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多)부처규제 협업강화를 위한 규제개혁제도 개선방안

        원소연 ( Soh Yeon Won ),박선주 ( Sunjoo Park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9 국가정책연구 Vol.33 No.4

        횡단교차적 사회문제의 증대는 민관부문 간 협력뿐 아니라 정부부처 간 조정 및 협업에 대한 새로운 행정수요로 인식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문제의 횡단교차적 속성으로 인해 다수의 규제부처에 영향을 주거나 부처간 조정 및 협업을 통한 문제해결이 필요한 경우’를 “다(多)부처규제”로 정의하고, 그 범위를 Freeman and Rossi(2012)가 제시한 공유규제공간(shared regulatory space)의 네 가지 유형을 포괄하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다부처규제는 가외성, 비효율성, 규제공백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므로 규제정책의 효과성과 규제개혁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다부처규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주요 규제개혁제도를 검토하고, 부처간 조정과 협력을 통해 다부처규제 문제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검토결과 우리나라의 현행 규제개혁제도는 OECD의 권고를 충실히 이행하여 국제적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는 반면 부처간 조정과 협업에 대한 관리방안은 전반적으로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정부업무평가에 다부처규제 협업요소를 포함하고, 규제등록시 연관규제를 타 부처 소관규제까지 확대하여 명시하며, 규제정비종합계획을 통해 중점관리가 필요한 다부처규제를 선정하여 관리하고, 규제영향분석서의 작성단위를 재조정하여 다부처규제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도록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increase of cross-cutting social problems is recognized as a new administrative demand for interagency collaboration as well as intersectoral cooperation. This study defines "multi-agency regulation" as 'the case affecting a large number of regulatory ministries due to the cross-cutting nature of policy problems or regulatory problem that needs to be resolved through interagency coordination or collaboration.' Our definition of multi-agency regulation covers four types of "shared regulatory space" proposed by Freeman and Rossi (2012). Multi-agency regulations create problems such as inefficiency, redundancy, gaps, etc.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manage multi-agency regulations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regulatory policy and the sense of regulatory reform. We reviewed Korea's major regulatory reform systems from the aspect of multi-agency collabor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current existing regulatory reform systems in Korea have weakly been responsive to the issue of interagency coordination. This paper proposes to include multilateral agencies' cooperative elements in the government affairs evaluation; to specify the information on other departments' related regulations in the regulatory registration card; to select and manage significant multi-agency regulations through the comprehensive regulatory improvement plan; to consider the impact of multi-agency regulations by re-adjusting the unit of analysis of Regulatory Impact Analysis.

      • KCI등재

        미국의 상업적 우주활동에 대한 규제개혁 정책

        권희석(Heeseok Kwon),이진호(Jinho Lee),이은정(Eunjung Lee) 한국항공우주학회 2018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6 No.12

        미 트럼프 행정부는 2018년 5월 24일 상업적 우주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규제개혁방향을 담은 우주정책명령 SPD-2(Space Policy Directive-2)를 발표하고, 뒤이어 6월 18일 우주상황 관리 정책에 관한 행정명령 SPD-3를 발표했다. 이 행정명령은 주요 우주 분야에 대한 개 혁조치를 담고 있는데, 이 정책은 2017년 6월 재구성된 국가우주위원회(National Space Council: NSC)가 성안한 개혁 권고안을 대통령이 승인한 것으로 연방정부의 강력한 개혁추진을 위한 가이던스를 제공한다. 상업우주활동개혁정책은 앞서 2017년 12월 18일 발표된 국가안보전략(National Security Strategy)의 큰 틀에서 경제적 번영과 국가안보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업적 우주활동을 촉진함으로써 미국의 국익을 달성하고자 하는 미국의 정책과 입법은 우주활동을 규율하는 우주조약을 위반한다는 우려와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에 국제사회는 미국의 상업우주개혁정책에서 노정되는 법적 쟁점에 대한 국제적 논의를 통해 우주기술의 발전과 상업화 진전에 맞는 보편적 국제규범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을 가속화해야 한다. In order to promote the commercial space activities of the private sector, the Trump Administration announced the commercial space regulatory reforms by issuing the Space Policy Directive-2 (SPD-2) on May 24, 2018, followed by the SPD-3 dealing with a separate issue of the space traffic management on June 18. Both executive orders, based on the recommendations prepared by the National Space Council (NSC) reconstituted in June 2017 and signed by the President, involve regulatory reform policy related to launch services, commercial remote sensing, establishment of one-stop shop office in Commerce Department, radio frequency spectrum, export control, and space traffic management, providing a strong guidance to the Federal Government. The commercial space regulatory reform policy can be seen in broader terms of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earlier announced on Dec. 18, 2017, and as such, it pursues the economic growth of the U.S. and the national security as well. The U.S. law and policy prioritizing its national interests by promoting commercial space activities may lead to concerns and debate on the potential breach of the provisions of the Outer Space Treaty. Hence, it is worth noting the legal implications as derived from the U.S. space policy and domestic legislation, thereby accelerating international discussion to build on international norms as appropriate to the progress of space technology and space commercialization.

      • KCI등재

        미국의 상업적 원격탐사활동에 대한 규제개혁 정책

        권희석,이진호,이은정 대한원격탐사학회 2019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5 No.2

        The current U.S. remote sensing act was made in 1992 and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outdated and inappropriate in view of the modern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order to enhance the American competitiveness and leadership in the world, President Trump announced Space Policy Directive (SPD) – 2 on May 24, which is designed to modernize the regulations related to commercial space activities including private remote sensing system operation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gulatory reform efforts are made within broader terms of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on Dec. 17, 2017, pursuing the enhancement of national security and economic prosperity as well. A legislative support in Congress has also been added to the Administration’s efforts. The proposed regulatory reform on the licensing of commercial remote sensing system operations outlines the features of lessening administrative burden on applicants by simplifying the overall application process and of limiting the operations only when there is an impact upon the national security with clear and convincing evidence. But, due to a different regulatory system of each country, such a movement to expand an individual’s freedom to explore and utilize outer space may result in an international dispute or a violation of international obligations, so there should be a merit in paying attention to the U.S. commercial remote sensing regulatory reform, and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international norms as flexible and appropriate to the level of space technology and space industry. 미국의 현행 원격탐사에 관한 법은 1992년에 제정되어 현재의 기술수준에 맞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원격탐사분야를 포함해 상업적 우주활동에 대한 규제체제를 개혁함으로써 미국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2018년 5월 24일 Space Policy Directive (SPD) – 2를 발표하였다. 미 행정부의 규제개혁 노력은 국가안보와 경제적 번영을 동시에 추구하고자 하는 2017년 12월 17일 국가안보전략(National Security Strategy)의 틀에서 추진된다. 미 의회 또한 행정부의 규제개혁 노력에 발 맞춰 입법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상업원격탐사시스템의 운영허가에 관한 규제개혁은 허가절차에 관한 프로세스를 대폭 개선해서 신청인의 행정부담을 경감하고 또한 허가심사과정에서 국가안보 등에 미치는 영향이 명백한 경우에만 허가를 제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그러나 개인 우주활동의 자유 확대는 국가간 상이한 규제체제로 인해 국제법상 분쟁이나 위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국제적인 차원에서 미국의 규제개혁 노력에 관심을 갖고 우주기술 및 우주산업의 수준에 맞게 신축적으로 적용 가능한 국제적 규범을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투자분쟁 역학관계의 재조정-ISDS 절차 반소 제도 도입 움직임과 법적 함의-

        이재민 국제거래법학회 2022 國際去來法硏究 Vol.31 No.1

        The reform of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 (ISDS) proceeding has become one of the important topic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t the moment. Discussions for the reform are being undertaken by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UNCITRAL, OECD and ICSID. Many states and other stake-holders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discussions. The topics being discussed under the rubric span over a wide range of areas. One of the items included in the current discussions of the ISDS reform concerns counterclaims. Counterclaims mean the claims a host state government may hold vis-à-vis a foreign investor claimant. At the moment, most of international investment agreements (IIAs) stipulating ISDS proceedings do not envisage the possibility of counterclaims, and they focus on the claims raised by foreign investors only. Some recent IIAs have begun to refer to counterclaims and some recent arbitral tribunals allow counterclaims. Nonetheless, the invocation of counterclaims largely remains unpredictable and ambiguous. The current discussions on counterclaims aim to address this issue. On balance, there seems to be strong consensus among states to permit counterclaims as a means to bring back the equilibrium of the power dynamics between a host state and a foreign investor. More than anything else, counterclaims may help settle outstanding disputes between the host state and the foreign investor in a single-handed manner. It may then enhance efficiency of the ISDS proceedings. Also, by restricting frivolous ISDS claims, and ensuring legitimate public policy space, counterclaims may help restore the desired equilibrium between the host state and the foreign investor. The pursuit of equilibrium remains the core objective of the current ISDS reform discussion. At the same time, however, counterclaims may also bring about negative consequences. For instance, they may further prolong the already lengthy ISDS proceedings and thus drive up litigation costs as well. A host state may purport to abuse the counterclaim proceeding to block an otherwise legitimate ISDS claim by a foreign investor. The role of a possible advisory center may also have to re-assessed to determine whether it should or could assist a host state in terms of counterclaims. Thus, diverse aspects of counterclaim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current discussions. This topic involves a variety of different provisions of IIAs and different aspects of ISDS proceedings. Most importantly, model provisions of counterclaims need to be drafted at this juncture, so that future discussions can be guided to ensure more specific debates on counterclaims such as the meaning, conditions and scope of counterclaims, as opposed to a mere reference to the need for counterclaims in abstract terms. All in all, counterclaims should be designed to ensure the power equilibrium between a host state and a foreign investor. Only the attainment of such equilibrium can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legitimacy of ISDS proceedings. 현재 ISDS 절차 개선 논의가 국제사회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여러 이슈가 이 맥락에서 논의, 검토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는 반소 제도 도입 여부이다. 투자 유치국이 외국인 투자자의 제소를 방어만 할 수 있는 ISDS 제도를 투자 유치국이 외국인 투자자에 대해갖고 있는 여러 법적 주장을 제기할 수 있는 기회로 삼자는 것이 반소 제도 논의의 핵심이다. 반소 제도 도입은 투자유치국 정부가 ISDS 절차를 공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준다는 측면에서 투자협정 및 투자분쟁해결절차 전반에 걸쳐 힘의 균형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사안이다. 이에 따라 여러 국가들이 관심을 갖고 지켜보며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반소 제도는 적절히 도입된다면 ISDS 절차의 남용을 억제할 수 있고 관련된 여러 법적 쟁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어 효율적인 분쟁해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동시에 반소 제도는 외국인 투자자의 정당한 ISDS 절차 개시를 억제하는 압박 수단으로 활용될가능성이 있다는 점, 분쟁해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한다는 점 등 단점도 적지 않다. 앞으로 이러한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반소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 현재 가장 중요한부분은 반소 제도 도입에 원칙적으로 합의하더라도 그 의미와 범위를 어떻게 명확히 규정할 것인지 여부이다. 이 부분이 앞으로 논의 과정에서 확정되어야 할 주요 과제이다. 일단반소 제도와 관련된 투자협정의 여러 조항에 대한 모델 조항을 채택하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논의를 이끌어 가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대안을 도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적절할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