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재난취약성과 재난복원력 연구: 재난안전취약계층의 복원력 지원체계 비교분석

        양기근,서민경 한국융합과학회 2019 한국융합과학회지 Vol.8 No.2

        Pupose : Out of the nation’s total population of 50 million (children, the elderly, the disabled, women, etc.) is about 36 percent, with 1 in 3 people surveyed as the disaster vulnerable people, and the trend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However, the organization in charge, budget, and legal system related to this matter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disaster resilience of the disaster vulnerable people, which are more vulnerable to disasters, so thar disaster damage from them can be minimized. Methods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isaster vulnerable people laws and support system, of the U.S., Japan, and Korea fo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saster resilience support system, along with case study of the disaster vulnerable people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based on the study on disaster vulnerability and disaster resilience of the disaster vulnerable people. Conclusion : Currently, Korea is centered on overcoming physical, institutional, and information barrier in the field of fire fighting, construction and administrative against the “support system of disaster vulnerable people in case of disaster” and in disaster management manuals, but as with Japan, enhancing community response capabilities should be emphasized and sufficient on-site surveys should be conducted on disaster safety and the disaster vulnerable people. In addition, the manual should be shared with individuals as well as various entities in the community (hospital, business, welfare facilities, schools, organizations, etc.) and should be designed to be easily understood by anyone. 연구목적 : 우리나라 총 인구 5천만 명 중 재난안전취약계층(아동, 노인, 장애인 여성 등)은 약 36%로 인구 3명 중 1명이 재난안전취약계층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담당조직, 예산, 법제도 등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난으로부터 더 취약성을 보이는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재난복원력을 향상시켜 재난의 취약성에 의한 재난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취약계층이 재난취약성과 복원력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재난취약성 사례연구와 함께 복원력 지원체계 비교분석을 위한 미국·일본·한국의 재난안전취약계층 관련 법률과 지원제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결론 : 현재 한국은 “재난 시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지원체계”에 대하여 소방·건축·행정 분야에서의 물리적·제도적 정보의 장애물 극복 중심으로 진행되며, 재난 관리 매뉴얼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 매뉴얼을 소지하고 있는 개인이 위주가 되지만, 일본과 마찬가지로 지역사회 대응력 제고가 강조되어야 하며, 재난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충분한 현장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매뉴얼의 공유대상에 있어서도 개인 외에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병원·기업·복지시설·학교·단체 등)로 이루어져야 하며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 KCI등재

        서민취약계층복지 관련 법제의 발전방향

        윤석진 한국법제연구원 2011 법제연구 Vol.- No.41

        Protection of vulnerable people in our country today,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is primarily responsible. But current law income and wealth, and by a person responsible for supporting consider only the absolute protection of the poor, and because it is insufficient for the protection of vulnerable people. Specifically, current law does not mean the relative poverty of vulnerable people is limited to the protection of economic demand. It also incorporates the payment of salaries paid individual because the people most vulnerable to social protection is insufficient demand. Dependent regulation is too strict and a person responsible for supporting do not receive legal protection by forming a dead zone is a major cause.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protection of vulnerable people suggests. The first,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award in determining the minimum cost of living is relatively proposed to introduce the concept of poverty. Second, payment of the consolidation benefit and the individual benefit to adopt a intermix approach, the social needs of vulnerable people to adapt to that proposed. Third, a person responsible for supporting dependent criteria and whether according to the actual supporting to be judged. 우리나라에서 서민취약계층의 보호는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주로 담당한다. 하지만 현행법은 소득과 재산, 부양의무자 등을 기준으로 절대적 빈곤층의 보호만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서민취약계층의 보호에 미흡하다. 구체적으로 현행법은 상대적 빈곤선을 예정하고 있지 않아 서민취약계층의 경제적 수요를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급여의 지급이 통합되어 지급되기 때문에 서민취약계층의 개별적인 사회적 수요를 보호하는 데 미흡하다. 그리고 부양의무자 기준이 너무 엄격하여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형성하는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민취약계층의 보호를 위한 발전방안으로 첫째,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최저생계비를 결정함에 있어 상대적 빈곤선의 개념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통합급여와 개별급여의 혼합방식을 채택하여, 서민취약계층의 사회적 수요에 유연하게 대처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부양의무자 기준이 실제 부양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판단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고령 노인의 인간 존엄성 존중 - 자율성 정체성 취약성의 측면에서 -

        김도균 ( Kim Dokyun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대학교 法學 Vol.61 No.4

        인간 존엄성에 관한 논의는 인간 존엄성의 토대인 인간 공통의 속성을 찾는 데 주력하지만, 이 글에서는 고령 노인의 인간 존엄성 유지에 주안점을 두고 인간 존엄성의 기반인 속성 및 능력의 보유와 그 실현에 주목할 것이다. 우선, 유의미한 삶을 영위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서 인간 존엄성의 세 가지 측면과 요소를 ① 자율성/자기결정능력, ② 정체성 형성과 유지, ③ 육체적 존재로서의 인간 공통의 취약성으로 분해하여 설명한다. 그런 후에는 자율성의 요소를 관계적 자율성관의 입장에서 해명하고 관계적 자율성 능력을 보호하고 증진할 여건에 주목하여, 관계적 자율성 능력의 목록을 확장할 것이다. 그리고 고령 노인에 특유한 인간 존엄성 요소로서 취약성을 염두에 두고서 인간의 취약성을 세 차원으로 구분한다. 인간 본래의 존재론적 취약성, 각 개인들 또는 집단이 처한 상황적 맥락에서 생겨난 상황관련적 취약성, 사회적 편견 및 제도적 차별 또는 사회경제적 불평등이나 정치적 억압과 같이 사회전반에 뿌리 깊이 박혀 있고 만연한 사회구조적 부정의에서 기인하는 취약성으로 구분한 후, 인간 존엄성을 강조하게 된 배경조건으로서 취약성을 논할 것이다. 이런 배경하에서 고령 노인에 특유한 인간 존엄성의 문제를 의존성과 취약성의 맥락에서 고찰하여 고령 노인의 인간 존엄성 유지에 장애가 되는 요인들과 인간 존엄성의 증진에 필요한 조건을 제시한다. Why does human dignity matter and what is human dignity? The concept of human dignity as an essentially contested concept has a complex structure, and therefore is difficult to define. Although the lack of a common definition led the different legal systems to give different and conflicting meanings to the concept, courts and citizens have invoked the notion of human dignity in many cases regarding the same-sex couples, patients, prisoners, detainee, asylum seekers, and people wishing to end their lives. Human dignity has a core meaning, which pertains to all human beings to the same extent. That is, human dignity refers to a kind of dignity that we all have just because we are all human beings. The question which this article deals with is: is there a dignity particularly to older people, which requires that special attention be paid to them? To approach and answer the question, i.e. a specific dignity that pertains to older people, we should take the trajectory of human life into account and incorporate this fact into the dignity of older people. Then, an account of the specific dignity of older people should b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ree aspects that human dignity has: personal autonomy and self-determination, mutual relationship and dependence, and vulnerability. Especially, the aspects of dependence and vulnerability have a special significance to the dignity of older people in modern societies that place the highest value on features as independence, competence and productivity.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gnity of older people our legal system should take the dependence and situational vulnerability of older people seriously.

      • KCI등재

        팬데믹 상황에서 감염병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법제방안 -장애인 보호 문제를 중심으로-

        백옥선 사회복지법제학회 2020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1 No.2

        코로나19로 인한 세계보건기구(WHO)의 팬데믹(Pandemic) 선포 이후 우리사회는 생각지 못한 많은 새로운 변화를 겪고 있다. 그동안의 감염병 상황과는 달리 코로나19에 대한 대응과정에서는 기본권 침해가 발생할 수 있는 사안에 대한 여러 가지 법적 검토가 적극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번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 관련 문제 역시 코로나19 상황에서 여러 가지 공법적 논의를 촉발시키고 있다. 장애인에 대해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일반적인 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제공상의 한계는 물론, 장애인 관련 시설의 폐쇄의 적절성 문제, 재난취약계층으로서 장애인의 정보접근상의 문제 등이 지적되고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장애인 보호문제임과 동시에 재난불평등 해소 혹은 재난취약계층 보호 문제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코로나19 상황에서는 장애인과 같은 취약계층에 대한 특별한 고려를 위한 법제 개편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번 코로나19 사태는 재난취약계층도 재난의 유형별로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노인이나 장애인과 같은 취약계층이 처한 어려움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감염병 재난상황에서 취약계층을 특별하게 고려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도 강조된다. 그 중에서도 장애인에 대한 대책은 메르스 사태 이후 아직까지 크게 달라지지 못했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으며, 장애인은 건강권 보장차원에서 감염병 재난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취약계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심각성이나 시급성 차원에서 볼 때 맞춤형 대책과 근본적인 법제개선이 필요한 재난취약계층을 장애인으로 한정하였다. 이번 코로나19 상황에서 논란이 있었던 기존 장애인 복지정책 등과 충돌될 수 있거나 발생할 수 있는 법제상의 한계를 검토한 결과 장기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법제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현행법제는 감염병 상황에서 재난취약계층을 보호하여야 하는 국가의 의무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을 충분하게 고려하고 보호할 수 있는 입법체계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감염병상황에서의 재난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감염병 대응과정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장애인복지시설등의 시설격리는 현행법상 장애인 시설이나 인력기준에 비추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이 되지 못하므로 감염병 상황을 대비한 시설등의 기준의 개편이 필요하다. 장애인돌봄서비스의 지속적인 제공을 위해 장애인 돌봄서비스와 관련된 법적 근거를 보완할 필요가 있으며, 장애인이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정보 접근에 관한 필요 항목들을 법제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Following the declaration by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of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South Korean society has been experiencing many unexpected changes. Unlike previous infectious diseases,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COVID-19 cases where basic rights may be infringed have called for active review from a legal perspective. In addition, public debate has been triggered regarding the problems faced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by the socially disadvantaged disabled persons.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the limitations in providing general services, closing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the limited flow of information to socially vulnerable groups were criticized. These issues are not only general problems that are faced with regards to the protection of disabled persons, but also simultaneously matters of resolving issues regarding inequality and the protection of vulnerable social groups during disasters. Despite this,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there has been very little legislative reform to protect the disabled and similar vulnerable social groups. The COVID-19 situation has shown that socially vulnerable groups can vary depending on the form of disaster and has highlighted the difficulties faced by the elderly, disabled and similar groups. This has put emphasis on the need to find ways take institutional measures to allow vulnerable socials groups to be given special consideration during disasters such as infection diseases.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criticism that measures for the disabled persons have not changed greatly since the MERS situation and in order to secure the health rights for the disabled there is a need to prepare infectious disease disaster countermeasures with the consideration that the disabled would be considered a priority vulnerable social group. Therefore, this paper, considering the factors of severity and urgency, has defined the vulnerable social group in need of customized measures and improvement in basic legislation in situations of disaster to the disabled. After reviewing controversial issues that arose during the COVID-19 including those that could conflicting with pre-existing disabled person welfare policy or potential legislative limitations, it can be derived that the following methods are necessary to seek legislative measures to revise legislation in the long term. Despite the duty of the state to protect vulnerable social groups during disaster, as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current legislative system, there needs to be legislative improvement to protect such groups during situations of infectious diseases. In addition, the isolation or quarantine of facilities such as welfare institutes for the disabled has been criticized as a flaw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and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in terms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manpower standards is unable to appropriately respond to disaster situations. Thus, there is a need to reform the standards of facilities and etc. in order to prepare against situations of infectious diseases. In order to continue to provide disabled care services, legal groundings of such services must be revised and for disabled persons to respond effectively in disaster situations there needs to be legislative improvements in the defining the required items for accessing information.

      • 원자력 사고 발생시 특정지원 수요자 지원방안 : 갑상선 방호 약품 배포를 중심으로

        박영화,네모토 마사쯔구 국가위기관리학회 2016 국가위기관리학회보 Vol.8 No.1

        재난약자, 재난취약계층 등에 대한 연구가 일정정도 축적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 는 원자력 사고 발생이라는 구체적 상황에서 실제적 지원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재난시 특정지원 수요자’라는 개념을 제시한 다음 원자력 사고 발생시 갑상선 방호 약품 배포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 및 특히 일본의 매뉴얼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 과 일본의 경우 지자체 역할로 주민에 대한 갑상선 방호 약품의 배포, 복용 지시, 구입・비 축, 설명, 사전배포 시 수령서 배포・회수, 개인정보 관리 그리고 의료제공 체제 정비 등이 있다. 한편 재난시 특정지원 수요자에 대해서는 ‘피난행동 요지원자 대책’과 연계하여 명단 작성, 정보 공유, 일반주민보다 빠른 단계의 지원계획 수립 등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한국 에서도 재난시 특정지원 수요자에 대한 지자체 역할을 포함한 법제도적 지원체계 정비를 검토할 필요성이 시사된다. This study analyzes distribution system of potassium iodide for vulnerable people in nuclear disaster. At first we review the system in Korea and then especially in Japan. As a result local governments have roles to distribute, guide, purchase, keep, manage potassium iodide and collaborate with medical support in Japan. Furthermore these local governments have another role to make name list of vulnerable people to disaster in order to formulate each specific evacuation plans which can take refuge faster than non-vulnerable people. On the other hand, in Korea, the structure is not enough to have an accurate grasp of vulnerable people to disaster in each local government. It requires consideration to built a legal system to support vulnerable people to disaster includes nuclear disaster in Korea.

      • KCI등재

        공공보건의료제도의 강화 인식에 대한 연구: 의료취약지역 지원의 조절효과

        조창익(Chang-Ik Jo),이종석(Jong-Seok Lee),정득(Deuk Jung) 한국보건복지학회 2020 보건과 복지 Vol.22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이 인식하고 있는 보건의료제도의 변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요소가 공공의료의 강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의료취약계층 지원’에 대한 인식이 ‘공공의료의 강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의료취약지역 지원’의 인식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조절효과를 함께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 전국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2018 의료서비스 경험조사」를 활용하였고, 연구대상은 4,346명이었다. 연구결과 보건의료제도의 변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요소(본인부담금 감소, 대형병원 쏠림 억제, 의료취약계층 지원, 의료취약지역 지원) 모두 공공의료의 강화 인식에 정(+)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의료취약지역 지원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고, 의료취약계층 지원에 대한 인식이 공공의료의 강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변수였다. 이것은 의료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정책이나 사업은 의료취약지역 지원에 대한 인프라로서 공공병원과 의료시설 및 의료진 등이 동시에 마련될 때 공공의료의 강화에 대한 인식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Using the “2018 Medical Service Experience Survey” data of KIHASA,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whether the factors the Korean people recognize for change in health care system have impacts on enhancing public health care. The moderating effect of ‘support for medically vulnerable areas’ is additionally carried out on the causal relation between ‘support for medically vulnerable people’ and ‘enhancement of public health care.’ The study presents that all the factors for change in health care system (reduction of out-of-pocket cost, reduction of concentration on tertiary hospitals, support for medically vulnerable people, and support for medically vulnerable areas, etc.) show positive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public health care, while the variable of ‘support for medically vulnerable areas’ has the biggest effect in line with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causality. These results imply that when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design and implement policies or projects to support the medically vulnerable people, public hospitals and facilities along with medical staff need to be concurrently reinforced as infrastructure to support medically vulnerable areas.

      • KCI등재

        안전약자 상층 대피 지원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지향 ( Ji Hyang Lee ),이효정 ( Hyo Jeong Lee ),권진석 ( Jin Suk Kwon ),박상현 ( Sang Hyun Park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9 한국안전학회지 Vol.34 No.1

        This study is aiming to compare stair ascent transportation speed and physical burden of evacuation support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stair ascent transportation for vulnerable people experimentally. In this study, we measured heart rate of the supporters to indicate physical burden during the transportation.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 were male students, age of 20-26.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the ways of stair transportation and the weight of vulnerable people. The types of stair transportation were giving a piggyback ride and carrying a wheelchair. Each experimental trial was video-recorded for measurement of ascent speed and observing supporters movement.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as for the ascent transportation speed by piggyback ride from the first floor to the fourth floor, the average speed of the light case is 31 seconds and for the heavy case is 43 seconds. When it comes to the average speed of wheelchair transportation’s average speed the light case is 1 minute and 11 seconds and the heavy case is 1 minute and 49 seconds. Therefore, it was indicated that when the weight of a vulnerable people is lighter, the transportation speed is faster. The heart rates of evacuation supporter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ransportation methods or individual’s condition but as repetitive transportation increases, they tend to reach the maximum heart rates.

      • KCI등재

        노령자의 팬데믹에서의 일상생활장애, 사회적 지지와 생활회복력의 척도개발연구 - 코로나19를 중심으로 -

        송유진,권설아,윤채영,김주연,조민경,변성수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2 Crisisonomy Vol.18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llenges faced by groups that are vulnerable to disasters during a pandemic by developing criteria to measure disabilities in daily life,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in elderly people during a pandemic. To this end, prior research was reviewed,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lderly people. After analyzing the responses of the interview,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tools were organized and used to conduct a survey with 140 senior people living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us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riteri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riteria to examine difficulties in daily life included disorders in complying with hygiene practices, participating in outside activities, receiving vaccination, and psychological disorders. The criteria for social support consisted of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and those for resilience were composed of emotional intelligence, financial ability, problem-solving skills, and ability to request help. The criteria are expected to serve as a useful tool for examining the daily life of vulnerable people during a pandemic and providing systematic support when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are predicted or occurring.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취약계층이 팬데믹 상황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진단하기 위한 ‘팬데믹상황에서의 노령자의 일상생활 장애, 사회적 지지, 생활회복력의 척도’를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를수행하기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노령자를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을 수행하였으며, 면접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측정도구를 정리하여 국내에 거주하는 노령자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일상생활장애를 진단하는 척도는 위생수칙준수장애, 외부활동장애, 백신접종장애, 심리적장애로 구성되었다. 사회적지지를 진단하는 척도는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로 구성되었으며, 생활회복력 척도는 정서적능력, 경제적 능력, 문제해결능력, 도움요청능력으로 구성되었다. 본 척도는 미래에 감염병 재난이 예견되거나 진행될 때 본 척도를 활용하여 팬데믹 상황에서 생활자의 일상을 진단하여 제도적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재난약자로서 시각장애인을 위한 피난지리정보 제공에 대한 연구

        오충원,안재성,오윤진 국토지리학회 2017 국토지리학회지 Vol.5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vacuation Geographic Information to Blind People as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 of user - centered evacuation geographical information was derived. Secondly, we analyzed the content and delivery method of evacuation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visually impaired through analyzing the evac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impaired. Thirdly, we proposed an Evacuation Tactile Map consisting of disaster information and evacuation path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The evacuation tactile map can support Personal Emergency Evacuation Pla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ly impaired. This can guarantee the safety of the vulnerable people including blind people. 본 연구는 재난약자로서 시각장애인을 위하여 효과적인 재난지리정보 제공 방안을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약자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사용자 중심의 피난지리정보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둘째, 시각장애인의 대피특성을 분석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적합한 피난지리정보의 내용과 전달 방식을 제안하였다. 셋째, 시각장애인을 위한 피난지리정보 제공을 위해 재난특성별 재난대비정보, 공간특성별 재난대비정보로 구성되는 피난촉지도의 구성을 제안하였다. 피난촉지도는 시각장애인의 특성에 따른 개인화된 재난대응계획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을 비롯한 재난약자에 대해 국민의 안전권을 보장할 수 있다.

      • KCI등재

        Alleviating Disaster Vulnerability and Improving Resilience of the Elderly

        Won Hee Chung,양기근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2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Vol.12 No.1

        When disasters occur, older people are more at risk than other age groups. This is because physical fitness, hearing, and vision deteriorate due to aging, and physical movement is not easy. Nevertheless,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on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elderly who have disaster-safety vulnerabilities, and the recognition and behavior of the disaster risks of the elderly. In the age of aging, it is necessary to prepare systematic measures against disaster vulnerability and to promote resilience for the elderly. And it is urgent to implement practical disaster safety policies for the elderly as disaster-vulnerable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aster vulnerability of elderly people and to improve their resilience in the age of ag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elderly people's disaster vulnerability, inclu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elderly and their recognition of disaster safety. This paper suggests: disaster vulnerability management that reflects the disaster vulnerability and desire of the elderly,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enhancing the resilience of disaster recovery of the elderly, the development, education, and training with disaster-response manuals for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