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만화영상사의 시대구분과 비평과제

        임재환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6

        The period classification and critique of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is a fundamental issue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nimation & webtoon. Such research projects have never been mentioned in organizations, including related academic associations. As a fusion science and composite art that applied the human-society, science-technology, culture-arts, the need and purpose of systematically exploring the study according to academic and artistic genres has emerged. First,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was divided into the period circle, the king's control, and the historical and educational era, and applied with the criticism tasks. It was identified as an ancient, middle-aged, modern, and modern Web-image history by integrating it with world history in the long and close relationship of the times, the ruling system of the royal ruling forces, and the history course of the education ministry. Second,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was divided into social and scientific stages, economic development stages, and subject categories to determine critical tasks. In terms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the history of the field was divided into ancient, traditional, and modern, with social, 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 history. Third,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was scientifically researched into the classification of prehistoric archaeological, geology, and anthropological periods. Stoneware by archaeological remains → Bronze Age → Iron Age and Paleozoic Era → Mesozoic → Neoclassical Phase. We explored the period by dividing it into plants and animals in stratified fossils, modern humans and anthropological cultural phenomena. Fourth, the period classification and criticism tasks were applied to the history of Korean Web-image with cultural and artistic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and industrial convergence technology. We extracted content such as cultural garden-style storytelling traditional culture, historical events and mythological legends related to culture and art, reproductions of screenings, game character products, learning contents, Finally, Web-imagists sought period classification and criticism tasks in the humanities-society, science-technology, and cultural-artistic fields as a comprehensive art in all academic fields. However, the history of cartoons could not be developed in detail and analytically, so many logic was summarized by reference and diagram, but did not elaborate. It is hoped that cartoon research will be activated by presenting as a draft proposal of Korean Web-image chronology and critical research tasks. 만화영상이 인문사회, 과학기술, 문화예술 등을 응용한 융합과학과 복합예술로서 학문적 영역과 예술적 장르에 따라 세계사와 한국사와 연계하여 체계적인 시대구분의 탐구가 필요하다. 한국만화영상사의 시대구분과 비평과제는 만화영상의 연구개발에 관한 당면한 현안과제이다. 첫째, 한국만화영상사를 인문학적으로 시대원근, 왕조정권, 역사교육적 시대를 구분하고 비평과제를 준용하였다. 시대의 멀고 가까움과 왕권 지배세력의 통치체제와 교육부의 역사교과과정에 세계사와 통합하여 고대→중세→근대→현대의 일반적인 만화영상사를 규명하였다. 둘째, 한국만화영상사를 사회과학적으로 사회발전단계, 경제발전단계, 주제분류로 시대를 나누고 비평과제를 가름하였다. 사회경제 발전적 측면에서 고대적→봉건적→근대시민적 사회발전단계와 원시공산→고대노예→중세봉건→자본주의→사회주의의 경제발전단계 그리고 사회사·문화사·정치사·경제사의 특정분야적인 만화영상사를 고찰하였다. 셋째, 한국만화영상사를 과학기술적으로 선사 고고학ㆍ지질학ㆍ인류학적 시대구분을 모색하고 비평과제를 탐구하였다. 고고학적 잔존물에 의한 석기→청동기→철기의 선사시대로부터 유사시대까지와 지질학적 현생누대의 고생대→중생대→신생대 단계에 지층 화석에서의 동식물과 현생인류 그리고 인류학적 문화 현상의 만화영상사를 탐색하였다. 넷째, 한국만화영상사를 문화예술적으로 문화원형적 문화콘텐츠와 문화산업적 융합기술로 시대구분과 비평과제를 적용하였다. 문화예술과 관련한 문화원형의 스토리텔링적 전통문화, 역사사건, 신화전설 등의 콘텐츠와 상영공연물, 게임캐릭터 제품, 학습물 콘텐츠 등의 재현 그리고 문화산업적 기술을 융합한 만화영상사를 추출하였다. 끝으로, 만화영상이 모든 학문 영역의 융합과학과 다양한 예술 분야의 종합예술로서 인문사회, 과학기술, 문화예술적 영역으로 나누어 시대구분과 비평과제를 모색하였다. 그런데 만화영상사를 구체적이고 분석적으로 전개하지 못하여 많은 논리를 참고 도표로 집약하였으나, 엄밀하게 규명하지 못하였다. 앞으로 한국만화영상의 역사적 특수성과 세계만화영상사의 보편성과 통합한 만화영상사 연표와 비평적 연구과제를 시안으로 제시하여 만화영상사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