가?이에 동학과 성리학의 수련법에 대한 비교, 고찰을 통해서 이 물음에 대한 해답을구하고자 하였다. 동학의 수심정기 수련법은 성리학의 경법과 마찬가지로 동과 정, 체와 용을 포괄하는 수련법이다. 둘 다 집중력 배양으로 성성적적(惺惺寂寂)한 의식을 회복하고유지하는 것을 매우 중요시 한다. 동학은 수심정기를 통하여 시천주의 깨달음에 이르고자 한다면, 성리학은 경법을 통하여 수기가 완성된 내성(內聖)의 경지, 천인합일에 이르려고 한다. 성리학의 경법은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을 택함으로써 상당한 지적 수준을요구한다. 이에 비해 동학의 수심정기법은 정감적이고 인격적이며 생명적인 방법,달리 말하여 지정의(知情意)의 전방면 중 특히 정적(情的)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중친화적인 특성을 갖는다. 지기한울님을 믿고 공경하며 정성을 다하는 그런 마음만 있으면 누구라도 수심정기하여 시천주함으로써 천지의 운절(殞絶)된 기운을 보충받는 삶을 살 수 있고, 나아가 군자가 되어서 인의예지를 실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동학의 수련법은 공동체적인 성격을 지니는데 비해서, 성리학의 수련법은 개인적인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한국적인 고유성을 잘 대변하는 것은 동학이라고 하겠다. 동학은 수련을 통해 ‘지금여기’에 항상 이르러 있는 지기한울님을 모시는 시천주를 강조한다. 과거나 미래보다 ‘현재’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불교, 특히 선불교와 매우 유사하다. 앞으로 보다 많은 사람들, 특히 현대 한국인들이 깨달음의 삶, 달리 말하여 ‘언제나자기 자리에서 자기 할 일 제대로 할 줄 아는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동학의 수심정기 수련법이 갖는 수월성(秀越性)을 제대로 알고 나아가 이것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한국 성리학의 독자성’ 관점으로 본 순선(純善)의 확보 과제 — 퇴계 이황과 우암 송시열의 사례 —

        김기현 한국철학사연구회 2024 한국 철학논집 Vol.- No.80

        본고는 심 안에서 순선(純善)의 영역을 확보해야 함을 과제로 여긴 두 한국 성리학자가 어떤 시도를 하여 대안을 제시했는지를 논구한 것이다. 순선의 확보가 과제가 된 것은, 13세기의 주희에 의해 정립된 신유학이 순선의 확보 여부에서 불분명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문제점을 주희 본인은 모르고 있었던 것 같고, 16세기의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에 이르러 비로소 이 문제점이 표면화된다. 이황은 이기론상으로 무리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 리발설(理發說)을 논거로 사단칠정의 호발설을 견지하며 이발(已發)의 정(情)인 사단의 순선을 입증하려 일평생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 그러나 한 세기 후의 우암 송시열은 이발의 영역에서는 순선의 확보가 불가함을 확신하고서, 미발(未發)의 심에서 순선의 영역을 확보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한다. 그런데 송시열이 보기에, 미발의 순선이 입증되려면 기존 학계의 미발 개념으로는 불가하고 새로운 미발 개념에 의해서만 가능했다. 송시열의 미발 개념 재정립에 현대의 연구자들이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18세기 호락논변의 낙론과 호론은 송시열이 새롭게 정립한 미발 개념을 활용하여 사유(思惟)하는 가운데 결실을 맺은 한국 성리학계의 두 성취이다. 본고는 송시열의 미발 개념 재정립까지를 논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attempts were made by two Korean Neo-Confucians, who considered a task is to secure the area of pure goodness within the mind, made to present alternatives. Neo-Confucianism, established by Chu Hsi in the 13th century, had an issue that it was unclear whether the area of pure goodness was secured within the mind. It seems that Chu Hsi himself was unaware of this issue, as it was first brought to the surface by Lee T’oe-gye in the 16th century. Lee T’oe-gye exerted every effort throughout his life to prove the pure goodness of the Four Beginnings, the emotion of Yi-fa. However, a century later, Song U-am was convinced that it was impossible to secure pure goodness in the area of Yi-fa, and he made his best efforts to secure the area of pure goodness in the mind of Wei-fa. According to the author, Lee T’oe-gye tried to prove the Four Beginnings, which form part of the emotion of Yi-fa, as the area of pure goodness, while Song U-am tried to prove the mind of Wei-fa as the mental state that preexisted Yi-fa as the sphere of pure goodness.

      • KCI등재

        平安時代의 ‘儒家 佛敎人’, 慶滋保胤의 삶

        안경식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80 No.-

        동아시아 불교사에는 다른 지역의 불교와 다르게 유학자로서 불교적 삶을산 ‘儒家 佛敎人’이 있었다. 그들은 동아시아 불교사 및 지성사 연구에 매우중요한 부분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학계는 그들의 삶에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이 글은 일본 平安時代 중기의 ‘유가 불교인’ 요시시게노 야스타네(慶滋保 胤)의 삶을 고대 인도의 아슈라마(āśrama)의 개념에 따라 學生期, 家住期, 林棲 期, 遊歷期의 네 시기로 나누어 고찰한 논문이다. 學生期(brahmacarya)의 야스타네의 삶은 大學寮에서 중국 문학과 역사를 공부하던 시기다. 이때 그는 학생신분으로서 관리에 임용될 정도로 우수한 학생이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어릴 때부터 아미타 신앙생활도 지속해왔다. 家住期(gārhasthya)의 야스타네의삶은 관료로서 생활하면서 뛰어난 시인으로서 문인들의 각종 모임에도 참석하는 등 활발한 사회생활을 하였다. 또 이 시기에 유학자와 승려가 함께 참여하는 勸學會라는 수행 결사를 조직하여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林 棲期(vānaprastha)는 야스타네가 平安京 외곽에 집을 짓고 반 은둔 생활을 하던시기이다. 야스타네는 당나라의 유학자 白居易의 불교적 삶과 문학에 영향을받았으며, 이때 지은 「池亭記」 역시 白居易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야스타네의 삶에서 遊歷期(samnyāsa)는 자녀들을 결혼 시킨 후, 出家하여일정한 거처 없이 이곳저곳을 遊歷하며 승려로 살던 시기다. 그는 당시 사람들에 의해 불교의 聖人을 일컫는 ‘히지리(聖)’라 불리는 영예를 얻기도 하였다. 平安時代의 중기에는 야스타네와 같은 ‘유가 불교인’이 다수 등장하였다. 그들이 등장한 시기는 국가의 율령 체제가 무너지고 國政이 귀족에 의해 농단되던 시기였다. 따라서 유학자들은 文章經國之士로서의 자부심을 발휘할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 당시는 말법시대가 도래했다는 인식이 만연했던 때여서 유학자들도 정토교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문필로써 불교 수행자들의 傳記를 편찬하거나 불교 의례에 필요한 각종 문서를 작성함으로써平安時代의 불교 이론과 실제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동아시아 불교사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유가 불교인’이 동아시아 불교에 끼친 영향은 적지 않다. 동아시아 각국, 각 시대에는 다양한 ‘유가 불교인’이 존재했고, 그들의 다양한사상과 행적은 앞으로 불교사의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과제이다. In this paper I studied four stages in the life of Yoshishigeno Yasutane 慶滋保胤, the four stages of one’s life as described in the ancient Indian concept of Āśrama. In his brahmacarya stage 學生期, Yasutane studied Chinese literature and history at Daigakuryo 大學寮, the former imperial university of Japan. He was an outstanding student and was even recruited as a governmental officer while still a student. He also practiced faith in Amitabha. In his gārhasthya stage 家住期, he was active in literary circles as a great poet while serving in the government. Yasutane, along with his fellow Confucians and monks, founded the Kangakue 勸學會, 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learning, and he became a leader in this association. Vānaprastha 林棲期 is the stage where Yasutane secluded himself from society and relocated to the suburb of Heiankyo 平安京. Yasutane was affected in both his literature and life by the writings of Bai Juyi 白居易, a poet and government official in Tang 唐 China. It is also said Yasutane’s book, Chiteiki 池亭記 influenced Bai Juyi as well. In Yasutane’s samnyāsam stage 遊歷期, his children married and he entered the Buddhist priesthood. He traveled here and there as a Buddhist monk with no permanent residence. He was honored when people called him Hijiri 聖, the Japanese Buddhist word for “Saint.” In my research, I refer to him as a “Confucian Buddhist 儒家佛敎人,” of which there were many in the middle of the Heian Period. At that time, the legal system was in disarray and the government was ruled by aristocrats. This was a time when Confucians lost much self-esteem in their roles as administrative officials, and when even Confucians paid more and more attention to the teachings of Pure Land Buddhism. Many thought the “Age of the Degenerate Dharma” was coming, the last of the three ages following the passing of the Buddha. These Confucian Buddhists even contributed greatly to both practical and theoretical Buddhism by publishing biographies and creating documents for temple ceremonies. They also greatly influenced in many ways East Asian Buddhism. In East Asia there were various type of Confucian Buddhists, and their thoughts and activities should be the subject of continuous research from the point of view of Buddhist history.

      • KCI등재

        조선조 무이도가(武夷櫂歌)에 대한 평가와 차운시(次韻詩)의 양상

        김영봉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2 No.-

        조선 문인들의 「무이도가」에 대한 평가를 알기 위해서는 「무이도가」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비평 자료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차운시의 주제를 살펴보는 것도 필요하다. 그러나 적지 않은 그간의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차운시에 대해 주목한 논문은 거의 없다. 「무이도가」 자체에 대한 평가는 도학시인지 산수의 흥취를 노래한 시인지 의견이 엇갈리면서도 후기로 갈수록 도학시로 규정하는 흐름이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차운시를 통해 본 「무이도가」의 성격은 오히려 도학시와 거리가 멀다. 차운시에 나타나는 주류적인 성격은 자연 경물을 노래한 산수시의 측면이 압도적이고, 다음이 선계 지향의 도가적 성격이다. 유학자들이 주자의 시를 차운하면서도 선계 지향이 비중 있게 드러나는 것은 주자의 原詩가 그러한 성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주자의 시는 의도적으로 도학적 성격을 부여하지 않는다면 武夷山의 산수를 읊은 서정시의 성격이 강하다. 그런데 무이산은 이름부터가 道家에서 왔을 정도로 원래부터 道敎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으며, 산 속 곳곳에 道觀도 많았다. 주자의 「무이도가」는 우선적으로 무이산과 九曲의 정경을 대상으로 읊었으므로 거기에 배어 있는 도가적 요소가 자연스럽게 시에 녹아들었던 것이다. 조선의 학자들은 학문적으로 주자에 경도되어 있었고 시에 있어서도 이념적으로 濂洛風을 선호했기 때문에 「武夷櫂歌」를 평할 때에는 일찍이 陳普가 선도했던 도학적 성격에 따르는 경향이 있었지만, 실제로 차운시를 지을 때에는 오히려 原韻의 성격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고 보인다. 여기에서 이끌어 낼 수 있는 결론은, 이론적으로는 아무리 도학시인가 순수 산수시인가 하는 두 갈래가 대립하였지만, 대다수의 문인들은 산수시로서의 성격에 동조하였고 그 결과로 극히 일부 작품을 제외하고는 수많은 차운시에서 순수 자연을 노래한 서정시로 구현되었다고 보인다. 이점은 중국의 차운시에서도 더욱 분명하게 확인된다. Zhu Xi's “Wuyi Boating Song(武夷櫂歌)” is evaluated not only as Confucian philosophical poet but also as pure lyric. In order to understand the Joseon literary person’s evaluation of “Wuyi boating song”,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the aspects of the rhyme-borrowing poems. The evaluations of “Wuyi boating song” are disagreed, but as time goes on the define as Confucian philosophical poet have a strong tendency. Nevertheless, with a few exceptions, the aspects of the rhyme-borrowing poems of “Wuyi boating song” are far from Confucian philosophical poet. The more inclination of the rhyme-borrowing poems of “Wuyi boating song” is overwhelming in lyric poetry. Furthermore, the Taoistic tendency is stronger than the Confucian philosophical tendency. It is verified through analysis of actual works. Joseon literary persons were obsessed with Neo-Confucianism and ideologically preferred Confucian philosophical poet. Therefore, some literary persons rated “Wuyi boating song” as Confucian philosophical poet, apart from the actual aspect. But this is a rather farfetched view. In China, the rhyme-borrowing poems of “Wuyi boating song” have the strongest Taoistic tendency, which are romantic naturalism trend.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Taoism was prevalent in China.

      • KCI등재

        朱子와 陳亮의 王覇論爭에 대한 재검토

        이상익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7 동방학지 Vol.138 No.-

        Reexamination on the Dispute of Kingly and Tyrannical Ways between Chu Hsi(朱熹) and Chin Liang(陳亮) Lee, Sang-Ik* The debate on kingly and tyrannical ways between Chu Hsi(1130~1200) and Chin Liang(1143~1194)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issue how to evaluate Han and Tang dynasties. Chin thought that three kingdoms (Ha, Eun and Chou) and two dynasties (Han and Tang) do not have great difference in a sense of their nature, even if so, its difference is just degree. However, Chu had a different idea from chin. In his thought, three kingdoms followed heavenly rules, but two dynasties did desires of human. It will be difficult to judge who is right. However, it will be possible to elucidate their views on ideal man and ideal politics through the debate. Chu's ideal man is a pure confucian(醇儒), but Chin's one is a mature person(成人). While a pure confucian means a man of virtue, a mature person means a man of ability. This difference reflects their different views on ideal politics. Chu regards self-cultivating(修己) and ruling-others(治人) as one thing and their relation as a root-branch relation. Ruling-others is only an external effect of self-cultivating. For Chin, however, the two has no causal connection. They are completely separate beings. Thus, it can be said that ruling-others is only through punishment and reward, not through moral influences. In view of these points, it must be incorrect to regard the debate as a conflict between motivationalism and consequentialism. The issue of the dispute on the surface is about how to evaluate Han and Tang dynasties, and the issue under the surface is how to conceptualize ideal man as a cornerstone for successful politics.

      • KCI등재
      • AHCI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