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氣學과 心學의 횡단적 소통구조에 관한 연구

        장윤수(Jang, Yun-su)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30 No.-

        이 연구는 종래 '병렬적' 또는 '대립적'으로 이해되던 張橫渠의 氣學과 王陽明의 心學을 상호 소통의 차원에서 해명해 보려는 의도에서 이루어졌다. 필자는 여기에서 太虛와 良知의 개념을 직접 비교함으로써 氣學과 心學의 존재론적 구조가 상통함을 설명하려 하였고, 그리고 大心과 致良知의 개념을 비교하면서 氣學과 心學의 공부론이 서로 소통하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장횡거의 太虛論은 불교의 寂滅論에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진 측면도 있다. 그러므로 心學을 氣學으로 이해하는 작업, 즉 良知의 본체를 太虛로 이해하게 되면 그동안 陽明心學이 程朱學으로부터 줄기차게 받아야 했던 '불교적 異端論'에 대한 비판적 시각으로부터도 자유로울 수가 있다. 이 연구는 횡거 철학의 전통을 程朱理學의 시각에서 뿐만 아니라 오히려 陸王心學의 전통에서 읽을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의미를 갖는다. 필자는 여기에서 성리학의 발전적 계승으로 陽明 心學을 해석하였고, 또한 陽明 心學의 이론선구로 橫渠 氣學을 이해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Zhang Zai(張載)''s Gi-Hak(氣學) and Wang Shou-Ren(王守仁)''s Sim-Hak(心學) are interrelated, which differs from prior positions viewing the two as separate, unrelated philosophies or ones standing in contrast to each other. By direct comparing the notions Tae-Heo(太虛) and Yang-Ji(良知), I tried to explain that ontological structures of Gi-Hak and Sim-Hak are interrelated ; and by comparing Dae-Sim(大心) and Chi-Yang-Ji(致良知), I made an argument that Gong-Bu-Ron(工夫論) of Gi-Hak and Sim-Hak corresponds to each other. Zhang Zai''s the doctrine of Tae-Heo can be seen as a respond to Jeok-Myeol-Ron(寂滅論) in Buddhism ; therefore, understanding Sim-Hak in terms of Gi-Hak, that is, interpreting the fundamental meaning of Yang-Ji as Tae-Heo, can free Yang-Myeong-Sim-Hak(陽明心學) from the unceasing criticism by Ju-Ja-Hak(朱子學) that it is a 'Buddhistic heresy'. This study could be highly significant in that it enables us to read the tradition of Zhang Zai not only from the viewpoint of u-Ja-Hak, but even from ang-Myeong-Sim-Hak tradition. I interpreted Yangming School of Mind as a developmental succession of Neo-Confucianism, and understood Zhang Zai''s Gi-Hak as a theoretical pioneer of Wang Shou-Ren''s Sim-Hak.

      • KCI등재

        16세기 시대적 과제와 율곡의 대응

        지두환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3 No.-

        Looking into thesis and the countermove of Yul-Gok(栗谷 李珥) in the 16th century, through development of Chosun Sung Confucianismwhich had characteristic of Simhak(心學). The 16th century is a periodof this Chosun Sung Confucianismwas established, and later period of Choson was lead by Chosun Sung Confucianism not JooJa(朱子) Sung Confucianism. In this meaning, Yul- Gok(栗谷 李珥) was the philosopher who completed Chosun Sung Conficianism. And the phases of the times were changed into different system from 15th century. These were appeared as the renovation, and Sa-Rim’s administration for political side. And Nang-Gwan-Gwon(郎官權) was built up which was based on Seo-Won(書院) and Poong-Dang(朋黨) rather than Sam-Sa(三司) system for political system side. The economy system intended to Jeong-Jeon-Che(井田制) that taxes 10% putting with together Jeon-Sae(田稅), Kong-Nab(貢納), Yoh-Yuk(繇役) through Nab-Po-Che(納布製), Su-Mi-Bub(收米法), and then based on this income it started processing Hwan-Kok(還穀). Following a code constitution, the main line of descent system started to came into place as a social institution and a law regarding slave(奴婢從母從良法) and Seo-Hur-Hoe-Tong(庶孼許通) and other things were under discussion. Looking for culture section, the Seok-Bong style(石峯體), novels that was written in the national language, Ka-Sa(歌詞), Dong-Hui-Bo-Kham(동의보감(東醫寶鑑) and many others shows Korean original culture was started to take place. Under this period background, Chosun Sung Confucianism, the leading ideal of the 16th century, was being established. This was being integrated into Lee-Ki-Lee-Won-Lon(理氣二元論) of Yul-Kok(栗谷 李珥), while conflicts of Ki-Ill-Won-Lon(氣一元論), represented by Wha-Dam(花潭) Seo-Kyoung-Duck(徐敬德) · Nam-Myoung(南明) Jo-Sik(曺植(조식)), and Lee-Ki-Lee-Won-Lon(理氣二元論), represented by Whe-Jae(晦齋) Lee-Yeon-Jeok(李彦迪), Lee-Hwang(李滉), yield Sim-Sung(心性) debate and this made comprehension more deeper. As Jeong-Min-Jeong(程敏政)’s Sim-Kyoung-Bu-Ju(心經附註) came out, Woo-Arm(尤庵)’s Sim-Kyoung-Seok-Wui(心經釋疑) and same kind of books had published as teaching materials for Sim-Hak(心學) after Sim-Kyoung(心經) of Lee-Hwang(李滉). And also Seong-Hak-Jib-Yo(聖學輯要) was established rather than Dae-Hak-Yeon-Wui(大學衍義). At the end, it arranges its transition of Jeong-Jeon-Che(井田制). Sung Confucianism considered it as ideal system, which was appeared as taxes for 10%. At the level of Joo-Ja(朱子) Confucianism in the 15th century , Jeong-Jeon-Che(井田制) was trying to taxes 10% only for real estate taxes but in the 16th century, it was like Dae-Dong-Bub(大同法) which taxed same rate from Jeon-Sae(田稅), Kong-Nab(貢納), Yoh-Yuk(繇役), Kun-Yeok(軍役). And it was Yul-Gok(栗谷 李珥) who led the operation of Jeong-Jeon-Che(井田制). Like this, the 16th century was very important period, JooJa(朱子) Sung Confucianism passed it’s position to Chosun Sung Confucianism which had characteristic of Simhak(心學) in the middle of Confucianism flow. And Yul-Gok(栗谷 李珥) was the sage who encountered the thesis of at that time, led and completed the Chosun Sung Confucianism. 16세기 시대적 과제와 율곡의 대응을 심학화된 조선성리학이 성립되는 과정으로 살펴보았다. 16세기에는 심학화된 조선성리학이 성립되는 시기이고, 조선후기는 주자성리학이 아니라 조선성리학이 이끌어가는 시기였다. 이러한 조선성리학을 완성한 사상가가 율곡 이이였다. 그리고 시대적 배경이 15세기와는 다른 체제로 전환하고 있음을 정치적으로는 반정이 일어난다든지 사림정치가 행해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정치제도로는 삼사체제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서원과 붕당을 기반으로하는 낭관권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았다. 경제제도로는 납포제 수미법 등이 나타나 전세 공납 요역 모두를 합하여 10분의 1세를 거두는 정전제를 지향하고 이러한 수입을 바탕으로 환곡을 시행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제도로 종법에 따른 종가집 체제가 자리를 잡아가고 노비종모종량법이라든지 서얼허통 등이 논의되고 있었다. 문화적으로는 석봉체 국문소설 가사 동의보감 등 우리 고유문화가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시대 배경하에서 16세기를 이끌어갈 심학화된 조선성리학이 성립되어갔고 이는 화담 서경덕 남명 조식의 기일원론과 회재 이언적 퇴계 이황의 이기이원론이 대립하면서 심성논쟁을 일으키며 이해를 심화시켜갔고 율곡의 이기일원론으로 집대성되어갔다. 이는 성리학교재에서 정민정의 심경부주가 등장하여 퇴계의 심경후론 우암의 심경석의 등의 저술이 나오면서 심학의 교재가 되는 것으로, 대학연의 대신에 성학집요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16세기는 유학사상의 흐름에서 주자성리학에서 심학화된 조선성리학으로 넘어가는 중요한 시기이고, 이러한 시대적 과제에 대응하여 조선성리학을 주도하고 완성하는 사상가가 율곡 이이였다.

      • KCI등재

        박세채 『심학지결(心學至訣)』의 체계와 철학사상적 의의

        이창일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5 No.-

        이 글은 17세기 조선의 박세채(朴世采)가 지은 『심학지결(心學至訣)』의 체계와 그 철학적 의의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심학지결』은 심학(心學)의 핵심 사상을 경(敬)으로 보고, 이에 대한 언설들을 범주적으로 구분하여 정리한 저술이다. 이로부터 경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 즉 경학(敬學)이 성립되었다. 이는 내면으로는 공자의 인학(仁學)과 정주(程朱)의 심학을 하나로 파악하여 경학을 유학의 본질로 천명하기 위한 것이고, 외면으로는 경의 외적 표현인 예(禮)에 존재론적 근거를 정초하여 극심하게 분열된 세계에 질서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었다. 사상사적으로 보면, 경학은 심학의 본질적 가르침을 조탁(雕琢)한 것으로, 이는 기존 『심경(心經)』 연구의 축적에 따른 결실이다. 이 과정에서 경학의 내용은 정구(鄭逑)의 『심경발휘(心經發揮)』를 계승하였고, 형식은 조익(趙翼)의 『지경도설(持敬圖說)』에서 영향을 받았다. 이런 의미에서 『심학지결』은 17세기 조선유학의 특별한 성취라고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system and its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Sim-Hak-Ji-Gyeol(心學至訣), which means a very extremely important teaching in Sim Learning(心學, learning of the mind), written by Park Se-chae(朴世采) in Joseon during the 17th century. Sim-Hak-Ji-Gyeol is a work that sees the core idea of Sim Learning as Gyeong(敬, respect and attention) and organizes the remarks about it categorically. From this, a systematic discussion of Gyeong was established, or Gyeong Learning(敬學). This was to identify Confucius’ Jen Learning(仁學) and Jeong-Ju’s Learning(程朱學) on the inside as one, proclaiming Gyeong Learning as the essence of Confucianism, and to give order to a severely divided world by laying an ontological foundation on Rye Learning(禮學), the external expression of Gyeong on the outside. On the thought history perspective, Gyeong Learning is an elaboration of the essential teaching in Sim Learning, a fruit of the accumulation of existing Sim-Gyung(心經, Classic of the Mind) studies. In this process, the contents of Gyeong Learning were inherited from Jeong Gu’s(鄭逑) Sim-Gyung-Bal-whoey(心經發揮) and the form was influenced by Cho Ik’s(趙翼) Ji-Gyung-Do-Seol(持敬圖說). In this sense, Sim-Hak-Ji-Gyeol is a special achievement of Confucianism in Joseon during the 17th century.

      • KCI등재

        艮齋 田愚의 明德說 一考 -「大學記疑」를 중심으로-

        소현성 한국유교학회 2016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4

        이 글은 조선 말기 畿湖學의 대표자 간재 전우가 「대학기의」에서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명덕’에 대한 그의 사유와 내용을 검토하고, 그것이 그의 성리학 체계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해명하려는 목적에서 기획되었다. 「대학기의」는 1911년(간재 71세)에 완성한 작품으로 간재의 경전 해석학적 성과가 집약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간재는 이미 10년 전에 그의 성리학 체계를 대표하는 핵심 명제인 ‘심본성설’을 제시하였기에, 사실 「대학기의」는 그의 경전 해석학적 성과이자 동시에 그의 ‘심본성설’이 곳곳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성리학 성과물이기도 하다. 「대학기의」의 성리학적 사유는 특히 ‘명덕’의 문제에 집중되어 있다. 명덕에 대한 사유와 논리는 그의 독특한 성리학 사유체계로 평가받는 ‘心本性’ 혹은 ‘性師心弟’와 연관되어 있으며, 당시 그와 견해를 달리하던 학파에 대한 비판과 관련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명덕에 대한 간재의 이해는 그의 성리학 체계에서 핵심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여타 개념들, 예컨대 심·성·정 그리고 심통성정 등과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간재의 명덕설이 어떤 내용과 논리를 갖는지 조명할 것이다. 나아가 이 글은 명덕에 대한 간재의 논의에 어떤 문제와 한계가 있는지, 간재의 독법에 오독은 없는지를 비판적 시각에서 재검토하였다. 이 글은 간재의 성리학 체계와 논리에 대한 정밀한 이해와 조선 말기 기호학파의 사상 내용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was planned and aimed to look into the thoughts and content of 'Myeong-Deok' that Gan-jae Jeon Woo, the representative scholar of Gi-ho School late in Chosun dynasty focused on in Dae-Hak-Gi-Eui and to clarify what it would mean in his Neo-Confucianism system. Dae-Hak-Gi-Eui is a book that Gan-jae completed in 1911 (when he was 71), which integrated the achievement of his analysis on Confucian Classics. In addition, he proposed already in 1901 'Theory of Sim-Bon-Seong', the core and representative thought of his Neo-Confucianism system, so that Dae-Hak-Gi-Eui is a Neo-Confucian accomplishment of his analysis on Confucian Classics with such 'Theory of Sim-Bon-Seong' influencing everywhere. It is related with ‘Sim-Bon-Seong (心本性)’ or ‘Seong-Sa-Sim-Je (性師心弟)’ that is a unique Neo-Confucian thinking system of his, and also goes with his criticism on the other schools that were against his idea. In addition, his understanding of Myeong-Deok is also related organically with his other core concepts in his Neo-Confucianism system: Sim, Seong, Jeong, Sim-Tong-Seong-Jeong, and etc. This study illuminates what kind of content and logics his Theory of Myeong-Deok contains by looking into such relations. Furthermore, this study criticizes what kinds of problems and limitations are in his thoughts of Myeong-Deok and whether he made any mistake in reading such Confucian Classic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tailed understanding of his Neo-Confucianism system and logics, and also the ideas of Gi-ho School late in Chosun dynasty.

      • KCI등재

        老莊(노장)과 禪家(선가)의 초월적 수양 공부

        서명석 韓國宗敎敎育學會 2001 宗敎敎育學硏究 Vol.13 No.-

        다음과 같은 정식이 있을 수 있다: <나는 초월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때 초월은 인간의 존재론적인 비약이면서 인식론적인 포월을 의미한다. 이 정식을 염두에 두면서 동양의 전통, 특히 노장(老莊)과 선가(禪家)의 담론 속에서 그것이 공부로서의 인간 초월과 어떻게 협연하는가를 여기서 다루었다. 교육의 주요활동을 배움(學·learning)으로 포착하는 것은 서양이냐 동양이냐를 구분할 필요는 없지만, 배움을 둘러싼 둘 사이의 지평의 결별은 너무나 크다. 먼저, 서양에서 유입된 현대적인 배움(learning)에서는 교육내용에 대한 습득의 활동과 긴밀하게 조응한다. 물론 이 교육내용은 학문의 영역을 구획해내는 <지식의 형식> 담아 교과를 통하여 부활한다. 그러므로 여기서의 배움은 교과에 대한 배움과 동일하다. 그런데 이 배움은 교육내용을 담보하는 <구체적인-내용물-자체에-대한-배움>물학(物學)으로 지탱한다. 허나 동양에서 바라보는 배움의 지평은 달랐다. 여기서 바라보는 배움(學)은 인간의 마음과 그 마음 자체에 대한 연마활동과 만난다. 따라서 배움의 구체적인 양태는 마음이 어떻게 현실의 세계 안에서 작동하며, 그 작동의 실상이 마음을 넘어 인간의 몸에 어떻게 편승하는가를 직시하는 일이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단순한 직시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몸 너머의 존재 승격 그리고 세계관의 변화라는 것으로 압축되었기에 그것은 마음의 질을 다루는 배움이었다. 그럼으로써 이와 같은 배움은 <마음의 형식> 일상 속에서 포착하며 마음 자체를 다잡는 것을 배우는 것이기에 마음속 안으로 직접 들어가서 <마음을-갈고-닦으며-새-마음으로-그-마음을-배양하는-배움>심학(心學)이라는 가닥으로 수렴시켰다. 이런 심학(心學)은 마음 안에서 피고 지는 욕망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룬다. 즉 동양에서 바라보았던 심학(心學)은 존재의 욕망과 맞닿아 있으면서 욕망의 문제에 일일이 화답하는 것이었다. 물론 이 지형 속에서, <존재는 욕망하며 실존한다, 그러면서 존재는 현존한다.>肩린?인간이 욕망하는 존재이기에 그의 욕망은 수축과 팽창이라는 연동 운동을 할 수밖에 없다. 이 와중에서 욕망의 질서를 규율하고 조정하는 것이 마음의 주체적 몫이다. 하여 마음은 욕망하는 실체이면서 동시에 욕망하는 그 마음을 상위에서 지배하는 또 다른 마음이 있을 수 있다는 전제를 심학(心學) 전통은 받아들인다. 이 마음이 있음으로써 마음 안에서의 초월은 가능하다. 물론 이런 초월은 교육내용이라는 구체물의 세계를 배우는 것에서 일어날 수 없는 것이고, 스스로 주체가 되어 마음 안에서의 마음의-닦음과-배양으로써 일어나는 내재적인 마음의-질적-변환(metanoia)이다. 이것은 존재가 욕망을 독자적으로 주재하고 기획함으로써 존재의 탈바꿈이 마음 안에서 일어날 수 있다는 가정이다. 이것이 동양의 초월적 마음 공부이다. 이 공부는 우리들의 마음 속에서 더 큰 존재를 스스로 만들어 가는 활동과 같다. 그리하여 존재의 첫 명제는 나(我·ego)로부터 출발한다. 왜냐하면 나 곧 무지와 탐욕으로 뒤덮인 자아가 바로 진리를 찾아가는 주체요 또한 진리의 본체이기 때문이다. 이런 무지와 탐욕과 같은 욕망을 담금질함으로써 나를 소멸시키면서 진아(眞我·Self)를 찾아가는 것이 전통 배움인 심학(心學)에서의 초월인 것이다. 더불어 초월이 일어난다는 것은 존재가 뒤바뀌면서 그에 따른 존재의 세계관도 동시에 갱신된다는 것을 함의한다. 이런 공부의 지평을 동양에서는 수양(修養)으로 등록시켜 놓았다. 이 중 노장(老莊)에서의 무위(無爲)와 진아(眞我)의 추구, 그리고 선가(禪家)의 부처 입론과 견성(見性)의 탐구는 이런 마음의 초월 공부와 직접 만난다. 이 속에서 존재는 마음의 초월적 부활을 구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 존재의 궁극적 원리 자체가 다함 없이 운동하기 때문에, 우리의 공부도 끝없이 날로 전진한다.―黃宗羲 (道無窮盡 吾之工夫亦日進無彊,『孟子師說)「禹惡旨酒章)) There is such as formula: I transcend, therefore I am. At this point transcendence means ontological leaping and epistemological jumping. Holding this meaning sets, I studied harmony topography between Kung Fu tradition and human transcendence focused on Taoism and Zen Buddhism of eastern tradition. Both West and East emphasized learning of education for long time. But two paradigms of learning differed from educational mind. In West, modern learning corresponds to the accumul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hat is, curriculum. In this context, contents are formed through subject-matters constructed by knowledge form of academic area. Therefore modern learning of West accords with learning of subject-matters. It is called Mul-Hak(物-學). This Mul-Hak means the accumulative learning of concrete contents in educational practice. But the learning of eastern tradition ran to special horizon on education. In this text, human learning tackled mind and alchemy of mind and heart. This learning concentrated on mind movement of daily world, and was studied cosmic order of heart and mind by self cultivation. It is called Sim-Hak(心-學). This is Kung Fu tradition of learning in eastern religion and philosophy. This Sim-Hak paradigm is directly treated human desires that cyclically birth and die inside human mind. So Kung Fu of Sim-Hak was connected the problem of desires and it was problem of being to eastern. Because eastern people thought that the quality of being relied on to the quality of desires. In this assumption, human being experiences successive desire movement designed by energy flow of decrease and increase. At this process, human being is emerged coordinator of one's desire for oneself. When human being continue self management and control of own desires, being can transcend lower level toward higher level in self mind. This is transcendental Kung Fu of learning. And, in eastern paradigm, it is called the self cultivation of heart and mind. This is Su-Yang(修-養) Kung-Fu(工-夫). Of course, Taoism and Zen Buddhism have been kept this tradition of Kung Fu. Concretely speaking, Taoism stressed true Self building of mind trough polishing desires. Also, Zen Buddhism accepted discovery of Buddha nature as a apogee of Kung Fu. In this context, true Self building of mind and discovery of Buddha nature is equal to final accomplishment of human transcendence.

      • KCI등재

        혜강 최한기의 기학(氣學)에 내포된 평화교육적 가치에 대한 일고찰

        김민재 범한철학회 2020 汎韓哲學 Vol.9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ructure of ‘Ki-hak(氣學)’ by Hyegang(惠岡) Choi, Han-ki(崔漢綺), and to derive the implications for the school peace education centered on ‘moral education’ in its structure.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Life and Ethics≫ and ≪Ethics and Thoughts≫ textbooks were first reviewed in this study.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school's peace education described ‘peace’ within a limited scope, and that very few cases were linked to Korean traditional ethics. This study then identified the ‘Sim-ki(心氣)’ concept formed in our hearts by the action of ‘Sin-ki(神氣)’ leading sensory organs. It also described the system of ‘Un-hwa (運化)’ and ‘Dae-dong(大同)’ that Sin-ki, including Sim-ki formed, should follow. Finally,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school peace education were derived from Ki-hak of Hyegang. School peace education should try to establish a mind for individuals to resolve conflicts or disputes peacefully. Peace penetrates ‘a state of peace in the mind of an individual’, ‘a state of no conflict between societies or countries’, and ‘a state of communicating with nature an forming a right relationship’. In order to achieve peace, intense investigation, reflection, and respect are needed. The contents related to peace found in the book written by H yegang can be used as materials for peace classes. 본 연구의 목적은 혜강 최한기가 제창한 ‘기학’의 구조를 명료화하고, 이로부터 ‘도덕과’ 를 중심으로 시행 중인 학교 평화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현행 『생활과 윤리』 및 『윤리와 사상』 교과서들(총10종)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학교 평화교육에서는 ‘평화’를 제한된 범위에서 다루고 있고, 한국윤리사상과 평화를 연결시킨 경우가 매우 적으며, 그 경우에서마저 사상의 본래 취지가 잘못 전달될 우려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감각 기관들을 주재하고 경험과 기억을 통솔하는 신기의 작용에 의해 우리 가슴 속에 형성된 유형의 존재인 ‘심기’ 개념을 규명하였다. 또한 형성된 심기를 내포한 신기가 승순하는 삼층(일신・통민・대기)의 운화 및 이 운화 체계의 실질적 완성태인 ‘대동’에 대해 일통, 조민유화 등의 용어를 활용하여 설명하였다. ⓒ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혜강의 기학이 함의하고 있는 평화교육적 가치들을 도출하였는데, 첫째, 학교 평화교육에서는 도덕적 주체로서의 개인이 갈등과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려는 정신을 확립할 수 있도록 신경 써야 한다. 둘째, 평화는 ‘개인이 평온한 상태’, ‘사회・국가에 분쟁이 없는 상태’, ‘자연과 소통하고 바르게 관계 맺는 상태’ 등을 관통하며, 평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치열한 탐구와 성찰, 외경의 마음가짐 등이 필요하다. 셋째, 혜강의 저술들에서 발견되는 평화 관련 내용들은 학교 평화수업에서 실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 KCI등재

        敬堂 張興孝와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에 관한 연구

        장윤수(Jang Yun-su)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9 No.-

        이 연구는 외적으로 敬堂 張興孝(1564~1633)의 삶과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17세기 경북 북부 지역 성리학의 특징을 해명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그리고 내적으로는 영남학파 특히 퇴계학파가 지닌 이론적 특징과 실천적 관심을 장흥효와 경북 북부지역의 성리학자들을 통해 확인해 보려는 것이다. 장흥효는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최대 학자이다. 그는 여러 면에서 퇴계학파의 중심에 있으며, 또한 그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퇴계학파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학문 관심은 이론 논변에만 머물지 않고 근본적으로 실천수양의 방면을 지향하였다. 그러나 종래 학계에서 장흥효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퇴계학파의 이론적 標識를 염두에 두고 경당의 기본 성리이론과 실천적 삶의 특징을 그려보고자 한다. 경당의 성리이론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體用論이다. 그는 體用의 구조로써 성리이론의 전모를 체계적으로 설명해 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경당은 인간과 만물을 理氣妙合의 존재로 보나, 퇴계와 마찬가지로 오직 인간만이 유일한 윤리적 존재일 수 있는 근거를 理에서 찾는다. 경당의 이러한 이론은 퇴계학파의 기본 이론을 이루는 標識 중 하나이다. 한편 경당은 성리학적 이론을 삶 속에 구체화하고 실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持敬의 삶을 살아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持敬論은 퇴계의 입장을 기본적으로 계승한 것이기는 하나, 경당에 이르러 더욱 구체적 삶의 모습으로 體現되며 이후 퇴계학파의 학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하나의 특징이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경당은 퇴계학을 思辨的 이론뿐만 아니라 실천의 영역에서도 균형 있게 발전시켰다고 평가할 수 있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종래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17세기 경북 북부지역의 성리학적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하며, 특히 퇴계학파의 형성에 관한 이론적 토대가 보다 선명하게 그려질 수 있기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in the 17th century in terms of Jang-Heung-Hyo"s (1564∼1633) life as a scholar and his thoughts. This study also compares Jang-Heung-Hyo and other scholars with Toe-Gye School in terms of theoretic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concerns of Neo-Confucianism. Jang-Heung-Hyo was one of the most famous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through the 17th century. His concerns had not been limited to theoretical arguments. He also emphasized practical and moral cultivation of the human mind. His main concerns were Yi-Hak(理學), Gyeong-Ron(敬論) and Sim-Hak(心學). These concerns had led him to pursue a society in which those fields are realized through cultivation and practice. He could become a key person of Neo-Confucianism in the 17th century by educating young students in northern areas of Kyeong-Buk Province.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has not been shed a proper light. Hopefully, this study can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 areas of Kyeong-buk and the spread of Toe-Gye School.

      • KCI등재

        중고제 판소리 명창 방만춘, 방진관 연구

        박성환(Park Seong-hw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5 No.-

        동편제, 서편제와 함께 판소리 세 가지 유파 중 하나인 중고제 판소리는 충남 논산 강경의 김성옥을 위시로 한 금강유역권과 서산 해미의 고수관, 방만춘, 방진관 등을 위시로 한 내포문화권에서 크게 발달하였는데, 주로 양반상류층의 애호 속에 담담하고 고아古雅한 가곡풍으로 발전해온 것으로 보인다. 극도의 노력으로 성가를 이뤄 심청가를 완성한 방만춘은 조선 전기8명창 중 한사람으로 판소리사에 큰 업적을 세운 인물이며 가계를 이은 손자 방진관은 방응교와 동일인으로 일제강점기 신제판소리가 유행할 때에도 끝까지 중고제 전통을 지켰고, 그 정통성이 음반과 방송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음반에 전하는 방진관의 소리 〈군사설움〉 대목의 악조 분석을 통해 현행 민속악이나 동, 서편제 소리와 다른 계면조의 평조적 표출, 구성음의 차이, 붙임새와 선율의 단조로움과 반복, 가곡풍의 창법 등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들은 방진관의 판소리가 다른 중고제 명창들의 소리와 유사성이 많으며 이는 동, 서편제에 비해 보다 앞선 시기 고제판소리의 특성으로 볼 수 있다. 허흥식 소장본 심청가 소리책은 내포제의 고장 서산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 방진관의 SP음반에 남겨진 판소리 사설 부분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이 소리책이 조선창극사에 기록된 방만춘의 심청가 사설로 방진관을 거쳐 가계에 전해지던 필사본이 아닌가 면밀히 연구해볼 가치가 있다. 판소리의 古調를 고수해온 방진관의 중고제 판소리는 이제 전승이 끊긴 매우 희귀한 소리가 되었다. 통속성의 결과로 갈수록 설움조로 계면화되고, 유파나 바디를 떠나 하나같이 소리의 깊이와 다양성이 사라지고 있는 현실에서 방진관의 소리는 판소리 미학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이제 방진관, 이동백, 김창룡, 심상건, 조학진등 중고제 명창들의 이채로운 소리제에 대한 학술적 연구와 함께 실기인들의 활발한 복원 작업을 체계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단순한 복원을 넘어, 대동소이하기만한 현대 판소리의 음악관을 더 폭넓게 하고 장차 새로운 현재적 전통을 창조하고 수립하는데 확고한 내적 근거와 자산으로 삼아야 할 것이기에 중고제 판소리의 부활은 매우 긴요하다. Junggoje as one of three pansori schools, along with Dongpyeonje and Seopyeonje has been much developed in the Qeum River Basin with Kim seong-ok in Ganggyeong-eup, Nonsan-si, Chungcheongnam-do and in the aepo cultural area with Go su-gwan, Bang man-chun, and Bang jin-gwan, Haemi-eup, Seosan-si, Chungcheongnam-do. It seems that it has been loved by the upper class of yangban, aristocrat and developed into calm and graceful aria style. Bang man-chun, one of 8 great singers in the Joseon Dynasty who had collected hymns ? and completed Simcheongga with great efforts, performing a feat in the history of pansori. His grandson Bang jin-gwan, an identical person to Bang eung-gyo took over the family business and protected the tradition of Junggoje to the end even under the popularity of new pansori. Its legitimacy has been verified via albums and broadcasting. Through the tone analysis on Bang jin-gwan's pansori, 'A Soldier's Lamentation' from an album, we ca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such as an expression like Pyungjo of Gyemeonjo different from the present folk music, Dongpyeonje, and Seopyeonje, differences of composing notes, monotonous and repetitive Buchimsea (attachment for effectiveness in drumming method) and melodies, and a singing method with an aria style. These kinds of facts have made us justify that Bang jin-gwan's pansori has lots of similarities to other master singers' songs of Junggoje and that it shows properties of old pansori earlier than Seopyeonje. Heo heung-sik's collection of a sori book Simcheongga has been handed down in the region of Seosan, the hometown of aepoje and checked as it is identical to the story part of the pansori left in Bang jin-gwan's SP album. Based on this information, it is worthwhile to research in detail if the sori book as Bang man-chun's story of Simcheongga recorded in the history of changgeuk of the Joseon Dynasty is the manuscript succeeded in his family by Bang jin-gwan or not. Bang jin-gwan's Junggoje pansori which has adhered to the old tone? of pansori has become a precious sori, without handed down more. His sori is a very valuable material showing the diversity of aesthetics of pansori under the present situation when it has become Gyemyeonjo as the tone of sadness as a result of the popularity, and when the depth and diversity of sori are disappearing regardless of schools or Bodi. Now, it is time to research on the diverse Junggoje master singers including Bang jin-gwan, Lee dong-baek, Kim chang-ryong, Sim sang-geon, and Jo hak-jin and also systematize performers' activities for the enthusiastic restoration. By doing that, we will be able to widen the viewpoint of the pansori music which is not at present, leading to consider it as the solid internal basis and property in creating and establishing the new present tradition. Therefore, it is very essential to resurrect Junggoje pansori.

      • 竹川 朴光前의 人品과 性理思想

        劉明鍾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2

        竹川 朴光前은 어려서부터 효행이 두터웠으며, 공부에 있어서 『小學』위주의 실천도학을 중시 하였다. 그는 41세에 退溪의 門에 執贄하여 퇴계로부터 『朱子書節要』를 선사받아서, 문목으로 질의하여 답을 구하였다. 퇴계는 학문 방법에 있어서 편중됨을 경계하였고, 知·行이 竝進하고 互進한다고 하였다는데 죽천은 이를 받아들였다. 竹川은 43세에 진사시에 합격한 후, 慶基殿 參奉으로 제수 되었다. 그 후 王子師傅, 監察, 咸悅縣監, 회덕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 성품이 유화하지만 시비의 판단에서는 매우 엄정하고 분명하였다. 그는 문인 안방준, 문위세와 아들 근효와 함께 壬辰, 丁酉再亂 극복에 의군으로 활동해 국난극복에 성심을 다하였다. 竹川은 退溪에게서 받은 『朱子書節要』를 학문의 기본으로 삼아, 위기학(爲己學)에 노력하여 程朱의 진리를 밝히며 理氣先後와 四端七情說을 절충하였다. 그는 성리학자로서 孝悌, 謹愼하며 和氣한 기상과 학문에 自得함이 있었다. 그는 健順, 五常의 天理가 인간에게 함께 구비되어 있고, 天理와 人心의 理는 틈이 없이 上下가 一體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즉 '天과 聖人은 일치하는 것'으로 '하늘이 곧 理(天卽理)'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또 심학에 있어서 竹川은 退溪의 心學을 계승하였는데, 退溪는 『心經』에서 心學을 주목하고 居敬으로 마음 수양의 공부로 통일하였다. 성리학에서 인간수양은 窮理하는 天理와 居敬하는 心의 두 기둥이 있다. 여기에서 '卽物窮格' 즉 '窮理'는 객관적인 理를 내 마음의 사고방식에 반영하여 합리적인 사고를 유도하여 자기의 심신을 格律하게 한다. 이것은 객관적이 수양 방법이고 내면적인 마음의 공부는 主敬에 있다. '窮理'라는 외적 수양과 '主敬'이라는 내적 수양공부가 서로 성숙해서 비로소 내외일치의 수양공부가 성취된다. 持敬은 愼獨공부에서 출발한다. 私慾을 버리고 正理를 自守하는데 있다. 持敬과 正理는 서로 보충하고 서로 녹아 하나가 되어야 한다. 홀로 조심하는 愼獨이 持敬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즉 主敬공부를 통해서 자기에게 내재해 있는 선천적인 도덕원리로 발전시키는 수양이 진행된다는 것이다. 죽천의 정치사상은 군주로서의 마음가짐과 국가 방어에 관한 방침으로 대별할 수 있다. 죽천은 인군을 하늘을 대신하여 인애하는 마음을 내리는 자로서 災殃도 祥瑞로 바꿀 수 있는 존재이다. 즉 인군의 덕성이 하늘과 같이 체용을 함께 할 때 君이 곧 하늘이요, 하늘이 곧 君으로 顯徵에 틈이 없어진다. 이렇게 인군의 마음가짐을 소상하게 말하는 가운데 덕정 곧 왕도정치론을 전개하였다. 왕도정치는 인군이 하늘의 인애하는 마음으로써 내 마음으로 삼고, 백성을 인애하는 것이다. 죽천은 壬辰倭亂과 丁酉再亂에서 의장으로 추대되었으나, 높은 연령과 병환으로 직접 전투에 참여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격문을 보내어 의병을 모집하였고, 왕세자에게 상서를 올려 민심을 수습하는데 힘썼으며, 「田賦」를 지어 군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등의 활동을 통하여, 君國의 수치심을 씻어 인간의 도리를 다하고자 하였다. 이상에서 보았듯이 죽천의 人品은 道學과 義理의 영원한 사표이다. Juk-Cheon Park Kwang-Jeon(竹川 朴光前) was dutiful to his parent since childhood and taking a series view of practical DoHak(道學) based on SoHak(小學). He became a disciple of Lee Hwang(李滉) at 41 years of his age and then got the book "Chuja's Condensed Edition(朱子書節要)", and searched answers by asking of letter ToeGye(退溪) guarded against bias in studying method and he said that knowledge(知) and conduct(行) is advance side by side. Juk-Cheon accepted ToeGye(退溪)'s theory. Juk-Cheon succeeded in the 'Jin Sa examination(進士試)', then became an officer, Chang-bong in Kyeng Gee Jeon(慶基殿). Since then he became Ham Yel Hyun-Gam(咸悅縣監), H대 Duk Hyen-Gam(懷德縣監). He had a mild nature. But he was very strict and obvious in discrimination of right and wrong. He made every endeavor together with An Bang Joon(안방준), Moon Wyi Se(문위세), and Geun Hyo(근효), his son, to overcome Janapanese military invaded by becoming a member of loyal troop. Juk-Cheon established a foundation of learning by "Chuja's Condensed Edition(朱子書節要)". And he demonstrated a truth of Jeong Joo(程朱) with making efforts in Wi gie hak(爲己學) and compromise between Yie gi sun hoo(理氣先後) and Sa dan chil jeong theory(四端七情). He had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孝悌), good behavior(勤愼), and a harmonious disposition. He also had self-understanding in learning as a scolor of Chuja's confucian. He is understanding that high and low is the one because reason of Chun Li(天理) and In Sim(人心) has no gap and human has a nature law of Gun Soon(健順) and O Sang(五常). That's to say, he adhere strictly to standpoint of Chun Juk Li(天卽理), in accordance with that heaven and a saint is the one. Also a view of Sim Hak(心學), Juk-Cheon inherited Sim Hak(心學) from Toe Gye. In Chuja's confucian, training one's mind has two pillars. That are Goong Li(窮理) and Geo Gyung(居敬). Goong Li(窮理) or Juk Mool Goong Gyuk(卽物窮格). In here, trains one's body and mind by reflecting Li(理) to frame of mind and leading thought of rational. This is an objective method for training. Internal mind studying is in Joo Gyung(主敬). Training study of unity of interior and exterior is not accomplished until both external training and internal training are growth. Ji Gyung(持敬) starts from study of Sin Dok(愼獨). It exists that throw a selfish desire away and Ja Soo(自守) the Jeong Li(正理). Ji Gyung(持敬) and Jeong Li(正理) is must be the one by mutually supplementing and melting. Self precaution, Sin Dok(愼獨), is foundation toward the JiGyung(持敬). Through the study of Joo Gyung(主敬), So to speak, training which improving ethical principle that is inherent one's mind is progressing. Juk Cheon's political thought can be classfi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mental attitude, and the other is plan for the protect of a country. Juk-Cheon consider moralistic sovereign as the man who give humane affection to a person, and he can change a diaster to a lucky omen. When Che Yong(體用) is together with moral nature of benevolent sovereign and heaven, that is to say, heaven is sovereign practically and vice versa. Thus he evolved the theory of politics by moralistic sovereign by saying benevolent sovereign's mental attitude detailedly. Politics by moralistic sovereign is that benevolent sovereign has humane affection mind and thing which humane affecting. Although Juk-Cheon was elected as head of loyal troop, but can't participate in battle directly. Because that is from too many years of age and illness. But he collects loyal troops by sending manifesto, through emphasizes importance of military preparations. And he makes efforts in order to satisfying with human's reason by removing monarchy's dishonor. Through the following, Juk-Cheon's personality is a paragon in moral philosophy(道學 and righteousness(義理) forever.

      • KCI등재

        頤齋 黃胤錫의 洛學 繼承的 性理說 一攷

        이형성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60 No.-

        Hwang Yoon Seok enjoyed his days in the period of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He succeeded Nak-Hak to form his Neo-Confucianism. In his Theory of Ri-Gi (理氣: Principle and Energy), he added Jil (質: Nature and Quality) to look for the organic relation between them. He tended to focus more on studying So-Yi-Yeon (所以然: Principle of the Nature) in the organic relation between Ri and Gi. He, however, argued that such Ri could not be expressed without Gi. Accepting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formed by Kim Chang Heup, the great master of Nak-Hak, into his Theory of Ri-Gi, he sought the essential homogeneity of Ri. Seeking the essential homogeneity of Ri, he supported the Theory of Homogeneity argued by Nak-Hak: 'Great men are as same as ordinary people in genuine mind' and 'Men are as same as animals in nature'. Based on such argument of Smart Nature that great men and ordinary people should be same in genuine mind, he tried to study the basis and essence of things, which pointed straightly to Gyeok-Mul-Chi-Ji (格物致知: To be clearly enlightened of knowledge and get more knowledgeable by studying the principles of things). Studying Gyeok-Mul-Chi-Ji by Smart Nature of mind is to be toward subjective sense of purpose and with the spirit of erudition. His spirit of erudition went to the learning tendency of studying new Chinese learning and culture and furthermore the western learning. 조선의 영⋅정조 시대는 사회⋅경제적으로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문예도 발전하였다. 학계는 만물의 본성과 성범(聖凡)에 대한 리기론적(理氣論的) 심층 분석도 있었고, 또한 중국으로부터 새로운 학문과 문물 그리고 서학(西學)이 들어오면서 실질적 학문을 추구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은 낙하(洛學)을 계승하며 성리학을 구축하였다. 그는 리기론에서 ‘리(理)’와 ‘기(氣)’에 다시 ‘질(質)’을 더하면서 상호 유기적 관계를 모색하였다. ‘질’은 ‘기’에 포함되지만, 사물의 구체성을 설명할 때 원용하곤 하였다. 리기 유기적 관계 속에서 ‘소이연의 리’를 탐구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그 ‘리’는 항상 ‘기’를 타고 발현한다는 것이다. 특히 그는 리기론에서 낙학의 거목 김창흡(金昌翕)의 성리설을 많이 수용하면서 리의 본연적 동일성을 추구하였다. 황윤석은 리의 본연적 동일성 추구를 통해 심성론에서 ‘성인이나 범인의 본심은 같다[聖凡本心同]’와 ‘사람과 동물의 본성은 같다[人物性同]’는 낙학의 동론을 지지하였다. 다만 범인은 인욕이나 기품에 의해 그 명덕이 엄폐되었으나 기질변화를 통해 그 본심의 영명성을 회복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성인과 같다는 것이다. 특히 본심의 영명성은 사물의 근거와 본질을 탐구하고자 하는 격물치지(格物致知)로 연결된다. 그의 격물치지는 도덕적 당위성으로써의 윤리도 내포하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학문에서 우리의 실생활에 유용한 것을 추구하려는 박학(博學)을 위한 것이었다. 때문에 심의 영명성에 의한 격물치지 공부는 주체적 목적의식을 지향하도록 하는 것이면서도 박학정신이 깃들어 있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