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주의의 중국화’: 쉬지린(许纪霖) 사례를 중심으로

        유은하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2020 중국지식네트워크 Vol.16 No.-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 중국의 대표적 자유주의 지식인 중 한 명인 쉬지린(许纪霖)의 사례를 통해 반(反)유가에서 친(親)유가로의 전환을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개혁개방 이후 소위 자유주의의 중국화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에 있다. 1980-90년대에 유가와 현대 중국사회의 역사적 맥락은 단절되었다고 비교적 강한 어조로 반(反)유가를 설파했던 쉬지린은 2000년대 중반 무렵 이후 유가를 포용하는 논조로 전환하였다. 즉 유가를 전면적으로 수용한 것은 아니지만 현대 사회에서 유가가 독자적으로 회생되기는 어렵고, 자유주의도 자체의 불완정성으로 인해 중국에서 독자 생존이 어렵기 때문에 양자의 ‘제휴’가 필요하다고 하였는데, 이를 자유주의의 중국화 혹은 유가의 자유주의화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쉬지린이 유가를 핵심 문화코드로 하였던 전통사회의 가치 질서에 대해서도 전반적인 부정적 인식을 보였다가 상당히 긍정적으로 돌아선 것을 알 수 있다. 그동안 자유주의의 중국화에 대해서는 거의 하나의 ‘현상’으로 접근하여 일부 자유주의 지식인들의 최근 논의를 병렬식으로 제시한 경우가 많은데, 본 연구는 대표 학자의 논의에 대해 개혁개방 초기부터 통시적(通 時的)으로 살펴봄으로써 시대의 흐름에 따른 중국 현대 자유주의 사조의 변화를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밝히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so-called localization of liberalism in China by revealing specifically the conversion process from anti-Confucianism to pro-Confucianism through the case of Xujilin who one of a representative liberal intellectual in contemporary China. Xujilin who had an anti-Confucian view, advocating quite strongly that the historical context between Confucianism and modern China was cut off during 1980s-1990s has turned his view to embracing Confucianism since the mid-2000s. In other words, although Xujilin did not fully embrace Confucianism, he said that a partnership between the two―Liberalism and Confucianism―was necessary because it is difficult for Confucianism to revive independently in modern society and liberalism is also difficult to survive independently in China because of its own imperfec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