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충북지역 청동기시대 문화의 특징 =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onze Age Culture in the Chung-buk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26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ighty-seven excavations of the Bronze Age sites in the Chung-buk region have been officially reported so far. Among these, thirty-seven are from the Cheong-ju region, reflecting excessive emphasis of economic development in this region. Following thi...

      Eighty-seven excavations of the Bronze Age sites in the Chung-buk region have been officially reported so far. Among these, thirty-seven are from the Cheong-ju region, reflecting excessive emphasis of economic development in this region. Following this, twenty in the Je-cheon and Chung-ju regions and five each in the other regions have been reported. The site locations are twenty-one on alluvial terrains, sixty-four on the hills and two are on both. Sites on the hills are more than threefold to that on alluvial terrains, showing that most of settlement sites in this period were located on hills, although still some large scale sites would be unearthed from alluvial terrains like other regions where they found large scale Bronze Age settlement sites.
      In terms of periodization, thirty-three in the Early, nineteen in the Late Bronze Age and seventeen in both periods have been reported, while eighteen sites are difficult to periodize. Although seemingly the Early Bronze Age assemblages were dominant in this region, this could be because that these assemblages had continued even in the Late Bronze Age, without the diffusion of the Songguk-ri culture, especially in the Han river basin. Most of them mainly consist of dwelling pits with small varieties of archaeological features including dairy-life related features such as small pits, ditches and outdoor fireplaces, as well as tombs such as dolmens, stone coffins, jar coffins and grave pits. Notably, any features related to food production have been found yet. As for the artifacts, the diagonal stroked double-rim pottery, perforated rim pottery, stepped hilt stone daggers, triangle shaped and stepped tanged stone arrowheads were found in the Early, and the outward curved rim pottery, straight hilt stone daggers, straight tanged stone arrowheads and grooved stone adzes were found in the Late Bronze 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충북지역에서 현재까지 발굴 조사되어 보고서가 출간된 유적은 모두 87개소이다. 청주지역 조사 유적이 37개소로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데, 이는 국토 개발의 편중성을 반영하고 있다. 다음으...

      충북지역에서 현재까지 발굴 조사되어 보고서가 출간된 유적은 모두 87개소이다. 청주지역 조사 유적이 37개소로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데, 이는 국토 개발의 편중성을 반영하고 있다. 다음으로 남한강유역의 제천․충주지역에 20개소, 나머지 금강유역의 기타 단위 지역에서 각 5개소 내외의 유적이 확인되었다. 입지는 충적지 21개소, 구릉 64개소, 충적지와 구릉 모두에 자리하는 유적이 2개소로, 구릉에 위치한 유적의 수가 3배 이상 많다. 충적지 입지의 다수는 충주댐 수몰과 관련하여 조사된 제천과 충주 일원의 분묘 유적들로, 이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취락이 구릉에 자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시기별로 보면 전기 유적 33개소, 후기 19개소이며, 전기와 후기 모두에 해당하는 장기 점유 취락이 17개소이다. 나머지 18개 유적은 정확한 시기를 파악하기 어렵다. 대부분 주거지가 다수를 차지하는 주거 중심 유적에 해당하는데, 한 유적에서 한두 종류의 유구만 소수 조사된 경우가 많다. 유물은 전기의 경우 이중구연단사선문토기, 공렬문토기, 이단병검, 삼각만입촉, 이단경촉 등이, 후기에는 외반구연토기, 일단병검, 일단경촉, 유구석부 등이 주로 출토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준호, "호서지역의 지석묘와 그 보존 및 활용"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26) : 105-134, 2016

      2 이형원, "호서지역 가락동유형의 취락구조와 성격" 호서고고학회 (17집) : 26-71, 2007

      3 이형원, "한국 청동기시대의 취락구조와 사회조직"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4 김권중, "한국 청동기시대 편년" 서경문화사 51-80, 2013

      5 손준호, "충청북도의 청동기 문화, 중원 문화의 숨결"

      6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충주 장태산․장천리․잠병리․율능리유적" 2013

      7 이홍종, "충적지 취락의 지형환경" 영남고고학회 (63) : 37-61, 2012

      8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청주 송절동 산90-7번지 유적" 2014

      9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청주 산남동 산31-3번지 유적" 2014

      10 박상현, "청주 사천동유적" 호서문화유산연구원 2016

      1 손준호, "호서지역의 지석묘와 그 보존 및 활용"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26) : 105-134, 2016

      2 이형원, "호서지역 가락동유형의 취락구조와 성격" 호서고고학회 (17집) : 26-71, 2007

      3 이형원, "한국 청동기시대의 취락구조와 사회조직"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4 김권중, "한국 청동기시대 편년" 서경문화사 51-80, 2013

      5 손준호, "충청북도의 청동기 문화, 중원 문화의 숨결"

      6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충주 장태산․장천리․잠병리․율능리유적" 2013

      7 이홍종, "충적지 취락의 지형환경" 영남고고학회 (63) : 37-61, 2012

      8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청주 송절동 산90-7번지 유적" 2014

      9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청주 산남동 산31-3번지 유적" 2014

      10 박상현, "청주 사천동유적" 호서문화유산연구원 2016

      11 박성희, "청주 가경동유적" 한국고고환경연구소 2014

      12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청주 가경동 산107-2번지 유적, 2010․2011 소규모 발굴조사보고서" 2012

      13 이영훈, "청원 황탄리지역 시굴조사 보고, 京釜高速鐵道 大田․忠淸圈 文化遺蹟 發掘豫備調査報告書" 韓南大學校博物館 1997

      14 이홍종, "청원 황탄리 바리미골유적" 한국고고환경연구소 2012

      15 이홍종, "청원 궁평리유적" 한국고고환경연구소 2013

      16 이형원, "청동기시대 조기 설정과 송국리유형 형성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2000년대 이후 경기지역 발굴성과를 중심으로-" 중부고고학회 9 (9): 43-75, 2010

      17 배진성, "청동기시대 玉의 출현과 전개, 한국 선사․고대의 옥문화 연구" 복천박물관 111-134, 2013

      18 이융조, "진천 장관리유적Ⅰ" 忠北大學校中原文化硏究所 2002

      19 정종태, "진천 송두리 산41-3번지 유적" 충청문화재연구원 2017

      20 황재훈, "중서부지역 무문토기시대 전기의 시간성 재고 — 14C연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92) : 36-79, 2014

      21 김권중, "조동리유형의 시·공간적 정체성" 중부고고학회 15 (15): 5-30, 2016

      22 하문식, "제천 평동․광암 고인돌" 세종대학교박물관 2015

      23 中央文化財硏究院, "제천 왕암유적" 2002

      24 우장문, "제원 황석리 고인돌문화의 고찰" 白山學會 34 : 141-190, 1987

      25 裵眞晟, "전기무문토기 속의 횡대구획문토기" 釜山考古學硏究會 1 : 45-64, 2007

      26 동방문화재연구원, "오송 통일신라시대 취락유적" 2012

      27 권학수, "영동 각계리유적, 경부고속철도 대전․충청권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Ⅱ" 충북대학교중원문화연구소 2001

      28 이명훈, "송국리형 묘제의 검토" 한국고고학회 (97) : 28-67, 2015

      29 나건주, "송국리유형 형성과정에 대한 검토: 경기 충청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중부고고학회 8 (8): 51-84, 2009

      30 송만영, "송국리유형 발생설의 학사적 검토" 한국고고학회 (95) : 64-101, 2015

      31 김장석, "송국리단계 저장시설의 사회경제적 의미" 한국고고학회 (67) : 4-39, 2008

      32 이기성, "무문토기시대 타제석기 試論 -‘타제 인기(刃器)’ 기종 설정을 중심으로-" 호남고고학회 49 : 69-95, 2015

      33 공민규, "무문토기문화 가락동유형의 성립과 전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3

      34 安在晧, "동북아 청동기문화 조사연구의 성과와 과제" 학연문화사 9-105, 2009

      35 金炳燮, "남한지역 조․전기 무문토기 편년 및 북한지역과의 병행관계" 韓國靑銅器學會 4 : 4-25, 2009

      36 현대환, "금강 중류역 돌대문토기의 양상, 남한지역 초기 무문토기의 지역양상" 21-37, 2012

      37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괴산 학생중앙군사학교 부지 내 유적" 2012

      38 金載元, "黃石里遺蹟, 韓國支石墓硏究" 國立博物館 1967

      39 李弘鍾, "黃灘里遺蹟" 고려대학교매장문화재연구소 2001

      40 鄭永鎬, "飛中里 一光三尊石佛 復元調査 및 原位置探索調査報告書" 韓國敎員大學校博物館 1992

      41 安在晧, "韓國 農耕社會의 成立" 韓國考古學會 43 : 41-66, 2000

      42 안승모, "韓半島 靑銅器時代의 作物組成-種子遺體를 中心으로-" 호남고고학회 28 : 5-50, 2008

      43 宋永鎭, "韓半島 靑銅器時代 磨硏土器 硏究" 慶尙大學校大學院 2016

      44 孫晙鎬, "韓半島 出土 半月形石刀의 變遷과 地域相" 韓國古代學會 17 : 109-135, 2002

      45 李亨源, "靑銅器時代 前期 聚落의 編年 및 構造 試論" 국립공주박물관 3 : 41-84, 2003

      46 中原文化財硏究院, "陰城 泰生里遺蹟" 2015

      47 中央文化財硏究院, "陰城 柳村里․道晴里․覺悔里遺蹟" 2008

      48 中原文化財硏究院, "陰城 大也里․龍岱里遺蹟" 2011

      49 中央文化財硏究院, "陰城 下唐里遺蹟" 2004

      50 中央文化財硏究院, "陰城 上老里遺蹟, 陰城 上老里․泰生里遺蹟" 2013

      51 趙順欽, "長新里遺蹟" 中原文化財硏究院 2006

      52 박중균, "鎭川 長管里遺蹟" 中原文化財硏究院 2009

      53 김길식, "鎭川 長管里 沙美遺蹟" 龍仁大學校博物館 2012

      54 中央文化財硏究院, "鎭川 新月里遺蹟" 2005

      55 中央文化財硏究院, "鎭川 思陽里遺蹟" 2001

      56 中央文化財硏究院, "鎭川 山水里遺蹟" 2014

      57 中央文化財硏究院, "鎭川 內村里 당골遺蹟" 2009

      58 손명수, "鎭川 佳山里遺蹟"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5

      59 李承源, "鎭川 九山里․石帳里遺蹟"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3

      60 孫晙鎬, "錦江流域 松菊里文化의 群集 貯藏孔 硏究" 아주대학교박물관 10 : 5-24, 2004

      61 金承玉, "錦江流域 松菊里型 墓制의 硏究" 韓國考古學會 45 : 45-74, 2001

      62 朴禛雨, "美湖川流域 地表調査報告書" 國立淸州博物館 1993

      63 이홍종, "無文土器가 彌生土器 성립에 끼친 영향" 韓國古代學會 14 : 5-26, 2000

      64 손준호, "湖西地域 靑銅器時代 墓制의 性格" 한국고대학회 (31) : 137-160, 2009

      65 宋滿榮, "湖南地方 靑銅器時代 硏究 現況과 展望 , 밖에서 본 호남고고학의성과와 쟁점" 59-81, 2004

      66 韓國文化財保護財團, "淸州 龍岩遺蹟Ⅰ" 2000

      67 차용걸, "淸州 鳳鳴洞遺蹟 Ⅲ" 忠北大學校博物館 2004

      68 禹鍾允, "淸州 鳳鳴洞遺蹟" 忠北大學校博物館 2015

      69 金貞仁, "淸州 飛下洞遺蹟 Ⅱ" 中原文化財硏究院 2008

      70 金京鎬, "淸州 飛下洞遺蹟" 中原文化財硏究院 2006

      71 박연서, "淸州 雲東洞遺蹟" 中原文化財硏究院 2008

      72 中原文化財硏究院, "淸州 西村洞遺蹟 Ⅰ․Ⅱ" 2008

      73 이승원, "淸州 西村洞 西村遺蹟"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6

      74 中央文化財硏究院, "淸州 粉坪洞遺蹟" 2006

      75 中央文化財硏究院, "淸州 江西洞遺蹟" 2006

      76 中央文化財硏究院, "淸州 松節洞遺蹟" 2008

      77 차용걸, "淸州 松節洞遺蹟" 中原文化財硏究院 2007

      78 中原文化財硏究院, "淸州 月午洞遺蹟" 2013

      79 정진명, "淸州 月午洞遺蹟" 中原文化財硏究院 2011

      80 中央文化財硏究院, "淸州 山南洞遺蹟" 2006

      81 中央文化財硏究院, "淸州 佳景洞遺蹟, 平澤 七槐洞遺蹟" 2007

      82 한선경, "淸州 佳景洞遺蹟" 中原文化財硏究院 2006

      83 李隆助, "淸州 佳景 3地區 遺蹟" 忠北大學校博物館 2002

      84 이승원, "淸州 休岩洞遺蹟"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6

      85 趙順欽, "淸州 井北洞 土城 Ⅲ" 中原文化財硏究院 2013

      86 차용걸, "淸州 井北洞 土城 Ⅱ" 忠北大學校 中原文化硏究所 2002

      87 우종윤, "淸州 上新洞遺蹟"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4

      88 中原文化財硏究院, "淸州 丁峰洞遺蹟" 2015

      89 金花貞, "淸原 黃淸里遺蹟" 中原文化財硏究院 2012

      90 中原文化財硏究院, "淸原 鶴天里遺蹟" 2013

      91 中央文化財硏究院, "淸原 雙淸里 靑銅器時代遺蹟" 2006

      92 中央文化財硏究院, "淸原 萬水里遺蹟" 2007

      93 韓國文化財保護財團, "淸原 松垈里遺蹟, 淸原 梧倉遺蹟Ⅰ" 1999

      94 李承源, "淸原 新坪里遺蹟(Ⅲ․Ⅳ地點)"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4

      95 李隆助, "淸原 宮坪里 靑銅器遺蹟" 忠北大學校先史文化硏究所 1994

      96 中央文化財硏究院, "淸原 大栗里․馬山里․楓井里遺蹟" 2005

      97 韓國文化財保護財團, "淸原 國仕里遺蹟" 2000

      98 崔仁建, "淸原 台城里遺蹟, 湖南高速鐵道 建設區間內 文化遺蹟 發掘調査報告書" 韓國考古環境硏究所 2011

      99 國立文化財硏究所, "淸原 內秀里遺蹟, 先史遺蹟 發掘調査報告書" 1995

      100 中原文化財硏究院, "沃川 縣里遺蹟" 2014

      101 金京鎬, "沃川 加豊里Ⅱ遺蹟" 中原文化財硏究院 2011

      102 백영종, "沃川 仁政里遺蹟" 中原文化財硏究院 2012

      103 金元龍, "永同 楡田里 支石墓의 特異構造와 副葬品" 歷史學會 12 : 123-137, 1960

      104 송만영, "欣岩里式土器發生의 再檢討" 한국상고사학회 79 (79): 5-38, 2013

      105 中原文化財硏究院, "槐山 霽月里․大德里遺蹟" 2016

      106 김화정, "梧倉 鶴巢里․場垈里遺蹟" 中原文化財硏究院 2008

      107 배진성, "東北型石刀에 대한 小考" 영남고고학회 (40) : 5-26, 2007

      108 우종윤, "曾坪 花城里遺蹟"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5

      109 우종윤, "曾坪 石谷里遺蹟" 忠北大學校博物館 2011

      110 손명수, "曾坪 松山里遺蹟"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0

      111 李弘鍾, "日本 初期水田農耕期의 덧띠새김무늬 토기" 高大史學會 33 : 45-63, 1988

      112 忠北大學校博物館, "忠州댐 水沒地區 文化遺蹟 發掘調査 綜合報告書Ⅰ" 1984

      113 忠北大學校博物館, "忠州댐 水沒地區 文化遺蹟 發掘調査 綜合報告書 Ⅱ" 1984

      114 中央文化財硏究院, "忠州 長城里遺蹟, 忠州 龍山洞․大谷里․長城里遺蹟" 2007

      115 李隆助, "忠州 早洞里 先史遺蹟Ⅰ" 忠北大學校博物館 2001

      116 李隆助, "忠州 早洞里 先史遺蹟 Ⅱ" 忠北大學校博物館 2002

      117 中央文化財硏究院, "忠州 佳州洞遺蹟" 2003

      118 李隆助, "大淸댐 水沒地區 遺蹟 發掘調査報告書" 忠北大學校博物館 1979

      119 배진성, "墳墓 築造 社會의 開始" 한국고고학회 (80) : 5-28, 2011

      120 中央文化財硏究院, "報恩 富壽里 古墳群" 2004

      121 손명수, "報恩 城舟里遺蹟"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5

      122 中央文化財硏究院, "報恩 上長里遺蹟" 2004

      123 손명수, "報恩 上可里遺蹟"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5

      124 崔楨苾, "堤川 綾江里" 世宗大學校博物館 2001

      125 손명수, "堤川 江諸洞 안산遺蹟"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09

      126 崔楨苾, "堤川 九龍里" 世宗大學校博物館 2002

      127 배진성, "可樂洞式土器의 初現과 系統" 부산고고학연구회 (11) : 1-27, 2012

      128 宋滿榮, "南韓地方 農耕文化形成期 聚落의 構造와 變化 , 한국 농경문화의 형성" 75-108, 2001

      129 許義行, "前期 靑銅器時代 竪穴遺構의 性格과 變化樣相" 韓國靑銅器學會 3 : 62-99, 2008

      130 忠北大學校博物館, "中部高速道路 文化遺蹟 發掘調査報告書" 1986

      131 孔敏奎, "中部地域 無文土器文化 前期 環濠聚落의 檢討" 中央文化財硏究院 1 : 57-82, 2005

      132 金容乾, "中部 內陸地域 靑銅器時代 前·中期 文化 轉移過程 硏究 - 美湖川流域聚落을 中心으로 -" 호서고고학회 (29) : 156-181, 2013

      133 안재호, "中西部地域 無文土器時代 中期聚落의 一樣相" 한국상고사학회 43 (43): 1-24, 2004

      134 忠北大學校博物館, "中央高速道路 文化遺蹟 發掘調査報告書"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1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