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도사의 관광과 건축문화에 내재한 사회사상적 의미: 시간성의 해체와 재구성을 중심으로

        문정필 동양사회사상학회 2019 사회사상과 문화 Vol.22 No.3

        Tongdo temple became one of global tourist attractions after being nominated as UNESCO World Heritage. This study poses an issue that the observers who tour Tongdo temple are not able to perceive a spacio-temporal aesthetic impression that was applied in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Through this,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a temporal value associated with the society of the Silla era that had been pervaded in traditional architectural space of Tongdo temple. Tongdo temple projects a variety of social and political events of all periods from its establishment to current. It is a hope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heighten the cultural value of traditional architecture by deriving the thoughts associated with past timeline that was entailed into the space, and by dissolving a common sense of Tongdo temple, which is an old temple of the Silla era. In the space of Tongdo temple, various timelines exist as the integrated form because Buddhism was politically settled in the Silla society such as ‘Buddhism for Country related to Seondeok Dynasty’, ‘Integration of ancient three-forked flower crown and Buddhism’ and ‘Multi-temporal illusion of architectural painting’. Such timelines have been melted in the materials and spaces that appeared by implementing the political and social events of the times through historical records associated with Tongdo temple. Therefore,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enhanced the aesthetic impression of Tongdo temple tour by discussing the temporal architectural culture that must be perceived socially after extracting the space that can be seen synchronically through historical records on top of architecture of Tongdo temple that diachronically see. 건축은 그 시대 사회생활상을 반영하는 표현물이다. 단순하게 물질로만표현되는 것이 아닌 시대정신이 깃들어져 문화적으로 표현되므로 시·공간적 관광자원으로 활성화된다. 건축물을 중심으로 하는 관광은 도시와 관련된 역사, 전통, 과학, 예술적 관점에서 가치를 지니게 된다. 특히, 유네스코에 등록된 건축물은 그 자체가 세계사적인 전통이 서려있는 자원이기 때문에 관광의 주 목적지가 될 수 있다. 여기에 포함된 전통건축은 지역과 관련된 시대정신과 사회상을 함축하고 있다. 관광객들은 그 공간에압축된 시간적 결과를 심미적인 문화로 향유할 수 있다. 통도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면서 세계적인 관광명소가 되었다. 본 연구는 관광객이 전통 건축의 전형인 통도사의 시⋅공간적 심미성을 쉽게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에 문제를 제기 하고자 한다. 이는 통도사의 전통건축 공간에 스며있는 신라 선덕왕조 시점의 사회사상과 역사적 시간의 가치를 부각시켜야 함을 의미한다. 통도사의 건축적 공간에는 신라사회에 불교가 정치적으로 정착되면서‘선덕왕조와 관련된 호국불교’, ‘고대 삼수분화관과 불교의 융합’, ‘건축회화의 다시점적 환상’ 등 각기 다양한 사상의 시간들이 융합되어 존재한다. 그 시대의 정치와 사회적 사건인 역사적 시간들은 통도사와 관련된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간들은 전통건축의 공간속에도 스며들어 있다. 이와 같이 통도사는 창건시기부터 지금까지 유지해 오면서 시대마다의 사회⋅정치적 사건들이 문화적으로 투영되어 있다. 본 연구는 통상적인 관광자본으로서의 통도사가 신라시대의 고古 사찰이라는 상식적 내용을 넘어, 시⋅공간에 관련된 사상들을 도출함으로서 전통건축의 문화적 가치를 높이고 관광의 심미성에 이바지할 필요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을 통해 통시적으로 보는 통도사를 공시적으로볼 수 있는 공간을 추출하고 사적기 기록을 통해 사회 사상적으로 논의하여 전통건축의 문화적 가치에 이바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사회적으로 인식해야 할 건축문화의 시간성을 바탕으로 통도사 관광의심미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영남지역 장엄벽화와 화사집단

        박은경 ( Park Eun-kyu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7 石堂論叢 Vol.0 No.69

        전통사찰에는 주불전을 비롯해 주요 전각의 벽면에 벽화들이 단청으로 화려하게 장엄되어 있다. 이같은 장엄벽화는 제작 당시의 원위치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동 가능한 걸개그림의 불화에 비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벽화를 그린 화승 개인은 물론 그룹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는 일차 원형자료는 극히 드물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찰 건물의 창건이나 중수, 건물의 대대적인 보수를 실시할 때 단청불사 작업도 불가피하게 이뤄질 수밖에 없다. 단청불사가 행해질 때 불전 내 봉안하는 불화 제작도 유사시기에 이뤄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 아마도 경제적인 문제와 참여하는 화승 및 장인들의 수급 문제가 주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고 본다면 사찰 중수 및 단청 불사시 건물에 부속적으로 속하는 벽체를 꾸미는 장엄벽화 역시 유사시기에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 이 점은 바로 단청장 그룹이나 불화를 둘러싼 화사그룹들이 장엄벽화에도 관여하였을 가능성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따라서 이 글은 조선후기 영남지역 전통사찰 가운데 범어사, 통도사, 운문사, 불국사, 신흥사 등의 벽화들을 대상으로, 주불전 및 주요 전각의 장엄벽화의 특징과 불사동향을 살펴보고, 그 벽화를 둘러싼 화사집단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범어사 대웅전 전각의 벽화는 임한ㆍ민휘계열 작품들과 공통점이 엿보인다. 둘째, 통도사는 18세기 전중기 불화불사는 임한그룹이 통도사·석남사·운문사·표충사 등에서 대대적인 활약을, 중후기에는 두훈이 단청 및 괘불 제작에 주도적 역할을, 후말기에는 포관과 유성, 지연그룹의 활약이 보여, 각 그룹들이 단청 및 벽화에 참여하였을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셋째, 운문사 는 1654년 대웅전이 중건된 이후 적어도 18세기 전반 이전에 통도사와 은해사권역의 화사들이 벽화에 관여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넷째, 불국사 대웅전 후불벽의 사천왕벽화(1769년경)는 지첨을 비롯 포관, 유성이 관여한 것이다. 따라서 후불벽 뒷면 관음벽화도 이들 그룹에 의해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이 양산 신흥사 대광전 후불벽 뒷면의 관음벽화 제작에도 관여하였을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한다. In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there are main halls and also murals on the walls of major royal palaces decorated with dancheong splendidly and magnificently. This magnificent Mural has crucial meaning compared to scroll Buddhist paintings that are movable because it maintains the original position it had when it was made. Despite that, the primary original materials can be hardly found from which we can figure out the substance of monk painter individuals or groups that painted the mural. Yet, in general, when extensive repair or remodeling or foundation of a Buddhist temple building is done, it should be conducted unavoidably to carry out a Buddhist project for Dancheong, too. When It was performed, Buddhist paintings enshrined inside the Buddhist sanctum were also drawn in the same period in many of the cases. It seems that financial reason or the procurement of monk painters or masters participating in it did work as the main factor. If so, when carrying out the remodeling of a Buddhist temple or Buddhist project for Dancheong, magnificent Mural used to decorate the wall belonging to the building adjunctively, too, should have been made in the same period, too. This indirectly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the master artisan’group of Dancheong or Buddhist painting artists’ group concerned in Buddhist painting may have been involved in magnificent Mural as well. Accordingly, this study has examined murals in Beomeo Temple, Tongdo Temple, Unmun Temple, Bulguk Temple, and Sinheung Temple among the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located in Yeongnam during late Joseon and investigated the painting styles of magnificent buddhist mural in main halls and major royal palaces and trends of Buddhist projects and estimated the Buddhist painting artists’ group concerned in the murals. First, the murals in Beomeo Temple’s Daewoongjeon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Imhanㆍ Minhwi(敏輝)-line works. Second, about Tongdo Temple, the Imhan group, the masters of Yeongnam, took such an active part in Tongdo Temple, Seoknamsa, Unmun Temple, and Pyochung Temple regarding the Buddhist painting projects in the early to mid-18th century. and Pogwan(抱冠) group and Yuseong(有誠) group were active in late-18th century. Third, concerning Cheongdo Unmun Temple’s mural, this author opens the possibility that after the reconstruction of Daewoongjeon in 1654, or at least,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 Buddhist painting artists of Eunhae Temple’s sphere did get involved in Unmun Temple’s mural centering around Cheoil under Imhan. Fourth, about the Four Deva’s images Mural drawn on the back wall where is enshrined buddhist statue in Gyeongju Bulguk Temple’s Daewoongjeon(around 1769), not only Jicheom(智瞻) but Pogwan and Yuseong did get involved. Avalokiteshvara Moral on the back of wall where is enshrined buddhist statue in royal palace, too, may have been made by this group. Based on that, this researcher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y did get involved in Avalokiteshvara Mural on the back of wall where is enshrined buddhist statue in Sinheung Temple’s Daegwangjeon.

      • KCI등재

        조선후기 영남지역 장엄벽화와 화사집단

        박은경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7 石堂論叢 Vol.0 No.69

        전통사찰에는 주불전을 비롯해 주요 전각의 벽면에 벽화들이 단청으로 화려하게 장엄되어 있다. 이같은 장엄벽화는 제작 당시의 원위치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동 가능한 걸개그림의 불화에 비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벽화를 그린 화승 개인은 물론 그룹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는 일차 원형자료는 극히 드물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찰 건물의 창건이나 중수, 건물의 대대적인 보수를 실시할 때 단청불사 작업도 불가피하게 이뤄질 수밖에 없다. 단청불사가 행해질 때 불전 내 봉안하는 불화 제작도 유사시기에 이뤄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 아마도 경제적인 문제와 참여하는 화승 및 장인들의 수급 문제가 주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고 본다면 사찰 중수 및 단청 불사시 건물에 부속적으로 속하는 벽체를 꾸미는 장엄벽화 역시 유사시기에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 이 점은 바로 단청장 그룹이나 불화를 둘러싼 화사그룹들이 장엄벽화에도 관여하였을 가능성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따라서 이 글은 조선후기 영남지역 전통사찰 가운데 범어사, 통도사, 운문사, 불국사, 신흥사 등의 벽화들을 대상으로, 주불전 및 주요 전각의 장엄벽화의 특징과 불사동향을 살펴보고, 그 벽화를 둘러싼 화사집단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범어사 대웅전 전각의 벽화는 임한ㆍ민휘계열 작품들과 공통점이 엿보인다. 둘째, 통도사는 18세기 전중기 불화불사는 임한그룹이 통도사․석남사․운문사․표충사 등에서 대대적인 활약을, 중후기에는 두훈이 단청 및 괘불 제작에 주도적 역할을, 후말기에는 포관과 유성, 지연그룹의 활약이 보여, 각 그룹들이 단청 및 벽화에 참여하였을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셋째, 운문사 는 1654년 대웅전이 중건된 이후 적어도 18세기 전반 이전에 통도사와 은해사권역의 화사들이 벽화에 관여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넷째, 불국사 대웅전 후불벽의 사천왕벽화(1769년경)는 지첨을 비롯 포관, 유성이 관여한 것이다. 따라서 후불벽 뒷면 관음벽화도 이들 그룹에 의해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이 양산 신흥사 대광전 후불벽 뒷면의 관음벽화 제작에도 관여하였을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한다. In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there are main halls and also murals on the walls of major royal palaces decorated with dancheong splendidly and magnificently. This magnificent Mural has crucial meaning compared to scroll Buddhist paintings that are movable because it maintains the original position it had when it was made. Despite that, the primary original materials can be hardly found from which we can figure out the substance of monk painter individuals or groups that painted the mural. Yet, in general, when extensive repair or remodeling or foundation of a Buddhist temple building is done, it should be conducted unavoidably to carry out a Buddhist project for Dancheong, too. When It was performed, Buddhist paintings enshrined inside the Buddhist sanctum were also drawn in the same period in many of the cases. It seems that financial reason or the procurement of monk painters or masters participating in it did work as the main factor. If so, when carrying out the remodeling of a Buddhist temple or Buddhist project for Dancheong, magnificent Mural used to decorate the wall belonging to the building adjunctively, too, should have been made in the same period, too. This indirectly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the master artisan’group of Dancheong or Buddhist painting artists’ group concerned in Buddhist painting may have been involved in magnificent Mural as well. Accordingly, this study has examined murals in Beomeo Temple, Tongdo Temple, Unmun Temple, Bulguk Temple, and Sinheung Temple among the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located in Yeongnam during late Joseon and investigated the painting styles of magnificent buddhist mural in main halls and major royal palaces and trends of Buddhist projects and estimated the Buddhist painting artists’ group concerned in the murals. First, the murals in Beomeo Temple’s Daewoongjeon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ImhanㆍMinhwi(敏輝)-line works. Second, about Tongdo Temple, the Imhan group, the masters of Yeongnam, took such an active part in Tongdo Temple, Seoknamsa, Unmun Temple, and Pyochung Temple regarding the Buddhist painting projects in the early to mid-18th century. and Pogwan(抱冠) group and Yuseong(有誠) group were active in late-18th century. Third, concerning Cheongdo Unmun Temple’s mural, this author opens the possibility that after the reconstruction of Daewoongjeon in 1654, or at least,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 Buddhist painting artists of Eunhae Temple’s sphere did get involved in Unmun Temple’s mural centering around Cheoil under Imhan. Fourth, about the Four Deva’s images Mural drawn on the back wall where is enshrined buddhist statue in Gyeongju Bulguk Temple’s Daewoongjeon(around 1769), not only Jicheom(智瞻) but Pogwan and Yuseong did get involved. Avalokiteshvara Moral on the back of wall where is enshrined buddhist statue in royal palace, too, may have been made by this group. Based on that, this researcher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y did get involved in Avalokiteshvara Mural on the back of wall where is enshrined buddhist statue in Sinheung Temple’s Daegwangjeon.

      • KCI등재

        通度寺 應眞殿의 <釋迦說法圖> 연구

        신광희 동악미술사학회 2019 東岳美術史學 Vol.0 No.26

        Painting of Shakyamuni Preaching for Engjinjeon Hall in Tongdo Temple is one of a series of works produced during the Tongdo Temple in 1775. The painting consists of Shakyamuni Buddha, the eight Bodhisattvas, two disciples Maha Kasyapa and Anada, Sixteen Arhats, and some guardians. It is unusual in that it contains sixteen Arhats, unlike the traditional Shakyamuni’s preaching. It has two uses, the painting of Shakyamuni’s preaching and the painting of Sixteen Arhats. In addition, by placing the sixteen Arhats on the front of the screen, it was highlighted. In 1775, paintings of Eight Scenes of Shakyamuni’s Life for YeongsanJeon Hall, Painting of Shakyamuni Preaching for Engjinjeon Hall, painting of Bhaisajyaguru Buddha Preaching for Yaksajeon hall, and Hyeonwangdo painting, based on the future Buddha of King Yama for daebeobdang Hall were produced together in Tongdo Temple. Tongdosa monks were the main sponsors and about 30 monk painters participated. Among them, Painting of Shakyamuni Preaching for Engjinjeon Hall was led by the monk painter Jeongchong and Yuseong, and five other painters were assis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inting style, Jeongchong led the composition and the expression of the Buddha and Bodhisattvas, and Yuseong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the iconography and expression of Arhats. Painting of Shakyamuni Preaching for Engjinjeon Hall in Tongdo Temple shows the unprecedented iconography among the Buddhist paintings produced the late Joseon Dynasty. At the same time, the painters’ production method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actice. I expect this picture to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통도사 응진전 <석가설법도>는 1775년 통도사에서 진행된 불화 불사 때 제작된 일련의 작품 중 하나이다. 화면은 석가와 팔대보살, 그리고 가섭·아난과 십육나한, 그리고 일부 호법신중들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석가설법도와 달리 십육나한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 특이한데, 이는 당시 응진전 내에 십육나한도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았기 때문에 두가지 용도를 동시에 지닌 작품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십육나한을 화면의 전면에 배치함으로서 기존과는 차별성있는 도상을 선보이고 있다. 통도사의 1775년 불화 불사에서는 영산전 <석가팔상도>, 응진전 <석가설법도>, 약사전 <약사설법도>, 대법당 <현왕도>가 제작되었다. 통도사 승려들이 주축이 되어 시주, 발원했으며 제작 화사로는 30여명이 대거 동참했다. 그중 응진전 <석가설법도>는 정총과 유성이 주축이 되고 그 외에 5인의 화사가 보조했다. 화풍을 분석해본 결과, 정총은 화면의 전체 구도와 불보살의 표현 등을 주도했고 유성은 나한의 도상과 표현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했음을 엿볼 수 있었다. 통도사 응진전 <석가설법도>는 조선후기 석가설법도 중 유례없는 도상을 선보인 작품인 동시에 화사들의 역할 분화에서도 기존 관행과는 다소 다른 작업 방식이 시도된 중요한 작품이다. 향후 관련 연구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영남권 사찰림일대 소나무장령림의 미기후 조절 효과 연구

        홍석환,안미연,강래열,최송현 한국환경생태학회 202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4 No.4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as conducted to the ability of microclimate control in old pine forests by surveying pine forest in Buddhist temples, where the pine forest are stably growing through active protection in the Gyeongnam region, and comparing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microclimate characteristics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distribution of vegetation type. The study sites were pine forests protected well by Buddhist temples (Haein-sa, Beomeo-sa, Tongdo-sa, and Bulguk-sa) in the southeast region of Korea and thus known for stably growing young pine trees. According to the vegetation distribution status analysis, these pine forests did not have a high ratio of pine trees. Except for Tongdo-sa, the ratio of deciduous forest and mixed (deciduous and pine trees) forest had a much larger presence than that of pine forest. Measured data of microclimate showed that the Tongdo-sa area had significan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other three areas. Tongdo-sa area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diurnal range of temperatures and humidity than the other three areas, in both spring and summer. It is due to the difference in vegetation management. The forests around Tongdo-sa are mostly pine forests, except for the developed areas, while those in the other three areas have a dominant ratio of deciduous brad-leaved forests. Intensive control of pine forest is not effective in mitigating microclimate, i.e., temperature and air humidity. Stress caused by rising temperatures and decreasing air humidity is blamed for the decline of pine forests. Thus, the current active management of pine forests, such as the Tongdo-sa case, has been found to have a greater negative impact 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tress. Therefore, we believe that a new change in forest managemen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ffect of mitigating the microclimate of pine forests. 본 연구는 경남지역 내 소나무 장령림이 안정적으로 생육하고 있는 사찰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온도 및 습도의 미기상변화 특성과 식생분포특성을 비교하여 소나무장령림의 미기후 조절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국내에서 소나무 장령림의 안정적 생육지로 알려진 합천 해인사, 부산 범어사, 양산 통도사 및 경주 불국사 일대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생분포현황 분석결과 이들 소나무림은 알려진 바와는 달리 소나무림의 면적비율이 월등히 높지는 않았는데, 통도사 주변을 제외하면소나무림보다 낙엽활엽수림 및 혼효림의 우점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미기상데이터 측정 결과 통도사는 다른세 지역과는 달리 미기후 특성이 크게 차이가 있었는데, 다른 세 지역의 경우 온도 및 습도의 일교차가 상대적으로 적은반면 통도사는 일교차가 크게 나타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통도사 주변 숲이 개발지를 제외하면 대부분 소나무림인 반면, 다른 세 지역은 낙엽활엽수림의 우점비율이 높은데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소나무림의 적극적 관리는 온도상승과 공중습도의 감소에 효과적이지 않은 만큼 현재 양산 통도사 주변 소나무림과 같이 소나무 단순림으로의 적극적인 관리는 오히려온도와 습도 스트레스 측면에서 부정적 영향이 더욱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나무림의 미기후 완화 효과 증대를 위해서는숲 관리의 새로운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생물학적 사회 개념으로 본 통도사의 건축 사상

        문정필 ( Moon Jung-pil ) 동양사회사상학회 2019 사회사상과 문화 Vol.22 No.2

        생태 중심의 사회학적 논의는 산업화 과정에서 비롯된 부작용에 건축과 도시화로 인한 자연환경의 황폐화라는 위기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위기에 대한 대안 중 하나는 동아시아 전통사상에 내제된 자연관적 가치관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즉, 유·불·선 사상의 가르침을 배경으로 구현된 전통건축을 통해 우리의 자연관을 논의하고 생태 중심적 사고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통도사에 내제된 생태중심 사고를 도출해 자연환경과 연속할 수 있는 사회 생태학적 건축학을 사상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해석적 방법으로는 통도사에 생물학적 용어인 진gene, 밈meme, 딤deme의 요소를 접근시켜 통섭한다. 진은 물질을 중심으로 한 진화적 가치를, 밈은 정신을 중심으로 한 문화적 가치를, 딤은 군집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가치를 접근시켜 해석하고자 한다. 사회학적 건축에 생물학적 요소를 더하여 논의고자 하는 것은 인간이 다른 생물과 평등함을 전제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의식은 건축행위를 근원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사고를 인식하기 위함이다. 또한, 통도사의 역사, 전통, 종교, 사회에 내제된 생물학적 가치를 추출해 낸다면, 무분별하게 발전하고 있는 건축과 도시에 근원적이면서 윤리적이고 적극적인 생태 중심적 사고를 수용할 사회 생물학적 건축사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통도사를 통한 사회 생물학적 건축학의 제시는 인간사회를 생태 중심적 사고에 포함시킴으로 모든 생물이 평등한 환경에서 공존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할 건축적 방법론으로 작용될 수 있을 것이다. Eco-centric sociological discussion has started from sense of crisis which is caused by devastated natural environment by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ich originated in the West. One among many alternatives is the establishment of the view of nature which inherent in the traditional East Asian thought. From this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our view of nature and establish eco-centric thought through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which is embodied in the philosophy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Zen thoughts. This study aims to draw eco-centric thought which inherent in Tongdo temple and discuss the socio-ecological architecture that can be coexist with nature. As an interpretative method, the biological terms; Gene, Meme and Deme are used to integrate with Tongdo temple. To discuss about sociological architecture along with biological factors is in order to premise that human beings are equal to other living things. This consciousness is intended to recognize the thought that can realize architectural behavior fundamentally. In addition, if the biological value of Tongdo temple is extracted from its history, tradition, religion and society,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present social and biological architectural ideas to accommodate the underlying, ethical and active ecological thinking to buildings and cities which are developing indiscreetly. Therefore, the presentation of social and biological architecture through Tongdo temple could work as architectural methodology that would make aware all living things are coexist in an equal environment by including human society in ecological-centered thinking.

      • KCI등재

        영축총림 통도사 통합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연구

        이영화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2

        As people encounter various cultures of all countries of the world, the tourism industry is the core of competitiveness representing a country’s cultural symbolism and peculiarity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 country. Buddhist temples in South Korea have a geographical merit, the symbolism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peculiarity, and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prefer them for their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Yeongchuk-chongrim Tongdo-sa Temple, located in Yangsan, Gyeongsangnam-do, which has a history of about 1,300 years and has about 70 cultural assets, was selected as a subject, and its integrated identity design was developed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of Yeongchuk-chongrim Tongdo-sa Temple and identified its high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through a survey. Through this, it was noted that the improvement of deteriorated facilities and environments was an element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Second,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f materials, this study could establish strategies for the expression of the temple identity. The key words, drawn through a survey, “relaxing, natural and cultural” and the representative images, “stupa, the inner temple and lotus” were set up as design concepts. Third, based on the drawn concept, the final design was selected through the 1st and 2nd draft processes. The final design succeeded the tradition and expressed modern beauty, utilizing lines and faces with a stupa as a motif. Fourth, this study developed an integrated identity system, used it by dividing into a basic system and an applied system and induced unified use of the identity. As a result, a systematic, integrated identity of Yeongchuk-chongrim Tongdo-sa Temple could be established, and hopefully, as a Buddhist temple representing Korea, it would help construct an effective image, working as a foothold to advance into the world in the future. 세계는 각국의 다양한 문화를 접하며 관광산업이 국가의 문화적 상징과 고유성을 나타내는 경쟁력의 핵심으로 국가를 홍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의 사찰은 지리적인 장점과 전통문화의 상징성과 고유성을 지니고 있어 역사적, 문화적 가치로 국내외 관광객들이 선호하고 있다.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한 1300여 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70여 개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영축총림 통도사를 대상으로 선정하고 통합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개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영축총림 통도사의 역사와 문화유산을 알아보고 설문조사를 통해 영축총림 통도사의 높은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낙후된 시설 및 환경 개선이 사찰 활성화에 필요한 개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료 조사와 분석을 통해 사찰 아이덴티티 표현 전략을 수립할 수 있었다. 설문을 통해 추출된 키워드 ‘여유롭다, 자연적이다, 문화적이다’와 대표 이미지 ‘사리탑, 대웅전, 연꽃’을 디자인 콘셉트로 설정하였다. 셋째, 도출된 콘셉트를 근거하여 1, 2차 시안과정을 통해 최종 디자인을 선정하였다. 최종 디자인은 사리탑을 모티브로 선과 면을 활용해 전통을 계승하고 현대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넷째, 통합 아이덴티티 시스템 개발하여 기본시스템, 응용시스템으로 나누어 사용하고 아이덴티티의 통일된 사용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결과 영축총림 통도사의 체계적인 통합 아이덴티티를 정립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사찰로 세계 속으로 나아가는 발판이 되어 효과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 KCI등재

        조선 전반기 제1기 불교건축의 형식과 의미-사리각에서 적멸보궁으로-

        이강근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2 강좌미술사 Vol.38 No.-

        In this study I examined Sarigak(舍利閣) in the first epoch of later part of Joseon Dynasty. Sarigak in Heungcheon-Sa Temple was the multistory building for having an audience with Buddha's relics of interior stone pagoda in the former part of Joseon Dynasty. But Sarigak in Tongdo-Sa Temple is one story Hall for bowing to Buddha's relics in a Bell-shaped stone stupa of ordination platform. In the end of 16th century, Buddha's relics of Tongdo-Sa Temple was disseized by the Japanese invaders and immediately reseized by the Monk Yujeong. He sent two Buddhist reliquaries to his Teacher-monk Hyujeong. Hyujeong enshrined a Buddhist relic casket in a newly made stone bell in Bohyun-Sa Temple of Myonghang Mt. and redelivered the other relic casket to his disciple Yujeong with the request of building a stone bell in the top of ordination platform and enshrining Buddha's relics. In the Central Peak of Odaesan Mountain, there had been another type of enshrinement of Buddha's relics, namely the underground burial place for Buddha's relics dating back to the end of Goryeo Dynasty. In front of that santuary, there was an one story hall under the name of 'Bogung[寶宮]', namely the Hall for bowing and praying to Buddha's relics in the 15th century. Sarigak in Tongdo-Sa Temple and Bogung in the Central Peak of Odaesan Mountain now have been called Jeongmyulbogung[寂滅寶宮]. And then there is also Jeongmyulbogung in Youngyeon-Sa Temple, Jeongam-Sa Temple, Beobheung-Sa Temple. 'Jeongmyul' means Nirvana. Buddha's relics is considered to be a tangible evidence of Nirvana. Because 'Jeongmyulbogung' means the place of enshrining Buddha's relics, was able to became the typical name of Sarigak or Bogung in front of that sanctified place in the later part of Joseon Dynasty. 건축사에서 조선후반기 제1기는 주변국의 침략전쟁으로 인해 훼손된 건축을 복구하는데 총력을 기울인 재건의 시대이다. 국가적으로는 도성과 종묘, 사직 그리고 궁궐에 이르기까지 기간 시설을 모두 재건해야 했으며, 불교 교단으로서도 약탈과 방화로 파괴된 사원을 복구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청허휴정은 국난을 당하여 불교계가 국가 수호에 앞장서도록 지휘하는 가운데 제자인 송운유정으로 하여금 승군대장으로 활약하게 하였을 뿐 아니라, 왜구에게 침탈된 통도사의 진신사리를 수호하도록 부촉하였다. 통도사에서 가져온 진신사리 중 일부는 평안도 묘향산 보현사의 새로만든 석종에 보관하고 기념비를 세웠으며, 나머지는 유정에게 주어 양산 영취산 통도사 금강계단에 새로 석종을 만들어 다시 보관하게 하였다. 왜란 이전부터 있었던 사리전은 사리각이라는 이름으로 통도사 계단 앞쪽에 17세기 중반 재건되었다. 17세기 후반에는 달성 용연사에도 사리 일부를 보장하기 위한 석종과 석가여래부도비가건립되었고, 18세기초에는 통도사 사리탑을 100여 년만에 수리하고 사리탑비를 세웠다. 100여 년에 걸친 사리 수호 활동의 결과 원래의 진신사리 보장처인 통도사 금강계단이 석종과 조각을 갖춘사리탑으로 변모되었고, 계단 앞에 단층 불전 형식의 사리각이 세워져 배전 역할을 하게 되었다. 통도사의 사리는 태백산 정암사 석탑과 용연사 석종에도 보장되었으며 이 두 곳에도 훗날 배전이세워지게 되었다. 통도사 사리는 고려말 왜구 침입 때에도 개경 송림사로 옮겨졌다가, 조선 태조대에는 흥천사 사리탑에 봉안된 적이 있었는데, 이때에는 3층 사리각을 세우고 그 안에 사리탑을 봉안하여 사리각내부에서 계단을 오르면 사리탑 안의 사리를 배관할 수 있었다. 세종대에는 3층 사리각이 구조상의 결함으로 붕괴될 우려가 생기자 사리각을 헐고 대신 단층 전각을 석탑 앞에 세우려는 계획을 세우기도 하였다. 이는 사리탑 앞에 단층 건물 형식의 배전을 지으려던 최초의 시도였는데, 세종대에는 통도사 소장 풍탁 명문에서 보이듯 금강계단 앞에도 사리전이 존재했었다. 세조대에는 오대산 상원사에 행차했던 세조가 고려말 이래 진신사리 보장처로 여겨져 온 중대보궁에 올랐다는 기록으로 보아, 현존 중대 ‘적멸보궁’의 속칸에서 보이는 다포계 건물이 이때에 지어진 것이며, 건물 뒤편에 있는 지궁형 보장처에 대한 배전이 적어도 세조대부터는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조선전반기에 보이는 사리각의 두 형식 가운데 통도사와 오대산 중대에 세워진 단층 불전형 사리각이 조선후반기로 계승되고 후에 적멸보궁으로 불리게 되었던 것으로 이

      • KCI등재

        조선시대 통도사의 사리신앙

        한상길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80 No.-

        Located in the center of Tongdosa Temple is the Geumgang Gyedan (Diamond Altar).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Master Jajang, who established the temple, and the Geumgang Gyedan, and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not only the thought and faith that emanated from here but also various fields such as Buddhist history and art history. However,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Sari Jinsin (the Buddha’s relics) enshrined in the Geumgang Gyedan is not so abundant. This is because most of the studies are concentrated in the records of Samguk Yusa (Legends and Myths of the Three Kingdoms). It is noted that the history of the Geumgang Gyedan is reported within this text, and that the story relates the creation of Tongdosa Temple during the Silla Dynasty. However,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ongdos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hange and the faith of the Geumgang Gyeda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the Geumgang Gyedan and the aspects of faith during the Joseon Dynasty. Various accounts and historical records from Tongdosa tell of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Most of these records are from the middle Joseon Dynasty, including historical accounts, inscriptions, and anecdotes of the Master’s life. A history of Tongdosa Temple was also published. The contents included in these works are important records that reflect the facts and understanding of the perio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is process, I will first look at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Geumgang Gyedan in the Joseon Dynasty. With the Sari-youngi in mind, I aim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that the Sari's spirit and mystery have in the Buddhist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course of the active Buddhist faith activitie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ins of the Sari appear many times. The Sari’s spirit does not stop simply as a mysterious event that occurred when a Buddhist temple was built or repaired. During periods of suppression of Buddhism, Sari faith was the driving force of Buddhism for thousands of centuries to preserve tradition and culture. At the center of this, there was the Sari of Tongdosa Temple which led it to be recognized as a Temple of the Treasures of Buddha. 통도사의 중심에는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이 자리하고 있다. 자장과 금강계단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사상과 신앙은 물론 불교사, 미술사 등의 다양한 분야에까지 폭넓은 이해가 가능하다. 그런데 금강계단의 변천과 사리신앙에 대한 역사적 이해는 그리 풍부하지 못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삼국유사』의 기록에만 집중되어 있는 까닭이다. 금강계단에 관한 자료가여기에 몰려있고, 또 이 이야기가 신라시대 통도사의 창건연기라는 사실에만주목한다. 그러나 통도사의 온전한 위상과 사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려, 조선시대 금강계단의 변천 과정과 사리신앙에 대한 다양한 사실들을 알아야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배경에서 조선시대 금강계단의 변천과 사리신앙의 양상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통도사 사중에는 조선시대의 역사를 알 수 있는 다양한 자료들이 전한다. 사적기, 중수기, 비문, 고승의 행장 등 대부분이 조선중기 이후의 기록들인데 이들을 망라하여 일찍이 『통도사지』가 편찬되었다. 이 가운데 금강계단과 사리신앙의 양상을 찾아볼 수 있는 자료가 적지 않다. 대표적인 사례가 「通度寺事 蹟略錄」, 「靈骨碑銘」, 「娑婆敎主戒壇源流綱要錄」, 「佛宗刹略史」 등이다. 이들자료는 공통적으로 『삼국유사』와 『속고승전』에 기반하여 자장의 진신사리 봉안 사실을 설명하고 있다. 때로는 덧붙이거나 과장하면서 역사적 맥락에서 벗어나기도 하지만, 조선시대의 사실과 이해를 반영하고 있는 중요한 기록들이다. 이를 통해 먼저 조선시대 금강계단의 변천 과정을 살펴본다. 이어 「통도사사적 약록」에 포함되어 있는 「舍利靈異」에 주목하여 사리의 영험과 神異가 조선시대 불교사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를 이해하였다. 조선초기 왕실의적극적인 신불 활동의 과정에서 진신사리의 영험이 여러 차례 등장하였다. 이러한 진신사리의 영험은 단순히 내불당을 건립하거나 사찰을 중수하면서 일어난 신령스러운 사건으로 그치지 않는다. 억불의 시대에서 불교가 법등을 유지하고 천 수백 년의 전통과 문화를 지켜 나갈 수 있는 원동력이었다고 평가할수 있다. 그 중심에 통도사의 진신사리가 있었고, 불보종찰로서의 위상이 이렇게 정립될 수 있었다.

      • KCI등재

        남양주 흥국사 팔상도의 圖像과 畵題

        김정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3 강좌미술사 Vol.61 No.-

        The Palsang-do enshrined in the Heungguk-sa Temple is one of the Buddhist paintings that shows we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mple, a representative royal temple in the last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also the center of monk-painters in Seoul Capital and Gyeonggi Province. In 1869, the Palsang-do was created by the offer of royal family members including Heungseon-daewongun, the biological father of King Gojong and it was painted by the famous monk-painters such as Gyengseon Eungseok, Geumgok Yeonghwan, Taeheo Chehun, Hyegwa Bonggam, and Hwaam Duheum etc. The form of Palsang-do is based on the traditional iconography of Palsang-do in Tongdo-sa Temple(1775) and shows a new composition unlike the screen-division type that was popular in Seoul and Gyeonggi area at the time. Basing on the Palsang-do in Tongdo-sa as a model, but we can find that this painting did not imitate the model and shows new iconographical aspects such as forming different scene, omitting or rearranging existing images, and supplying new images. The iconography of Heungguk-sa Palsang-do was succeeded to the Palsang-do in Horim Museum(late 19th c.), the Palsang-do in Anyang-am Temple(l917), thus influenced until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addition, this painting was created by royal family members such as Heungseon-daewongun and court ladies such as Kim Daebeopryun, thus shows a appearance of Buddhist paintings offered or sponsored by the royal family in the last period of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e fact that court ladies played a leading role in offering a prayer for Palsang-do, it almost cannot be seen in other temples at that times. In this regard, this Palsang-do of Heungguk-sa would be a representative case offered by both royal family members and court ladies and thus it shows an particular aspect of the history of Buddhist paintings in that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