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7차 교육과정기~2018 개정 교육과정기 한국사 교과서의 실학 서술 -고등학교 한국사를 중심으로-

        서인원 역사와교육학회 2022 역사와 교육 Vol.35 No.-

        The theme of Silhak has been mainly dealt with Korea history according to the reflection with a variety of historical curriculum. When senior curriculum of history consists with Korea whole history, Silhak was significantly attributed to the curriculum and textbook. Nevertheless, Silhak showed that tendency decreased with establishing the studies and diminishing the influence of Silhak. It should be enhanced of the status for Silhak in terms of curriculum and textbook as follows. first, it needs to be activated by doing studies about the disregarded Silhak at societies of history. It should be represented not a process of finding out both modernity and ethnicity at the post Chosun dynasty but a specification of historicity of the Silhak. For these reasons, communities which related to the Silhak have to do with actively efforts and supports. Second, Silhak should be showed by using analysis of meta-recognition containing processes of composing the concept with its dispute. Thus, students can be understood about concepts of Silhak for themselves as perspectives of currently problems. Moreover, those are problem that both the history education and historical teachers should be concerned seriously. Third, Silhak has to recognize not be contained in Nation history but in Korea history. because representation of the Silhak has been done by comparing with that of China or Japan to understand for students in textbook. If Silhak in Korea history composed with objective and open perspective, its characteristics can be revealed more significantly. '실학'이라는 주제는 한국사에서는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주제이지만, 역사 교육계에서는 교육과정에 따라 반영되는 정도는 매우 다양하였다. 고등학교 한국사가 통사로 이루어진 시기에는 실학에 대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서술이 상당한 분량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역사학계에서의 실학 연구에 대한 논의가 정리되고, 그 영향력이 감소되면서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서술에서도 차츰 줄 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교육과정과 교과서 서술에서는 실학이 가지는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서 는 첫째, 역사학계에서 축소되어 가고 있는 실학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시 켜야 한다. 단지 조선 후기의 ‘근대성’과 ‘민족성’을 찾는 과정으로서의 실 학이 아니라, 조선 후기 당대에 등장한 실학사상이 가지는 역사성을 더욱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학 연관 단체들의 적극적인 노력 과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실학 개념 구성 과정과 논쟁에 대해 메타인지적인 분석 기술이 교과 서 내용으로 서술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실학 개념이 현재 문제 및 시각과 관 련하여, 학생들 스스로 실학에 대한 개념을 이해함으로써 현재사와의 관련성 을 파악하게 하는 것이다. 이런 점은 역사교육계와 현장 교사들이 크게 고민 해야 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국사 속에서의 실학이 아니라 한국사 속에서의 실학이라는 점을 인 식하여야 한다.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과서에서는 실학이 당시 중국, 일본에서 전개되어온 학문 성향과 비교하면서 이해하게끔 되어 있다. 한국사에 서의 실학도 객관적이고 개방적 입장에서 이루어진다면 그 특징이 더욱 드러 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실학 개념의 재정립 : 탐구의 학으로서의 실학

        심경호(Sim Kyoung-ho)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08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

        1980년대 한국학의 아이템은 실학이었다. 역사적 개념으로서의 실학은 조선후기에 현실 대응 논리를 모색하여 현실을 변혁할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던 학풍을 가리킨다. 하지만 최근 일부 젊은 학자들은 실학을 근대적 지향의 학풍으로 규정한 것에 대해 회의 또는 부정하고 있다. 현대의 시점에서 ‘실학’을 역사적 개념으로 설정하는 일이 무의미한가? 결코 아니라고 본다. 기존의 실학 연구는 우리 지성사와 관련하여 매우 소중한 사실들을 밝혀냈다. 더구나 실학이 근대의 새 징표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을 듯하다. 흔히 실학의 학문방법은 ‘실사구시’라고 규정된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선언적 규정이요 요청일 뿐이고, 실사구시의 학문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은 아니다 실학의 학문방법론으로는 상대주의적 시각, 문헌학적 실증주의의 방법 수립, 고증적 사물인식방법의 도입을 들 수 있다. 실학은 인식론적 관심을 확산시켰다. 실학시대에 이르면 아동에 대한 관점이 더욱 변화한다. 또 실학에 기초한 탐구의 학은 정신적 여유를 가져왔고 그것은 판타지의 감상으로 이어졌다. 생활의 이해관계에 대해 관심이 없는 ‘사심 없음[disinterested]’의 인식도 불러왔다. 실학의 민족주의적 성향은 사학과 철학에서도 드러나지만 문학에서 가장 뚜렷하다. 역사적 개념으로서의 실학은 이념적으로는 경세치용, 이용후생, 실사구시의 세 부류로 구분되지만, 실제로는 지향이 다른 여러 계보가 혼재한다. 그 가운데서도 강화학파 지식인들은 진실무위(眞實無僞)를 중시하는 심학적 실학을 추구하였다. 앞으로 실학의 현재적 가치를 재확인하고 그 사유 및 학문의 방법을 발전시키는 일은 우리 모두의 과제로 남아 있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 of Koreanology was Silhak(實學, practical science) in 1980's. Silhak of historical concept mean the academic traditions that provide practical logic and device against social irregularities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朝鮮) dynasty. Recently, some persons of the young school are skeptical about Silhak as modem academic traditions. But I think that Silhak of historical concept is not meaningless in the present age. Established studies Study on Silhak have demonstrated very important facts of our history of intelligence. In addition, we can't deny that Silhak have a new sign of the modem age. We have usually defined methodology of Silhak as Positivistic method(實事求是, One of new scientistic methods that it should keep only the facts). But this definition is only proclamatory definition or request, and this concept doesn't mean that elucidate methodology of Silhak as positivistic method in a concrete way. I think that we can mention recognition of relativism, philological positivism and historical research for understanding of thing as methodology of Silhak. Epistemology based on Silhak was diffused throughout intelligentsia. A new angle on the children appeared in the age of Silhak. And Silhak was extended to appreciation of fantasy, because Silhak as questing method had mental adaptability. This occasioned an intellectual to disinterest themselves from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life. Nationalistic inclination of Silhak had a strong influence on literature. Silhak of historical concept are ideologically divided into three branches : Political statecraft(經世致用), Economic enrichment(利用厚生, to make good use of things and make people live in abundance) and Positivistic method. But actually, various genealogy existed. For example, the school of Ganghwa(江華學派, the Wang Yangming school in Joseon) attached importance to truth, and pursued Silhak as moral culture. From now on, We have to reconfirm contemporary value and advance speculation and methodology of Silhak.

      • KCI등재

        호남실학의 전개양상과 성격

        하우봉 한국실학학회 2018 한국실학연구 Vol.0 No.36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he practical studies was developed around Gyeonggi and Honam area. Both of them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have influenced and developed from the beginning. Although Yu Hyongwon(柳馨遠) was born in Seoul, he spent 20 years of his life in Jeolla-do Buan where he completed the “Bangyesurok(磻溪隨錄)”, Therefo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silhak can not distinguish the connection with Honam area from its occurrence. On the other hand, the late Chosun dynasty silhak was fruitful by being confined by Chung Yakyong(丁若鏞). Jeolla-do Gangjin is the place where his ideas have been fruitful.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Honam was the living and fruitful area of Chosun dynasty silhak. Geungi Silhak(近畿實學) and Honam Silhak(湖南實學)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since the early formation process, and there have been exchanges from the beginning. But at the same time, they are different and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quate them. Particularly, it is problematic to recognize Honam Silhak as a large category of Giho Silhak(畿湖實學). Identification of its identity will help expand the implications and outlook of the Silhak.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Geungi Silhak centered on Seoul and Gyeonggi-do are open to nature through the western science introduced from the Ching China(淸). They positively embraced new ideas and introduced the theory of systemic reform. In addition, the Bukhakpa(北學派) based on Seoul had a mercantile character to protect the city's self-employed craftsmen and merchants. On the other hand, Honam Silhak has a tendency to be indigenous based on Jeolla-do's regional background. Honam Silhak scholars tried to reform the contradictions of rural society, so they were strong in order to protect the interests of independent self-farmers. Another characteristic of Honam Silhak is the encyclopedic aspect that aims for erudition. Yu Hyongwon, Shin Gyungjun(申景濬), Hwang Yunseok(黃胤錫), Wi Baekgyu(魏伯珪) left a vast amount of writings. As an encyclopedist, they can be evaluated as a practical ideological movement. In particular, their studies are aimed at practicality and welfare, and also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they lead to Korean studies. 조선후기의 실학은 경기지역과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양자는 상호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으며 처음부터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하였다. 조선후기의 실학의 비조인 반계 유형원은 서울에서 출생했지만 생애 후반기 20년 간을 전라도 부안에서 보내면서 반계수록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조선후기 실학은 그 발생에서부터 호남과의 연관성을 빼놓을 수 없다. 한편 조선후기 실학은 다산 정약용에 의해 집대성되면서 결실을 맺었다. 그런데 다산의 사상이 18년에 걸쳐 결실을 맺은 곳은 전라도 강진의 다산초당이었다. 근기실학과 호남실학은 반계에 의해 일차 연결되었고, 다산에 의해 다시 집대성되었다. 이런 점에서 호남은 조선실학의 산실이자 결실을 이룬 지역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근기실학과 호남실학은 초기 형성과정에서부터 깊은 연관성이 있고 다산에 이르기까지 교류가 이어졌지만, 동시에 다른 점이 있으며, 각기 특징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양자를 동일시해서는 곤란하다. 특히 호남실학을 기호실학이라는큰 범주에 넣어 인식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그 독자성을 밝히는 것이 실학의 내포와 외연을 넓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양자의 특징을 비교해 보자면, 서울과 경기도를 중심으로 하는 근기실학은 청으로부터 유입된 새로운 사조인 고증학과 서양과학을 통해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그들은 북학과 서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육경고학, 양명학, 고증학 등을 발전시켰고, 보다 근본적인 체제개혁론을 제시하였다. 또서울을 근거지로 하는 북학파는 이용후생을 중시하며 도시의 자영수공업자와 상인을 보호하기 위한 중상주의적 성격을 띠었다. 이에 비해 호남실학은 전라도 라는 지역적 배경과 풍토를 바탕으로 토착성과 자생성이 강한 경향성을 지니고 있다. 호남실학은 농촌사회의 모순을 개혁하고자 했기 때문에 독립자영농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중농주의적 성격이 강하였다. 호남실학의 또 하나의 특징은 박학을 지향하는 백과전서적 면모이다, 반계를 비롯해 신경준, 황윤석, 위백규 등은 모두 성리학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걸쳐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당대의 박물학자 내지 백과전서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 다. 신경준, 황윤석, 위백규가 보여준 백과전서적인 박학성은 중요한 실천적 사상운동으로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그들의 학문은 실용성과 이용후생을 지향하고 있으며, 또 국학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신경준과 황윤석, 위백규의 지리학, 언어학, 역사학, 자연과학 등의 연구는 탁월한 성과로서 國學 분야의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실학의 변증법적 전환

        서영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22 동방문화와 사상 Vol.12 No.-

        This paper presents an attempt at rethinking Confucianism of Korea “here and now” by analyzing Silhak in late Joseon as it shows a dynamic self-transformation within the bigger framework of Confucianism. The dialectical transition of Silhak in late Joseon contains a process of its renewal from “Confucianism of transcendence” to “Confucianism of real world.”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ilhak in late Joseon moved in a direction of emphasizing ①reality of Confucianism, ②open, experiential, and scientific inquiries, ③context-dependent values, and ④priority of “actions” over moral values. This means that the theoretical flow of Silhak made a transition from “transcendent and conceptual inquiries of Neo-Confucianism to realistic and experiential inquiries.” This is why Silhak is an important discourse that cannot be left out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Korea and in the rethinking of Confucianism of “here and now.” Bangye Yu Hyong-won(1622~1673), who is considered as the “progenitor of Silhak,” proposed paths applicable at the level of reality by reinterpreting the Li of Jeongju in the social principles of laws and institutions. Seongho Yi Yik(1681~1763), who is called the “middle ancestor of Silhak,” was active to open Silhak to other areas of study including the studies of Laozu and Zhuangzi, Buddhism, and Western learning, introduced scientific methods of study, and maintained empirical rationality. His viewpoint of a state implies “context- dependent” values grounded in situations. Dasan Jeong Yak-yong (1762~1836), who is the “compiler of Silhak,” provided a beginning for scientific inquiries by putting an emphasis on the priority of moral “actions” and proposing a method of experiential perception. Hyegang Choi Han-ki (1803~ 1879), who served as a “bridge between Silhak and Enlightenment Ideology,” actively included natural science inquiries such as heliocentricism, Newton's physics, and the mechanistic viewpoint of the human body in his Gi-hak. These findings show that Silhak made a dialectical transition by reorganizing the spirit of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people of advanced Confucianism anew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Even though Silhak failed to cast off its skin rooted in the dimension of transcendence, its theorization of experiential and scientific knowledge that the Silhak scholars sought after embraced a variety of perspectives critically, which clears shows the philosophical evolution of Silhak. This inquiry shows why one cannot skip to arrive at Confucianism of “here and now” and why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Silhak 이 연구는 유학의 큰 프레임에서 역동적인 자기 변환의 모습을 담고 있는 조선후기 실학을 분석함으로써 ‘지금, 여기’의 한국유학을 재고하려는 시도다. 조선후기 실학의 변증법적 전환은 ‘초월(超越)의 유학’에서 ‘지상(地上)의 유학’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조선후기의 실학이 ①유학의 실제성 ②개방적ㆍ경험적ㆍ과학적 탐구 ③맥락 의존적 가치관 ④도덕적 가치에 대한 ‘행위’의 우선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학의 이론적 흐름이 성리학의 ‘초월적ㆍ관념적 탐구에서 현실적ㆍ경험적 탐구로’ 전환되어 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이 바로 실학이 한국유학사에서, 그리고 ‘지금, 여기’의 유학을 재고하는 데 빠뜨릴 수 없는 중요 담론인 까닭이다. ‘실학의 비조’로 평가되는 반계 유형원(柳馨遠, 1622~1673)은 정주(程朱)의 리(理)를 법ㆍ제도의 사회 원리로 재해석함으로써 현실의 차원에서 적용될 수 길을 제시했다. ‘실학의 중조’로 불리는 성호 이익(李瀷, 1681~1763)은 노ㆍ장, 불교, 서학 등 여타 학문에 대한 적극적 개방과 함께 과학적 학문 방법을 도입, 실증적 합리성을 견지했다. 또한 그의 국가관에는 형세[勢]에 근거를 둔 ‘맥락 의존적’ 가치관이 함축되어 있다. ‘실학의 집대성자’인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은 도덕 ‘행위’의 우선성을 강조하고, 경험적 인식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과학적 탐구의 단초를 제공했다. ‘실학과 개화사상의 가교자’ 혜강 최한기(崔漢綺, 1803~1879)는 태양중심설을 비롯하여 뉴턴의 물리학, 기계론적 신체관 등의 자연과학적 탐구를 자신의 기학(氣學)에 적극적으로 포함시켰다. 이렇듯 조선후기 실학은 선진유학의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정신을 시대의 변화에 맞게 새롭게 재조직함으로써 변증법적 전환을 이루었다. 비록 실학이 초월의 영역에서 완전히 탈피하지는 못했지만, 그들이 추구했던 경험과학적 지식의 이론화는 다양한 관점을 비판적으로 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철학적 진화임에 분명하다. 이러한 탐구는 실학을 건너뛰고 ‘지금, 여기’의 유학으로 올 수 없음을, 그리고 왜 실학에 주목해야 하는지를 보여준다.

      • KCI등재

        실학實學 개념의 적합성 또는 부적합성에 관한 연구

        강정훈 ( Jeong Hoon Kang ) 한국윤리학회 2013 倫理硏究 Vol.88 No.1

        This paper aims to study on conceptual suitability or unfitness of Silhak(實 學). It is general that by criticizing Chujahak(朱子學) or beyond the limitation of Seonglihak(性理學), Silhak has developed practical tendency to reforming the society in the middle and end of Chosen Dynasty, related to the context of Korean national reflection in modern times. However, it is unfortunate to be understood. As presented in Chosenwangjosillok(『朝鮮王朝實錄』), there has been a few usages in the term ``Silhak``. In short, it was different from its contemporary meaning. At that time, it was usually used to have the meaning of Gyunghak(經學), compared to Sajanghak(詞章學), or rarely, of ``the true study`` or ``the practical study``. Therefore, it is to claim that its conception has been manipulated or exaggerated very seriously. Since 1930s, in particular, its conception has been misused in interpreting works of Jung Yak-Yong by some scholars, such as Jung In-Bo, Moon Il-Pyung and An Jae-Hong, who tried to apply the term to overcome the Japanese colonial era symbolised as modernity based on the future life of Korea. Even though their attempt has led to have crucial discussions on the conceptions of Silhak, it has an unnecessary result that there has been a new and totally different understanding of Silhak in South Korea, North Korea, China, Japan, etc., which means that the unsustainable conception of Silhak has been one of major problems in studying of Silhak. To give an practical solution, I would try to make sense of ``time spirit`` whose scholars studied Silhak in the middle and end of Chosen Dynasty. A problem, however, is that a scholar group in the name of Bukhakpa(北學派) had certain links and bonds. This is because many scholars studying of Silhak were usually features out of the main stream, which made them it difficult to form any various groups. That is to say, it seems to be natural that they have dreamed of utopian imaginations less than of overlapping points in reality. To sum up, it would be concluded at least that any approach to human lives and thoughts in the given conceptions of Silhak, e.g. ethical thoughts of Silhak, enables us to be indifferentiated to take its true meaning and time spirit of Chosen Dynasty. To be disenchanted of its social roles in Chosen Dynasty, fundamentally, it should be escaped from the wrong net of illusions and sings in understanding Silhak in certain eclectic step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실학’ 서술

        황은희(Hwang, Eun-Hei) 역사실학회 2014 역사와실학 Vol.54 No.-

        This paper discusses description structure and context of Silhak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hich is the basic textbook writing standard criteria. It will also show the improved description direction of Silhak according to achievement in History Academia. Many scholars of academia claim that Silhak should not be interpreted from the view point of Anti-Neo-Confucianism nor Anti-feudal. Rather, Silhak should be discussed Neo-Confucianism. These scholars also claim that Silhak must not be considered as the scholars’ academic traditions of out of power or one of the commercial-centered academic traditions and agriculture-centered academic traditions. This paper analyzes both the textbook of 7th National Curriculum and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notable finding is that the textbook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oes not directly state the relationship of Silhak and Neo-Confucianism is hostile a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does. But in the textbook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re are some descriptions which might be misleading readers to understand Neo-Confucianism. For instance, there is a tendency for the textbook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present Neo-Confucianism in a negative way. The textbook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does not use terms such as Mercantilism or Physiocrats. Instead, it focuses on the roles of reformers. These reformers were discussed separately as commercial-centered reformers and agriculture-centered reformers. As for the textbook of 7th National Curriculum, it states that Silhak was the failed group of out of power therefore their policy was not accepted. I believe that these incomplete descriptions must be revised in the future. The context order in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transmission of western civilization and studies’ before Silhak.This is the structure emphasizing the external factors of birth ofSilhak. To clarify Silhak, acceptance of western culture shouldbe written with Silhak organically. Or the context order might be changed to ‘transmission of western civilization and studies’ after Silhak. The prosperity of Silhak during the Jung-jo era also should be stated in the text in order to further understanding about Silhak. This paper just points out the faults of the textbooks from the research achievement of History Academia. I hope this paper could be a stepping stone for improving the context of Silhak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reflecting the research achievement of History Academia.

      • KCI등재

        일반논문 : 경세론에서 본 실학

        ( Seong Yun Kim ) 한국실학학회 2013 한국실학연구 Vol.0 No.26

        이 논문은 조선후기 실학의 경세론을 정치의 개념과 방법, 군주론, 왕정론, 윤리론으로 나누어 그 추이를 정리한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가 새롭게 제기한 주요 논점은 다음의 몇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조선후기의 실학은 서구에 비견하자면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에서 절대왕정에 이르는 시기의 사회구성과 유사한 조선의 상황을 배경으로 나타난 유교적 인문주의의 색채를 띤 근대지향적 정치 · 사상운동이었다. 둘째, 실학 경세론의 발전 과정을 그 내용과 성격, 그리고 그것이 주로 영향을 받거나 준거(準據)로 삼은 경전이나 학술사조를 중심으로 대별하면 대체로 ① 『맹자』의 평균주의(平均主義)와 선부후교론(先富後敎論)에 주목한 단계(이이), ② 『주례』를 국가체제 재건을 위한 이론적 준거로 삼은 단계(유형원 · 이현일), ③ 제자백가나 탈성리학적인 견해들을 실질적으로 참용(參用)하면서 주자학의 경세론을 비판하고 새로운 정치이론을 구축해가는 단계(성호 · 강화학파), ④ 서구 과학이나 철학 및 청대 고증학 등을 활용하는 한편 정치적 적용을 거치면서 새로운 정치이론을 심화하는 단계(후기실학자)로 나눌 수 있다. 셋째, 실학의 연원은 공리적 사고를 기반으로 안민(安民)과 부국강병을 지향하던 두 갈래의 물길, 즉 정전제(井田制) 복구를 중심으로 하는 평균주의(平均主義) 사고와 북인계열의 국가중심의 정치적 사고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두 갈래가 한백겸(韓百謙) 등의 평양 기전(箕田) 연구를 기폭제로 하여 하나로 합쳐지면서 실학은 주자학과 구분되는 조선 나름의 개성있는 경세학으로 등장했다. 넷째, 경세론의 맥락에서 볼 때 실학의 가장 큰 특색이자 장점은 평균주의와 국가주의의 강고한 결합에 있다. 실학이 갖는 평균주의 전통은 국가주의가 갖는 전제성(專制性)을 현격히 완화킴으로써 민본적(民本的) 성향이 강한 조선의 왕정이 전제주의로 흐르지 않고 차후 국민국가로 나아갈 수 있게 할 동력으로 잠재해 있었다. 이것은 조선의 근대화가 서구와 다른 길을 걸을 수 있는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으로, 국가 주도의 근대화를 거친 현재의 상황에 대해서도 새로운 성찰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실학 연구의 시의성을 높일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다섯째, 실학은 성리학이 주장하는 도덕정치론의 한계를 비판하면서 민생 복리를 실질적으로 증진시키는 것을 정치로 이해하였다. 성리학의 도덕적 보편주의에 대비되는 이러한 실학의 현실주의 · 공리주의 정치 개념은 먼저 ‘선부후교론’(先富後敎論)의 형식으로 제기되었고, 이후 정치의 개념에 대한 주희의 명제를 비판하면서 정치와 도덕을 분리해 나갔다. 여섯째, 실학은 정치의 방법에서도 예교(禮敎)를 통한 도덕적 감화를 우선하는 성리학의 입장을 비판하고, 법과 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도기일체론’(道器一體論)을 표방한 것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왕도와 패도를 절충하려는 이러한 실학의 정치방법론은 왕패병용(王覇竝用) · 왕패일도론(王覇一途論) · 관맹상제론(寬猛相濟論) · 교법일치(敎法一致) · 교법상보(敎法相補)의 형식을 통해 확산되었다. 일곱째, 조선후기에 통치체제에 대한 새로운 모색 과정에서 군주권은 그 핵심적 요소로 부각되었고, 존군론(尊君論)은 실학의 공리적 정치관이 발달함에 따라 강화되어 갔다. 존왕론에 의해 새롭게 조명된 ‘신(新)군주’의 상은 군사(君師)라는 형태로 먼저 나타났으며, 곧이어 군주가 도학의 정통을 계승했다는 ‘군주도통론’(君主道統論)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존군의 논리는 이후 군주를 태극 및 상제(上帝)에 비유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절대군주론으로 발전했다. 여덟째, 실학의 왕정론은 다원적 권력을 중앙의 국왕에게 일원화하고 정치적 정통성 또한 국왕이 독점함으로써 이른바 중개세력을 해소하고 국왕의 지배에 복종하는 동질적이고 균등한 국민을 만들어 낼 것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국민국가에 선행하는 절대주의 왕정론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아홉째, 신분제를 부정했던 실학은 사회적 불평등 질서를 옹호하던 오륜의 윤리에 대신하여 『맹자』에 나타난 삼달존(三達尊)을 대안으로 제시했으나, 곧 이어 모든 신민에게 적용되는 통일된 평등 윤리로서 효제(孝悌)를 제시했다. 효제 윤리는 윤휴 등에 의해 이미 제시되었으나 이것을 정치차원에까지 확대하여 크게 선양했던 인물은 영조와 정조였다. 정조의 명덕본심설(明德本心說)을 계승한 정약용은 명덕이 효 · 제· 자(孝悌慈)임을 논증함으로써 그 인간론적 근거를 완성했다. 이 때의 효제는 신분적 · 계급적 지배의 규율로서가 아니라 평등한 개인 상호간에 호혜성 수수의 관계로 재조명된 것이므로 그것이 갖는 사회실천적 의미는 이전과 크게 달랐다. The main points of this thesis can be centered on several points as follows. First, Silhak of the post-Joseon Dynasty, if compare with Western history, was the modern-oriented political and ideological movement float a color of Confucianistic humanism. It came onto the scene in the same situation with the time of the Renaissance and absolutism. Second, Silhak`s progress can be separated as four steps: pay attention to equilibriumism of Mengtzu, make Chou li to standard referred for reconstruction of national structure, criticize orthodox Neo-Confucianism and construct new political theory, deepen new political theory with application of western science and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Third, Silhak`s origin can be finded out two waterway pointes to wealth and military strength of a nation with utilitarian thoughts : equilibriumism and nationalism. These two waterway put together, Silhak came on stage as the individualistic governing theory. Fourth, The most important distinction and merit of Silhak shall be the steady union between equilibriumism and nationalism. The driving force alive in Silhak`s tradition of equilibriumism behind Korean absolutism not let run away into despotism and will develop to the nation-state later. Fifth, Silhak criticized the bounds of Sung Confucianism`s Moral politics, asserted that politics is the seeking to increase the populace`s wealth. These new political notions evolved the ``separation of politics and morality``. Sixth, In reference to the method of politics, Silhak criticized Confucianism`s political theory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aw and institutions. Seventh, The insistence of respect monarch strengthened with Silhak`s utilitarian thoughts. These insistence of respect monarch took an absolute sovereignty theory. Eighth, Silhak`s royal regime theory had gradually taken on a character of the absolute monarchy theory. King Youngjo(英祖) and Jeongjo(正祖) presented Hyoje(孝悌) as the moral foundation for the absolute monarchy. Ninth, In the beginning Silhak presented Maengja`s Samdaljon(三達尊) instead of Oryun, soon afterwards presented Hyoje(孝悌) as the unified equality ethics. Who enhanced Hyoje(孝悌) ethics was King Youngjo(英祖) and Jeongjo(正祖). The Social practice meanning of Hyoje ethics was different from former times because it was recounted thing not the social standing domination discipline as the mutual benefits relationship between equal persons.

      • KCI등재

        초기 실학 연구의 학술사적 의의

        이봉규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0 다산학 Vol.- No.36

        The intellectual streams that transformed Confucianism beyond Neo-Confucianism to cope with the social problems in 17~19th century East Asia have been explained through the academic concept of ‘Silhak實學’ by Korean researchers since the Japanese occupation era. This concept not only promoted controversial research between scholars, but later were developed into a concept shared in various parts of East Asia. The early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ncept of Silhak as an academic thought was basically combined with the national movement to restore national sovereignty and establish a modern nation state. As a result, the research point was centered on re-examineing the meaning of the changes in thought 17th and 19th centuries in the direction of moving toward modern times and reconstructing of one’s own country into a strong nation state. It is controversial that Jeong In-bo inherited the tradition of Ganghwa Yangmingxue and attached meaning to the development of Yangmingxu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line of Silhak. Ogawa Hauhisa also linked Yangmingxue’s line to the Beixue北學 School of Silhak. However, this view conflicts with the context in which Joseon scholars jointly criticized the knowledge of Zhuzhixue and Yangmingxue and sought new alternatives. The fact that Choi Ik-han did not include Yangmingxue’s line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hilhak, and that Jeong Yak-yong criticized the extension theory of innate knowledge contradicts such issues as Jeong In-bo. Hong Yi-seop, who is a second-generation researcher on Silhak, presented a vision explaining the development of Silhak as a form of Confucianism, while Lee Eul-ho presented a view explaining the philosophical basis of Silhak by re-examining jingxue經學 of Jeong Yak-yong. These studies have since contributed to broadening the horizons of research of Silhak. However, they did not study the lixue禮學 part of Silhak. There is an Oriental preconceived idea that evaluated the lixue as the limit of feudal society, which is in contrast with the scientific elements advancing on modern times. Since the 2000s, researches of Silhak which have been expanded to the study of the lixue of Silhak were a process to supplement and replace the orientalistic view of those early studies centered on political and economic reforms. 한국의 초기 실학 연구자들은 ‘실학’을 17~19세기 동아시아에서 이학을 비판하면서 유교를 새롭게 창신하였던 학술사조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정립하였다. 이 실학 개념은 동아시아 유교 연구자들에게 논쟁적 연구를 촉진하였을 뿐 아니라, 이후 동아시아 각 지역에서 공유하는 개념으로 발전되었다. 초기 연구자들의 실학 연구는 기본적으로 국권을 회복하고 근대국가체제를 구축하는 구국과 변혁의 운동과 결합되어 있었다. 그 결과 사상의 변동을 근대를 지향하거나 근대로 나아가는 방향에서 읽고, 부국강병에 기여하는 방향에서 그 의미들을 재조명하는 관점이 실학 연구를 주도하였다. 정인보 등 양명학 계열에서 강화양명학의 전통을 계승하여 조선후기 양명학의 전개를 실학의 한 계열로 의미를 부여하였던 것은 논쟁적인 부분이다. 현대 연구들에서도 ‘실심실학’으로 양명학 계열과 북학파를 연결하여 실학의 한 유형으로 파악하는 시야로 이어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시야는 조선의 실학자들이 주자학과 양명학의 심법心法에 대하여 함께 비판하고 새로운 대안을 찾았던 맥락과 서로 부딪친다. 최익한이 「실학의 사적 발전」에서 양명학 계열을 포함시키지 않고, 정약용이 치양지설致良知說을 비판하였던 내용을 수록하여 제시한 것은 정인보 등의 논점과 상반되는 것이다. 실학에 대한 제2세대 연구자에 해당하는 홍이섭은 유교주의의 한 형태로 실학의 전개를 설명하는 시야를 제시하였고, 이을호는 실학자들의 경학을 재조명하여 경세론의 철학적 기반을 설명하는 시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이후 실학 연구의 지평을 넓혀주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이들에게서도 예학에 대한 연구는 빠져 있었다. 거기에는 근대로 나아가는 과학적 요소와 대척을 이루는 봉건 사회의 한계로 예학을 평가하였던 오리엔탈리즘적 선입관이 관여되어 있다. 실학을 동아시아 근세 유교의 전개과정 속에서 추구하였던 맥락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예학을 포함한 유교 자체에 대하여 근대론의 선이해를 벗어나 설명하는 시야가 필요하다. 해방 이후 현재 이르는 실학 연구는 경세론 중심에서 경학으로 확대되었고, 2000년대 이후 실학자들의 예학에 대한 연구로 다시 더 넓어진 것은 경세론에 집중되었던 초기 실학 연구의 보완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 正祖시대에 이르는 實學的 風水思想의 흐름

        배상열 원광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8 東洋學硏究 Vol.4 No.

        It is grasped that Silhak was developed for about 250 years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7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academic world has a broad study on Silhak's Thought by each period, region, thought, science and field all through the field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education and arts. However, a study on a correlation between Poongsoo Geography and Silhak which are Korean traditional sciences is still not enough. Therefore, to study on a close correlation between Poongsoo Geography and Silhak, the study classified Silhak's Poongsoo Thought by connecting Silhak' s process of development by each period with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in convenience.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a positive study on scientific characters in the above process and Silhak's Poongsoo Thought. However, the study examined the source and background of Silhak's Poongsoo Thought focused on the periodical change of Poongsoo culture, prior to study on Poonsoo Thought of Silhak scientist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pose a formative background of Silhak's Poongsoo Thought, prior to discourse upon Poongsoo thought of the King, Jeong-Jo and representative Silhak scientists in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實學이 발전한 시기는 17세기 後半으로부터 19세기 前半期에 걸치는 250여 년간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學界에서는 정치·경제·사회·교육·예술 등 전 분야에 걸쳐 시기적·지역적·사상적·학문적 그리고 분야별로 實學思想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韓國의 전통학문인 風水地理學 분야와 실학과의 相關關係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함을 감출 수가 없다. 따라서 풍수지리사상과 실학과의 상호 관련이 밀접한 상관된 문제를 硏究하기 위하여 실학의 발전 展開과정과 사회경제적 背景을 연결하여 실학적 풍수사상에 대한 분류를 적용하고,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학문적인 特性과 실학적 풍수사상에 대해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들 실학자들의 풍수사상을 연구하기에 앞서 이들의 實學的 風水哲學을 성립시킨 원천과 實學的 風水思想의 성립배경에 대하여 풍수 문화의 시대적 변천을 중심으로 연구해 보는 것은 큰 意味가 있다. 본 논문의 目標는 이러한 정조의 풍수 철학관과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실학자들의 풍수적 사고를 논술하기에 앞서 그에 대한 실학적 풍수사상의 形成 背景에 대하여 제시하는데 意義가 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대한제국기 실학 개념의 역사적 이해

        노관범 ( Kwan Bum Noh ) 한국실학학회 2013 한국실학연구 Vol.0 No.25

        대한제국기의 실학 개념은 조선시대의 유교적인 실학 개념과 20세기 한국의 학술적인 ‘실학’ 개념 사이에 있는 중요한 근대 개념이다. 한국 근대의 역사적 현재성을 담고 있지만 지금은 단절되고 망각된 개념이다. 근대 실학 개념의 역사적 복원 작업은 학술적인 ‘실학’ 개념의 역사적 성찰과 한국 근대개념어의 역사적 통찰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글은 근대적 제도의 형성에 수반된 근대 개념어의 성립이라는 관점에서 대한제국기 대중 매체에 보이는 실학 개념을 분석하되 분석의 초점을 개념의 외연, 개념의 내포, 그리고 개념의 로칼리티에 두었다. 외연의 분석은 한국 근대 실학 개념을 둘러싼 제도적 맥락의 고찰을 중심으로 하였다. 새로운 학제를 수립하려는 국가 교육정책, 새로운 학제에 의해설립된 신식 학교의 신학문 교육, 그러한 신학문의 발원지로서 세계 열강의 교육 기관에서 전수되는 전문적인 학문의 학습 등 다양한 상황에서 실학 개념의 외연이 확장되는 현상을 제시하였다. 내포의 분석은 한국 근대 실학 개념의 학문적 범위와 성격의 고찰을 중심으로 하였다. 근대 교육 기관에서 교수되는 교과 학문 전반이 실학으로 인식 되면서도 근대 문명의 성취와 국가 부강의 실현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자연과학을 중심으로 하는 격치학, 또는 士의 전문학과 農商工의 실업학 등으로 실학 개념의 내포가 응집되는 현상을 제시하였다. 로칼리티의 분석은 한국 근대 실학 개념과 관련된 역사적 장소성으로서 대한제국의 지역성에 유념을 두었다. 동아시아 근대 개념의 도착지로서 대한제국에 晩淸중국과 明治일본으로부터 실학 개념이 유입된 양상을 살펴보았고, 대한제국 사회의 이념적 지형들에서 발현되는 실학 개념의 정치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한국 근대 개념으로서 실학의 역사적 성격이 명확히 드러나기를 바란다. There are three kinds of concepts of Silhak[實學] in Korea. The first one is on the old word in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the second one on the present academic term in the field of Korean study, the last one on the now-forgotten-but-noticeable word in the modern period of Great Han empire. It is important that we can find modern meanings in the concept of Silhak. The modern concept of Silhak can shed new light on the present academic term Silhak, and also pave new way to the modern history of Korean general concepts. That`s what this article aims at. This article has three parts, each of which is as follows. The first one is the external approach to the modern concept of Silhak. The word of Silhak was accompanied by the modern educational system in Korea. For example, it was so often mentioned on the announcement of the new national educational policy, and subject-teaching or subject-studying in the new established educational institution in and outside the modern Korea. The second one is the internal approach to the modern concept of Silhak. The word of Silhak was used to indicate the modern academic disciplines for the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And the central meaning of it was pertaining to natural sciences and academic professionalism on agriculture, commerce, and engineering. The last one is the conceptual approach to modern concept of Silhak. In this case, much interest is in the locality of the modern Korea as the place new foreign concepts of Silhak arrive from the abroad in the East Asia, and also as the place new political concepts of Silhak and its conceptualizations come into existence from the ideological struggle between the different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