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Junge Disziplin mit alter Tradition -eine kurze Geschichte der Ubersetzungswissenschaft

        ( Christiane Nord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2 獨逸文學 Vol.124 No.-

        Nach einer kurzen Klarung der Begriffe und einem Uberblick uber einige fruhe Re-flektionen zum sogenannten “historischen Dilemma” des Ubersetzers, die noch nicht als “Wissenschaft” in unserem heutigen Sinne betrachtet werden konnen, wird in dem folgenden Beitrag die junge Disziplin der Ubersetzungswissenschaft, deren Entwicklung seit den 1960-er Jahren zu beobachten ist, anhand der wichtigsten Paradigmen dargestellt. Diese Paradigmen folgen nicht chronologisch aufeinander sondern uberlappen sich und stellen oft Gegenbewegungen zu den vorangegangenen dar. Folgende Paradigmen werden behandelt: das aquivalenzbasierte Paradigma (Ubersetzen als Umkodieren), das hermeneutische Paradigma (Ubersetzen als Verstehen), das handlungsorientierte Paradigma (Skopostheorie und Funktionalismus), das psycholinguistische Paradigma (Ubersetzen als mentaler Prozess), die Descriptive Translation Studies (Ubersetzung als Schaffung zielkultureller Fakten), Postkolonialismus und Feminismus (Ubersetzen als Kampf um Anerkennung) und die Corpus-based Translation Studies (Ubersetzungen als Datenmengen). Die Darstellung erhebt nicht den Anspruch auf Vollstandigkeit sondern ist als Uberblick gedacht, der zum Weiterdenken und Weiterforschen ermuntern soll.

      • KCI등재

        안정효의 자가번역 "은마는 오지 않는다"에 나타난 변형의 기능적합성 고찰

        정고은 ( Gou Yeun Chung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3 독일언어문학 Vol.0 No.62

        자가번역이란 원작자가 직접 원본 텍스트를 다른 언어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자가번역 텍스트는 일반번역 텍스트에 비해 많은 부분 원본과 상이한 변형된 모습을 보인다. 일반번역에서도, 해당 언어 국가들만의 특수한 사회 문화적 통념 차이에 따라 AT(Ausgangstext) 독자가 느끼는 감정 혹은 이해 정도를 ZT(Zieltext) 독자도 어느 정도 동등하게 느낄 수 있도록, 번역학이 허용하는 큰 틀 내에서 변형적으로 번역되는 현상이 간혹 보이지만, 자가번역에서는 이러한 현상 이외에도 번역가(원본 작가)의 의도에 따라 많은 번역 텍스트 내에서 변형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심지어는 원본에 있는 문장이 생략되거나, 원본에 없는 문장이 번역에서 새로이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본고에서는 안정효의 원본 텍스트 ‘은마는 오지 않는다’와 자가번역 텍스트 ‘Silver Stallion (영문)’을 상호 비교하였다. 비교 방법은 독일의 번역학 학자 Christiane Nord의 텍스트 분석 모델을 적용하였고, 이 분석적 방법을 통해 자가번역 텍스트 ‘Silver Stallion’이 Nord의 기능적합성 이론 (Funktionsgerechtigkeit)을 어느 정도 충족시키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독어독문학과 번역

        안인경 ( In Kyoung Ahn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2 獨逸文學 Vol.124 No.-

        한국의 독어독문학은 1990년대 대학 학부제 실시와 전통적 제 이 외국어 수요 감소 등으로 인해 위기의식을 갖게 되었고, 독어독문학의 정체성과 새로운 방향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이러한 논의는 2008년 한국독어독문학회가 창립 50주년을 맞으면서 더욱 활발해졌다. 관련 논의에서 번역이 자주 언급되었지만, 단편적 언급에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한국 독어독문학의 역사를 다룬 논문들에서 번역은 주로 문학번역과 관련하여 등장했다. 그러한 논문들은 문학작품의 번역을 한국 독어독문학의 주요 업적 중 하나로 꼽고, 짧게나마 정확한 번역의 중요성, 오역 문제, 번역과 번역비평의 활성화 필요성 등을 지적한 경우가 많다. 독어독문학의 미래, 특히 교육의 미래와 관련한 연구에서도 번역은 중요한 요소로 언급되었다. 문학 및 문화 분야 번역의 중요성에 상응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는 주장, 독어독문학도들이 문학 이외에도 경제, 법, 기술 등 모든 분야에서 번역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 등이 있었으며, 번역학과의 모델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가 구체적으로 활발히 진행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글에서는 연구자들이 한국의 독어독문학 역사 서술에서 번역을 어떻게 자리매김하고 있는지, 미래와 관련하여서는 어떠한 제안을 하고 있는지 살펴 보았다. 또 독어독문학 관련 학회지에 실린 번역 관련 논문을 조사함으로써 번역에 대한 학술적 관심을 진단해보았다. 번역 일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과 관련하여서는 기존 연구결과를 인용하였다. 번역 관련 현실을 알아보기 위하여서는 37개 대학 41개 독어독문학 관련 학과의 홈페이지 조사를 통해 교육목적, 졸업생 진로, 교과과정의 상호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또, 독일어 번역사들이 어떠한 일을 얼마나 하고 있는가를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독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대한출판문화협회의 번역 도서 출판통계와 한국문학번역원의 번역지원 통계를 통해서는 독일어가 번역과 관련하여 여러 외국어들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았다. 결론에서는 번역에 대한 논의나 태도가 번역교육 및 번역실제와 괴리를 드러내는 원인을 짚어보고, 번역교육 및 번역학의 활성화가 가져올 수 있는 이점을 간단히 진단 해보았다. 이러한 조사분석 결과가 번역교육과 번역실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한국 독어독문학의 정체성을 재정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 바란다.

      • KCI등재

        『파우스트』 번역본 비교 연구 - 고사성어 번역을 중심으로

        ( Jungk Erik-joachim ),김유리 ( Kim Yooree ),김종필 ( Kim Jongpil ),유혜영 ( Yoo Haeyung ),이승기 ( Lee Seunggi ),전상집 ( Jeon Sangjib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8 독일어문학 Vol.80 No.-

        In Korea ist (Goethes) Faust eines der am haufigsten gelesenen Werke der deutschen Literatur uberhaupt. Bedauerlicherweise spiegeln die meisten der rund 50 Ubersetzungen - hierunter auch zahlreiche Teilubersetzungen und Ubersetzungen, die einer literarischen Neuschopfung nahekommen - nur selten die Erkenntnisse der Ubersetzungstheorie wider. Haufig wurde der Text ohne Verstandnis der tieferen Bedeutung und ohne feste Ubersetzungsrichtlinien wortlich ubersetzt. Unsere Untersuchung stellt einen Versuch dar, anhand ausgewahlter Beispiele das Problem der Ubersetzung zu beleuchten und ein mogliches Ubersetzungsmodell anzubieten. Es versteht sich, dass bei einer moglichst exakten Beschreibung der Probleme einer Ubersetzung kurze Textteile besonders dienlich sind. Daher wurden die im Faust erscheinenden geflugelten Worte als Untersuchungsgegenstand ausgewahlt. In der vorliegenden Arbeit wurden unter 150 im Faust erscheinenden geflugelten Worten diejenigen Wortverbande einer besonderen Untersuchung unterzogen, die von Goethe geschaffen wurden und durch haufiges Zitieren inzwischen selbst den Rang von geflugelten Worten erhalten haben. Der Beurteilung der Ubersetzung dieser 11 geflugelten Worte wurden 8 verschiedene Konstellationen zugrunde gelegt, die auf den Parametern Lexik, Syntax und Semantik/Pragmatik fußen. Als Quellen dienten die im Zeitraum von 1958 bis 2015 erschienenen 13 koreanischen Faust-Ubersetzungen, die samtlich vollstandige Ubersetzungen des Goetheschen Textes sind und sich auch in qualitativer Hinsicht von den meisten fruhen Faust-Ubersetzungen unterscheiden. Die Verfasser sind sich bewusst, dass die als unter acht Konstellationen mit ① bezeichnete Konstellation der Ubereinstimmung aller drei Parameter zwischen der AS ( = Ausgangssprache; hier Deutsch) und der ZS ( = Zielsprache; hier Koreanisch) nicht notwendigerweise die “beste” Ubersetzung darstellen muss, da bei einer Ubersetzung auch subjektive Faktoren wie Stil oder personlicher Geschmack eine wichtige Rolle spielen. Auf die prinzipielle Frage, ob bei Sprachen, die anderen Sprachenfamilien angehoren und wie das Deutsche und das Koreanische vollig verschieden strukturiert sind, uberhaupt von Ubereinstimmungen speziell im Bereich der Syntax gesprochen werden kann, wurde nicht eingegangen. Die Mehrzahl der Ubersetzungen wurde den Konstellationen ①, ④ ( = Ubereinstimmung der Lexik und Semantik/Pragmatik, keine Ubereinstimmung der Syntax) und ⑦ ( = Ubereinstimmung der Semantik/Pragmatik, keine Ubereinstimmung der Lexik und Syntax) zugeordnet. Insgesamt betrachtet weisen die verschiedenen Ubersetzungen keine signifikanten Unterschiede bei der ubersetzerischen Behandlung auf, keiner der Ubersetzer hat den Versuch unternommen, eine Ubersetzung vorzulegen, die sich deutlich von den fruheren Arbeiten abgrenzt. Besonders bedauerlich erscheint, dass nicht nur im Bereich der geflugelten Worte, sondern bei den meisten Phraseologismen nicht der Versuch unternommen wurde, sie mit einem verwandten koreanischen Phraseologismus zu ubersetzen. Abschließend mochten die Verfasser festhalten, dass sie die erwahnten acht Konstellationen auf der Grundlage der drei Parameter Lexik, Syntax und - naturlich besonders wichtig - der Semantik/Pragmatik als mogliche Grundlage einer Bewertung einer Ubersetzung betrachten.

      • KCI등재

        Translatio transculturalis -Randbemerkungen zu einem viel diskutierten Thema aus der Perspektive einer nicht-westlichen Germanistik-

        료조마에다 ( Ryozo Maeda )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10 독일어문화권연구 Vol.19 No.-

        1990년 이후 가속화된 국제화에도 비롯하고 일본의 독어독문학은 대부분 일본 내에서만 진행되어 일본어를 구사할 수 없는 이들에게는 접근이 불가능하다. 예외적으로 일본어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도 일본의 독어독문학은 낯선 것으로 비치는 일이 드물지 않은데, 이는 일본의 독어독문학이 학문성에 대한 서구적 표상과 동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독어독문학은 서구적 관점에서 볼 때 문학(예술)과 학문의 분리가 완전하지 못하다. 최근에 자주 등장하는 또 다른 시각은 이런 서구적 인식에 반대하면서 일본 독어독문학이 독일의 문예학을 지향하는 것을 비독일어권의 독어독문학의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다카하시는 그때그때 (일본 독어독문학에 특수한) 주제와 대상들의 사용에 적합한 연구방법을 사용할 것과 서구 학문과는 다른 담론 및 언어양식을 도입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첫 번째 경향, 즉 서구적 관점에서 볼 경우 일본의 독어독문학의 학문사는 독일 문예학사와 다르지 않다. 이에 반해서 일본의 독어독문학을 엄격히 현대 서구적 의미에서의 학문이 아닌 것으로 간주하는 사람들에서는 그 학문사란 애초부터 가능하지도 않다. 이렇게 인식주체가 학문내재적인 관점에 머물러 있는 한 일본의 독어독문학은 낯설고 이질적인 대상이다. 필자는 일본 독어독문학의 학문사 연구를 학문화라는 관점에서 다루고자 한다. 즉 독어독문학 실행방법의 발전을 특수한 학문화와 연관하여 관찰하고 이들을 ``다름``의 증거로서 그 역사적 맥락 속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여기서 고려할 것은 일본의 독어독문학이 무엇보다도 1980년 이후 일본과 독일간의 학문적 접촉의 문화전이 과정의 결과라는 것이다. 이것은 일방적인 영향이 아니라 다른 문화의 요소들을 수용하고 결합하고 변형하는 과정, 즉 어떤 새로운 것, 혼종적인 것이 생겨나는 과정이다. 이런 문화전이적 관점은 상호문화적 또는 다문화적 문화비교학과는 구별된다. 상호문화적 연구가 일방적인 ``학문식민주의적`` 관점에서 독일과 일본의 문화접촉을 관찰하는 것을 피하는 데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지만, 일본의 독어독문학의 학문화를 이야기할때 이 비대칭은 완전히 도외시될 수 없다. 왜냐하면 비대칭적인 배경 앞에서 비로소 비대칭에 대한 반응으로 학문화가 생겨났기 때문이다. 문화전이적 관점에서 학문화는 역사를 초월한 어떤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일본과 독일의 문화접촉의 역동적 과정의 결과, 즉 학문내재적 원리들과 규칙들의 상호간섭과 학문외적 전제조건들의 간섭의 결과로 이해된다. 이상의 입장은 학문은 그 보편성 요구에도 불구하고 개별적인 문화적 사회적 맥락을 통해서 결정되며 심지어 그것이 벌써 이 문화의 본질적 요소를 이룬다는, 오늘날 학문화연구에서 널리 퍼져있는 견해에서 출발한다. 외국에서의 독어독문학이라는 개념은 이제 독일 내지는 서구 독어독문학의 단순한 확장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오늘날 이 분야는 독일어권 독일문학의 보충적 내지는 부차적 부분으로서가 아니라 인식관심이나 방법론적 의식이 서구적 학문분과와 서구의 학문규범들만을 지향하지 않는, 어느 정도 독자적인 학문분과로 이해된다.

      • KCI등재

        서법적 간섭현상

        ( Jendraschek Gerd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2 獨逸文學 Vol.124 No.-

        언어적 간섭현상은 한 언어의 구조로부터 서로 관습의 차이가 있는 다른 언어의 영역으로의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인 전이를 통해 생긴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예로 무엇보다도 먼저 어휘적 간섭현상(예, my handy is ringing), 음운적 간섭현상(예, 영어의 이중모음을 단모음화하는 것), 또는 문법적 간섭현상(예, he has done it yesterday)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그 반면에 숫자 나열에서 콤마(,)와 점(.)의 사용, 숫자 쓰기 방식, 부문장 사이의 콤마 찍기, 인용부호의 형식이나 위치, 날짜와 시간의 표시 방식, 또는 인사말에서의 대?소문자 적기나 콤마 찍기 등과 같은 서법적 간섭현상(typographische Interferenz)들은 거의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평소 영어 텍스트를 쓰는 일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는 독일 학생들은 이러한 분야에서 큰 혼란을 겪고 있다. 역으로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분야에서는 영어로부터의 부정적인 전이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은 여러 가지 서법적 간섭현상들이 생긴다. 따라서 이 분야를 언어 대조의 관점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특히 외국어교육, 학문적 글쓰기 그리고 번역학의 영역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