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동기시대 검단리유형의 형성과정과 출현배경

        김현식(Kim Hyun Sik) 한국상고사학회 2006 한국상고사학보 Vol.54 No.-

        검단리유형은 검단리식토기와 울산식주거지라는 2가지 핵심요소로 구성된 영남지방 동남해안지역의 고고학적문화이다. 검단리식토기는 혼암리토기의 복합문양이 단순모양으로 변화하고 시문수법이 간략화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토기이며, 울산식주거지는 혼암리유형의 관산리식·미사리식주거지 등의 대형 주거지가 주거면적의 소형화, 노지의 감소, 노지위치의 정형화, 주혈배치의 4각구도화 과정을 거쳐 형성된 주거지이다. 검단리유형은 동남해안지역에 들어온 혼암리유형이 進化한 유형이며 시기상으로는 영남지방 다른 지역의 송국리유형과 동시기에 해당된다. 울산식주거지의 내부공간은 작업·저장·수면 3개의 공간으로 구분되며 개별세대가 거주했던 주거로 추정된다. 검단리식주거지는 영남지방 다른 지역 중기의 주거지인 송국리식 주거지와 공간구조, 취락에서의 면적분포, 증축행위의 존재, 환호취락의 존재 등에서 유사한 점이 많은데 이는 양 주거지가 주거양식, 사회발전단계에 있어 동일한 단계에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혼암리유형의 대형주거지에서 울산식주거지로의 변화는 단위집단이 세대공동체에서 개별세대로 분화되는 것을 의미하며, 검단리식토기는 토기제작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과정에서 출현한 토기이다. 도구제작의 효율성 개선의 흔적은 다른 물질문화의 변화에서도 확인된다. 이런 단위집단의 변화와 도구제작의 효율성 개선으로 사회전체의 생산성이 향상되었을 것이다. The Goemdan-ri Assemblage can be represented by the Ulsan Type dwelling structure, the Goemdan-ri type pottery, and small stone coffins. Although the Goemdan-ri Assemblage shows unique regional characterisics, it contains some elements from the Heunam-ri Assemblage. The Goemdan-ri pottery had been transformed from Heunam-ri pottery and Ulsan type dwelling sites had been changed from the type of large dwelling structure which shows many similarities to the Heunam-ri type dwelling structure. This transition in dwelling structure shows that residing practice had been changed from the extended family to the nuclear family. The Goemdan-ri Assemblage is the unque one having developed from the Heunam-ri Assemblage that had come into the Southeast coastal region of Korea, and can be chronicled into the same period with the Songguk-ri Assemblage of Yongnam region.

      • KCI등재

        湖西-湖南地域松菊里式土器의 時·空間性

        황재훈 한국고고학회 2010 한국고고학보 Vol.77 No.-

        The present study represents a reassessment of the chronological and spatial change of Songguk-ri type vessels from the Hoseo and Honam regions. I first classified Songguk-ri type jars with outwardly curved rims (woibanguyeonho), which are recognized from various Hyuam-ri and Songguk-ri dwelling sites. In so doing, I distinguished continuous attributes from nominal attributes, which represent two different dimensions of morphological variability. A simple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these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urface treatment, bottom shape,wall thickness and the degree of the rim’s outward curvature. Classified pottery types were then assessed in conjunction with the shape and distribution of dwellings, which in turn provided valuable data for chronological reformulation. Hyuam-ri dwellings were found to yield various jar and bowl types which feature characteristics that are chronologically earlier. New ceramic types, including red and flask-shaped jars, were added to the Songguk-ri assemblages, and changes are also recognized with regard to bowls and jars with outwardly curved rims. The body became longer for the bowls, while the bottom became thinner and the curved rim became shorter for the jars. Regional variations are also recognized: stamping appeared in the western coast of Chungnam province and carving techniques were further developed in the Honam region.

      • KCI등재

        청동기시대 조기 설정과 송국리유형 형성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형원(Lee, Hyungwon) 중부고고학회 2010 고고학 Vol.9 No.2

        경기지역의 고고학은 2000년대에 구석기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룩하였다. 본고는 이 가운데 청동기시대를 대상으로 하여 발굴성과를 정리하고,최신 발굴자료를 토대로 청동기시대 조기실정과 송국리유형 형성 논쟁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발굴성과로는 첫째,충청 이남의 남부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송국리식주거지와 관련 유물이 경기지역에서도 화성 천천리유적을 필두로 하여 여러 유적에서 빈번하게 확인되었다. 둘째,81기의 주거지가 발굴된 평택 소사동유적과 같이 대규모 유적의 조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취락의 양상이 자세히 밝혀졌다. 셋째,경기지역의 고인돌이 종합적으로 집성되었으며 화장묘가 다수 검출되었다. 넷째,돌대문토기 출토 유적이 증가했으며, 기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비파형동검이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되었다. 다섯째,점토대토기단계의 고지성 취락이 여러 유적에서 모습을 드러냈으며,마지막으로 삼각형점토대토기를 비롯하여 동착용범,동사,동착,중국식동 검,철촉 등과 같은 금속유물이 출토된 것도 중요하다. 이와 같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발굴성과 중에는 청동기시대 조기를 둘러싼 문제나 송국리유형 형성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자료가 다수 있으며, 학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두 주제 모두 인식론적인 측면도 있지만,근본적으로는 편년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 필자는 조기와 전기의 구분이 여러 가지 물질자료로 설명될 수 있지만,특히 마제석검과 유경식석촉의 등장이 유효한 기준이 될 수 있으며,이는 요령지역 비파형동검문화권의 영향과 관련되는 것으로 파악했다. 송국리유형의 형성과 관련해서는 자체발생설과 외래 기원설이 평행선을 달리는 가운데,경기 남부지역의 장방형주거지로부터 송국리식주거지가 계기적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형식학적으로 설명했다. 이를 통해 송국리유형 출현의 자체발상설을 보완했으며 발생지역의 유력한 후보지 가운데 하나로 경기 남부지역을 새롭게 주목했다. This study compiled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result of Bronze Age during 2000s in Gyeonggi area and discussed research issues. Regarding archaeological results, firstly, Songguk-ri type residence, concentrated in southern area lower than Chungcheong area, and related artifacts were found for the first time in Cheoncheon-ri site at Hwaseong-si in Gyeonggi area. Secondly, investigation on the large scale sites, such as Sosa-dong site in Pyeongtaek-si with 81 residence units, was done. Thirdly, dolmens in Gyeonggi area were comprehensively compiled and multiple cremation-tombs were found. Fourthly, sites have pottery with jutted band increased and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were unearthed from excavation for the first time in Gyeonggi province. Fifthly, high-land type residences were found in multiple sites. Lastly, me excavation of pottery with triangle clay, bronzeware and ironware required attention. Compared to explosively increased excavation data, there were relatively less research arguments. Research interests were concentrated on the issue of Bronze Age early period and formation theory of Songguk-ri assemblage. Both subjects have the aspects of epistemology; however, essentially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chronological arrangement issue. I can explain the classification of early period and former period with various material data; however, me appearance of polished stone sword and stone arrowhead with root can be valid criterions,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y are related to the impact of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al area. Regarding the formation of Songguk-ri assemblage, the phenomenon, where rectangle type residence of Gyeonggi southern area is linked to Songguk-ri type residence back to back, is explained from typology. Through this, the self¬occurrence theory of Songguk-ri assemblage appearance was complemented and Gyeonggi southern area became the most likely occurrence area among candidates.

      • KCI등재

        송국리유형 형성과정에 대한 검토

        나건주(Na, Geon ju) 중부고고학회 2009 고고학 Vol.8 No.1

        서울·경기지역에서 송국리유형과 관련된 자료들은 안성천 수계 내에서 확인되고 있다. 안성천은 곡교천·삽교천과 함께 아산만을 통해 서해로 유입되는 하천으로, 이들 하천들이 분포하는 지역들은 지리적으로 하나의 권역인 아산만지역으로 통칭할수 있다. 경기남부와 충청북부에서 확인되는 유적들은 동일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아산만지역으로 통합하여 자료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전기 말에는 주거지가 소형화되고 취락의 존속기간도 길어지며, 주거지의 구조도 반송리식이라는 과도기적인 단계를 거쳐 휴암리식 주거지가 형성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송리식 주거지의 분포는 아산만지역을 벗어나서 해안지역으로 가면서 그 빈도가 약해지는데 반해서,휴암리식은 당진,서산지역을지나 보령,서천지역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며 취락의 규모도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전기말 소형화된 주거지에 구심구조가 채택되며,반송리식을 거쳐 완성된 휴암리식 주거지가 서해안을 통해 금강유역으로 확산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후 휴임 리식은 평면형태가 원형으로 바뀌며 송국리식 주거지로 완성된다. 송국리식 주거지의 분포는 서천과 부여지역,대전과 청주지역 등금강 중·하류역에 집중되고 있다. 이는 전기 단계 곡교천변에 밀집되었던 인구가 중기에는 금강유역으로 대거 이동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 원인은 수도농경에 유리한 경관을 갖춘 지형이 집중 분포하는 지역으로 인구가 옮겨간 것으로 판단된다. The data related to Songguk-ri assemblages are being identified at the Anseong Stream water system in Seoul & Gyeonggi district, The Anseong Stream is a river flowing into thewest sea through Asan Bay together with the Gokgyo Stream and Sapgyo Stream and the districts where these streams are distributed are named Asan Bay district as one area geographically. The relics identified in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do and northern pan of Chungcheong-do are judged to have a similar character and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ed data by integrati.ng these areas into Asan Bay district. As a result, this research discovered that a Hyuamri-typed settlement formed by way of the transitional stage of a Bansong-ri type in a settlement structure with the occurrence of settlement miniaturization and intensification of sedentary efficiency in a settlement at the latter period of the former Bronze Age. The distribution of Bansong-ri-typed settlements was found to be lower in its frequency in the west coastal areas away from Asan Bay district while Hyuamri-typed settlements showed a higher frequency at Boryeong and Seocheon districts past Dangjin and Seosan districts and the size of a settlement was also identified to be bigger. This research understood such a phenomenon as the facts as follows: 1] main structure was adopted into a miniaturized settlement followed by the intensification of sedentary efficiency in a settlement which occurred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former Bronze Age 2] mere showed the completion of the Hyuamri-typed settlement by way of the transitional stage of Bansongri-type 3] Afterwards, the Hyuamri-type settlement' was expanded into the Geumgan Basin by way of the west coast. The distribution of the Songguk-ri-ryped settlement was centered on the mid-stream & downstream areas of the Geumgang, such as Seocheon & Buyeo districts, Daejeon and Cheongju districts, etc., which fact could be explained by presumption that the population, who densely habited along me Gokgyo Stream during the former period of the Bronze Age, massively moved to the Geumgan Basin during the mid-period of the Bronze Age. It's because the population moved to a district where geographical Features equipped with scenes advantageous to water-field rice plant farming, this res arch judges.

      • KCI등재

        가내리 청동기시대 취락의 성격과 시기

        손준호(Son, Joon-ho) 호서사학회 2018 역사와 담론 Vol.0 No.85

        가내리유적은 충남 아산시 신창면 가내리의 해발 45~80m 구릉에 위치한다. 확인된 청동기시대의 유구는 주거지 44기, 수혈유구 12기, 구상유구 4기, 석관묘 2기 등으로, 비교적 오랜 기간 점유된 대규모 단위 취락을 이루고 있다. 인근 지역에서 잘 관찰되지 않는 분묘를 포함하여 상대적으로 다양한 유구가 다수 조사되었는데,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개별 유구의 형태와 종류, 공간 점유 양상 등이 변화한다. 또, 출토량이 많은 편은 아니지만 몇몇 특징적인 유물이 확인되며, 다수의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치도 확보되었다. 청동기시대 취락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판단되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분석을 통해 그 가치를 높일 필요성이 있다. 유구와 유물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우선 전기 단계의 가내리유적은 역삼동유형의 주거 중심 취락으로 A․B․C구역에 유구가 고르게 분포한다. 이후 송국리문화의 영향으로 점진적인 물질문화상의 변화를 거치면서 주거 이외에 분묘와 구획 시설, 저장 시설 등이 추가되는데, 주거지는 A․C구역, 구획구와 저장 시설은 C구역, 분묘는 B구역에 분포하여 취락 내 기능 분화에 따라 공간이 분리되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구릉 정상부에 해당하는 B구역에는 석관묘 2기만 자리하는데, 양자의 거리가 약 70m 정도로 비교적 넓은 공지가 확보되어 있어 취락 전체의 의례 활동이 이루어지던 공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가내리유적의 후기 취락은 개별 군집의 규모는 크지 않지만, 주거, 저장, 매장, 의례 공간 등이 구분된 상위 취락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The Ganae-ri site is located in Shinchang-myeon, Asan-city, Chungnam with the sea level altitude of 45 to 80 meters. Here, relatively long-term and large scale settlement site was excavated including 44 dwelling pits, 12 smaller pits, four ditch and two stone coffins. The last one is rarely found in nearby area, which makes this site more unique. Also, they show different characters of archaeological features such as forms and location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this site is supported by some of the unique artifacts as well as radiocarbon dating. Considering this importance, this paper tries a further examination of this settlement site. As a result of the chronological and spacial analysis,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Early and Late Bronze Age was confirmed. In EBA, dwelling pits belonging to the Yeoksam-dong assemblage are distributed in location A, B and C while in LBA these features are affected by the Songguk-ri culture and showing division of space in terms of their function; while dwelling pits are found in the location A and C, ditch and storage features are only in C, graves are only in B. It is noteworthy that 70m of length of unoccupied space was found between two stone coffins at the location B on the top of the hill, which indicates the possibility for some ritual activity in this place. In the end, in spite of the smaller scale of LBA settlement of Ganae-ri, it can be considered to be a upper-class settlement because of the highly developed division of space use, such as for housing, storage, funeral and craft production.

      • KCI등재

        충북지역 청동기시대 문화의 특징

        손준호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3 No.-

        Eighty-seven excavations of the Bronze Age sites in the Chung-buk region have been officially reported so far. Among these, thirty-seven are from the Cheong-ju region, reflecting excessive emphasis of economic development in this region. Following this, twenty in the Je-cheon and Chung-ju regions and five each in the other regions have been reported. The site locations are twenty-one on alluvial terrains, sixty-four on the hills and two are on both. Sites on the hills are more than threefold to that on alluvial terrains, showing that most of settlement sites in this period were located on hills, although still some large scale sites would be unearthed from alluvial terrains like other regions where they found large scale Bronze Age settlement sites. In terms of periodization, thirty-three in the Early, nineteen in the Late Bronze Age and seventeen in both periods have been reported, while eighteen sites are difficult to periodize. Although seemingly the Early Bronze Age assemblages were dominant in this region, this could be because that these assemblages had continued even in the Late Bronze Age, without the diffusion of the Songguk-ri culture, especially in the Han river basin. Most of them mainly consist of dwelling pits with small varieties of archaeological features including dairy-life related features such as small pits, ditches and outdoor fireplaces, as well as tombs such as dolmens, stone coffins, jar coffins and grave pits. Notably, any features related to food production have been found yet. As for the artifacts, the diagonal stroked double-rim pottery, perforated rim pottery, stepped hilt stone daggers, triangle shaped and stepped tanged stone arrowheads were found in the Early, and the outward curved rim pottery, straight hilt stone daggers, straight tanged stone arrowheads and grooved stone adzes were found in the Late Bronze Age. 충북지역에서 현재까지 발굴 조사되어 보고서가 출간된 유적은 모두 87개소이다. 청주지역 조사 유적이 37개소로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데, 이는 국토 개발의 편중성을 반영하고 있다. 다음으로 남한강유역의 제천․충주지역에 20개소, 나머지 금강유역의 기타 단위 지역에서 각 5개소 내외의 유적이 확인되었다. 입지는 충적지 21개소, 구릉 64개소, 충적지와 구릉 모두에 자리하는 유적이 2개소로, 구릉에 위치한 유적의 수가 3배 이상 많다. 충적지 입지의 다수는 충주댐 수몰과 관련하여 조사된 제천과 충주 일원의 분묘 유적들로, 이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취락이 구릉에 자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시기별로 보면 전기 유적 33개소, 후기 19개소이며, 전기와 후기 모두에 해당하는 장기 점유 취락이 17개소이다. 나머지 18개 유적은 정확한 시기를 파악하기 어렵다. 대부분 주거지가 다수를 차지하는 주거 중심 유적에 해당하는데, 한 유적에서 한두 종류의 유구만 소수 조사된 경우가 많다. 유물은 전기의 경우 이중구연단사선문토기, 공렬문토기, 이단병검, 삼각만입촉, 이단경촉 등이, 후기에는 외반구연토기, 일단병검, 일단경촉, 유구석부 등이 주로 출토되고 있다.

      • KCI등재

        송국리단계 유물·유구 변화와 의미

        김현식 한국청동기학회 2016 한국청동기학보 Vol.19 No.-

        본고에서는 전기~송국리단계의 주거지, 토기, 석촉, 석도 등의 변화상을 검토하고 이들 변화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토기, 석촉, 주거지 등은 자체의 성능이 향상되기보다 도구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방향으로 변하였고, 석도는 도구 자체의 효율성과 제작의 생산성이 모두 향상되는 방향으로 변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도구제작의 생산성 향상은 전체적인 생산력 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렇게 높아진 생산력은 송국리문화가 복합사회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the Bronze Age dwellings and tools such as pottery, stone-arrowhead, stone-knife were discussed what it mean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obtained. Earthenware, stone-arrowhead, such as dwellings is a change in production cost than improved function of the tool is reduced, stone-knife was a change in the reduction of production costs and improvements of the tool. Improvement of productivity of these tools work is closely related to the society as a whole to improve productivity, in this way raised productivity is the foundation that can Songuku-ri culture to develop into a complex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