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欣岩里式土器發生의 再檢討

        송만영 한국상고사학회 2013 한국상고사학보 Vol.79 No.-

        There are two different perceptions of formation of Heunam-ri type earthenware: One is that two pottery styles with different lineage were mixed in a particular area and transformed into Heunam-ri type earthenware and spread all over south Korea later on; the other one is that Heunam-ri style occurred simultaneously from several parts of south Korea. If assemblage is one of archaeological units of analysis reflects inhabitants, it is possible to set Heunam-ri assemblage throughout the south Korea from the former but latter does not accept. This article written from the latter focuses on investigating background of occurrence of Heunarm-ri type pottery with geographically different background. In addition by doing so formation and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Heunam-ri assemblage. Area in south Korea around the start of Bronze Age is divided into two: south Korea's west region with Garak-dong assemblage and south Korea's east region with Misa-ri assemblage. In these regions the formation of Heunam-ri type pottery was due to the emergence of foreign element of rimperforated pottery. In spite of nationwide distribution of Heunam-ri type pottery, Heunam-ri assemblage relics and remains complex were only discovered in south Gyeonggi and Asan Bay regions within region with Garak-dong assemblage. Change from Misa-ri to Jodong-ri and then Cheonjeon-ri assemblages was observed in the west side of Daegwal-ryeong with Misa-ri asemblage. In these regions Heunam-ri type pottery was formed in the phase of Jodong-ri assemblage by combining double rimed pottery of Misa-ri origin and rim-perforated pottery. Distribution of Heumam-ri and Jodong-ri assemblages forms contact points on the line to connect the upper Imjin rive, the main stream of Han river and the Namhan river. In this respect my understanding is that characteristics of Heunam-ri site, a standard site of Heunam-ri assemblage, is closer to Jodong-ri assemblage than to Heunam-ri assemblage. 欣岩里式土器의 발생과 관련하여 두 가지 서로 다른 인식이 있다. 하나는 계보가 다른 두 토기 양식이 특정지역에서 융합하여 흔암리식 토기가 발생하고 이후에 남한 전역으로 확산되었다는 견해와 다른 하나는 남한 여러 지역에서 흔암리식 토기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고 보는 견해이다. 괮型이 주민집단을 반영하는 고고학적 분석 단위라고 할 때, 전자의 관점에서는 남한 전역 단위의 欣岩里괮型설정이 가능하지만, 후자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이 글은 후자의 관점에서 작성되었는데, 지역적으로 다른 흔암리식 토기의 발생 배경을 구명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이를 통해 흔암리식 토기가 출토된 유물·유구복합체의 형성과 시공간적 분포를 살펴보았다. 남한 청동기시대 발생기의 지역권은 크게 가락동유형이 분포한 남한 서부 지역과 영남 내륙, 그리고 미사리유형이 분포한 영서지역과 남강유역 등으로 구분된다. 이 지역에서의 흔암리식 토기의 발생은 공렬토기라는 외래적 요소의 출현에 따른 것인데, 흔암리식 토기의 전국적인 분포에도 불구하고 가락동유형 분포권 가운데 경기 남부와 아산만 지역에서만 흔암리유형으로 인정할 만한 유물·유구복합체가 확인되었다. 그렇지만, 흔암리유형의 표지가 되었던 흔암리유적은 실제 경기 남부와 아산만 지역의 유물·유구복합체를 반영하지 않기에 대안으로 백석동유형을 제안하였다. 미사리유형이 분포한 영서 지역에서는 미사리→조동리→천전리유형으로의 계기적 변화가 관찰되었는데, 이 지역의 흔암리식 토기는 조동리유형 단계에 미사리계 이중구연토기와 공렬토기가 결합하여 발생하였다. 백석동유형과 조동리유형의 공간적 분포는 임진강 상류 지역에서 한강 본류, 그리고 남한강을 연결하는 선에서 접점을 이루며, 이와 같은 관점에서 소위 흔암리유형의 표준 유적이었던 흔암리유적의 성격은 조동리유형에 보다 가까울 것으로 이해하였다.

      • KCI등재

        欣岩里式土器發生의 再檢討

        Song Man young(宋滿榮) 한국상고사학회 2013 한국상고사학보 Vol.79 No.-

        欣岩里式土器의 발생과 관련하여 두 가지 서로 다른 인식이 있다. 하나는 계보가 다른 두 토기 양식이 특정 지역에서 융합하여 흔암리식 토기가 발생하고 이후에 남한 전역으로 확산되었다는 견해와 다른 하나는 남한 여러 지역에서 흔암리식 토기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고 보는 견해이다. 괮型이 주민집단을 반영하는 고고학적 분석 단위라고 할 때, 전자의 관점에서는 남한 전역 단위의 欣岩里괮型설정이 가능하지만, 후자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이 글은 후자의 관점에서 작성되었는데, 지역적으로 다른 흔암리식 토기의 발생 배경을 구명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이를 통해 흔암리식 토기가 출토된 유물ㆍ유구복합체의 형성과 시공간적 분포를 살펴보았다. 남한 청동기시대 발생기의 지역권은 크게 가락동유형이 분포한 남한 서부 지역과 영남 내륙, 그리고 미사리유형이 분포한 영서지역과 남강유역 등으로 구분된다. 이 지역에서의 흔암리식 토기의 발생은 공렬토기라는 외래적 요소의 출현에 따른 것인데, 흔암리식 토기의 전국적인 분포에도 불구하고 가락동유형 분포권 가운데 경기 남부와 아산만 지역에서만 흔암리유형으로 인정할 만한 유물ㆍ유구복합체가 확인되었다. 그렇지만, 흔암리유형의 표지가 되었던 흔암리유적은 실제 경기 남부와 아산만 지역의 유물ㆍ유구복합체를 반영하지 않기에 대안으로 백석동유형을 제안하였다. 미사리유형이 분포한 영서 지역에서는 미사리→조동리→천전리유형으로의 계기적 변화가 관찰되었는데, 이 지역의 흔암리식 토기는 조동리유형 단계에 미사리계 이중구연토기와 공렬토기가 결합하여 발생하였다. 백석동유형과 조동리유형의 공간적 분포는 임진강 상류 지역에서 한강 본류, 그리고 남한강을 연결하는 선에서 접점을 이루며, 이와 같은 관점에서 소위 흔암리유형의 표준 유적이었던 흔암리유적의 성격은 조동리유형에 보다 가까울 것으로 이해하였다. There are two different perceptions of formation of Heunam-ri type earthenware: One is that two pottery styles with different lineage were mixed in a particular area and transformed into Heunam-ri type earthenware and spread all over south Korea later on; the other one is that Heunam-ri style occurred simultaneously from several parts of south Korea. If assemblage is one of archaeological units of analysis reflects inhabitants, it is possible to set Heunam-ri assemblage throughout the south Korea from the former but latter does not accept. This article written from the latter focuses on investigating background of occurrence of Heunarm-ri type pottery with geographically different background. In addition by doing so formation and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Heunam-ri assemblage. Area in south Korea around the start of Bronze Age is divided into two: south Korea's west region with Garak-dong assemblage and south Korea's east region with Misa-ri assemblage. In these regions the formation of Heunam-ri type pottery was due to the emergence of foreign element of rimperforated pottery. In spite of nationwide distribution of Heunam-ri type pottery, Heunam-ri assemblage relics and remains complex were only discovered in south Gyeonggi and Asan Bay regions within region with Garak-dong assemblage. Change from Misa-ri to Jodong-ri and then Cheonjeon-ri assemblages was observed in the west side of Daegwal-ryeong with Misa-ri asemblage. In these regions Heunam-ri type pottery was formed in the phase of Jodong-ri assemblage by combining double rimed pottery of Misa-ri origin and rim-perforated pottery. Distribution of Heumam-ri and Jodong-ri assemblages forms contact points on the line to connect the upper Imjin rive, the main stream of Han river and the Namhan river. In this respect my understanding is that characteristics of Heunam-ri site, a standard site of Heunam-ri assemblage, is closer to Jodong-ri assemblage than to Heunam-ri assemblage.

      • KCI등재

        충북지역 청동기시대 문화의 특징

        손준호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3 No.-

        Eighty-seven excavations of the Bronze Age sites in the Chung-buk region have been officially reported so far. Among these, thirty-seven are from the Cheong-ju region, reflecting excessive emphasis of economic development in this region. Following this, twenty in the Je-cheon and Chung-ju regions and five each in the other regions have been reported. The site locations are twenty-one on alluvial terrains, sixty-four on the hills and two are on both. Sites on the hills are more than threefold to that on alluvial terrains, showing that most of settlement sites in this period were located on hills, although still some large scale sites would be unearthed from alluvial terrains like other regions where they found large scale Bronze Age settlement sites. In terms of periodization, thirty-three in the Early, nineteen in the Late Bronze Age and seventeen in both periods have been reported, while eighteen sites are difficult to periodize. Although seemingly the Early Bronze Age assemblages were dominant in this region, this could be because that these assemblages had continued even in the Late Bronze Age, without the diffusion of the Songguk-ri culture, especially in the Han river basin. Most of them mainly consist of dwelling pits with small varieties of archaeological features including dairy-life related features such as small pits, ditches and outdoor fireplaces, as well as tombs such as dolmens, stone coffins, jar coffins and grave pits. Notably, any features related to food production have been found yet. As for the artifacts, the diagonal stroked double-rim pottery, perforated rim pottery, stepped hilt stone daggers, triangle shaped and stepped tanged stone arrowheads were found in the Early, and the outward curved rim pottery, straight hilt stone daggers, straight tanged stone arrowheads and grooved stone adzes were found in the Late Bronze Age. 충북지역에서 현재까지 발굴 조사되어 보고서가 출간된 유적은 모두 87개소이다. 청주지역 조사 유적이 37개소로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데, 이는 국토 개발의 편중성을 반영하고 있다. 다음으로 남한강유역의 제천․충주지역에 20개소, 나머지 금강유역의 기타 단위 지역에서 각 5개소 내외의 유적이 확인되었다. 입지는 충적지 21개소, 구릉 64개소, 충적지와 구릉 모두에 자리하는 유적이 2개소로, 구릉에 위치한 유적의 수가 3배 이상 많다. 충적지 입지의 다수는 충주댐 수몰과 관련하여 조사된 제천과 충주 일원의 분묘 유적들로, 이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취락이 구릉에 자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시기별로 보면 전기 유적 33개소, 후기 19개소이며, 전기와 후기 모두에 해당하는 장기 점유 취락이 17개소이다. 나머지 18개 유적은 정확한 시기를 파악하기 어렵다. 대부분 주거지가 다수를 차지하는 주거 중심 유적에 해당하는데, 한 유적에서 한두 종류의 유구만 소수 조사된 경우가 많다. 유물은 전기의 경우 이중구연단사선문토기, 공렬문토기, 이단병검, 삼각만입촉, 이단경촉 등이, 후기에는 외반구연토기, 일단병검, 일단경촉, 유구석부 등이 주로 출토되고 있다.

      • KCI등재

        아우라지유적 출토 반월형석도 분석

        손준호 중부고고학회 2019 고고학 Vol.18 No.3

        In the dwelling no. 17 of the Auraji site in Jeongseon, nine pieces of stone harvesting knives were excavated being piled up at the corner of the dwelling pit. The author conducted use-wear analysis of these stone knives to reveal their functions and compared the excavated context with similar examples in other sites to understand the uniqueness of this finding. First, four out of nine knives turned to be used in a general way of harvesting, while other five do not show this pattern. These five knives have not only the use-wear in common, but also rock quality and polishing traces, indicating that they had the similar life history from the production to use. Based on the observations, the author also pointed out that 1) reprocessing of the edge is always added from one side, 2) difficulty of drilling holes as some of the holes had not been completed, 3) they were used in unfinished form or used by more than two people, 4) the repetitive use made the surface finer to resist weathering. In addition, by comparing other examples that have more than three knives in the same context, it is assumed that these knives in Auraji were intendedly left when the house was abandoned which might be related to the mortuary practices. 정선 아우라지유적 17호 주거지에서는 반월형석도 9점이 모서리에 포개진 상태로 출토되었다. 본고에서는 사용흔 분석을 실시하여 해당 석도의 기능과 구체적인 사용 방식을 상정하였으며, 석도가 집중 출토된 다른 유적 사례와의 비교를 통하여 독특한 출토 양상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석도 9점의 사용흔 분석 결과 4점에서 수확구의 일반적인 광택 분포 패턴이 유사하게 확인되어, 동일한 방식으로 곡물 수확에 이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나머지 5점의 석도에서는 곡물 광택과 구별되는 사용흔이 다수 관찰되어 수확 이외의 용도가 추정되었으며, 광택 패턴, 암질, 뚜렷한 마연흔이 관찰되는 점 등이 동일하여 석재의 선택부터 제작 및 사용에 이르는 과정상의 유사성을 지적할 수 있었다. 이 밖에 석도의 실물 관찰과 사용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양인 석도 날의 재가공이 한쪽 면에서 이루어지는 점, 다수의 천공 시도흔을 통해 추정되는 구멍 관통의 어려움, 미제품 상태로의 사용이나 하나의 석도를 2인 이상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양상, 작업 대상물과의 반복적인 접촉으로 표면이 치밀해져 풍화를 견디게 되는 과정 등이 상정되었다. 한편, 석도 3점 이상이 유구 내부 한 곳에서 집중 출토된 사례를 모아 본 분석 대상과 비교한 결과, 아우라지유적 17호 주거지 출토 석도의 군집 양상을 주거 폐기 시의 특별한 행위와 관련된 의도적인 배치로 판단할 수 있었다. 그리고 특별한 행위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조심스럽게 가옥장의 가능성을 상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