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치의 통일성은 어떻게 가능할까? - 드워킨의 가치통일이론 탐색과 해설 -

        장진화,홍로 한중법학회 2019 中國法硏究 Vol.37 No.-

        가치의 통일성은 드워킨이 쓴 《고슴도치의 정의》의 책 중에 논쟁의 핵심 명제이다. 이 명제의 기본 주장: 이론 가치와 도덕 가치가 통일이라는 것은 논 의를 하여 가치의 통일은 사람의 존엄이다. 하지만 이 주장을 입증하려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드워킨이 우선 두 이론의 도전과 질의에 직면하다. 하나는 가치 회의주의 이론, 또 하나는 가치 다원주의 이론이다. 그 중에서 가치 회의 주의는 흄의 원칙에 기초하다. 가치관의 “객관성 및 진실성”을 반대했다 ; 가치 다원주의는 다른 가치간 사이에 피할 수 없는 “충돌” 및 “불가 통과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여긴다. 이러한 이론 곤경에 직면하여 드워킨이 한편으로 는 가치 독립성을 분석을 통해 가치의 “객관성 및 진실성”은 외적일 필요가 없 는 객관적 가치실체(또는 “도덕씨앗”)를 뒷받침함으로써 가치 회의주의의 의문 에 효과적으로 응답했다. 한편, 그는 구성적 해설로 서로 다른 가치 간의 통일 성을 통합하고, 통달적이고 통일적인 “가치적 그물”을 구축해 가치 다원주의의 도전을 성공적으로 해소한 것이다. 따라서 가치 회의주의와 가치다원주의는 가치 통일성에 대한 치명적인 위협이 되지 않다. 다시 말하자면 그들은 가치 통일성을 방해하거나 부정할 가능성이 없다. 이론적 장벽의 제거 임무를 완성한 후, 드워킨은 윤리를 시작으로 존엄의 두 가지 원칙(자기존중과 본진성)을 바탕으로 “책임제도”를 연결 고리로 하여 “윤 리적 책임 — 개인의 도덕적 책임 — 정치의무의 한 사람의 권력”의 가치통일 이론의 형성과정과 내적논리를 연출하였다. 우선, 가치통일 이론의 내적논리의 출발점은 윤리적 가치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일종의 특수한 윤리가치——인간의 존엄이다. 드워킨이 보기에 인간의 존엄은 두 가지 기본원칙을 포함한다. 하나 는 자신을 존중한 원칙이다. 또 하나는 본진성원칙이다. 전자는 모든 사람이반드시 자신의 삶을 진지하게 대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고, 후자는 모든 사람 은 특수한 개인적인 책임이 한 가지를 가지고 있고, 그 자신의 삶에서 무엇이 성공했는지를 확정하기 위해서다. 존엄의 두 가지 원칙을 통해 드워킨은 개인 의 윤리적 책임에서 도덕적 책임으로의 이행을 완수했다. 다음으로, 존엄성의 두 가지 원칙은 세 가지 다른 책임을 명시한다. 첫째, 윤리적인 책임, 모든 사 람이 자신에게 져야 할 윤리적 책임, 둘 째, 도덕적 책임, 즉, 모든 사람이 타인 에 대해 져야 할 도덕적 의무이다; 세 번째는 정치의 책임, 즉 정치 공동체가 그가 다스리는 모든 국민이 져야 할 정치적 의무이다. ‘책임제도’를 통해 드워 킨은 도덕적 책임에서 정치적 의무로의 이행을 실현했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의무는 국민 권리와 일체 양면이며, 정치 공동체가 져야 할 해당한 정치적 의 무이다. 실제로 국민들이 누리는 것은 이 정치 공동체에 대항할 수 있는 개인 의 권리이기도 한다. 그 중에는 주로 정치적 권리, 법률권리, 그리고 인권이 포함된다. 시각적인 전환을 통해 드워킨은 정치적 의무에서 개인의 권리로의 이행을 실현했다. 이것에 의해, 윤리, 도덕, 정치, 법률 등 다양한 가치가 드워 킨에 의해 성공적으로 하나가 되어, 가치의 나무 모양의 구조를 형성하였다. 법률은 정치도덕의 한 갈래이고, 정치도덕은 개인 도덕의 하나의 갈래이며, 개 인도덕도 논리적 삶의 한 갈래가 된다. 이것은 그의 가치 통일 이론의 내적 논리이자 가치 통일 이론의 형성 과정이다. 따라서 드워킨이 가치 통일이론의 논증에 대해 성공적이다. 다시 말하자면 가치의 통일성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드워킨의 가치 통일이론의 중요한 의미는 그가 일종의 새로운 정의관을 제 시하거나 정부의 합법성을 판단하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려고 했다는 것인데, 이러한 정의관과 판단 기준, 그리고 롤즈의 정의론과는 뚜렷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그는 사람에게 훈계했다. 첫째, 어떤 정부의 합법성도 존엄의 두 가지 기본 원칙에 기초해야 하며, 어떤 정부도 책임과 의무가 있다. 모두 국민에게 존엄 도 있고 행복한 삶을 살도록 다스려야 한다. 둘째로, 모든 사람은 자신의 존엄 성을 진지하게 대해야 한다. 이는 모든 사람의 윤리적 책임이자 동시에 모든 사람의 도덕적 책임이다. The unity of value is the core proposition demonstrated by Dworkin in his book Justice for hedgehogs. The basic viewpoint of this proposition is that ethical value and moral value are unified, and the unity of value is human dignity. While, it is very difficult to prove this proposition. Dworkin must face the challenge of two theories at first: one is the value skepticism theory; the other is the value pluralism theory. Among them, value skepticism, based on Hume's principle, denies the “objectivity and truth” of value. Value pluralism holds that different values are inevitably “conflicting” and “incommensurable”. In the face of such a theoretical dilemma, Dworkin, on the one h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dependence of value, and points out that the “objectivity and truth” of value does not need external objective value entities (or “moral particles”) as a support, thus effectively responding to the questioning of value skepticism. On the other hand, he integrated the unity of different values through constructive interpretation and constructed a “web of values” with coherence and unity, thus successfully eliminating the challenge of value pluralism. Therefore, value skepticism and value pluralism do not pose a fatal threat to the unity of value. In other words, they do not hinder or deny the possibility of value unity. After clearing the theoretical barriers, Dworkin starts with ethics, bases on the two principles of dignity (self-respect and authenticity), and takes the responsibility system as the link, deduces the formation process and internal logic of the unity of values—form the ethical responsibility to individual moral responsibility, form individual moral responsibility to political obligation, and form political obligation to individual right. First of all, the logical starting point of the unified theory of value is ethical value. Specifically, it is a special ethical value—human dignity. In his views, human dignity consists of two basic principles: self-respect and authenticity. The former requires everyone to take his life seriously. The latter requires that each person has a special personal responsibility to determine what constitutes success in his own life. Secondly, according to Dworkin, these two principles of dignity do triple responsibility. First is the ethical responsibility, they provide guidance about what we should do in order to live well. The second is moral responsibility,each person's moral obligation to others. The third is political responsibility, the political obligation of the political community to every citizen under its jurisdiction. Finally, political obligations and civil rights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The political obligations undertaken by a political community are actually the individual rights enjoyed by citizens against the political community. It mainly includes political rights, legal rights and human rights. Thus, various values such as ethics, morality, politics and law were successfully integrated by Dworkin, forming a tree-like structure of values: law is a branch of political morality, political morality is a branch of individual morality, and individual morality is a branch of ethical life. This is not only the internal logic of his unified theory of value, but also the formation process of his unified theory of value. It can be seen that Dworkin's demonstration of the unified theory of value is successful, that is, the unity of value is possible. The significance of Dworkin's unified theory of value is that he tries to put forward a new view of justice or a new standard for judging the legitimacy of government, which is obviously different from Rawls's theory of justice. He cautions that: first, the legitimacy of any government must be based on two fundamental principles of dignity; And it is the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of any government to ensure that every citizen it governs lives well with dignity and happiness. Second, everyone must take seriously their own dignity, which is everyone's ethical responsibility, but also everyone's moral responsibility.

      • KCI등재

        价值的统一性何以可能? - 德沃金的价值统一理论探释 -

        张振华 한중법학회 2019 中國法硏究 Vol.37 No.-

        가치의 통일성은 드워킨이 쓴 《고슴도치의 정의》의 책 중에 논쟁의 핵심 명제이다. 이 명제의 기본 주장: 이론 가치와 도덕 가치가 통일이라는 것은 논 의를 하여 가치의 통일은 사람의 존엄이다. 하지만 이 주장을 입증하려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드워킨이 우선 두 이론의 도전과 질의에 직면하다. 하나는 가치 회의주의 이론, 또 하나는 가치 다원주의 이론이다. 그 중에서 가치 회의 주의는 흄의 원칙에 기초하다. 가치관의 “객관성 및 진실성”을 반대했다 ; 가치 다원주의는 다른 가치간 사이에 피할 수 없는 “충돌” 및 “불가 통과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여긴다. 이러한 이론 곤경에 직면하여 드워킨이 한편으로 는 가치 독립성을 분석을 통해 가치의 “객관성 및 진실성”은 외적일 필요가 없 는 객관적 가치실체(또는 “도덕씨앗”)를 뒷받침함으로써 가치 회의주의의 의문 에 효과적으로 응답했다. 한편, 그는 구성적 해설로 서로 다른 가치 간의 통일 성을 통합하고, 통달적이고 통일적인 “가치적 그물”을 구축해 가치 다원주의의 도전을 성공적으로 해소한 것이다. 따라서 가치 회의주의와 가치다원주의는 가치 통일성에 대한 치명적인 위협이 되지 않다. 다시 말하자면 그들은 가치 통일성을 방해하거나 부정할 가능성이 없다. 이론적 장벽의 제거 임무를 완성한 후, 드워킨은 윤리를 시작으로 존엄의 두 가지 원칙(자기존중과 본진성)을 바탕으로 “책임제도”를 연결 고리로 하여 “윤 리적 책임 — 개인의 도덕적 책임 — 정치의무의 한 사람의 권력”의 가치통일 이론의 형성과정과 내적논리를 연출하였다. 우선, 가치통일 이론의 내적논리의 출발점은 윤리적 가치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일종의 특수한 윤리가치——인간의 존엄이다. 드워킨이 보기에 인간의 존엄은 두 가지 기본원칙을 포함한다. 하나 는 자신을 존중한 원칙이다. 또 하나는 본진성원칙이다. 전자는 모든 사람이 반드시 자신의 삶을 진지하게 대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고, 후자는 모든 사람 은 특수한 개인적인 책임이 한 가지를 가지고 있고, 그 자신의 삶에서 무엇이 성공했는지를 확정하기 위해서다. 존엄의 두 가지 원칙을 통해 드워킨은 개인 의 윤리적 책임에서 도덕적 책임으로의 이행을 완수했다. 다음으로, 존엄성의 두 가지 원칙은 세 가지 다른 책임을 명시한다. 첫째, 윤리적인 책임, 모든 사 람이 자신에게 져야 할 윤리적 책임, 둘째, 도덕적 책임, 즉, 모든 사람이 타인 에 대해 져야 할 도덕적 의무이다; 세 번째는 정치의 책임, 즉 정치 공동체가 그가 다스리는 모든 국민이 져야 할 정치적 의무이다. ‘책임제도’를 통해 드워 킨은 도덕적 책임에서 정치적 의무로의 이행을 실현했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의무는 국민 권리와 일체 양면이며, 정치 공동체가 져야 할 해당한 정치적 의 무이다. 실제로 국민들이 누리는 것은 이 정치 공동체에 대항할 수 있는 개인 의 권리이기도 한다. 그 중에는 주로 정치적 권리, 법률권리, 그리고 인권이 포함된다. 시각적인 전환을 통해 드워킨은 정치적 의무에서 개인의 권리로의 이행을 실현했다. 이것에 의해, 윤리, 도덕, 정치, 법률 등 다양한 가치가 드워 킨에 의해 성공적으로 하나가 되어, 가치의 나무 모양의 구조를 형성하였다. 법률은 정치도덕의 한 갈래이고, 정치도덕은 개인 도덕의 하나의 갈래이며, 개 인도덕도 논리적 삶의 한 갈래가 된다. 이것은 그의 가치 통일 이론의 내적 논리이자 가치 통일 이론의 형성 과정이다. 따라서 드워킨이 가치 통일이론의 논증에 대해 성공적이다. 다시 말하자면 가치의 통일성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드워킨의 가치 통일이론의 중요한 의미는 그가 일종의 새로운 정의관을 제 시하거나 정부의 합법성을 판단하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려고 했다는 것인데, 이러한 정의관과 판단 기준, 그리고 롤즈의 정의론과는 뚜렷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그는 사람에게 훈계했다. 첫째, 어떤 정부의 합법성도 존엄의 두 가지 기본 원칙에 기초해야 하며, 어떤 정부도 책임과 의무가 있다. 모두 국민에게 존엄 도 있고 행복한 삶을 살도록 다스려야 한다. 둘째로, 모든 사람은 자신의 존엄 성을 진지하게 대해야 한다. 이는 모든 사람의 윤리적 책임이자 동시에 모든 사람의 도덕적 책임이다. The unity of value is the core proposition demonstrated by Dworkin in his book Justice for hedgehogs. The basic viewpoint of this proposition is that ethical value and moral value are unified, and the unity of value is human dignity. While, it is very difficult to prove this proposition. Dworkin must face the challenge of two theories at first: one is the value skepticism theory; the other is the value pluralism theory. Among them, value skepticism, based on Hume's principle, denies the “objectivity and truth” of value. Value pluralism holds that different values are inevitably “conflicting” and “incommensurable”. In the face of such a theoretical dilemma, Dworkin, on the one h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dependence of value, and points out that the “objectivity and truth” of value does not need external objective value entities (or “moral particles”) as a support, thus effectively responding to the questioning of value skepticism. On the other hand, he integrated the unity of different values through constructive interpretation and constructed a “web of values” with coherence and unity, thus successfully eliminating the challenge of value pluralism. Therefore, value skepticism and value pluralism do not pose a fatal threat to the unity of value. In other words, they do not hinder or deny the possibility of value unity. After clearing the theoretical barriers, Dworkin starts with ethics, bases on the two principles of dignity (self-respect and authenticity), and takes the responsibility system as the link, deduces the formation process and internal logic of the unity of values—form the ethical responsibility to individual moral responsibility, form individual moral responsibility to political obligation, and form political obligation to individual right. First of all, the logical starting point of the unified theory of value is ethical value. Specifically, it is a special ethical value—human dignity. In his views, human dignity consists of two basic principles: self-respect and authenticity. The former requires everyone to take his life seriously. The latter requires that each person has a special personal responsibility to determine what constitutes success in his own life. Secondly, according to Dworkin, these two principles of dignity do triple responsibility. First is the ethical responsibility, they provide guidance about what we should do in order to live well. The second is moral responsibility, each person's moral obligation to others. The third is political responsibility, the political obligation of the political community to every citizen under its jurisdiction. Finally, political obligations and civil rights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The political obligations undertaken by a political community are actually the individual rights enjoyed by citizens against the political community. It mainly includes political rights, legal rights and human rights. Thus, various values such as ethics, morality, politics and law were successfully integrated by Dworkin, forming a tree-like structure of values: law is a branch of political morality, political morality is a branch of individual morality, and individual morality is a branch of ethical life. This is not only the internal logic of his unified theory of value, but also the formation process of his unified theory of value. It can be seen that Dworkin's demonstration of the unified theory of value is successful, that is, the unity of value is possible. The significance of Dworkin's unified theory of value is that he tries to put forward a new view of justice or a new standard for judging the legitimacy of government, which is obviously different from Rawls's theory of justice. He cautions that: first, the legitimacy of any government must be based on two fundamental principles of dignity; And it is the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of any government to ensure that every citizen it governs lives well with dignity and happiness. Second, everyone must take seriously their own dignity, which is everyone's ethical responsibility, but also everyone's moral responsibility.

      • 변화하는 시대와 교회의 가치관 교육

        김성수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6 고신신학 Vol.- No.8

        오늘날의 변화하는 사회속에서 교회가 아동 및 청소년들에게 성경에 기초한 독특한 가치를 가르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가정과 학교, 또래집단, 그리고 사회 전반의 지배적인 가치들이 모두 기독교공동체가 지향하는 가치와는 상반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인본주의와 세속주의, 포스트 모더니즘과 다원주의, 물질주의와 쾌락주의적인 가치관이 지배하는 사회 속에서 교회가 아동 및 청소년들을 위한 가치관 교육을 어떠한 내용과 방법으로 감당해야 할 것인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1970년대 이후로 도덕적 가치교육에는 주로 두 가지 방법이 지배적이었다. 하나는 시드니 사이몬(Sidney Simon)의 가치정화이론(values clarification)이고, 다른 하나는 콜버거(Lawrence Kohlberg)의 도덕발달이론에 근거한 도덕적 추론접근(moral reasoning approach)이다. 그러나 가치정화이론과 콜버거의 도덕발달이론은 모두 변화하는 시대의 아동을 위한 가치관교육의 올바른 방법이 될 수 없다. 가치는 일반적으로 가르쳐지는 것이라기 보다는 '붙잡는 것'(caught)이기 때문에 교회는 명시적으로나 암묵적으로 아동들의 가치에 무엇이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조심스럽게 살펴야 한다. 교회의 가치관 교육은 가정 및 학교와 협력하는 가운데 모범을 통해서, 그리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교회가 관심을 가져야 할 가치교육의 내용은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으로 요약될 수 있다. 위로 하나님을 사랑하고 아래로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포괄적인 계명을 근거로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인정하는 범위 내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It certainly is not an easy task to teach the values that are based upon the Bible to the children andthe youth of the church in today's changing society where the dominant values are radically opposed to the values of the faith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and with what content should the church within a society that is dominated by the values of humanism, secularism, postmodernism, pluralism, materialism, and hedonism educate the covenant children about values. Since after the 1970's, two kinds of approaches have prevailed in the areas of moral education. One is the values clarification approach of Sidney Simon, and the other is the moral reasoning approach by Lawrence Kohlberg. Kohlberg's moral reasoning approach can serve as appropriate methods of moral education for the covenant children. Since values are not things that are taught but rather caught, the faith community should observe carefully what is affecting the values of the children either implicitly or explicitly. The value education of the church should be carried on cooperatively with the family and the school. The church's education of values should be done cooperatively with the family and the school in various ways. The contents of the value education of the church should focus on the great commandment to "love your God and love your neighbours yourself."

      • 존 그레이의 포스트 자유주의 : 반계몽주의와 가치다원주의

        장세룡(Jang Se-yong) 계명사학회 2006 계명사학 Vol.17 No.-

        The movement in John Gray's thought-from neo-liberalsm to conservatism, and thence via value-pluralism and modus-vivendi liberalism to radical anti-humanism-can each case be understood as responding to failure by attempts to find a new and more modest role for theory. Gray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reinterpretating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Isaiah Berlin's notion of value-pluralism. While Berlin saw pluralism as intimately linked to liberal values and institution. Gray question that connection. At most, he argues, pluralism--the idea that human values are irreducibly multiple, potentially conflicting, incombinable and sometimes incommensurable--implies an 'agonistic' form of liberalism, conscious of its limitation as no more than one legitimate political form among others. In this essay trace the development of Gray's view through three successive stages: an early 'subjectivist' phase, in which political choice among rural values is seen as fundamentally non-rational ; a middle 'contextualist' peorids. where reasoned chioice among plural values is allowed to be possible within specific cultural traditions, implying a broadly conservative politics;a recent 'pragmatic' turn towards the notion of modus vivendi as a means of adjudicating conflicts among competing traditions.

      • KCI등재후보

        다원주의 시대의 기독교윤리 방향

        장성민(Jang, Sung-Min) 개혁신학회 2009 개혁논총 Vol.1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owards which Christian ethics should be directed in modern times characterized by pluralism. The pluralism has permeated into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its culture, which has been one of threatening currents with which Christianity is confronted. The critical impacts made by the ism are far-reaching to the extent which they even encompass the area of ethics as well as religion (i.e., the emergence of religious pluralism). We, consequently, live in ‘the age the foundations are destroyed' which means traditional norms and sense of value are deconstructed. Given this, there is a need to address postmodernism featured by pluralism in the light of ethical viewpoint. Postmodernism is the culture where metanarrative is disintegrated and transcendental or universal norms and values are not adopted: moral universalism is not accepted in the postmodernism. Such a perspective even includes denying minimal foundations required to maintain a community, which results in the emergence of pluralism and in turn nihilism. This phenomenon, therefore, lends itself to the loss of community. That accounts for the failure of ethics in modern society. Also, there is a need to deal with how to define pluralism itself. As for this matter, normative plurality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descriptive one, with the former leading to ethical problems while the latter not. This distinction might be conducive to establish Christian ethics in the age of pluralism. It can be asserted that Christian ethics should be God-based and devotion and love-oriented rather than Constantinian Christianity-like. That is, it should be of divine command morality which stems from divine credentials.

      • KCI등재

        진리의 다원성과 본래적 가치

        김동현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3 No.-

        본고는 진리가 지닌 본래적 가치와 진리의 본체성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의 질문에 대한 답을 모색한다. 진리의 본체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본고는 진리 개념이 불투명한 개념이라는 뜻으로 규정한다. 대표적인 진리 다원주의자인 마이클 린치(Michael P. Lynch)는 진리의 본체성과 진리의 본래적 가치를 모두 긍정한다. 본고는 린치가 제시하는 진리의 본래적 가치를 옹호하는 논증을 분석한 후, 그가 제시하는 진리의 본래적 가치 옹호는 진리의 다원적 발현을 주장하는 그의 이론과 독립적임을 논증할 것이다. 아울러 진리의 본체성을 부정하는 대표적인 견해인 폴 호리치(Paul Horwich)의 진리 축소주의에 따르면 어떻게 진리가 지닌 본래적 가치를 옹호할 수 있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두 이론을 비교함으로써, 진리의 본래적 가치와 진리의 본체성이 서로 독립적인 논제인 이유를 자세히 해명할 것이다. 그리고 진리의 다원적 발현이 진리 가치의 다원성을 일반적으로 함축하지 않는다는 추가적인 귀결이 우리의 일상적인 진리 담론에서 어떤 함의를 가지는가를 간략히 제시할 것이다. This paper research an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intrinsic value of truth and substantiality of truth. The concept of substantiality can be variably defined, but I characterize it as being an opaque concept. Michael P. Lynch, who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luralists about truth, accept both that truth is substantial and that truth is intrinsically valuable. This paper analyzes Lynch’s argument for the intrinsic value of truth, and will show that his argument is independent of his theory which insists that truth is manifested plurally. Moreover I will discuss how Paul Horwich who is a deflationist denying substantiality of truth explains the intrinsic value of truth. And comparing these two views, I will elaborate the reason why intrinsic value of truth and its substantiality are logically independent each other. Finally, I will suggest a brief case which shows an implication included in the conclusion that plural manifestation of truth does not generally entails plurality of value of truth.

      • 가치다원화시대의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공동체 가치관 교육에 관한 연구 - 싱가포르의 공동체 가치관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

        김희수 ( Kim Hee-soo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 2014 실천유아교육 Vol.19 No.-

        오늘날 세계화·정보화·다원화라는 개념이 우리 사회에 새로운 가치관들로 확산되면서 가치혼란과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가치관의 변화가 초래한 역기능들이다. 물론 사회구성원의 다양한 가치들의 어떤 것들은 보다 창조적이고 효율적이며 진취적인 성향이 있기도 하다. 하지만 장차 사회의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다문화가정의 소외는 우리 사회의 기본적인 질서를 뒤흔들어 놓을 수도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미 다문화가정이 10만 세대를 넘는 현실에서 사회구성원의 다양한 가치들을 조화, 융합시킬 수 있는 가치다원화시대의 체계적인 교육이 정립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사회질서를 파괴하는 그릇된 가치관의 확산을 저지하고 바람직한 가치관을 사회에 심어줄 가치 정립의 교육 또한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유아교육단계에서 다문화교육을 주도할 예비교사교육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된 바가 없다. 이에 정서적 발달적 측면에서 가장 민감한 유아기의 교육을 담당하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바람직한 공동체적 가치관 교육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예비유아교사들에게 교원양성단계에서에서부터 필요한 가치다원화시대의 공동체적 가치관 교육의 방향을 싱가포르의 사례를 통해 제언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on community value education for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an age of value pluralism. Recognising the interrelationship of education and society, and the way social values are embedded in the educational procee is useful. Education influences and reflects the values of society, and the kind of society we want to be. It is important, therefore, to recognise a broad set of common values and purposes that underpin the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and the work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Finally, the pre-service teachers planning to take on long-term practice, to obtain adequate community value education about fields, to adjust to their roles as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d to establish reasons for long-term practices within the limited experience available due to a lack of long-term practice programs.

      • 니콜라스 레셔의 '경향적 다원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진리에 대한 탐구를 중심으로

        주재완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07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14

        In his book The Strife of Systems, Nicholas Rescher suggests orientational pluralism, according to which the diversity of philosophical systems are caused necessarily by the inevitable diversity of philosophers’ cognitive-value orientation that is experientially conditioned inclination. Orientational pluralism is an epistemological relativism. Orientational pluralism, however, seems to have some problems. First, there is a tension between its argument that we cannot approach to reality objectively and its another argument that the truth about reality is knowable. Second, it makes all philosophical systems invalid in the sense that they cannot reflect objectively reality at all. Third, it discourages our effort to pursue the truth of reality because what we can achieve is merely our version of truth. Fourth, it discourages our rational efforts to achieve better position for practice when arguments collide among one another because there is in principle no objectively more desirable position that we are supposed to find. Orientational pluralism seems to fail in explaining the diversity of philosophy adequately. 레셔에 가 제안한 경향적 다원주의에 의하면 철학의 다양성은 철학자들의 경험에 의해 조건지어진 인식적 가치 경향에 기초한 관점의 다양성 때문에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인식론적 상대주의인 경향적 다원주의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갖고 있다. 첫째, 객관적 관점의 불가능 때문에 실재에 객관적으로 접근할 수 없다는 주장과 객관적 진리가 알려질 수 있다는 주장 은 서로 상충된다. 둘째, 경향적 다원주의에 의하면 모든 철학체계들은 전혀 실재에 대한 객관적 지식을 줄 수 없는 주관적 창작물일 뿐이다. 다양한 철학체계들을 모두 의미있게 만들려는 레셔의 의도와 반대로 다양한 철학체계들을 단순한 주관적 견해들로 격하시킨다. 셋째, 따라서 경향적 다원주의는 객관적으로 보다 타당한 진리를 추구하려는 노력을 좌절시킨다. 넷째, 경향적 다원주의는 실천의 장에서 상충하는 주장들이 있을 때 객관적으로 보다 합리적인 실천방향을 모색하려는 노력을 좌절시킨다. 우리가 모색해야할 객관적으로 보다 합리적인 방향은 처음부터 없다.

      • KCI등재

        적정가격의 개념 재정립

        김종성(Jong-Sung Kim),유선종(Seon-Jong Yoo) 한국감정원 연구개발실 2021 부동산분석 Vol.7 No.3

        부동산 가격공시제도란 국가적 차원에서 부동산 가격을 조사·평가하여 공시함으로써 부동산 시장에 내재되어 있는 불완전성을 시정하고, 국민의 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 1989년 도입되었다. 당해 제도에서는 부동산 가격의 기준으로 ‘적정가격’을 도입하고 있는데, 제도가 시행된 지 3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적정가격의 개념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따라 부동산 가격공시제도에 내재되어 있는 논리의 일관성 유지와 국민의 재산권 보호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바, 적정가격의 의미를 검토하는 작업은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문리해석으로 시장가치와의 동일성 여부를 살펴봤을 때, 몇 가지 다른 표현을 사용하고 있을 뿐 근본적으로 동일한 가치 개념이라고 해석된다. 그러나 근거 법령의 변화와 각 공시가격의 효력규정, 공시가격의 법적 성질과 활용, 그리고 평가 절차와 기준을 살펴본 결과, 적정가격의 정책 지향적, 행정 목적적인 성격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에 따라 적정가격은 시장가치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적정가격의 개념 정의를 변경함으로써 제도 내 논리의 일관성은 개선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국민의 법익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부동산 가격공시제도 전반을 살펴, 보다 실효성 있는 개선책의 마련이 요구된다. The Real Estate Price Disclosure Scheme was introduced in 1989 to correct the inherent incompleteness in the real estate market and protect people’s property rights by investigating, appraising and then disclosing real estate values at the national level. This Scheme introduced the “Just Price” as the benchmark real estate value and has been maintained for more than 30 years since its implementation. Depending on what the just price means,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maintaining the consistency of the reasoning inherent in the Scheme and protecting people’s property rights; therefore, we should be careful in reviewing the meaning of the just price. While examining whether it is identical to the market value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term, it was found to be fundamentally of the same concept, only using a few different expressions. However, the policy-orientated nature of the just price is confirm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underlying laws, regulations of each disclosed value, the legal nature and utilization of the disclosed value, and the appraisal procedure.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just price corresponds to a value other than the market value. By changing the definition of the just price, the consistency of the reasoning within the Scheme can be improved but it will most likely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egal protection of the peop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overall Scheme and prepare more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 KCI등재

        예술 가치론과 pro tanto, prima facie 이유들

        임일환 ( Ill Hwan Rim ) 한국미학회 2016 美學 Vol.82 No.2

        이 논문은 현대의 가치론 일반에서 핵심개념으로 등장하는, prima facie/pro tanto 이유 개념의 기원, 관계 그리고 철학적 함축을 탐구한다. 이를 위해 글의 전반부에서는 이 핵심적인 개념이 1세기전의 로스와 무어의 윤리학에 기원하며, 특히 프로 탄토 개념이 인식론에서 널리 유포되는 prima facie 개념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다는 것을 밝힌다. 통상 가치판단의 파기가능성이라고 흔히 오해되는 후자 개념과 달리, 프로 탄토 개념은 가치론 일반에서 본래 형이상학적 구분을 위해 도입된 개념이고 이를 위해 우리는 가치 기저/수반 속성과, 기저 속성의 기여관계를 준별해야 한다고 나는 논증한다. 논문의 후반에서, 나는 현금의 예술적/도덕적 가치의 관계에 대한 논쟁을 둘러 싼 일부 혼란과 불명료함은 이 개념의 형이상학적 함축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보다 명료하게 표현되고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다양한 가치론 일반에서, 본래적 가치의 다원론이 전통적 일원론보다 합리적인 입장이라는 것이 인정된다면, 나는 예술/도덕적 가치 논쟁에서 거트의 윤리주의적 입장이 여전히 설득력 있게 방어될 수 있는 이론이라고 논증한다. This paper has two aims. First, I trace the origin and concept of prima facie or pro tanto reasons in the theory of value in general, and then, try to make it clear how these two are interrelated. Secondly, I try to see whether these pair of concepts are properly understood in the on-going debate on the relation between morality and artistic value. In the first half of this article, I argue, the newly coined term "pro tanto" was introduced to replace the older term, ie., "prima facie" to prevent some potential confusion involving the older one.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ended technical meaning of the concept, I say we should distinguish two distinct relations in any valuing judgement; one is value-grounding relation/supervenience relation, and the other is unchanging contribution relation. In the latter half, I argue, once we get clear about this important concept and its metaphysical implications, we can get a better grip on the on-going hot debate on morality/Art value, and also on how the debate should be mapped from the broader perspective. Finally, I argue that once pluralism on artistic value theory is accepted, B. Gaut``s ethicism can be defended in a plausible way among other competing rivals like Immoralism, or traditional Autonom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