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문묘일무의 시원 연구

        유혜진 한국체육철학회 2015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rigin and inception of Munmyo-ilmu performed at the Munmyoseokjeon of Korea, which was introduced to Goryeo along with the Daeseongaak of Sung Dynasty in the 11th year of King Yejong's reign(1116) and settled down as a dance to express the unique legitimacy of Confucianism in a symbolic fashion. Today Seonggyungwan of Korea continues the tradition of performing both Munmu and Mumu at Seokjeondaeje, keeping the introduced tradition intact. Ilmu has been regarded as a dance title, but it is actually a dance form with certain rows and columns. It takes eight-, six-, four-, and two-line dance forms. In Ilmu, "lines" represent the social ranks as a strict custom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status. Those dance forms have existed since the ancient times, developing their complete formal system during Zhou Dynasty. The eight-line dance form symbolizes the son of Heaven as an Akmu and has become an icon to represent the utmost courtesy. It originated in Yukdaedaemu to praise the good deeds of six emperors in ancient China, becoming a foundation for Palilmu, which is the inception of Munmyoseokjeon Akmu. It took thousands of years for Ilmu to be completed as Munmyoilmu performed at a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In Korea, it also took many years before the terms of Munmyoilmu were established. The reason, place, and method of Ilmu performance are as important as the performance itself. The present study thus examined the inception of Ilmu with a focus on the dance forms, ancient Ilmu, and position of Ilmu.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문묘석전에서 행하는 문묘일무의 유래와 그 시원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으로, 본 고에서는 일무의 형식과 일무의 위치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한국의 문묘일무는 고려 예종 11년(1116) 송나라의 대성아악과 함께 고려로 유입되었으며, 유가의 고유한 정통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춤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현재 한국 성균관에서는 유입된 전통 그대로를 지켜 석전대제에서 문무와 무무를 함께 춤추는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그동안 일무는 춤의 이름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일무는 행(行)과 열(列)을 갖추어 춤추는 춤의 형식인 것으로, 8일(八佾)·6일(六佾)·4일(四佾)·2일(二佾)의 춤 형식을 취하게 된다. 또한 일무의 ‘일(佾)’은 신분 등급의 상징으로써 신분의 지위를 규정짓는 엄격한 법도라 할 수 있다. 이는 고대 중국의 여섯 황제의 공덕(功德)을 칭송하는 육대대무(六代大舞)에서 비롯된 형식으로, 문묘석전 악무의 시원을 이루는 팔일무(八佾舞)의 기반이 된다. 고대로부터 시대마다 왕조에 따른 각각의 악무가 제정되었고, 무위 또한 다양하게 변화되면서 춤 형식의 전통을 이어왔다. 또한 일무가 공자를 제사하는 문묘일무로 완성되기까지는 수천 년의 세월이 흘렀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문묘일무의 용어가 정착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일무를 춤추는 그 자체만큼이나 일무를 왜, 어디서, 어떻게 추는지도 매우 중요하다. 때문에 이를 통한 일무의 시원을 고찰해 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근대이후 한,중 문묘일무의 성격과 현황 비교연구

        임학선 ( Hak Sun Lim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5 한국무용연구 Vol.33 No.2

        문묘일무는 유교제례무로 공자를 제사하는 춤이다. 한국의 석전(釋奠)과 문묘일무(文廟佾舞), 그리고 중국의 제공(祭孔)과 제공악무(祭孔樂舞)가 바로 공자의 제사와 공자제사무를 지칭하는 양국의 용어로 그 의미는 같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과 중국은 각기 다른 문화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근대이후 변화 발전을 이룬 한·중 문묘일무의 성격과 현황을 비교분석 하였다. 제Ⅱ장에서 한·중 문묘일무의 유래와 역대 한·중 문묘일무를 조사하였고, 제Ⅲ장에서는 양국 문묘일무의 차이, 즉 공자사당의 명칭, 공자제사의 명칭, 공자제사의 주무기관, 공자제사무의 춤이름, 춤형식, 춤동작과 춤추는 방법, 춤추는 위치 등의 차이를 분석하여 그 내용을 제시하였다. 제Ⅳ장에서는 근대이후 한·중 양국의 복원 방향과 그 내용을 시대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수립 후의 문묘일무 복원과정을, 중국은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시기의 제공악무 복원과정을 조사하여 한·중 문묘일무의 차이와 현황을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한·중 문묘일무는 근대 이후 양국의 시대적 배경과 제도적 차이, 전통계승과 복원의 관점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서로 다른 특성을 갖춘 춤으로 변화되었으며, 공자제사의 성격에 따라 춤사위 또한 각기 다른 표현 양상을 지니게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는 문묘일무는 동양무용의 시원을 이해하고 춤의 역사와 사상, 철학, 춤의 원리와 구조 등을 두루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무용으로, 본 연구가 미래의 무용학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Both Seokjeon and Munmyoilmu of Korea and Jegong and Jegongakmu of China refered to a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and a dance performed at such an occasion, respectively. However, nowadays there were different cultural patterns in them between Korea and China.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nature and current state of Korean and Chinese Munmyoilmu that had undergone changes and developments since the modern times. Chapter Ⅱ examined the origins of Korean and Chinese Munmyoilmu and its performances throughout the history. Chapter Ⅲ analyze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Munmyoilmu in the title of Confucius shrine, the name of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the organizing agency of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and the names, forms, movements, methods, and positions of memorial service dance for Confucius, then presenting the results. Chapter Ⅳ examined the restoration directions and results of Korea and China since the modern times by the periods. The findings showed that both Korean and Chinese Munmyoilmu had evolved into a dance with different features from each other due to various factors since the modern times and that there had been different expressive styles in the dance steps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nature of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