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창 고수관과 내포제 문화의 콘텐츠화 가능성

        유영대(YOO Young-Dai)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5 No.-

        이 논문은 두가지 성격으로 완성된 것이다. 먼저 18~9세기 서산출신 명창 고수관의 삶과 예술세계를 점검하였다. 고수관은 서산 고북면 출신으로 중고제 명창 가운데 대표적 인물이다. 고송염모라고 순서가 매겨지는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판소리가 양반좌상객을 맞으면서 이른바 상승되던 시기에 양반층에서 가장 주목받은 명창이다. 고수관은 특히 〈춘향가〉를 잘 부른 명창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행적은 서산과 홍성, 공주, 대구, 서울 등지를 오가며 활약하였다. 그의 생몰연대는 대체로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이 논문에서 고수관은 이른바 지식인 광대에 속하는 인물이라는 점을 밝혔다. 한편 이 논문은 고수관의 판소리가 현재적 의미로 기능하기 위하여 서산 내포제 판소리 복원과 콘텐츠화 가능성에 관하여 모색하고 있다. 서산 내포제 문화의 전반적 면모와 함께 명창 고수관이 차지하는 위상과 그의 현재성 복원에 관심을 가지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 문제는 고수관 개인의 행적이나 예술성과 함께, 서산을 중심으로 하는 내포제 문화권에서 배출한 명창들이 일정하게 하나의 카테고리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과 연결할 수 있다. 고수관과 함께 고려할 명창으로 방만춘이나 방진관, 심정순, 심상건 등으로 이어지는 판소리 명창들이다. 이들을 모두 중고제 명창이라고 비정하기는 사실 어려운 문제이다. 그렇지만 이들이 내포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하고 활동하였다는 사실만으로도 현재적 관점에 하나의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현재 내포제 혹은 중고제 판소리의 명맥은 사라지고 없으나 그 아우라는 짐작할 수 있다. 그것을 오늘의 의미있는 문화체계로 콘텐츠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보았다. This paper will be completed with two main themes. The first goal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life of Master Go Soo-Gwan from 18th and 19th century and the region of Seosan, and his life of art. Go Soo-Gwan is from Gobukmyun of Seosan, and he is one of the most symbolic figures of Junggoje Tradition. As the order of "Gosongyeommo" was named, it is evident that Go was the most prominent of the masters, in the time when the noble class was gradually opening up to enjoying and sponsoring Pansori. Go Soo-Gwan is especially famous for his mastery of 〈Chunhyangga〉. His famous stages of performance include Seosan, Hongseong, Gongju, Daegu, and Seoul. His time of birth and death could be conjectured as such. In this paper, it is also shown that Go Soo-Gwan is one of the intellectual entertainer. This paper also seeks the possibility to resurrect Go Soo-Gwan and his Seosan Naepoje Tradition as a live culture content. Seosan Naepoje tradition is the main theme of the paper, along with Master Go Soo-Gwan's place in it and probability to reconstruct it in the present. All can be linked into Go Soo-Gwan's personal life and the style of his arts, and the fact that all of the masters in that tradition form a category. Bang Man-chun, Bang Jin-Gwan, Sim Jung-soon, and Sim Sang-gun is the other names to be considered in this research. It is a stretch to fit them all into the category of Junggoje, but it is possible that we could reconstruct Junggoje from their activites, since they are all grown from the influence of the history of the region. The tradition of Naepoje, or Junggoje, is vanished, but its aura is very evident. This is the reason that we seek to turn them into cultural content.

      • KCI등재

        공연예술의 환경변화와 예술가의 대응: 판소리의 경우를 중심으로

        유영대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이화음악논집 Vol.23 No.1

        This paper discusses the nature of performing arts, analyzing Pansori as its example, examining both characteristics of live performance and recorded performances. Performing arts exist as an ephemeral form of art, only existing at the moment it is performed. Nonetheless, performing arts also exist in form of memories of the audiences, and the works of the masters are re-performed in aural and visual recordings. Performing art of the traditional era remains only in memories. In traditional societies, we do not have formalized space for performances. Pansori were performed in living rooms, yards, or arbors. The aura of such performances can be re-created, based on the textual recordings of them. The records show that the performances of Pansori masters had overwhelming aura. On the twentieth century, we have gained access to modern theaters, and thus gained the chance to re-experience the memories of the traditional performances. Some performances were mostly similar to the traditional performances, and some were differentiated. Throughout the era of artistic reproduction, many different genres of performing arts including pansori are recorded with various means. With reproduced performing arts, we examine how the original performances were conducted, and we attempt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elements of them. However, reproduced art could never replicate the ‘aura’ of the original performance. Performing art is art of time. Being in the audience of live performance is at the core of understanding performing arts. Being at the moment of performance is an unparelled experience. Pansori as performing art has come to a great change of environment in the modern era. There have been many experiments, to show the authenticity and the aura of the original performances, out of the performance space itself. However, being in the audience of pansori in its live performance is essential in Pansori’s appreciation. Therefore, it is the mission of the modern artist to recreate Pansori in a live performance with exceptional quality. 이 논문은 판소리를 중심으로 삼아, 공연예술의 현장성과 기록으로 재현되는 특성에 관하여 점검한 것이다. 공연예술은 일회적이고 그 순간이 지나면 사라져버리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공연예술은 관객에게 기억으로 존재하고 있다. 거장의 작품은 음반이나 영상자료를 통하여 재현된다. 전통사회의 공연예술은 그 실체를 확인할 수 없으며 단지 기억으로만 남아있다. 전통사회에서 판소리는 규격화된 공연공간을 갖지 못하고, 마당이나 사랑방에서 진행되었다. 당대 공연을 직접 체험하는 대신, 생생하게 그 현장을 기록한 자료를 기반으로 삼아 그 공연현장을 재구할 수 있다. 기록에 의하면 명창의 공연에는 그 주변을 압도하는 현장의 아우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20세기에 들어서서 서구식 극장을 확보하면서, 우리는 기억되거나 기록된 공연을 재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재현된 소리판은 전통사회에서 이루어졌던 공연현장과 유사한 부분이 있었고 차별화된 것도 있었다. 기계복제시대를 거치면서 판소리를 포함한 공연예술의 다양한 장르들이 음반이나 영상으로 기록되었다. 복제된 음반을 통하여 우리는 이전 시대에 이루어졌던 공연의 규모를 확인하고, 그 특징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복제된 음반에는 원본공연예술이 가지고 있는 현장감이 없고, 따라서 아우라도 사라졌다. 음반에 아우라까지 담아내려는 노력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현장이 주는 긴밀함은 어느 경우에도 재생되지 못했다.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공연은 현장의 예술이다. 아무리 다양한 매체가 있다 해도 현장에서 직접 공연을 보는 것에 비견할만한 것은 없다. 현장에 있어야 생동감 있는 무대를 경험하고 열광한다. 현대에 와서 판소리라는 공연예술의 환경은 변화의 폭이 대단히 크다. 다양한 방식의 실험을 통하여 원본의 핍진함과 아우라를 공연현장 밖에서도 느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모색이 있어왔다. 그럼에도 판소리를 포함한 공연예술의 감상은 현장을 떠나서는 그 본질적 아우라가 발현되지 않는다. 공연예술의 변화된 환경에 대하여 명확하게 인식하고, 이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것이 예술가인 광대의 숙명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