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데이서울』의 창간과 대중 독서물의 재편

        연윤희 대중서사학회 2013 대중서사연구 Vol.- No.30

        1968년 9월 22일 <서울신문>의 『선데이서울』을 시작으로, 11월 17일 <경향신문>의 『주간경향』, 다음해 1월 1일 <한국일보>의 『주간여성』이 창간하는 등, 70년대 ‘주간지 시대’의 도래를 알린다. 창간호를 시작으로 매호마다 이례적인 기록을 내놓았을 만큼 독자들은 『선데이서울』에 열광했다. 『선데이서울』은 초고속 성장과 급격한 도시화, 소비문화의 변화와 여가생활, 문맹률 감소와 독서 시장의 팽창, 초등학교 의무교육과 문맹률 감소 등 1960년대 후반, 한국사회의 복합적인 현상이 발아되어 창간된 대중 독서물이었다. 『선데이서울』에 드러나는 ‘성’과 관련된 서사는 『선데이서울』이 본격적인 성인오락지라는 잡지의 성격을 보여주는 대목이기도하다. 그러나 먼저 선두로 창간된 『선데이서울』은 기존의 잡지와는 다른 독특한 특색을 갖추고 있었다. 『선데이서울』은 기존의 잡지에서 ‘보는 잡지’라는 오락성을 수용하되, 당대 독자들의 구미에 맞는 다양한 코너를 신설한다. 『선데이서울』의 「청춘1번지」는 청춘남녀들에게 음악 감상과 토론의 장(場)을 제공하기도 했다. 『선데이서울』은 독자들에게 도시생활에서 필요한 ‘생활 가이드’로서 그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특히, 매호마다 주말 여행지를 소개하고, 여름휴가 계획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독자들에게 일상을 계획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다양한 성격의 르포(reportage) 기사나 수기는 독자들에게 도시의 일터를 벗어나 달콤한 휴식을 제공하였다. 다양한 사건의 심층 취재에서부터 생활정보까지, 『선데이서울』에 실린 서사들은 각양각생의 취향을 가진 다수의 독자들을 매료시켰다. 1960년대 대중 독서물이 재편되는 그 중심에 『선데이서울』이 존재하고 있었다.

      • KCI등재

        서울 대도시권 지하철 통행흐름의 요일 간 변이성 분석: 동적 시각화방법을 토대로

        이금숙 ( Keumsook Lee ),김호성 ( Ho Sung Kim ),박종수 ( Jong Soo Park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7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동적 시각화 방법을 토대로 서울 대도시권 지하철 통행흐름의 요일 간 변동성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1주일치 교통카드 자료에서 요일별로 1분 간격으로 지하철 승객흐름을 추출한다. 지하철망상의 통행흐름의 시공간적 분포를 나타낼 수 있도록 동적 시각화 방법을 고안하여 지하철 승객의 시공간적 분포에 나타나는 요일 간 변동성을 직관적으로 분석한다. 그 결과로 주중과 주말 지하철 승객흐름의 시공간적 분포 패턴은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주중과 주말에도 요일에 따라 다소 다른 양상을 보인다. 서울의 주요 중심업무지역들과 유흥지역들의 승객흐름에도 요일별 승객흐름 양상에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도시계획과 교통계획의 토대가 될 뿐 만 아니라 도시 재해·재난이 발생할 경우 피해에 노출되는 인구규모를 파악하고 신속한 대피대책마련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time-space variability for the weekly passenger flow of the Seoul Subway system based on the dynamic visualization methods. For the purpose, we utilize one-week T-card transaction databases. By applying data mining algorithms, we extract passenger data for edge flows, on/ off passengers at each subway station per minute interval time. It is practically intractable to analyze such spatio-temporal passenger flows by general statistical techniques. We employ dynamic visualization meth-ods to analyze intuitively and to grasp effectively characteristics of the diurnal passenger flows on the Seoul Metropolitan Subway system during one week. As the result, we found that substantial differences exist 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among days as well as between weekdays and weekend. We also investigates the time-space variability among eight major centers, and we found wide differences in their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 KCI등재

        7대 디지털 패션위크의 비교분석 연구

        윤혜수 ( Hyesu Yun ),고은주 ( Eunju Ko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21 패션 비즈니스 Vol.25 No.3

        In the COVID-19 era, globally, companies in the fashion industry are pursuing new convergence methods through digital technology. Conventional fashion shows have become difficult to run exclusively, instead, the shows are run through a combination of offline and digital arrangements.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s of seven digital fashion show weeks in London, Paris, Milan, New York, Seoul, Shanghai, and Tokyo, and presents strategies applicable in Korea's Seoul Digital Fashion Week. We focused on the digital technology used in the digital fashion weeks fashion bran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st cities. The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rough corporate and research report data, and the Fashion Week website. Based on the study results, changes in fashion industry calendars like 'See now, Buy now', seasonless, and unified collections for men and women, expansion of D2C system, the rise of short-form contents, and the expansion to the virtual world space and physical limitations can be cited as changed trends. The study provides insight into the incorporation of the Korean Wave and K-Pop singers, industrial structure change, and the establishment of B2B system in the Seoul digital fashion week. The shift to the digital runway is not only an alternative method to cope with the COVID-19 era but also a new “new normal”. Fashion shows are no longer fixed and planned in free spaces. As a venue displaying the creator’s personality, digital fashion week is expected advance in the future.

      • KCI등재

        Korean Street Fashion as Truly Popular Culture: The ‘PAEPI’ as an Interruption in the Discursive Formation of ‘HALLYU’ and the Special ‘K’

        마이클 허트,장원호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5 No.2

        Over the past couple decades, much ado has been made over Korean pop cultural forms receiving attention and critical acclaim outside of Korea. Both the pop culture products and the nationalist, media sensation around them have been lumped together and called a “Korean Wave” (hallyu), and coalesced into a “discursive formation” that makes obvious its place in the Korean national project and the culture industry. But as an actual form of truly popular culture, the “K” in the dominant examples of everything from K-POP to K-Cinema, and K-Everything becomes an increasingly meaningless signifier. This paper considers the singularly successful case of Korean street fashion, which has managed to gain worldwide recognition without (indeed, despite) the presence of state or culture industry actors. The paper explains how and why this form of truly ground-up, organically-formed popular culture came to be so successful within the international field before considering the ramifications of a closer look at a truly unique formation of community, consumption, and identity that started in the streets of Seoul. It also argues that street fashion is uniquely interesting in being successful without the major support of other institutions and culture industry actor and has come to constitute an important part of the hallyu phenomenon, yet actually does not resemble other forms of hallyu in terms of origin, execution, or path of critical reception.

      • KCI등재

        『선데이서울』에 나타난 여성, 섹슈얼리티 그리고 1970년대

        임종수,박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3 한국문학연구 Vol.0 No.44

        이 연구는 1970년대라는 시대적 맥락 속에서 여성의 성 정체성과 그를 대상으로 한 섹슈얼리티가 어떻게 응시되고 있었는지를 『선데이서울』을 통해 살펴본다. 이를 위해 1970년대 주간지 ‘보기’ 문화의 탄생과 여성적 주체의 형성에 대해 살펴본 후 『선데이서울』을 개관하고 특별히 여성을 어떻게 바라보고 표상했는지, 그것이 1970년대의 시대적 맥락과 연결해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를 해명한다. 이 작업은 많은 점에서 여성학적 관점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중심적인 접근 방식은 당대의 사회와 잡지 콘텐츠 간의 관계를 읽어내는 저널리즘 비평이다. 분석결과, 『선데이서울』이 표상하는 여성과 섹슈얼리티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 첫째 남편과 자식들을 봉양하며 억척스레 살지만 무성화, 탈성화된 아내 혹은 어머니, 둘째 현모양처 혹은 산업역군으로 예비된 미완의 성으로서 여대생 혹은 여공(혹은 직업여성), 셋째 여성에 대한 관음증은 물론 분절화된 성 육체. 이 같은 분석은 여성을 근대적 주체로 상정하지 못했던 1960-70년대 근대화 프로젝트의 문화적 근대성으로 풀이된다. 남성들에게 나름대로 성적 상상력과 오락성을 제공하기는 했지만 생산적이지 못했다는 점에서 사악함과 허약함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었다. 허약한 성적 상상력은 『선데이서울』이 1970년대식 성정치의 공간이었음을 함의한다. This study exams how female identity and sexuality was gazed in 1970s, through Sunday Seoul, the most Korean popular weekly magazine in that time. Preliminary, this article observes the birth of convention ‘seeing’ the weekly magazine and the formation of modernized female as a national subject. After then, article outlines Sunday Seoul contents, and especially remarks how does the magazine represent female and how those can be interpreted in connection with 1970s. This work depends on women"s studies in many aspect, but journalism criticism, reading the relationship of contemporary society and magazine contents, is main approach. In result, Sunday Seoul has represented three female and sexuality discourses; first, stingy but asexualized and de-sexualized housewife and mother as serving husband and their children, second, female college students and little girl laborer(even hostess) prepared as a wise mother and good wife yet unripened sexuality, third, segmented sex body beyond voyeurism to female. It is explained as Korean cultural modernity which had put women to distorted modern subject in 1960~70s. Sunday Seoul, nevertheless providing men a little bit of sexual imagination, was charged with viciousness and weakness in that was not fruitful to him even the nation. Conclusionally, Sunday Seoul implicates that it was a space of sexuality politics and gender politics in 1970s.

      • KCI등재

        아파트를 통해 서울을 소비하기: 1960년대~1970년대 초 주간지와 영화에 나타난 아파트의 젠더 표상

        신지현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3 동방학지 Vol.203 No.-

        이 글은 1960년대~1970년대 초 한국의 도시화 과정에서 서울이라는 공간을 열망하는 대중이 어떤 이미지를 통해 아파트라는 공간을 상상했는지 분석한다. 1960년대 중반부터 본격화 된 상업 영화와 주간지의 생산과 보급으로 서울의 모습은 더 많은 한국인에게 처음으로 시각적으로 전달되었다. 이 시기 대중매체는 “서울에서의 모던한 삶”을 여러 소비재, 예를 들어 선글라스나 자동차 등을 통해 묘사했는데, 여기서 아파트는 어떻게 재현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그 이미지를 통해 대중이 서울이라는 공간과 문화를 어떻게 소비했는지 가늠해보고자 한다. 특히 『주간한국』에 연재된 정비석의 소설 「아파트먼트」(1964~1965) 『주간여성』에 연재된 방영웅의 「사계절」(1969) 그리고 영화 『아파트의 여인』(1969)과 『아파트를 갖고 싶은 여자』(1970)에 나타난 서울의 아파트의 표상을 살핀다. 아파트에 사는 것이 1960년대에는 인기가 많은 주거 형태가 아니었으나, 상업 영화와 주간지의 연재 소설은 아파트를 사생활이 보장되고 성적 부도덕성이 허용되며 신분 상승을 약속하는 공간으로 묘사했다. 이러한 묘사는 박정희 정부의 아파트 거주 장려 정책과 함께 작용하여 아파트에 대한 수요를 높이고 그 가격 또한 오르게 하였다. 대중매체에 나타난 서울의 삶은 매우 적은 수의 한국인에게만 허용된 삶이었지만 그 표상은 사람들이 서울로 발길을 향하게 하는 데에 기여를 했을 것이다. 이 글은 아직 연구가 덜 진척된 상업 영화와 주간지의 연재소설을 자세히 고찰함으로써, 대중매체가 한국의 젠더화된 자본주의적 발전과 초기 소비문화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An Analysis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eoul Fashion Week with a Focus on Organisational Issues

        ( Hye Eun Kim ) 한국의류산업학회 2015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17 No.6

        Seoul Fashion Week aims to be the world`s fifth Fashion Week from the year after 2000. This has involved significant labour and investment, not all of which has been successful. This study analyse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FW based on the London Fashion Week as a successful model. By identifying its obvious and less obvious characteristics, this analysis aims to diagnose SFW`s current status in order to upgrade the event at an international level. Key factors are organisational body, designers, visitors, sponsors, schedule, venue, main events and supportive events. The following points have emerged from the research: the success of Seoul Fashion Week wa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separate collections, an appropriate fashion show venue, and the active role of new designers. The problems were: lack of an independent organisation, non-professional staff, lack of diverse visitors, exclusive governmental funding, late timing, excessive distance from the main European and American fashion markets, lack of sustainability of the main events, a limited variety of supportive events, the absence of online promotion and, last but not least, no distinctive features. The study concludes that Seoul Fashion Week has great potential with its fast growth and young designers. This should be complemented with an independent organisation and effective administration and strategy.

      • KCI등재

        An Analysis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eoul Fashion Week with a Focus on Organisational Issues

        Kim, Hye Eun The Society of Fashion and Textile Industry 2015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17 No.6

        Seoul Fashion Week aims to be the world’s fifth Fashion Week from the year after 2000. This has involved significant labour and investment, not all of which has been successful. This study analyse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FW based on the London Fashion Week as a successful model. By identifying its obvious and less obvious characteristics, this analysis aims to diagnose SFW’s current status in order to upgrade the event at an international level. Key factors are organisational body, designers, visitors, sponsors, schedule, venue, main events and supportive events. The following points have emerged from the research: the success of Seoul Fashion Week wa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separate collections, an appropriate fashion show venue, and the active role of new designers. The problems were: lack of an independent organisation, non-professional staff, lack of diverse visitors, exclusive governmental funding, late timing, excessive distance from the main European and American fashion markets, lack of sustainability of the main events, a limited variety of supportive events, the absence of online promotion and, last but not least, no distinctive features. The study concludes that Seoul Fashion Week has great potential with its fast growth and young designers. This should be complemented with an independent organisation and effective administration and strategy.

      • KCI등재

        한국 패션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서울 패션위크 연구

        주보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3

        일 년에 두 번씩 개최되는 패션위크는 패션산업의 매개체이자 원동력이며 국가의 산업경쟁력과 지역의 활성화, 시장경제 촉 매체의 역할 등 다양한 의미를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국가 브랜드로서의 서울 패션위크를 조사 진단하여 한국패션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자료와 인터넷 자료, 신문 기사 등을 참고로 하여 한국의 패션산업과 서울 패션위크, 그리고 해외 주요 4대 패션위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2011년에서 2016년으로 제한하였으며 연구 주제의 특성상 선행 연구 및 실증적 자료들이 극히 제한되어있어 연구에 많은 한계점이 있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정책 제안 형 단체가 절실하며 이를 통해 디자이너, 그룹, 정부는 통합 개최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둘째, 정부와 지자체, 관련 단체들의 지속적이며 일관된 정책 및 예산 지원이 필요하고, 사전 분석을 통해 중장기적인 인프라에 제대로 투자해야 한다. 셋째, 세계적인 영향력과 파급력을 지닌 한류, K-Pop과 다양한 콘텐츠를 적극 활용하여 서울 패션위크만의 독자적인 국가 브랜드로서의 이미지 및 정체성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IT강국 한국의 발전된 기술을 바탕으로 생산, 유통, 판매, 피드백 공유, 수출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원스톱 시스템 구축을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디자이너와 브랜드는 고유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반영하는 하우스 아카이브 구축에 힘을 써야한다. 한국 패션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합리성과 일관성을 도모해 법적, 제도적 울타리를 만들어 서울 패션위크에 대한 지속적이며 즉각적인 지원, 육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Fashion week, held twice a year,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of a n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and diagnoses Seoul Fashion Week with the aim of proposing way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fashion industry and contribute to its development. This study takes a theoretical look at the Korean fashion industry and major overseas fashion weeks based on findings from academic literature, online documents, and daily and monthly press articles. The study shows that first, a central organization is needed. Second, the active and systematic support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agencies and organizations is required. Third, the global popularity of the Korean Wave with its rich K-pop and entertainment contents should be actively used to reinforce the image and brand of Korean fashion. Fourth, a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Korean fashion can respond and react swiftly to the ever-shifting parameters of the fashion industry. Finally, designers and brands should build house archives that reflect their unique identity and history. To strengthen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fashion industry, it is necessary to provide it with immediate and ongoing support within a practical and coherent legal and systematic framework.

      • KCI등재

        An Analysis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eoul Fashion Week with a Focus on Organisational Issues

        김혜은 한국의류산업학회 2015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17 No.6

        Seoul Fashion Week aims to be the world’s fifth Fashion Week from the year after 2000. This has involved significant labour and investment, not all of which has been successful. This study analyse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FW based on the London Fashion Week as a successful model. By identifying its obvious and less obvious characteristics, this analysis aims to diagnose SFW’s current status in order to upgrade the event at an international level. Key factors are organisational body, designers, visitors, sponsors, schedule, venue, main events and supportive events. The following points have emerged from the research: the success of Seoul Fashion Week wa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separate collections, an appropriate fashion show venue, and the active role of new designers. The problems were: lack of an independent organisation, non-professional staff, lack of diverse visitors, exclusive governmental funding, late timing, excessive distance from the main European and American fashion markets, lack of sustainability of the main events, a limited variety of supportive events, the absence of online promotion and, last but not least, no distinctive features. The study concludes that Seoul Fashion Week has great potential with its fast growth and young designers. This should be complemented with an independent organisation and effective administration and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