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문학 형성기의 창작방법의 이념지향 : 趙基天 詩를 중심으로

        김낙현(Kim,Nak-hyun) 중앙어문학회 2011 語文論集 Vol.47 No.-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forming process of literature of North Korea in early age mainly on the basis of individual text of Jo Ki Cheon rather than the existing historical viewpoint. Doing literary activity in USSR as a Korean poet in USSR, Jo Ki Cheon returned to North Korea immediately after emancipation. The diverse works created by him decisively defined the pursued idea and character of creating method for literature of North Korea in the early age. As the first poem on the theme of land reformation, “Song of Land” written by Jo Ki Cheon was evaluated as the example of creating works. It was the first work that showed the peculiar genre called “lyrical and epic poem.” Then, the genre, lyrical and epic poem became prevalent in the literature of North Korea. Further, the long epic poem of Jo Ki Cheon, 『Mt. Baekdu』 became the motive that decisively enhanced the creating methodology of noble realism in the period when literature of North Korea was formed. Forming the extreme tension and confrontational structure around 1948, US and USSR entered new system of Cold War. As a result, internationalism and patriotism appeared in the literature of North Korea, creating many works which further enhanced the thought of amicability between North Korea and USSR “Our way” of Jo Ki Cheon is the work that best described the amicability between North Korea and USSR and “Yosu in struggle” is the work that expressed the thought of patriotism. As a result, the thought of internationalism and patriotism based on USSR became the important source of literature of North Korea in the early period. Leading the life of diaspora, the poet Jo Ki Cheon played the role of guider leading the early literature of North Korea in the process where North Korea constructed new country around USSR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 of socialism in USSR.

      • KCI등재

        특집논문 : 북한의 소련영화 수용과 영향 1945~1953

        정영권 ( Young Kwon Chung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5 현대영화연구 Vol.11 No.3

        북한영화사는 유일체제 확립(1967) 이후 1960년대 후반~1970년대 초반의 시기를 ‘영화예술의 혁명전통’으로 추앙하고 있다. 초기 북한영화들은 영화의 물질적·기술적 토대도 매우 빈약하였고 사상적·예술적 기량도 부족하였다는 이유에서이다. 이러한 관점으로 초기 북한영화는 영화사에서 덜 중요한 것으로 취급되고, 특히 북한 국가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소련영화의 존재를 지워버린다. 본 연구는 초기 북한국가와 북한영화 형성과정에서 소련영화의 수용과 영향을 당대 신문, 잡지의 담론을 활용한 실증적 접근을 통해 규명한다. 첫째, 북한 인민들의 소련영화 수용을 통해서는 ‘해방군’ 소련에 대한 무한한 감사, 발전과 번영의 소련 이미지를 통한 미래 전망의 상상을 살펴본다. 둘째, 소련의 스탈린주의 문예이론이 북한영화에 끼친 영향을 탐구한 선행연구들에 기반을 두면서도, 실제 북한영화에 끼친 소련영화의 영향이 절대적이지는 않았음을 <내 고향>(1949)에 대한 담론분석을 통해 거론한다. 소련영화의 영향을 부정하기보다는 김일성의 항일 민족주의라는 토착화한 문예전통이 이미 하나의 맹아로서 형성되고 있었음을 설명한다. North Korea`s film historians praise highly late 1960s-early 1970s North Korean films as “the Revolutionary Tradition of Film Art” after the foundation of “Monolithic System”(1967). Because early North Korean films were very poor in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and ideological and artistic ability were insufficient. In this view, early North Korean films were treated as less important in North Korean film history. In particular, a trace of USSR films which had a lot of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state became extinct. This study investigates a reception and an influence of USSR films in the formation of the North Korean people`s state and film world through an empirical-positive approach making full use of the discourses of newspapers and magazines of that time. This research has two main purposes. Firstly, I examine that North Korean people were very appreciative of “liberation army” of USSR, and prospected their future identifying images of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USSR through watching the films of USSR. Secondly, I insist that an influence of USSR films on North Korean films was not absolute on the basis of an analysis of the discourses on a film, My Hometown(1949) although I acknowledge advanced researches which studied an influence of Stalinist theory of literature and art on North Korean films. I insist that the North Korea`s unique tradition of literature and art, anti-Japanese nationalism of Kim Il-Sung was already growing up as a sprout even though I accept the influence of USSR films on the early North Korean films.

      • Analysis of Technologies and Equipment in Greenhouses of the Ussr

        ( Mikhail Dorzhiev ),( Hideo Hasegawa ),( Alima Dorzhieva ),( Anna Lyud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1

        Advanced technologies in protected horticulture are in the center of attention in Russian Federation nowadays. However, literature tracing back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technology from the USSR to modern Russia is scanty. We found it necessary to fill the blank and outline technological processes utilized in protected vegetable cultivation in the Soviet period. Severe climatic conditions of the country and multiple zones with low levels of available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restricted successful vegetable production. To provide the population with safe and high-quality vegetable products, in 1930 first greenhouses with primitive technologie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state-run and cooperative agricultural enterprises. Further development of production capacities stimulated a shift from manual labor to partial mechanization first and eventually made a greenhouse industry one of the most advanced branches of agriculture in the USSR. At the industry peak years, right before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winter greenhouse complexes with an area of 12 to 54 hectares were constructed almost all over the country, even in the northern areas such as Karelia, Chukotka, and Taimir. The present article concentrated 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ree main technological processes applied in the USSR in order to overcome challenges imposed by the natural conditions - soil heating, artificial lighting and irrigation systems. In particular, we presented a technology using an uninsulated steel wire fed with a current of the safe voltage placed under the fill-up ground. It heated the soil and air in all year-round greenhouses simultaneously providing partial sterilization of soil. In additional irradiation and maintaining a more natural environment for plants in greenhouses, we traced the shift from initially utilized ineffective fluorescent lamps to more efficient irradiators with an internal mirror surface. Among various irrigation techniques used in Soviet agriculture, the present paper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overhead sprinkling irrigation. Mobile pipelines moving along the perimeter of the greenhouse provided moistening both to soil and to air and made this method the most common all over the USSR.

      • KCI등재

        소비에트 연방이 중국의 제1차 5개년 계획에 미친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김동하 ( Dong-ha Kim ) 경제사학회 2016 經濟史學 Vol.40 No.1

        본 연구는 중국의 제1차 5개년 계획 (1953-1957) 수립에 소비에트 연방이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지 경제사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소비에트 연방이 1차 5개년 계획 (1929-1933)을 수립한 배경을 먼저 살펴보았으며, 이어서 중국의 1차 5개년 계획 편제과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양측의 1차 5개년 계획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로 양국 간의 인적 교류, 특히 국가발전 계획 설계자들이 속한 사회과학원 전문가의 소비에트 연방체류(윤학, 연수)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러시아의 신경제정책 (NEP) 경험에 근거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들이 소비에트 연방의 제안으로 중국의 1차 5개년 계획에 입안되었다. 셋째, 소비에트 연방의 ``대약진정책``은 중국의 1차 5개년 계획의 지표, 특히 공업 분야 지표를 설정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넷째, 소비에트 연방의 대중국 프로젝트 지원 프로그램인 `` 156공정``은 중국의 제1차 5개년 계획 중 공업 분야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USSR``s impact on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Five-Year Plan(1953-1957) of China in the economic historical perspective The paper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the Five-Year Plan(1929-1933) of the USSR. It also analyzed the draft process of China``s Five-Year Plan. Finally, I compared the First Five-Year Plans of both sides. The first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xchange programs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CASS) expert, who was also responsible for the National Development Plan to stay in USSR for studying and training. Second, Russia``s various types of programs based on the New Economic Policy(NEP) were accepted in the drafting of China``s First Five-Y ear Plan. Third, the USSR``s ``Great Leap Forward Policy`` has affected the set up indicators, especially the indicators of the industrial sector of China``s First Five-Year Plan. Fourth, the China support program ``156-Project`` of the USSR affected the Chinese industrial sector during the First Five-Year Plan of China.

      • KCI등재

        1940~1950년대 조선 비교문학에 관한 고찰

        마성은 ( Ma Sung-e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0 No.24

        본고는 1940~50년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조선) 비교문학을 검토하였다. 우선 8.15 민족해방 이후 민족문화 모색기에 있어 소비에트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하 소련)문학을 섭취하고자 했던 논의를 살펴보았고, ‘해외문학파’와 ‘코스모포리타니즘’을 비판함으로써 대한민국(이하 한국) 문단을 비판했던 모습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당시 조선에서 소련문학이 어느 정도 번역ㆍ소개되었는지 살펴보았고, 소련문학의 번역ㆍ소개가 시 창작에 미친 영향도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조선의 비교문학은 거의 논의된 바가 없다. 조선문학사를 돌이켜 보더라도,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는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조선에서도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시기가 있었다. 바로 8ㆍ15 민족해방 직후부터 1950년대까지의 시기이다. 8ㆍ15 민족해방 이후 조선문학예술계에서는 ‘민족문화론’을 제기하는 글들이 연이어 발표된다. 민족문화론의 주된 논점 가운데 하나는 소련과의 국제적 친선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조선문학은 그 건설단계에서부터 소련문화예술과의 교류를 강조했다. 1940~50년대 조선에서 이루어진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에서 흥미로운 것들 가운데 하나가 바로 ‘해외문학파’와 ‘코스모포리타니즘’에 대한 비판이다. 이러한 비판은 곧바로 당시 한국 문단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더욱 주목할 만하다. 한효는 1949년에 발표한 장문의 평론 「민족문학에 대하여」를 통하여 ‘해외문학파’와 ‘코스모포리타니즘’을 비판하고 ‘인터나쇼날리즘’을 주장하는데, 이를 통하여 당시 조선에서는 비교문학을 ‘프로레타리아 국제주의적 관점에서 소련문학을 섭취함으로써 조선의 민족문학 건설을 뒷받침 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인식했다고 볼 수 있다. 1940~50년대 조선의 비교문학이 주로 소련문학을 대상으로 설정하고 있었음을 고려할 때, 당시 조선에서 소련문학이 어느 정도 번역ㆍ소개되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물론 분단 상황에서, 그것도 조선에서 이미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를 찾아보기 어려워진 실정에서 1940~1950년대 조선의 소련문학 번역ㆍ소개 실정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일부 평론과 문헌을 통하여 당시 조선의 소련문학 번역ㆍ소개 상황을어느 정도는 가늠해 볼 수 있다. 1940~50년대 조선에서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는 주로 이론 영역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창작 영역에서 비교문학의 양상을 검토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다. 하지만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기관지 『문학예술』 1950년 2월호에 발표된 이정구의 「쏘베트 시문학과 우리 시인들」을 통하여 시 창작에 나타난 비교문학의 면모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이미 1950년대에 단행본으로 350권 이상의 번역 작품을 내놓은 바 있을 만큼, 조선 비교문학의 토양은 척박하지 않았다. 그러나 1956년 ‘8월종파사건’ 이후 ‘천리마시대’가 도래하면서 조선에서는 더 이상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지 못했다. 이후 조선이 국제무대에서 고립되면서 조선문학 역시 비교문학을 배제하고 자체 내에서만 해명하고자 하는 배타적 고립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이러한 조선문학의 배타적 고립은 주체문학과 선군문학으로 이어지면서 외국문학과의 소통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In the Republic of Korea (hereafter ROK), there has been few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ereafter DPRK). Thinking back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of DPRK, there has not been weighty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1940~50s, however, there was active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DPRK.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many critics in the North promoted ‘National Culture’. One of the main points of ‘National Culture’ was to establish amicable relations with the USSR. From its beginning, literature of DPRK emphasis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exchange with the USSR. One of the interesting points of the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DPRK is its criticism of ‘Foreign Literature Group’ and ‘Cosmopolitanism’. This criticism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connected to criticism of the literature of ROK. In Hyo Han’s lengthy critical essay, ‘About National Literature’, published in 1949, Hyo Han criticised ‘Foreign Literature Group’ and ‘Cosmopolitanism’, and promoted ‘Internationalism’. With this, it can be said that comparative literature was perceived in the DPRK as a methodology to build ‘National Literature’ by learning literature of USSR in the viewpoint of internationalism. Considering that one of the main objects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DPRK was literature of USSR, it is required to see how much of literature of USSR was translated and introduced in the DPRK. And yet, as Korea is divided and it is now very hard to find any traces of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even in the DPRK,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collect enough material about the situation of the DPRK in 1940~50s. Despite the fact, we can understand the situation more or less via some critics and material about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of literature of USSR in the DPRK. The base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DPRK was not so poor, as over 350titles were translated and published as early as 1950s. And yet, after ‘August Affair of Sect’ and ‘The Period of Chollima Movement’ that followed, comparative literature ceased to be a topic of discussion in the DPRK. Since that time, as DPRK was isolated from the outside world, literature of DPRK excluded comparative literature and cut itself off from literature of the outside world as well. Such international isolation of literature of DPRK leads to ‘Juche Literature’ and ‘Songun Literature’, making it even more difficult for exchange of literature with the outside world.

      • KCI우수등재

        소련 경제의 자본주의 무역 체제로의 통합과 소련의 공적 부채 성격 변화

        김동혁 ( Kim¸ Donghyuk ) 한국서양사학회 2021 西洋史論 Vol.- No.151

        본 논문은 소련과 서방의 국제무역 증대와 소련의 공적 부채 메커니즘의 변화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것이 1980년대 중반 이후 소련 경제가 곤경을 겪은 중요한 원인 중 하나임을 밝히고자 하는 작업이다. 냉전 초기 급격하게 축소되었던 소련과 서방 국가들 사이의 국제무역은 1950년대 중반 이후 재개되기 시작해서 1960년대를 거쳐 크게 성장했다. 이러한 양진영간 국제무역 성장은 국제 원자재 시장에서 소련의 공급자로서의 지위를 상승시켰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금융시장에서 소련의 신뢰도가 크게 상승하게 되었다. 한편 1950년대 후반 흐루쇼프 시대 소련은 전반적인 주민들의 생활수준 향상 요구와 첨단 기술 경쟁으로 인해 대규모의 자본이 투하되는 경제 프로그램들이 추진된 반면 1927년 이후 소련의 자본 조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던 대규모 국채 발행을 중단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련의 대서방 무역의 증대와 국제금융시장에서의 높은 신용도는 소련의 자본 조달 메커니즘에 상당히 많은 영향을 주었고 여기에 적응한 소련 경제는 1980년대 중반 이후 대외적 충격에 상당히 큰 취약성을 갖게 되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highlight how increase in USSR’s trade with the Western Bloc was closely intertwined with changes in public debt mechanism of Soviet Union and to indicate that this was also one of the main reasons why the Soviet economy suffered economic crisis in the second half of the 1980s. Trade between Soviet Union and the Western Bloc fell steeply at the beginning of Cold War, yet it began to grow again in the mid-1950s and rose dramatically throughout the 1960s. Such a growth in international trade between the two Blocs brought about the USSR’s rise as the supplier in international raw material market, which eventually also led to boosting its credit rate in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 Meanwhile in the late 1950s, Soviet Union during the Khrushchev administration faced demands for a raise in its citizens’ overall living standards while implementing economic programs requiring mass capital due to intense competition in cutting-edge technology (with its opponents worldwide), yet after 1927 the Soviet government had no choice but to discontinue issuance of government bonds, which were extremely important for replenishing the Soviet state treasury with capital. Soviet Union benefited from increase in trade with the Western Bloc and its high credit rate in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 yet as if a curse in disguise, as it became attuned to such favorable conditions its economy also became extremely vulnerable to external shocks after the mid-1980s. (GIST / hdonghak@gmail.com)

      • KCI등재

        해방후 북한체제 형성과정에서 김일성의 위상과 역할에 관한 연구

        이시형(Lee Si-Hyung) 한국정치정보학회 2006 정치정보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북한에서 해방이후부터 사회주의국가를 수립하기 이전까지의 3년여 기간에 걸쳐 진행되어 왔던 사회주의체제의 형성과정에서 김일성의 지위와 역할을 분석하여 김일성에 대한 재평가를 해보았다. 본 연구에서 기초분석자료로 활용된 노획문서에 의하면 북한의 공산주의세력들이 북한정국을 주도해 나가는 초기과정에서부터 김일성의 지위와 역할이 매우 확고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북한의 초기상황을 보여주는 각종 문건들에서는 김일성이 북한정국을 주도하는 소련군정이나 지배집단 및 인민대중들에게 가장 폭넓은 지지기반을 확보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김일성은 소련에 의해 선택되어 해방직후 초기부터 북한정국의 주역으로 등장할 수 있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주의체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지도자’로서의 역량을 축적하면서 최고지도자로의 자리에 부상하는데 성공하였다. 1946년 초반 공산당 내부에서는 김일성의 노선과 정책을 유일한 지도적 지침으로 하여 모든 조직과 구성원들이 그의 의도와 명령, 지시를 관철하는 김일성 지도체계가 작동하고 있었다. 김일성을 비롯한 북한공산주의자들은 사회주의체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소련을 우호적이고 협력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당국가체제를 구성하는 당ㆍ정ㆍ군과 같은 제도적 장치들은 물론이고 사회주의적 개조작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북한에서 당국가체제의 형성과 역량의 증대는 반대로 소련군정 당국으로부터의 권한을 양도받는 과정을 동반하였다. 즉 북한에서 당국가체제의 형성은 소련으로부터의 자율성을 획득해 나가는 과정이었다. 김일성은 당국가체제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공산당과 군을 창설하는 주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자생적으로 출범한 인민위원회도 공산당의 지배체제로 편입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임시인민위원회의 출범을 계기로 북한에서는 소련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인 국가에 준하는 체제로서의 역량을 갖추고 북한사회를 움직여 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지만 북한지도부는 북한에서 당국가체제를 건설해 나가는 과정에서 인적, 물적 자원의 부족을 직면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김일성은 북한체제의 건설에 필요한 자원을 구소련이나 중국으로부터 확보하는데 커다란 기여를 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and position of Kim Ilsung in the process of building North Korean government since the liberation. According to the obtained documents Communist forces, the position and role of Kim Ilsung in North Korea have been very firm since the beginning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Early Documents shows that Kim Ilsung has been supported by USSR Army Military Government and ruling groups. Kim has been selected by Soviet Union to be a key player in the North Korean political situation. In the process of building Socialistic System, he successfully accumulated the ability to be the leader and became the top leader eventually. In 1946, the North Korean Communist Party has built "Kim Il Sung Leadership System" which is operated only by Kim's order and intention. Kim Ilsung and the North Korean Communists considered U.S.S.R. as a friendly and negotiable country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socialistic system. Therefore, they had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U.S.S.R. in the areas of Party-Government-Army system and reforming whole social system. After Kim built the Party-State system and accumulating more power, the USSR Army Government transferred more power to him. In other words, building the Party-State System was a process of obtaining an autonomy from the USSR.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Party-State, Kim Ilsung has played a important role in building the North Korean Communist Party and Army. Also, he made a very decisive role in acquiring 'The People's Committee' which has borne of itself. By the beginning of 'The Temporary People's Committee', he showed he can control the North Korean Society as a separate country leader without the support of USSR any more. However, North Korean Communist Party leaders are suffering from lack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this aspcet, Kim Ilsung has made a big contribution in obtaining resources from USSR and China in the process of building North Korean Government system.

      • KCI등재

        1930년대 『동아일보』의 국제정세 인식1930년대 『동아일보』의 국제정세인식-사회주의 및 전체주의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홍종욱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58

        At the beginning of the 1930’s, Dong-a Ilbo(東亞日報)’s understanding of socialism and totalitarianism was characterized by its ideological approach. Capitalism that had fallen into deep depression seemed to be unsustainable, and two currents, socialism and totalitarianism, were rising instead. Dong-a Ilbo especially expressed expectations of the improvement of socialism. Contrasted with those capitalist states drowning in the economic panic, the USSR on the steep development well performed the role of advertisement to show the superiority of socialism. And extending its expectations of socialism, Dong-a Ilbo also paid close attention to the Japanese proletarian party. As Manchukuo(滿洲國) was established and social movements of colonial Korea had subsided, there occurred some change in Dong-a Ilbo’s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 first place, we can find that its interest in totalitarianism increased explosively with Hitler’s seizure of power in 1933. Furthermore, Dong-a Ilbo paid attention to the worldwide expansion of totalitarianism, not only Hitler’s Nazism and Mussolini’s Fascism. And Dong-a Ilbo blamed Nazism for Hitler’s oppressive rule. On the other hand, with the post-ideologicalization of the USSR, symbolized by its joining the League of Nations and being recognized by the USA, there spread the idea that the period of ideology had ended and the world rushed to limitless competence among the several blocks of states. In the middle of the 1930’s, Dong-a Ilbo supported the People’s Front movement, by denouncing Mussolini’s invasion of Ethiopia, glorifying the victory of People’s Front in France and expressing its sympathy for the Republican government of Spain. But the support for the People’s Front was distorted from time to time, due to wariness against the USSR, which was in various disputes with Japan. We can also find the contradiction that Dong-a Ilbo could not throw away negative understanding of Nazism, while supporting Japan’s international policy of ‘modification of the status quo’. That was the reflection of situation in which approval of the ‘reformists’, who assumed the character of the People’s Front domestically, could not but be linked with that of ‘modification of the status quo’, whose proponents assumed the character of ‘National Front=Fascism’ internationally. The outbreak of Japanese-Chinese War in July of 1937 made clear the antagonism between Japan-Germany-Italy and Britain-America-France-Russia. The ‘modification of the status quo’ came to be characterized obviously by ‘National Front=Fascism’, going over the ambiguity so far. The nonaggression treaty between Germany and the USSR in August of 1939, however, upset such an anti-soviet policy. But Dong-a Ilbo’s criticism of the USSR’s invasion of other countries, performed in the name of ‘realism’ or ‘diplomacy for peace’, was getting more severe. On the other hand, expectation of a new political system different from Nazism or Fascism was maintained domestically. But, as the Nazis occupied Paris in June of 1940, Dong-a Ilbo came to support the ‘new regime(新體制)’ movement that aimed to introduce a Nazi-like system and furthermore to insist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should adopt a hard-line policy toward international affairs. 1930년대 초반 『동아일보』의 사회주의와 전체주의에 대한 인식은 이데올로기적 접근을 그 특징으로 하였다. 대공황으로 위기에 처한 자본주의는 더 이상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였고, 그 대안으로서 사회주의와 전체주의라는 두 가지 조류가 떠오르게 된 것이었다. 아직까지는 사회주의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대공황에 허덕이고 있는 여타 자본주의 국가와 대조적으로 비약적인 성공을 거듭하고 있는 소련의 모습은 사회주의의 우월성을 보여주는 선전탑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해내었다. 그 연장선 상에서 일본의 무산정당에도 높은 관심이 기울여졌다. 만주국이 수립되고 국내 사회 운동의 열기도 잦아들면서, 국제정세 인식에도 변화가 찾아 왔다. 먼저 1933년 히틀러의 집권을 계기로 하여 파시즘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점을 들 수 있다. 무솔리니의 이태리, 히틀러의 독일뿐만이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국가주의가 범람하고 있는 사실이 주목되었다. 파시즘에 대해서는 히틀러 정권의 폭압적인 통치와도 맞물리면서 그 부정적인 측면이 뚜렷이 인식되었다. 한편 미국의 소련 승인과 소련의 국제연맹 가입으로 상징되는 소련의 탈이데올로기화와 더불어 전세계는 이데올로기의 시대를 넘어 강대국을 중심으로 한 블록화 및 무한 경쟁의 시대로 접어들었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1930년대 중반에는 파시스트 이태리의 에티오피아 침략에 대한 규탄, 프랑스의 인민전선의 승리에 대한 환호, 스페인의 인민전선정부에 대한 동정 등에서 확인되듯 유럽에서의 인민전선운동에 대한 지지가 확인된다. 하지만 일본과 다양한 이해관계를 다투고 있는 소련에 대한 경계감 때문에 인민전선에 대한 지지가 미묘하게 비껴가기도 했다. 마찬가지로 후발 자본주의국 일본의 ‘현상타파’론을 지지하면서도 그 파트너라 할 독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버릴 수 없는 모순 또한 발견된다. 이는 일본 국내적으로 인민전선적 성격을 갖고 있던 ‘혁신’ 세력에 대한 지지가, 대외적으로는 오히려 국민전선=파시즘전선에 가까운 ‘현상타파’ 세력에 대한 지지로 미끄러져야 하는 현실의 반영이었다. 1937년 7월 중일전쟁의 발발은 일독이 대 영미불소의 대립구도를 뚜렷하게 해주었다. 이로써 ‘현상타파’ 세력에게는 이제까지의 애매함을 넘어 확실하게 반소파시즘전선 즉 국민전선으로서의 성격이 부여되었다. 다만 1939년 8월의 독소불가침 조약은 이와 같은 반소 노선에 차질을 가져왔다. 그러나 소련이 이른바 ‘현실주의’ 혹은 ‘평화외교’의 이름하에 자행하고 있던 침략에 대한 비판은 격렬함을 더해갔다. 국내적으로는 ‘혁신’ 세력 구체적으로는 사회대중당의 존재에 대한 기대하에, 나치즘 혹은 파시즘과는 다른 방식의 정치체제에 대한 기대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1940년 6월 나치스의 파리 점령에 즈음해서는, 당시 일본 사회에서 나치즘의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전개된 ‘신체제’ 운동을 지지하는 한편, 나아가 일본 정부에게 대외강경책을 취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 KCI등재

        Cultural, Spatial, and Legal Displacement of the Korean Diaspora in the USSR: 1937-1945

        Jonathan Otto Pohl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21 No.1

        Korean migration to the Russian Empire and USSR occurred mainly during the years between 1869 and 1931. These Koreans came both directly from the peninsula itself and from Korean settlements in Manchuria. They remained overwhelmingly concentrated in the Russian Far East until 1937. From 9 September to 3 November 1937 the NKVD (Peoples’ Commissariat of Internal Affairs) of the USSR loaded around 172,000 ethnic Koreans into train cars and sent them to the Kazakh and Uzbek SSRs. This action cleared the eastern regions of the RSFSR (Russian Socialist Federated Soviet Republic) of the vast majority of its Korean population and created a significant diaspora in Central Asia. The official justification for this operation was the claim that the ethnic Koreans could serve to hide spies and saboteurs sent from the Japanese Empire. The relocated Koreans suffered from severe material deprivations during their initial years in Kazakhstan and Uzbekistan. The Soviet government also placed its citizens of Korean ancestry relocated to Kazakhstan and Uzbekistan under a system of legal restrictions termed “administrative exile.” Finally, after 1939 they eliminated almost all Korean cultural institutions until years after the defeat of Japan. These factors made adaptation by the Koreans to their new areas of settlement difficult. Nonetheless, they managed to eventually overcome these obstacles and successfully integrate into the social, economic, and even political spheres of Soviet Central Asia. This paper will examine the early years of the Korean diaspora in Central Asia from 1937 to 1945. It will look at how the forced resettlement and subsequent material and legal disadvantages during these years transformed the group from its previous existence in the Soviet Far East. The paper will also address the role of geopolitical conflict in Asia between the USSR and Japan in determining Soviet policy towards this ethnic minor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