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루쉰(魯迅)의 「광인일기(狂人日記)」의 의미구조―누가 ‘아이’를 구할 수 있을까?

        홍석표 중국어문학회 2022 中國語文學誌 Vol.- No.80

        This paper explains the meaning structure of Lu Xun's "A Madman's Diary" by considering it as a narrative text in which the preface and the main text are connected as one and understanding it as a work derived from the writer's narrative strategy considering different readers at the time. First, we examine how the narrative of fear and anxiety about cannibalism, which stands out in the "A Madman's Diary," produces psychological effects on readers through preface information, and analyze the literary effects between the work and the 'normal' and 'abnormal' readers. Then, we examine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failure of enlightenment after the madman recovered from the disease and explain who will save the 'child'. Finally, we reveal that "A Madman's Diary" is a work that demands to change the method of enlightenment by reflecting the 'self-negation' thought of a madman. And based on the fact that the madman became an official, we reveal that "A Madman's Diary" is a work that implies 'desperate resistance. ‘ 이 논문은 루쉰의 「광인일기」를 서문과 본문이 하나로 연결된 서사 텍스트로 간주하고 당시 서로 다른 독자층을 고려한 작가의 서사 전략에서 비롯된 작품으로 이해하면서 그 의미구조를 해명한다. 먼저 「광인일기」에서 두드러진 ‘식인’에 대한 공포와 불안의 서사가 서문의 정보에 의해 독자들에게 어떠한 심리적 효과를 낳는지 검토하며, 이를 토대로 ‘정상인’ 독자와 ‘비정상인’ 독자의 입장에서 각기 작품 텍스트와 독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문학적 효과를 분석한다. 이어 사람들에게 ‘마음을 고쳐먹으라’라고 부르짖던 광인이 병이 나은 후 ‘후보(候補)’ 관리가 됨으로써 결국 계몽이 실패로 돌아간 데 대한 상징적 의미를 고찰하며, 그리하여 ‘아이’를 구할 주체가 누구인지를 세밀하게 논증한다. 끝으로 「광인일기」가 광인의 ‘자기부정’ 사상을 형상화함으로써 계몽의 방법적 전환을 요청하는 작품임을 밝히고, 서문에 서술된바 광인이 관리가 된 사실에 근거해 광인이 기존 현실로 복귀한 이후에도 절망적 현실에 도전하는 ‘절망적 항전’을 암시하는 작품임을 구명한다.

      • KCI등재

        만주국 여성작가 양쉬(楊絮)의 삶과 문학에 대한 小論 : 작품집 《나의 일기(我的日記)》를 중심으로

        鄭겨울(Jung, Keo-Yul) 한국중국소설학회 2020 中國小說論叢 Vol.61 No.-

        일본의 식민지이자 괴뢰국이었던 만주국의 문학은 각 민족의 다양한 문학적 상상(想像)과 신세대 작가들의 등장을 바탕으로 형성, 발전하였다. 이 과정에서 만주국 문단에 등장한 여성작가들은 만주국 문학의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으며, 작품 속에서 자신들이 직접 경험하고 관찰한 만주국 사회의 모습과 민중들의 삶을 반영하였다. 이 시기 만주국 문화·예술계에 등장한 양쉬(楊絮)는 가수와 배우, 기자, 작가, 편집자 등 다양한 직업을 경험했던 인물로 만주국 문화계와 문단에 있어서도 상당히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특별히 양쉬의 문학은 자신의 경험에 대한 솔직하고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작가의 개성과 주관을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으며 만주국의 스타와 평범한 여성의 삶 속에서 끊임없이 교차하고 고뇌하는 개인적 사색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양쉬를 비롯한 만주국 여성작가에 대한 논의는 만주국 문학을 친일문학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편견과 그 속에 드러나는 식민지의 그림자로 인해 해방 이후 오랜 시간 동안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식민지 공간과 문화라는 독특한 배경 하에 성장한 만주국의 여성 작가 양쉬의 삶과 문학을 되돌아보고 그녀의 문학 창작이 지니는 특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나아가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당시 만주국 사회에 등장한 신여성들과 이들이 만주국에서 지니는 사회적 의미 및 중층적 상징성에 대해 고찰한다. The literature of Manchukuo formed and developed due to the diverse literary imaginations of each nation and due to the emergence of a new generation of writers. During this process, women writers who appeared in the Manchukuo literary circles enriched further the contents of the literature in Manchukuo, reflecting in their works Manchukuo’s society and women’s lives. Yang Xu, who appeared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circles of Manchukuo during this period, worked as a singer, actor, journalist, writer and editor. Yang Xu’s literature reflects the reality of the Manchurian society and of most women. Her works contain authentic and realistic descriptions of her own experiences, personal thoughts and agonies of a life of a star and an ordinary woman living in Manchukuo. Despite this significance, the discussion of women writers of Manchukuo, including Yang Xu, has not been extensively studied due to colonial tyranny and social prejudice in the Manchurian literature.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is problem, this paper looks back on the life and literature of Yang Xu, a female celebrity and writer of Manchukuo, who grew up under a unique background of colonial space and culture, and attempt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er literature. Furthermore, based on these contents, it examines the social meaning and symbolism of a new type of women who have appeared in Manchurian society during this period.

      • KCI등재

        도스토예프스키와 유대인 문제

        조혜경(Cho, Hye Ky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15 노어노문학 Vol.27 No.3

        본 논문은 도스토예프스키의 사상 체계에 나타난 유대인 문제에 관한 작가의 관점을 <<죽음의 집의 기록>>과 <<작가일기>>를 통해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중 유대인의 형상이 비교적 구체적으로 드러난 것이 바로 작가의 유형지에서의 개인적인 경험이 녹아 있는 <<죽음의 집의 기록>>이다. 소설에서 도스토예프스키는 어린 시절 성경과 유럽문학에서 접하던 유대인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견을 어느 정도 버리고 동료죄수로서 유대인 이사이 포미치를 구체적이고 입체적으로 화자 고랸치코프의 시각으로 그려낸다. 이사이 포미치는 소심하고 탐욕스러우며 동료들의 조롱거리가 되지만 악의 없는 인물로서 남의 눈을 지나치게 의식하여 연극적으로 행동하며 거만한 죄수로 등장한다. 이사이 포미치의 특성 중 거만함은 이후 <<작가일기(1877년 3월호)>>에서 유대민족의 특성과 연관되어 일관되게 나타난다. 유대민족은 러시아 민족과 마찬가지로 억압받고 수난 받은 민족이나 러시아 민족과 달리 거만하고 타민족을 무시하는 태도를 지닌다. 따라서 도스토예프스키가 보기에 신이 선택한 민족은 유대민족이 아니라 고통을 인내하고 겸손하며 전 인류를 하나로 결합시킬 수 있는 러시아 민족이라는 것이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유대민족에 대한 시각과 판단 기준은 전적으로 작가의 신앙심에 근거한 것이며 그가 중시했던 것은 그리스도교적인 겸허와 사랑이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따라서 우리는 도스토예프스키를 반유대주의자라고 규정하기 이전에 작가의 종교적, 철학적 사상체계를 이해하고 어떠한 기준을 가지고 그가 유대인을 비판하고 있는지 먼저 고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Dostoevsky"s point of view concerning the Jewish subject that appears in the <<Notes from the House of the Dead >> and <<A Writer"s Diary>>. Dostoevsky"s novel, which has the shape of Jewish prisoner turned out to be more specific, because it is the author"s personal experience is dissolved in <<Notes from the House of the Dead >>. Dostoevsky has somewhat negative prejudices against the Jew from childhood by the Bible and European literatures. In 1862 he represented Jewish prisoner, Isai Fomich from his own experience: he met a variety of colleagues-prisoners concluding Jews(such as И.Ф. Бумштель, О.Г. Каган, С. Е. Лурье) in Siberia. Isai Fomich is a timid and greedy jew whom colleagues look down on but Isai has no hatred to them. The nature of the Isai Fomich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Jews appeared in << Writer"s Diary. (In 1877, the March issue)>>. Unlike the Russian people who has received oppressions and has suffered for a long time but endured with love and humility, the Jews are arrogant and foreign to ignore the attitude. Therefore, Russians, as Dostoevsky insists, are God"s chosen nation and are patient under his sufferings. Dostoevsky"s views about Jews is entirely based on his faith and religious philosophy. He is a Christian and stresses love and humility for all his life. Therefore, The idea that Dostoevsky is an anti-Semitic author is far from an ignorance of his philosophical and religious beliefs.

      • KCI등재

        송강 정철의 평전을 위한 기초 연구(2) - 『연보』 새로 쓰기 작업과 관련해서 -

        김창원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4 No.-

        작가론과 평전은 모든 문학 연구의 출발점이다. 작가론과 평전이 부실하면 후속 연구도 부실해지기 마련이다. 송강 문학 연구가 부진한 것은 일정 부분 제대로 된 작가론과 평전의 부재에서 말미암는다. 작가론과 평전을 제대로 쓰기 위해서는 작가의 행적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즉 제대로 된 『연보』가 쓰여져야 한다. 기존의 『연보』는 정치사에 편중되어 있다. 그리하여 오늘날의 문학 연구자의 관심사가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송강 문학 연구의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연보』가 필요하다. 새로운 『연보』는 다음과 같은 방향과 방법으로 쓰여질 필요가 있다. 첫째, 정치사 중심에서 일상사 중심으로 기술한다. 둘째, 문학 관련 행적 기술에 최대한 공을 들여 시인으로서의 송강상이 잡힐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기사와 기사 사이에 전후 맥락을 알려주는 주석을 삽입하여 전체가 유기성을 갖추도록 한다. 새로 쓰여질 송강의 『연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송강의 문학을 성실하게, 진지하게 읽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송강과 관련된 새로운 사실들이 밝혀지고 오류가 바로잡힘으로써 송강 문학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셋째, 송강의 행적이 상세하게 밝혀짐으로써 “「연보」와 문학 작품의 엮어 읽기”와 같은 새로운 글쓰기가 가능할 수 있다. 넷째, 기존의 것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작가론이나 『평전』이 나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Study of writer and critical biography are starting point of all literature research. If study of writer and critical biography are poor, subsequent research will be inferior. The lack of research on Songgang’s literature is due to the lack of a proper study of writer and the lack of critical biography. In order to properly write the theory of writer and critical biography, research on the writer's whole lifetime should be preceded. That is to say, a proper annual report should be written. The existing songgang’s annual report is devoted to political history. The interests of today's literary researchers have not been reflected at all. In order to overcome the sluggishness of Songgang literature research, a new annual report should be written. New annual report needs to be written in the following directions and methods. First, it describes from politics to daily life. Secondly, Songgang as a poet can be caught by maximizing the literary related describtions. Third, insert the annotation that informs the front and the rear context between the article and the article so that the whole is organic.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from the newly written Songgang's annual report. First, it can be of great help to researchers who sincerely and seriously read Songgang's literature. Second, new facts related to Songgang are clarified and errors can be corrected to help read Songgang literature accurately. Thirdly, it is possible to write a new writing such as reading a text with annual report. Fourth, we can lay the foundations for a more authoritarian theory or even more reliable than the existing one.

      • KCI등재

        도스토예프스키의 「보보크」 -자기 복제의 알레고리와 자기 성찰의 시학

        백준현 ( Joon Hyeon Baik ) 한국러시아문학회 2012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39 No.-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matic structure of 「Bobok」which is mainly treated as a grotesque story of F. M. Dostoevsky, and thus to reveal the hidden meaning of ``bobok`` which is also the title of this story. This story is narrated by a writer who by chance encounters the dialogues of the dead who are buried in the graves but are still alive in their consciousness. In this story Dostoevsky develops the idea of self-reproduction or self-conviction which represent the way of utterance of the dead who maintains snobbery on earth, and self-reflection which represents Dostoevsky`s sincere attitude for admitting and revealing his own problems as a writer. Way of utterance of self-reproduction is also the main trait of L. K. Panjutin who as a militant journalist put severe and even personal blames on Dostoevsky and his works. Harm of self-reproduction in the dead`s world was addressed in the form of allegory to Panjutin and militant literary circles of that time. Meanwhile his narration of self-reflection which was showed in his self-image narrator reveals his thinking about sincere writer`s bearings who should be prepared to accept even the ideas of whom he disdains. Bobok, which has been usually treated as a nonsense word, is in fact a trait of life of the dead who has the possibility of regeneration. It also symbolizes the possibility of rebirth of the narrator who realizes his bearings as a writer which is not yet extinguished in his mind like bobok. So, this story should not be left in the field of grotesqueness and the literary meaning of ``bobok`` should be rightly understood.

      • KCI등재

        조선중기 사대부 일기 속에 나타난 여성의 지위 고찰 -김돈이(金敦伊)의 삶을 중심으로-

        조은숙 ( Cho Eun-su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1 고전문학과 교육 Vol.46 No.-

        이 글의 목적은 한 사대부 일기 속에 드러난 사대부 여성의 지위를 살펴봄으로써 조선중기 여류 문인의 등단 배경과 그 상관관계성을 조명해 보는데 있다. 주지하듯이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여류 문인인 신사임당, 황진이, 송덕봉, 허난설헌, 매창 등은 모두 조선중기에 활동한 여성들이다. 조선중기 사대부 지배층은 성리학을 정치적 지배이데올로기로 삼았다. 성리학은 가정 · 사회 · 국가의 질서유지를 목표로 하는 남성중심의 가부장제 사회를 지향했다. 그러나 조선중기 유교적 가부장제에 나타난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결코 낮았다고 볼 수 없다. 사대부 일기 속에 드러난 김돈이의 삶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결혼제도 측면이다. 조선은 건국 초부터 중국의 『주자가례』를 도입하여 성리학적 질서를 재편하려했다. 중국의 결혼풍속인 친영제(親迎制) 실행을 시도했으나 왕실에서만 시행했을 뿐 일반 사대부로까지 실행은 미진했다. 즉 조선중기는 우리 고유의 결혼풍속인 남귀여가혼(男歸女家婚)이 대체로 유지되고 있었다. 또 유교적 가부장제는 남존여비(男尊女卑)의 부부관계를 지향했지만, 실제는 남녀의 차별 원리보다는 구별 원리가 강하여 대등관계를 유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부모의 재산은 자녀 균분상속제였다. 따라서 제사도 남녀의 권리와 의무가 동등하게 작용하여 윤회봉사가 일반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조선중기는 여성의 바깥출입이 비교적 자유로웠고, 학문과 예술 활동에 제약이 거의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컨대 사대부 일기를 통해 드러난 조선중기는 성리학적 가부장제인 종법적 사고, 지위, 지배 구조가 아직 경직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성리학적 지배이데올로기가 경직되지 않았을 때 상대적으로 여성의 지위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고, 그런 배경 속에서 조선중기 다수의 여류 문인의 등단 배경을 유추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하겠다. This study explores the background of the rise of female writers in the literary circle in the middle-Joseon Dynasty’s rule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period by investigating the status of women revealed in a diary written by a scholar-official. As known, there we several famous female writers during this period, such as Shin Saimdang, Hwang Jinyi, Huh Namseolheon and Maechang. The ruling class considered Neo-Confucisanism as their political ruling ideology, which was directed toward building a “male-dominated society aimed at maintaining order at home, in the society, and nation. However, the women’s social status was never low when the Neo-Confucianism patriarchal system was the dominant ideology. The life of Kim Don-Yi as shown in the diary of the scholar-official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regarding matrimony, the Joseon Dynasty restructured the Neo-Confucian order by introducing China’s “Jujagarye (Zhu Xi’s Zhuzi Jiali)” since the early days of its foundation. In that period, Joseon tried to introduce the Chinyeongje system or the Chinese wedding custom from China but it was not widespread despite being implemented in the royal families. In other words, during this time, Korea’s traditional wedding custom called “Namguiyeogahon” was mostly implemented. Additionally, though the Confucianistic patriarchal system emphasizeds on the husband-wife relationship of “Namjonyeobi(predominance of men over women)”, the social status of women was almost equal to that of men in the community because the identification principle between men and women was highlighted rather than the discrimination principle against women. Parents’ property was inherited equally by each of the children regardless of the child’s gender. Accordingly, the rights and obligations pertaining ancestral rites were equally granted to all children regardless of their gender. Hence, equal service for the ancestral rites taken in turns by each child was common. Women were allowed to freely go out and there were no restrictions on their literary and artistic activities. In short, the diary written by the scholar-official shows that the legal ideology, status, and ruling system which was the Neo-Confucian patriarchal system were not rigid implying that. The Neo-Confucian ruling ideology was not strict and rigid, and the social status of women was relatively high. Therefore, this enabled the rise of many famous female writes during this period.

      • KCI등재

        범슬라브주의에 대한 톨스토이와 도스토옙스키의 시선의 엇갈림: 『안나 카레니나』 제8부에 대한 도스토옙스키의 논쟁을 중심으로

        이경완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23 슬라브학보 Vol.38 No.2

        본 논문은 1870년대 동방 문제와 관련하여 러시아에 형성된 범슬라브주의와 서구의 신비주의 문화에 대한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의 반응을 필자의 온건한 복음주의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안나 카레니나>의 제8부에 대해 도스토예프스키가 <작가의 일기>에서 벌인 논쟁에 초점을 맞춘다. 본고의 접근법은 라인홀드 니버의 신정통주의 기독교 현실주의를 모체로 재구성된 복음주의적 기독교 현실주의이다. 톨스토이는 지극히 이성적인 기독교 윤리를 추구하면서, 당시 러시아 사회를 사로잡은 범슬라브주의와 서구의 신비주의 문화, 특히 심령술의 상호관계에 대해 신중한 자기 절제의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대안의 무오성에 대한 과도한 확신에 사로잡혀서 러시아 농민을 신비주의적으로 이상화하는 모순을 보였다. 반면에, 도스토옙스키는 동시대 서구에서 유입된 자유주의와 신비주의적 담론들에 대한 비판을 톨스토이와 공유하면서 러시아 메시아주의에 뿌리를 둔 범슬라브주의를 옹호하였다. 그러나 범슬라브주의의 무오성에 대한 그의 과도한 확신은 1870년대 그의 소설들에서 묘사된 서구의 신비주의적 모티브들이 재구성된 유토피아적 비전과 모순되며, 이는 서구의 신비주의 문화에 대한 그의 태도의 모호성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두 작가 모두 자신의 신비주의적 이상과 서구 신비주의에 대한 비판 사이의 모순을 극복하지 못했으며, 다만 도스토옙스키가 주창한 범슬라브주의에 대해 톨스토이가 보다 신중한 실천지를 보인 것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 KCI등재후보

        범슬라브주의의 프리즘으로 본 『안나 카레니나』

        최정현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1 외국학연구 Vol.- No.16

        В данной статье рассматривается роман Л. Толстого "Анна Каренина" через призм панславизма. Последняя часть произведения автора отказыается публиковать в журнале "Русский вестник", где распечаталось до седьмой части, так как редактор данного журнала М. Н. Катков не согласился с содержанием романа. Он стал неудоблетворителен отношением Л. Толстого к панславизму, в частности в 70-е годы в России, когда Россия приняла участие в войне против Турции для осбовождения сербского народа. Лев Толстой очень критически относился к этому движению того времени, но в своем романе Толстой только литературныйм образом подходил к данной сложной проблеме. Об этом автор этих сторчек хотелось бы остановиься. 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