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적 기업의 인식 제고에 관한 연구-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박지영,홍효석,이원기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4 지역산업연구 Vol.37 No.3

        Recently our society is suffering from the economic crisis and unemployment due to the global economic crisis and reduction of the work supplies. Moreover, our government has adopted and used policies to solve this problem and to create jobs and build up social enterprise. Therefore, as the low number of social enterprise causes for the low social recogni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using sample of people living near Gyeongnam province and people working for social enterprise to analyze the people’perception towards social enterprise. As a result, there was actually perception towards social enterprise but the number ofrespondents who really understood its necessity, role and importance was low. However, respondents who have used the products and services of social enterprise in the past answered that they knew social enterprise necessity, importance and so forth and believed they are critical. To suggest few ways for enhancement of perception of social enterprise based on the survey, first it’s important to improvement the social recognitions towards social enterprise. Second, our province should get an opportunity to advertise social enterprise, Third, we should open masters course, university committee on social enterprise to train people of profession. Forth, we should invite people in the field of profession who work for the civil or public organization to seek for the ways to promote and advertise concept of social enterprise and its effects on the society. 본 연구는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들과 사회적 기업 관련 종사자들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인식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태조사결과, 조사 대상자의 상당수가 사회적 기업에 대하여 들어본 경험이 있는 반면, 사회적 기업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비율은 절반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역할이나 목적에 대하여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는 드물며, 대신 사회적 기업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었다는 응답자는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인식이 좋고 높아, 우리 사회에 사회적 기업이 꼭 필요한 기업이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실태조사에서 나타났듯이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우리 지역민들의 인식은 매우 낮은 단계에 있으며, 이는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의 시행 단계에서 사회적 기업의 필요성과 인식 심어주기가 함께 이루어졌어야 했으나, 그 부분이 부족했던 것에서 기인한 것이라 보여 진다. 따라서 앞으로 사회적 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일은 사회적 기업의 장점과 필요성을 홍보하여 알리고 인식을 높이는 일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Revitalization of the Korean Social Enterprise Ecosystem and its Policy Implications

        In Jae Lee(이인재),Ju Hee Hwang(황주희) 서울행정학회 201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4 No.1

        사회서비스 제공의 새로운 주체로 사회적기업의 활동이 확대되고 있으며, 그 활성화 방안으로 생태계가 주목받고 있다. 사회적기업 생태계란 사회적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유기적 환경체계로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이해당사자간의 네트워크 체계를 의미한다. 즉 모든 사업가능 공간에서 혁신적 가치 복합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공생과 공존의 선순환 관계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체계로 볼 수 있다. 사회적기업 생태계란 사회적기업의 성공을 돕는 (1) 자본 인프라와 (2) 사회·경제·문화적 환경으로 구성된다. 자본 인프라는 (ⅰ) 인전자본, (ⅱ) 사회정치자본, (ⅲ) 금융장본, (ⅳ) 지식자본 등을 의미하며, 환경요인은 (ⅰ) 사회적기업 정책, (ⅱ) 언론홍보와 문화적 인지도, (ⅲ) 경제사회적 조건 그리고 (ⅳ) 유관분야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사회적기업 생태계를 육성하기 위해 현행 제도 내에서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는, 인적자본육성을 위하여 교육훈련 분야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하겠고, 이를 위한 개선방안은 교육유형 및 프로그램 다양화, 성장기 사회적기업 등 현장 중심의 실전형 교육과 사회적기업가 정신을 고취하는 성공한 사회적기업가들의 멘토형 교육훈련 강화, 교육주체별/대상별로 차별화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금융자본 육석을 위해서는 사회적기업 금융자본과 자본시장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사회적기업 전문재단설립과 민간 기금 조성, 모태펀드를 활용한 사회적 자본시장 활성화, 기업 사회공헌 기금의 활용, 사회적기업의 모금 역량 강화 등 많은 세부 과제들이 존재한다. 사회정치자본과 지식자본의 확대를 위해서는 사회적기업 온 오프라인 옹호조직, 사회적기업을 위한 지원 공간(무상임대 공간 포함), 사회적기업에 대한 시민들의 긍정적 인식 확산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지역사회에서 사회적기업가, 자금 제공자, 연구자, 윤리적 소비자 등이 참여하는 플랫폼을 만드는 것도 중요한 정책과제가 된다. 사회적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한 환경분야 정책과제로서는 먼저, 공공정책 분야의 사회적기업 거버넌스 사회적기업 정책의 보완이 필요하다. 거버넌스와 관련해서는 사회적기업을 포함한 사회적경제 육성차원의 재편이 필요하다. 중앙 단위부터 광역, 기초단위까지 일관된 지원체계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사회적 기업정책 관련해서는 사회적기업 협동화단지 및 클러스터 육성과 공공구매 시장 및 사회서비스 시장 확산이 필요하다.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으로는 대기업의 경우 사회적기업의 발전 및 확산을 위해서는 대기업 자회사 형태로 직접 설립보다는 생태계 지원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Social enterprise, a new type of social service agency in Korea, has rapidly emerged in recent years. A social enterprise ecosystem is defined as including both support structures that can develop social enterprises, and a cluster value network between various stakeholders. On this basis, a social enterprise ecosystem can be seen to have two main divisions; capital infrastructure, and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environment. The capital infrastructure provides the resources, including social, political, human, financial, and intellectual capital, that are essential to the success of social enterprise.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environment produces the conditions in which social enterprises and their capital providers operate. This environment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social enterprise policy, media relations, and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br/> Th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To promote the capital infrastruc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ssues of education and training, while building financial capital for social enterprises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both financial support and capital market systems. Policy support is required in order to create a positive perception about social enterprise among citizens, and to establish spaces in which to nurture social enterprise (including free rental space). In addition, a further policy challenge involves the creation of a platform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social entrepreneurs, funders, researchers, and ethical consumers. Generally, the challenge for policies relating to social enterprise is to build governance structures and to activate government assistance polices. In order to do this, there is a need to build a consistent support system involving the central government, metropolitan councils, and primary local authorities. At the same time, social enterprise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by promoting the social enterprise cooperation town and cluster, and by finding a public purchasing and social service market. Ultimately, finding a way to activate the social enterprise ecosystem has significant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

      • KCI등재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자금조달방안

        곽관훈 한국상사법학회 2015 商事法硏究 Vol.34 No.2

        A social enterprise is an organization that applies commercial strategies to maximize improvements in human and environmental well-being, rather than maximising profits for external shareholders. Social enterprises can be structured as a for-profit or non-profit, and may take the form of a co-operative, mutual organization, a social business, or a charity organization. In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purpose of this Act is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ocial unity and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by supporting social enterprise in the creation of new job opportunities and the expansion of social services that have been undersupplied in our society. In United States, many states offers new business forms for the social enterprise. And the community interest companies(CIC), the organization form that the U.K. established as a legal designation for social enterprise in UK. In many country, the new legal forms for the social enterprise, because it is that the Corporation of the Commercial Law is inappropriate for social enterprise. The Social Enterprise means an enterprise certifi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7 of this Act as one that pursues a social objective aimed at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community residents by providing vulnerable social groups with social services and job opportunities while conduction its business activities, such as the production and sale of goods and service. But, it i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and other Enterprise Establishment Acts to revitalize the Social Enterprise. In this article, with these issues in mind, I would like to explore problems and remedies of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and other Enterprise Establishment Acts.

      • KCI등재

        사회적 기업 육성법제 및기타 창업관련 법제 정비방안

        곽관훈 한국증권법학회 2012 증권법연구 Vol.13 No.3

        A social enterprise is an organization that applies commercial strategies to maximize improvements in human and environmental well-being, rather than maximising profits for external shareholders. Social enterprises can be structured as a for-profit or non-profit, and may take the form of a co-operative, mutual organization, a social business, or a charity organization. In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purpose of this Act is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ocial unity and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by supporting social enterprise in the creation of new job opportunities and the expansion of social services that have been undersupplied in our society. The Social Enterprise means an enterprise certifi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7 of this Act as one that pursues a social objective aimed at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community residents by providing vulnerable social groups with social services and job opportunities while conduction its business activities, such as the production and sale of goods and service. But, it i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and other Enterprise Establishment Acts to revitalize the Social Enterprise. In this article, with these issues in mind, I would like to explore problems and remedies of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and other Enterprise Establishment Acts. 사회적 기업은 조직의 주요한 목적이 사회적인 것이며, 주주나 오너의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해 경영하는 것이 아니라 이익을 사회적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기업을 말한다. 유럽 등의 경우 사회적 기업이 새로운 복지제도의 대안으로서 제시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점차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아직 제도적인 미비점이 있어 사회적 기업이 활성화되기 어려운 점이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의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법률은 ‘사회적기업육성법’을 비롯하여 사회적 협동조합에 대해 규정하고 있는 ‘협동조합기본법’ 등이 있다. 이 밖에 서울시가 운용하는 서울형 사회적 기업, 행정안전부의 마을기업 육성사업 등 다양한 형태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제도들이 혼재되어 있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부처별 법률과 제도들 아우를 수 있는 ‘사회적 기업 기본법’의 제정이 필요하다. 아울러 현재 사회적기업육성법에 따라 인증받은 기업만을 사회적 기업이라 함에 따라 사회적 기업의 범위가 너무 제한적이다. 일반적인 사회적 기업과 인증받은 사회적 기업을 구분하여 정의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기업의 목적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일반투자자들의 적극적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연계기업의 범위를 명확히 하고 연계기업에 대한 적절한 보상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 밖에 배당가능이익을 사용할 수 있는 사회적 목적의 범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시작단계뿐만 아니라 성장단계에 있는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제도의 확충, 사회적 기업에 적합한 기업지배구조의 모색, 설명책임 등의 강화도 필요하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 회계 개선방안

        김이배 한국경영교육학회 2014 경영교육연구 Vol.29 No.1

        The number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is rapidly increasing after the establishment of social enterprise law at January 2007. At 2012 year, the number of total social enterprise is estimated to be 5,733, estimated total employee number of social enterprises is 64,033 and total economic size of social enterprise is estimated to be 653.6 billion Korean Won. At 2013 year, the number of social enterprise certified by government is 1,0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ccounting practices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social enterprise accounting.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Korean social enterprise accounting practices, social enterprise law, and the annual reports of social enterpri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current accounting terms used in social enterprise law and annual reports of social enterprises should be revised to unified form according to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Second, the work load of social enterprises should be reduced by simplifying the current accounting rules of social enterprise. Through this, the understandability of social enterprise accounting can be increased and the information user can easily use social enterprise accounting inform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social enterprise accounting and has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accounting information transparency of social enterprise. Also,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regulators to set and revise the law of social enterprise.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은 2007년 7월 1일 사회적기업육성법의 제정이래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2013년 현재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받은 기업은 1,012개이며, 2012년 시점에서 사회적기업을 포함한 예비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 광의의 사회적기업 부문의 규모는 총 조직 수 5,733개, 총 유급근로자수 64,033명, 총 경제규모 6,536억원 등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의 중요성을 고려해 볼 때 기업경영의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적기업의 회계에 관한 현황을 살펴보고 사회적기업 관련 회계사항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들의 회계처리 현황과 사회적기업육성법 등 사회적기업 관련 법률 조항, 사회적기업들이 매년 보고하는 사업보고서상의 회계에 관한 사항들을 검토한 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 관련 법률과 사업보고서 중 회계에 관련된 사항들과 용어들을 사회에서 통용되는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회계원칙에 따라 개정, 통일시켜야 한다. 둘째,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과 관리에 관한 회계 관련 사항들을 단순화시켜 사회적기업들의 업무부담을 줄여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기업에 관한 정보의 이해가능성을 제고시키고, 사회적기업의 정보를 정보이용자들이 쉽게 이용가능하게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관련 이해관계자들에게 회계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사회적기업의 회계투명성을 제고시키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고, 사회적기업 관련 입법과정에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회적 기업의 인증이 고용 및 사회복지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김정헌(金正憲) 한국지방자치학회 2014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impact analysis of social enterprise certification on employment and social welfare service performance.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helpful directions for other enterprise that prepare for social enterprise certifications. The sample of 431 laborers social enterprise and non-certification social enterprise were selected on Daegu Metropolitan City, at was done by stratified sampling complete enumeration surveys were conducted by 500 workers social enterprise and non certification social enterprise. The overall study results include,First, the position of social enterprise certific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Second, the position of social enterprise certifi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welfare performance. Third, social enterprise"s characteristics influences the employment and social welfare performances, instance, average wage, date of social enterprise certification, and decisionmaking structure produced different employ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urther proposals can be suggested.First of all, the social enterprise certification enhance social welfare service performances. And, appropriate management of laborers, support for facilities, and consistent public institution pregenital purchase is critical.But, this study is a simple comparison between social enterprise with certification and without certification so there are limits for practical evaluation.

      • KCI등재

        사회적 기업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홍은표,김진회 한국산업경제학회 2018 산업경제연구 Vol.31 No.1

        A social enterprise is a new type of enterprise or organization that has both the characteristics of a traditional enterprise that pursues profits and the social characteristics that prioritize the public. Since 2007, Korea has been implementing a social enterprise certification system and has implemented various government support policies for certified social enterprises. Therefore, the social enterprise can operate the enterprise with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resources and capabilities from the early stage of the start-up, but the question of sustainability of the social enterprise is raised when the government support is cut of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tart-up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We analyzed social enterprise entrepreneurship, social enterprise’ founder social capital and government support policy have an effect on the founding intentions and opportunities of discovery among social enterprise entrepreneurial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social enterprise entrepreneurship, social capital of entrepreneurs, and government support influence the founding intentions and opportunities of entrepreneurs and social enterprise founder's behavior affects social enterprise's commercial and public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may be important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to the social enterprise as well as to establish a policy system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and management capacity of the social enterprise entrepreneur. 사회적기업이란 이윤을 추구하는 영리기업의 특성과 공공의 이익을 우선하는 사회적 특성을 동시에 지닌 기업 및 조직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2007년부터 사회적기업 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인증받은 사회적기업에 대해 다양한 정부의 지원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회적기업은 창업 초기단계부터 정부로부터 경영자원 및 역량을 정부로부터 지원받아 기업을 운영하지만, 정부지원이 단절되었을 경우의 사회적기업 지속가능성 등에 대하여 의구심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사회적기업의 창업가정신 및 창업자의 사회적자본과 정부 지원정책이 창업의도와 창업기회발견과 같은 창업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사회적기업의 창업가 정신, 창업자의 사회적 자본 및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부지원 요인이 사회적기업 창업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요인이 사회적기업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기업의 창업가 정신, 창업가의 사회적 자본,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부지원은 사회적기업 창업자의 행동으로서 창업의도 및 기회발견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기업 창업자의 행동은 사회적기업의 영리적 및 공익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익의 창출이라는 경제적 목적과 이익의 사회환원 및 공공서비스의 사회적 제공이라는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회적기업의 창업성과 제고를 위해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부의 재정적인 지원과 함께 사회적 기업 창업가의 전문성 및 경영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인 제도의 마련이 중요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다.

      • KCI등재

        사회적 기업 활성화를 위한 경영지원 과제

        이은애 ( Eun Ae Lee ) 한국윤리경영학회 2008 윤리경영연구 Vol.10 No.1

        Social Enterprise is operating for achieve social goals. The government enacted the policy of rearing social enterprise and it became effective through several certifications for revitalizing social enterprise. The most important problem for this goal is strengthening the core competence of social enterprise. In this paper, author compared international social enterprise which has longer history than national social enterprise and Korean social enterprise, and she tried to figure out the problem of supporting for national social enterprise. The paper has three parts. First, the paper figured out problems of national social enterprise; difficulties to a decline of cost through economy of scale, a lowering of human resource‘s quality, shortage of development technology and investment. Second part is about English and American social enterprise. Third part is about the problem of supporting for national social enterprise; necessity to access based on demand of supporting for social enterprise, necessity to expansion of human resource and variety, necessity to support sustainable business model, necessity to multiple market which supply resource, support of development of market, extension of professional supporting organization operation. 사회적 기업이란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운영되는 기업으로, 현재 정부는 사회적 기업 육성법의 제정, 발효 후 여러 번의 인증과정을 거치며 사회적 기업 활성화를 위한 여건 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사회적 기업의 활성화를 위해 제1과제로 떠오르는 것이 사회적 기업의 경영역량 강화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우리나라보다 역사가 좀 더 긴 해외 사회적 기업의 현황 및 경영지원 사례와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 사례를 비교 고찰하여 국내 사회적 기업 경영지원 과제를 도출하고자 했다. 국내 사회적 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으로 1) 규모의 경제를 통한 비용감소효과 기대의 어려움, 2) 현저히 낮은 인적자본의 질, 3) 기술 개발, 투자의 부족 등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비교 대상으로 영국과 미국의 사회적 기업 현황을 정리하여, 국내와 해외의 사회적 기업현황을 비교했다. 이 과정을 통해 사회적 기업 활성화를 위한 경영지원 과제를 1) 사회적 기업의 경영지원 수요에 기반한 접근, 2) 인력양성 지원확대 및 다양화, 3) 지속가능한 사업모델 개발 지원, 4) 자본조달시장 다각화, 5) 시장형성 지원, 6) 전문 지원기관 운영 확대로 나누어 제시했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이 사회적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문준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8 기업경영리뷰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ship of the social enterprise management and the self-efficacy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on the economic performance and the social performance of the social enterprise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social enterprise.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organizational members who are working in social enterprise to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of entrepreneurship and self-efficacy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entrepreneurship of the social enterprise executiv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social performance of the social enterprise. Therefore, the higher the entrepreneurship of the social enterprise management, the better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of the social enterprise. In order to improve the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of the social enterprise, various implementations are needed to improve the entrepreneurial spirit of the systematic management. Second, the entrepreneurship of the social enterprise executiv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lf - efficacy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In other words, in order to improve and demonstrate the qualitative self-efficacy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t is required to implement the executive system so that the entrepreneurship of the social enterprise executives can be applied as a positive factor. Third, the self-efficacy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in the social enterprise and the social performance of the social enterpris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order to achieve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of the social enterprise, it is required that the organizational members of the social enterprise perform various tasks and fos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elf-efficacious self-efficacy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하여 사회적기업의 기업가정신과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사회 적기업의 경영성과인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적기업의 기 업가 정신과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 간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사회적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조직구성원을 대 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 었다. 첫째, 사회적기업의 기업가정신은 사회적기업의 경영성과인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유의한 긍정적 인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사회적기업의 기업가정신이 높으면 높을수록 사회적기업의 경영성과인 경제 적·사회적 성과는 향상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사회적기업의 경영성과인 경제적·사회적 성과를 향상하기 위 해서는 체계적인 기업가 정신을 향상할 수 있는 다양한 실행방안이 요구된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기업가정신은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조직구성원의 질적인 자기효능감을 향상하고 발휘하기 위해서는 사회적기업의 기업가정신이 긍정적 요인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실행체계인 실행방 안이 요구되었다. 셋째, 사회적기업 내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기업의 경영성과인 경제적 성과와 사회 적 성과 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내었다. 사회적기업의 경영성과인 경제적·사회적 성과를 달성 하기 위해서는 사회적기업의 조직구성원이 자기직무를 충실히 수행하여 내재화된 자기효능감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실행체계와 육성방안의 정립과 실행력이 요구되었다.

      • KCI등재

        韓國の社會的企業の現狀に關する一考察-社會的企業の槪念に關する檢討を中心に-

        안태혁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7

        本稿は、社會的企業の槪念に關する檢討を中心にし、韓國における社會的企業の現狀について一考察するものである。社會的企業は、多樣な社會的課題の解決を主な目的とし、「社會性」と「營利性」の兩立を志向する組織體として定義されることが多い。そこでまず、アメリカとヨ-ロッパを中心として行われてきた社會的企業の槪念に關する先行硏究を檢討し、なぜ社會的企業の槪念を規定することがなかなか困難であるのか、ということについて考察した。その後、山本安次郞(1964)の「經營體3要素論」に基づき、社會的企業の槪念の基礎に關する理論を提示した。それは、「企業」の投資對象であり「經營」の行爲對象である「事業」に重点を置く、いわゆる「事業經營」を通じて社會のニ-ズに應答していくということである。以上のような理論硏究に基づき、韓國の社會的企業の現狀を考察したが、本稿では主に韓國の「社會的企業育成政策」に焦点を合わせている。韓國の社會的企業育成法は、主に貧困問題と失業問題を解消するための社會政策の一環であり、とりわけ、社會的疎外階層を包攝しようとするものである。しかし、そこにはいくつかの問題点もある。例えば、①NPOから提示された內容が條文に含まれていないこと、②今の社會的企業の認證制度は結局、政府の政策と關連性が高い事業のみをその對象にする可能性が高いこと、などが擧げられる。つまり、韓國の社會的企業育成法に基づく社會的企業の槪念には、經濟的價値を生まない社會的目的はそもそもその選擇對象とならないという意味が含まれていると考えられるので、社會的價値の創造には限界があるといえよう。 This study discusses the present status of social enterprises in South Korea,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the concepts that define a social enterprise. Social enterprises are often defined as organizations that are founded with the primary purpose of solving diverse social issues and that are oriented toward Sociality and Commerciality. First, the essay examines the American and European research literature on the concept of social enterprise and discusses the reasons that it is challenging to establish a precise definition of social enterprise. Then, it presents arguments about the basic concepts used to define a social enterprise based on Yamamoto’s (1964) theory that management is comprised of three elements. The claim is that social enterprises focus on Businesses, in which Enterprises invest and on behalf of which Management operates and responds to social needs through so.called Business Management.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research, the essay focuses primarily on South Korea’s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is part of South Korea’s strategy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poverty and unemployment with the aim of increasing the social inclusion of the poorest segments into mainstream society. However, there are problems with the Act; for example, (1) it has no provisions for incorporating content presented by NPOs and (2) under the present social enterprise certification system, only business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government’s strategy have a good chance of being certified. The concept of social enterprise that is upheld by South Korea’s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is defined such that social objectives that do not generate economic value are not viable candidates for selection, which arguably limits the scope of the criteria of social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