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크라우스와 클라크의 ‘급진적인 미술사’에 의한 피카소의 콜라주 해석

        최병길 ( Choi Byung Kil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2

        1970년대 말부터 등장한 콘텍스트 중심의 ‘급진적인 미술사’를 통하여 크라우스와 클라크는 피카소의 입체주의 콜라주를 논평했다. ‘구조’ 개념의 경우, 크라우스는 ‘자서전적 미술사’의 비판과 함께 자율성 획득을 주장했다. 반면에 클라크는 그 입체주의의 이질적 특성들을 직결시켰다. 크라우스와 클라크는 공히 재현의 기호학에 매료되어 ‘콘텍스트 속의 미술’을 배격했다. ‘동인’ 개념의 경우, 크라우스와 클라크는 예술가의 창작과 관련된 제 요인들을 다루면서도 예술가의 동기화, 의도의 의미에서는 달랐다. 클라크는 그 개념을 ‘사회적 미술사’의 지속성과 관련지었지만, 크라우스는 그 개념을 생산자에 한정시켰다. 또한 크라우스는 마르크스주의자로서 ‘구조’와 ‘동인’의 상호작용을 주장했지만, 클라크는 재현 개념으로서의 기호학을 강조했다. 피카소의 콜라주들에 대한 크라우스와 클라크의 비평을 요약하면, 첫째, 그들은 그 작품들의 규범적 지위에 동의했다, 크라우스가 입체주의를 형식주의, 콜라주는 反_형식주의로 보았다. 또한 언어학적 기호론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메타언어적 특성도 발견했다. 크라우스와 클라크는 그의 콜라주들의 텍스트적 해석에 동의했다. 하지만 클라크는 그의 입체주의를 사물이나 지각의 문법으로 보지 않고 크라우스의 기호론적 견해를 공격했다. 둘째, 크라우스와 클라크는 그의 콜라주에서 환영주의와 아포리아를 비판했다. 클라크는 환영주의를 상반되게 판단했지만, 크라우스는 자율성과 위대함의 본질로 보았다. 셋째, 클라크는 20세기 초 자본주의 사회의 ‘근대성’과 아방가르드 정신에 초점을 맞추어 피카소의 콜라주를 과거의 조건, 관습과 단절하려는 영웅적인 실패로 보았는데, 이것은 크라우스가 주장했던 근대미술의 자율성 획득과는 상반된다. Krauss and Clark criticized the Cubic collages by Picasso through the context-centered radical art history that began to emerge from the end of the 1970s. As for the concept of 'structure', the former asserted the aquisition of the autonomy, criticizing the 'autobiographical art history'. On the contrary, the latter directly connected with the different characters of Cubism. Fascinated by the semiotics of representation, they rejected 'art in context'. As for the concept of 'agency', they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meaning of the artist's motivation, intention, when dealing with several factors concerning the artist's creation. The latter connected it with the continuation of the 'social history of art', but the former confined it within the producer. And the latter, as a Marxist, asserted the interplay of 'structure' with 'agency', but the former insisted upon the semiotics as the concept of representation. Summing up their criticisms on Picasso's collages: Firstly, they agreed with the canonical status of those artworks, The former regarded Cubism as formalism, and collage as anti-formalism. And here they also discovered the characters of linguistic semiotics and meta-language of Postmodernism. In spite of their agreement of the textual interpretation of his collages, the latter did not regard his Cubism as a grammar of thing or recognition, and attacked the former's semiotic view. Secondly, Both criticized illusionism and aporia in his collages. Whereas the latter contrarily judged illusionism, the former saw it as the essence of autonomy and greatness. Thirdly, the latter, focused upon the modernity of capital society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spirit of avant-garde, judged Picasso's collages as a heroic failure which is eager to break from the past conditions and conventions, which is quite contrary from the acquition of autonomy the former asserted.

      • KCI등재

        인문학으로서의 미술사학

        이주형 한국미술사학회 2010 美術史學硏究 Vol.268 No.268

        Art history as a modern academic discipline was established in Korea during the late 1970s and early 1980s with the return of several scholars after studying abroad in the U.S. and Europe. Beginning in this period, modern methods of art history—such as visually analyzing objects or monuments as works of art, identifying their themes and functions,and exploring their artistic or historical significances—appeared in their writings in a sophisticated form and were taught at university programs, which produced numerous younger scholars. Thus, art historical scholarship in Korea has been fully modernized in less than three decades, reaching a level in some areas comparable with more advanced academic traditions outside Korea. Around the time when this new phase unfolded in Korean academia, art historical scholarship in Europe and the U.S. was about to undergo revolutionary changes in both outlook and methodology, which was heralded by a movement called New Art History or the social history of art initiated by such radical scholars as T. J. Clark in England, although to reduce various voices heard in these new developments to the New Art History alone would be a gross misjudgement. Disenchanted by conventional undertakings of art history, scholars began to question the discipline's longstanding premises deeply affected by its prevailing positivistic attitude as well as its manifest adherence to high art and Eurocentrism and to reflect on ways to seek new methodological paths or to revive grand visions of its founding fathers of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s century. Unfortunately, these new developments in Europe and the U.S. made little impact on Korean academia, which had different agenda of first establishing art historical scholarship as a modern discipline. Most scholars specializing in Korea or other parts of Asia devoted themselves in constructing knowledge in connoisseurship, chronology, and iconography in a positivistic spirit without having any leisure to pay attention to critically pondering on the premises of their work or alternative methodological paths. On the basis of great achievement made during last three decades, art historical scholarship in Korea is obviously at the point to reflect on the nature of its accomplishment and seek ways to innovate itself for a new horizon. This paper addresses these problems. 한국에서 근대적 학문으로서의 미술사학은 구미에 유학했던 몇몇 연구자들이 1970년대 중반부터1980년대 초 사이에 귀국하여 학계에 자리를 잡음으로써 확립되었다. 이들 학자의 글에서 미술사학의 근대적 방법들, 즉 유물이나 모뉴먼트를 시각적으로 분석하고 그 주제와 기능을 밝히며, 그 예술적, 역사적 의미를 해명하는 방법들이 본격적으로 쓰이게 되었고, 아울러 대학에 마련된 교육과정을 통해 수많은 신진학자들이 길러졌다. 그리하여 한국의 미술사학은 불과 30년도 안 되는 기간에 근대적 학문으로 자리잡게되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국외의 선진 학계에 버금가는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이들 학자가 귀국할 무렵구미의 미술사학은 관점이나 방법론에 있어서 혁명적인 변화를 겪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T. J. 클라크(Clark) 등 영국의 급진적인 학자들이 주도한 소위 신미술사학(New Art History) 운동의 예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 물론 이러한 새로운 변화 속에 일어났던 여러 흐름을 신미술사학만이 대표하는 것으로 규정하는 것은 심각한 오해이다. 아무튼 기존 미술사학의 전통적인 학풍과 관행에 실망한 많은 학자들이 미술사학의 오랜 전제들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그러한 의문은 실증주의적인 학풍과 고급 예술 중시/유럽중심주의로 요약될 수 있다. 이들은 새로운 방법론적인 선택의 가능성들을 모색하고 아울러 19세기 말과20세기 초의 미술사학의 근대적 창시자들의 거시적인 비전에도 다시 주목했다. 불행히도 구미에서 일어난이러한 새로운 변화는 한국 학계에 이렇다 할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한국의 미술사학계는 미술사학을 근대적 학문으로 확립해야 하는, 구미와는 다른 어젠더가 있었기 때문이다. 한국과 그 밖의 아시아 지역의 미술을 전공하는 연구자들은 실증적 작업을 통해 감식과 편년, 도상 정립 등의 지식 구축에 몰두해야 했고,그 과정에서 그러한 작업의 전제나 의의에 대해 성찰할 여유를 갖지 못했던 것이다. 지난 30년간 축적된 놀랄 만한 성취를 바탕으로 이제 한국의 미술사학은 그 성취의 의미를 성찰하고 새로운 목표를 향해 자기혁신을 모색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성찰이다.

      • KCI등재

        마이클 박산달의 "시대의 눈" -시각문화연구의 선구적 개념이라는 평가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승환 ( Seung Hwan Kim ) 한국미학회 2011 美學 Vol.67 No.-

        영국의 미술사가 마이클 박산달은 시각문화연구의 선구자로 평가된다. 특히 그가 1972년에 출판한 『15세기 이탈리아 회화와 경험』은 바로 그러한 태도를 잘 보여주는 저서로 평가된다. 출간 이후 이 책은 수많은 언어로 번역되는 등 다양한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박산달에 대한 연구논문이 단 한 편도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박산달에 대한 소개와 함께 그의 『15세기 이탈리아 회화와 경험』에 등장하는 ``시대의 눈`` 개념을 고찰하고자 한다. 1972년 전후의 미술사를 포함한 학문적 지형에서 ``시대의 눈`` 개념의 정확한 의미와 그러한 개념이 나온 사상적 배경과 그것이 지닌 방법론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이 개념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반응 - 문화사, 마르크스주의 등 - 을 통해 박산달의 ``시대의 눈`` 개념과 그의 책을 비판적으로 이해해 본다. Art historians have often examined the critical reception of works of art, but few have evaluated art history`s reactions to some of its own products. In that sense, this study examines some aspects of the intellectual history and scholarly responses to Michael Baxandall`s Painting and Experience in Fifteenth-Century Italy, seen as a pioneer of the Visual Culture Studies to some scholars. In fact, during the early 1970s when this book was written, there were some tensions in that discipline`s identity, resulted in the appearance of the New Art History. It extended the subject of discipline and searched new methods in comparison to the traditional Art History. The reasons for choosing Painting and Experience - and more particularly Baxandall`s concept of the Period Eye - is to present him to our academic circle where no interpretations of his book nor simple article about him were done,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book is, even after forty years, an art-historical bestseller, having gone through numerous printings and having been translated into several languag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wofold: to examine aspects of the intellectual heritage of the central theoretical concept of Painting and Experience, the Period Eye, and to trace some of the various academic responses to the concept. In doing so, we can understand critically the reason why he is evaluated as a pioneer of the Visual Culture Studies. Furthermore that understanding leads us to one of the main topic of the Visual Culture Studies, the visual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