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기 연진회(鍊眞會)의 사군자 연구 ― 대한민국미술전람회와 전라남도미술대전 출품작을 중심으로 ―

        최혜영 ( Choi Hea-you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7 호남학 Vol.0 No.62

        본 논문은 광주지역의 가장 오래된 수묵채색화단체인 연진회(鍊眞會, 1938- )의 현대 사군자 양식에 관한 글이다. 근현대 광주화단의 거장 의재 허백련(毅齋 許百鍊, 1891-1977)은 일제강점기 격변하는 국내화단의 흐름 속에서 조선말기의 전통남종화를 지속하여 그린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산수화뿐만 아니라 매란국죽에 화훼류를 더한 팔군자, 십군자를 평생에 걸쳐 다수 남기면서 호남지역의 사군자전통을 이어나갔다. 허백련을 중심으로 결성된 연진회(鍊眞會)는 시대, 구성인물과 모임의 성격이 변화함에 □라 일제강점기의 전기 연진회와 해방이후의 후기 연진회로 구분한다. 후기 연진회는 1950년대부터 허백련의 문하에 들어가 도제식 교육을 통해 서화를 배운 이들로, 그와는 사제관계에 있기 때문에 화풍 간 영향관계가 분명히 드러난다. 이는 호남지역 서화가들의 동호적 성격이 짙은 전기 연진회와 구분되는 점으로, 이러한 특징 때문에 후기 연진회의 초기 창작활동은 기법적, 제재적인 측면에서 허백련의 화풍과 유사한 요소들을 찾아보기가 쉽다. 그 중에서도 남종화 창작활동의 기초단계로 여겨지는 사군자는 이러한 측면이 더욱 두드러지는 장르이다. 즉, 후기 연진회의 사군자는 허백련으로부터 호남화단의 전통 사군자 계보를 이어갔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고 있다. 또한 이들은 1950-1970년대 화단에서 열풍을 일으켰던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전라남도미술대전 등 관전에서 괄목할만한 수상실적을 내면서 한국 현대 사군자의 일맥을 이룸으로써 중요하게 여겨진다. 한편으로 왕성한 공모전 활동이 연진회의 사군자 양식에 미친 영향 역시 존재하는데, 관전이 제시한 규격에 따라 사군자를 그리는 화면의 규모가 축소, 정형화되고 그 안에서 제재 선택의 폭도 좁아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후기 연진회는 호남화단의 팔군자 전통에 따라 매란국죽 외에도 모란과 소나무 등을 다수 그리는 독자적인 특징을 드러내었다. 또한 일부 작가들은 일명 ‘허백련 풍 사군자’에서 탈피하여 일찍이 개성적인 화풍을 펼쳐나가기도 하였다. 이렇게 허백련의 전통을 이어받은 후기 연진회의 사군자는 이들이 직접 설립, 운영하였던 연진회미술원으로 이어짐으로써 대략 한 세기에 가까운 시간 동안 그 양식이 이어져나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studies modern painting style of the Four Noble Plants(plum blossom, chrysanthemum, orchid, and bamboo) by members of Yeonjinhoe (1938- ), the oldest association of ink and light color painters in Gwangju, the central city of southeastern Korea. Heo Baek-ryeon(1891-1977), pennamed Uijae, is an iconic painter from Gwangju. He is well known for upholding the traditional Southern School painting of the late Joseon period through the great change in Korean painting that occurr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Carrying on the tradition of the Four Noble Plants of the Jeolla region, Heo Baek-ryeon added four or six flowering plants to the original Four Noble Plants and left many paintings of what could be called the Eight Noble Plants and the Ten Noble Plants in addition to landscape paintings. Organized under the leadership of Heo Baek-ryeon, the Yeonjinhoe underwent two distinct phases marked by change in the membership and purpose of meetings of the association: the Early Yeonjinhoe and the Latter Yeonjinhoe. Yeonjinhoe in the latter period was composed of painters who had learned painting from Heo Baek-ryeon through apprenticeship training since the 1950s. Paintings by members of the Latter Yeonjinhoe show obvious influence of the master. It is easy to find similarities to Heo Baek-ryeon’s painting style in earlier works by the Latter Yeonjinhoe members in terms of techniques and subjects. This distinguishes them from paintings by the Early Yeonjinhoe members working on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e region, who shared the same basic taste but were independent. Influence of Heo Baek-ryeon is much more apparent in the paintings of the Four Noble Plants that are thought to have been done during the early stage of Southern School painting. In short, the paintings of the Four Noble Plants by members of the Latter Yeonjinhoe are important in that they continued the genealogy of the Four Noble Plants tradition of painting in the Jeolla region following Heo Baek-ryeon. Interestingly, the Latter Yeonjinhoe members made strong showings in major governmentorganized art competitions including the Grand Art Exhibition of Korea and the Grand Art Exhibition of Jeollanam-do Province and formed one of the main streams of the Four Noble Plants in modern Korea. And Yeonjinhoe came to be regarded as an important art circle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painting style of the Four Noble Plants of Yeonjinhoe became increasingly influenced by competitions because of the members’ wide participation. Their works became smaller and standardized according to the entry requirements of the competitions, which necessarily narrowed the choice of subjects. Nevertheless, the unique painting style of the Latter Yeonjinhoe showed through, and the members did numerous paintings of peonies and pine trees together with plum blossoms, chrysanthemums, orchids, and bamboo, the four traditional subjects of painters of the Jeolla region. Some painters who emerged from the so-called ‘Four Noble Plants in the Heo Baek-ryeon style’ eventually developed their own unique painting styles, but the style of Four Noble Plants of the Latter Yeonjinhoe, which was built on the tradition of Heo Baek-ryeon, was carried on by the Art Institute of Yeonjinhoe founded and run by members of the Latter Yeonjinhoe. That painting style of Heo Baek-ryeon continued for nearly one hundred years testifies to the importance of the art of Yeonjinhoe.

      • KCI등재

        1970~1980년대 신형상 세대의 한국화 - 극사실 경향에서 민중미술까지

        이민수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9 No.-

        After the mid-1970s, a new atmosphere was created in the Korean art world by the formation of a unique figurative art. This stream is represented by the so-called Hyperrealism, which was mainly spread out through consecutively held large-scale private sponsored exhibitions such as The Grand Art Exhibition of Korea, Donga Art Festival, and Joongang Fine Arts Prize. These exhibitions all claimed to support ‘originality’ and ‘figuration.’ To begin with, they carry repellent meanings toward Informel, Dansekhwa, and other abstractive tendencies. These events were also called as ‘new figuration’ to be distinguished from existing and unchanging conceptions spread by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 highlight that the emphasis on this ‘new figuration’ brought great differences to trends in Hangukhwa (Korean painting). Artists who sought for their direction to modern Hangukhwas from traditional paintings were awarded not only in private exhibitions, but also in The Grand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by submitting numerous hyper-real Hangukhwas. The combination of Hyperrealism and Hangukhwa seems incompatible in an instant, then what does this fusion mean? Such phenomenon cannot be interpreted solely by focused discourses on the existing combination of ink wash painting and abstraction. Therefore, this study retraces Hangukwha with the flow of ‘figuration’. In other words, it will compare and contrast how figure is expressed in traditional and modern Hangukhwas. This examination should be started from the hyper-real Hangukhwas. By this, the study analyzes and understands Real-Scenery Landscapes and urban landscapes in the 1970s, the ink painting movement in the early 1980s, and Hangukhwa affiliated with Minjung Art in the context of art of the same period. 1970년대 중반 이후부터 우리 미술계에는 독특한 구상(具象)(figurative) 미술이 하나의 기류를 형성했다. 이른바 극사실주의로 대표되는 이 흐름은 당시 잇달아 개막한 《한국미술대상전》, 《동아미술제》, 《중앙미술대전》과 같은 대규모 민간 주최 공모전(이하 민전)을 통해 주로 전개되었다. 이들 민전이 표방한 것은 ‘새로움(New)’과 ‘형상성(Figuration)’이다. 여기에는 우선, 1960년대와 70년대 전반까지의 앵포르멜, 단색화와 같은 추상 경향에 대한 반발의 의미가 깔려 있었다. 또한 기존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만연한 구태의연한 구상과 구별하기 위해 ‘새로운 형상’으로 지칭되었다. 필자가 주목하는 것은 이 ‘새로운 형상성’의 강조가 당시 한국화의 경향 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전통회화에서 현대 한국화로의 방향을 모색하던 화가들은 민전뿐만 아니라 《대한민국미술대전》에 극사실 경향 한국화 작품들을 대거 출품해 입상했다. 언뜻 봐도 어울리지 않는 듯한 극사실기법과 한국화의 결합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같은 현상은 기존의 수묵과 추상의 관계에 집중된 논의를 통해서는 결코 설명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형상성’의 흐름으로 한국화를 다시 기술한다. 즉 전통회화에서의 형상 표현과 현대 한국화에서의 그것이 갖는 공통점과 차이를 극사실 경향 한국화를 기점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해 1970년대 실경산수화와 도시풍경화, 이후 1980년대 전반기의 수묵화운동, 그리고 민중미술 계열 한국화를 동시대 미술의 문맥에서 분석하고 파악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