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투(歌鬪)의 시조 수용 양상과 그 의미

        조유영(Jo Yu-Young)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1 No.-

        가투(歌鬪)는 20세기 초반에 만들어져 널리 성행했던 놀이도구이다. 가투가 만들어진 1920년대는 근대화를 위한 선진 문물의 수용이 가속화된 시기이며, 3.1운동에 의해 새로운 민족 담론이 형성되던 시기였다. 또한 문단에서는 시조부흥운동이 일어나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문학 장르로서 시조가 자리 매김하던 시기였다. 우리의 전통시가인 시조는 이러한 다양한 배경 속에서 가투에 수용되었다. 1922년 불선사본 〈가투〉, 1927년 신민사본 〈정선 화가투〉, 1935년 한성도서본 〈시조노리〉의 동일 시조 수용 양상을 살펴보면 신민시본 〈정선 화가투〉와 한성도서본 〈시조노리〉는 시조 수용에 있어 어느 정도 동일한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가투의 시조 수용에 있어 시조부흥운동을 주도했던 국민문학파의 입장이 적극적으로 개입했기 때문이다. 또한 각 가투의 시조 수용에 있어 각 제작사들은 대중의 기호를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각 가투에 수용된 시조들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살펴보면 후대에 만들어진 가투일수록 애정을 주제로 한 시조가 강호를 주제로 한 시조보다 더욱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1920년대 이후 가투놀이의 연행 주체가 부녀자층으로 변화하면서 그들의 기호가 반영된 결과이다. 또한 가투에는 망국에 대한 회고나 나라에 대한 근심, 왕에 대한 충성심을 주제로 한 일군의 시조 작품들이 일정한 비율로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식민지 현실에 대한 당대인들의 고민이 반영된 것이다. 시조를 단지 시조창의 사설로만 인식하고 있던 대중들에게 가투는 시조를 문학의 한 장르로 인식하게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따라서 이러한 가투의 역할은 우리의 시가사 속에서 정당하게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The Ga-Too was created and became well-known as a game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1920's was the period that advanced cultures, and things from many other countries were accepted rapidly for modernization. There also was the 3.1 movement which contributed to making lots of discussions about people. In addition, there was the Movement for the Resurrection of Si-Jo that contributed to Si-Jo becoming a typical genre of literature. Therefore one of our traditional forms of poetry, Si-Jo, had been accepted into the Ga-Too with these many backgrounds. Looking into the aspects of this acceptance by Bool-Sun-Sa-Bon 〈The Ga-Too〉 in 1922, Shin-Min-Sa-Bon 〈Jeong-Sun-Hwa-Ga-Too〉 in 1927, Han-Seong-Do-Seo-Bon 〈Si-Jo-No-Ri〉 in 1935, Shin-Min-Sa-Bon 〈Jeong-Sun-Hwa-Ga-Too〉 and Han-Seong-Do-Seo-Bon 〈Si-Jo-No-Ri〉, they all have such similar opinions as they accepted the same Si-Jo. Reasons being that the school of people which contributed to the movement for the Resurrection of Si-Jo influenced the acceptance of Si-Jo in the Ga-Too. And publishers reflected people's tastes when they chose selections of Si-Jo. Classifying all Si-Jos in the Ga-Too according to titles, there are more Si-Jos about love than those about nature, especially among the recent Ga-Too as the Ga-Too players had been changed to women and their tastes were reflected when the Ga-Too accepted Si-Jo. There are numerous Si-Jos about the recollection of colonialization, worries about the country and loyalty to kings in Ga-Too. These are results of reflection of the people's agony about colonialization. Originally, people considered Si-Jo as an explanation of the Si-Jo-Chang, but the Ga-Too had made Si-Jo into one of the most important genres. Consequently, the Ga-Too should be evaluated correctly throughout the History of Poetry.

      • KCI등재

        1910년대 조선-서양 근대 지식인의 고시조 담론

        윤설희(Youn, Seol-Hee)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코기토 Vol.- No.81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port is to study the activities related to Si-jo by scholars of Choseon and the West during the 1910s. Through this enables searching the meanings of Si-jo being discussed based on Modern Scholastic discourse. Studies on such are done by focusing on a Christian missionary James Scarth Gales(1863∼1937) who were first to introduce Si-jo into Western network of literature studies, and on Choi Nam Seon, who brought the interest on Si-jo to Writers and field of Literature. Gale and Choi Nam Seon has been recognizing Si-jo at their own literature discourse, one a foreigner christian missionary and the other as Korean scholar. In accordance, their discussions on Si-jo may appear to be similar im general, but has many differences in details. 1910s were the turning point on recognition on Si-jo. From then Gale and Choi nam Seon had applied perspective where their study object Si-jo are represented as comparatively old to the up to date lierature then. Si-jo before 1910s were called “Go-Si-jo”, and its discourse has also changed from text sang in musical format into written literature. However while Gales’s recognition on Si-jo was based on its nature seeking both text and the musical phases, Choi Nam Seon saw Si-jo as part of poetry and seeked more meaning as a written lierature than musical phase. During the time both foreign and Korean(Choseon) scholars in general neglected literary value of S-ijo considering that the Chinese culrue and literature has had major affect to Si-jo. Gale and Choi Nam Seon saw different. Gale understood the Chinese letters found in Si-jo as literary vocabulary, as well as recognizing the similar characteristics of Si-jo with Chinese literature as distictive character of Si-jo its own. Majority of scholars of the time has seen Si-jo as imitated copy of Chinese poems - however, Choi Nam Seon claimed that Si-jo is most distict Choseon Literature with originality, matching all conditions and format to be seen as perfect Choseon Literture. Choi Nam Seon had negative perspectives on Chinese literature affecting on Si-jo in many ways, but did not make conclusions in this regards, his claim was focusing on Si-jo’s literary value as Choseon culture and written literature. This difference is due to the different basics of the two scholars knowledge and approach on literature. Gale had already been familiar with the modern concept of literature, so he could study Choseon literature and Si-jo as 3rd party under very objective perspective. Choi Nam Seon, on the other hand, had to apply the modern literature concept that wah relatively new to him at the time, as such concept was taken into Choseon from the west. In this regards Choi Nam Seon had to seek for Choseon Literature and its value as national literature, which is different from Gale’s perspectives. Si-jo was recognized by Gale as Choseon Literature, for Choi Nam Seon it was recognized as the national literature.

      • KCI등재

        연시조의 현대적 계승과 종장 운용의 특성 -이병기의 연시조를 중심으로-

        권정은 ( Jung Eun Kwon ) 한국시가학회 2010 韓國 詩歌硏究 Vol.29 No.-

        이 논문은 가람 이병기의 연시조를 대상으로 그 종장 구성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현대 시조가 전통적인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어떻게 현대적인 미감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는지 탐색하고자 했다. 연시조는 일찍이 사대부 시조로서의 확고한 지위를 누리면서 조선시대에 지속적으로 창작되었는데, 현대시조에서도 그 가치를 크게 인정받으며 재등장 했다. 하지만 현대시조 직전의 개화기시조의 경우를 보면 연시조를 배제한 단형시조를 위주로 하면서 종장의 마지막 어구를 생략하는 가운데 당대의 급진적이고 현실적인 내용을 담아냈다. 그런데 막상 개화기시조를 이은 현대시조는 정반대의 형태를 보임으로써 외형상으로서는 오히려 중세로 회귀한 듯한 인상을 주게 되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상 종장의 운용 양상을 살펴본 결과 사정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선 초, 중장과 종장의 연결 구조를 볼 때 기존의 고시조와는 달리 종장이 분리되지 않고 문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비록 공식적인 율격이 잘 지켜 지기는 했지만 의미상으로는 고시조와 같은 종결을 통한 완결이 아닌 개방성을 지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개방성은 심리적 발산을 근거로 상황을 연속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시인의 감성이 보다 자유롭게 표현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했던 것이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고시조의 종장이 긴장을 강화함으로써 종결을 유도했던 반면에, 현대시조의 종장은 표면적으로는 전통적인 정형시로서의 틀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지만 종장의 개방성을 허용함으로써 현대시조가 보다 강화된 서정시로서 재탄생하는 데에 일조했던 것을 확인할 수였었다.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stanzaic si-jo of Lee Byoung-gi(l891~1986), specially having an emphasis on the last line. Lee is representative poet for contemporary si-jo of early 20th century in that time so many famous poet likes Choe, Nam-sun or Lee, eun-sang strived to show Korean beauty in si-jo, Korean traditional lyric poem. Among these poets, Lee Byoung-gi is specailly famous for reflecting natural life without exaggerated emotion in his stanzaic si-jo. Stanzaic si-jo is the connection of short type normal si-jo which made with three lines under the same theme. It drove from early Jo-seon dynasty though, this stanzaic form had a key to realize modern feeling in Lee`s si-jo. To investigate that kinds of value, this paper specially focus on the composition of concluding line in Lee`s works. Generally concluding line of si-jo performed the convergence of theme and tends to be independent. But in the case of Lee`s, last(third) line is closely connect with second line in both side of grammar and meaning. Even though basically last line of Lee`s obeys the perfect traditional rules of versification, apart from that rule, it constructed new poetic order. Most of all, the third line of Lee`s are not independent from first & second line. This situation is strange in the virtue of common si-jo, but from this variated from Lee can made his si-jo more sensitive. Lee`s concluding line is not close but open and among this openness separated individual work of stanzaic form linked naturally under the same emotion and theme. And all of these feature allow si-jo to correspond to 20th new modern complicated era.

      • 연시조 교육의 한 문제 : 연의 형식에서의 구성 문제를 중심으로

        양희철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10 淸大學術論集 Vol.14 No.S

        This treatise looked upon a problem in the education of stanzaic SiJo focusing on the composition of stanzaic form. The result follow as; 1. stanzaic Si-Jo of simple composition 1) stanzaic Si-Jo composited by Si-Jos of short type 2) stanzaic Si-Jo composited by SiJ-os of middle type 3) stanzaic Si-Jo composited by Si-Jos of long type 2. stanzaic Si-Jo of compound composition 1) stanzaic Si-Jo composited by Si-Jos of short type and middle type 2) stanzaic Si-Jo composited by Si-Jos of short type and middle type and long type It is enough to substitute such a result for the existing theory(that stanzaic Si-Jo is composited of several stanza) on the composition of stanzaic form in stanzaic Si-Jo. Therefore we think that it is desirable that we educate the above result in the lecture about the composition of stanzaic Si-Jo.

      • KCI등재후보

        시조 형식 교육의 목표론 연구

        고영화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9 국어교육연구 Vol.23 No.-

        This article is about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Si-Jo form. The important role of educational objectives is informing the needness and values of the education contents. The experience of Si-Jo form have the values like these. The Si-Jo form can give the experience of a set form poetry. It can contribute to the length of expression ability by the attention to the language form. The Si-Jo form can give the experience of a short poetry. It makes the students summarize their thought and know themselves. The Si-Jo form can give the experience of a national poetry. It helps the students development their cultural identity. But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Si-Jo form in 7th Korean curriculum are not clear in this side. For example,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Si-Jo form are not described with the obvious aim. In another case, they are described too abstract. And the repetition of educational objectives of Si-Jo form without the developmental elements must be criticized. The significance, usefulness and interest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Si-Jo form are needed. By this way,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Si-Jo form can deliver the needness and values of Si-Jo education to the students. 이 연구는 시조 형식 교육의 목표에 대한 것이다. 교육 목표는 교수학습 행위의 의미를 규정하며 이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의사소통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교육 내용에 대한 동기 부여 및 중요성을 환기하는 역할도 한다. 시조 형식의 경험은 크게 정형시, 단형시, 민족시가라는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정형시로서의 시조 경험은 언어 형식에 대한 주목을 통해 표현을 좀더 의식적으로 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준다는 의의를 갖는다. 단형시로서 시조는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생각을 집약할 수 있게 하며 그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을 더 잘 알게 한다는 가치를 갖는다. 또한 민족시가로서 시조의 형식을 경험해 보는 것은 학습자의 문화 정체성 확립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시조 형식 교육이 가질 수 있는 의의가 제 7차 교과서에서는 명료하게 부각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시조 형식에 대한 명확한 지식의 전달에 소홀한 모습, 목표 진술이 학습자의 수준에 비추어 보았을 때 추상적으로 진술되는 경우, 학교급에 따라 목표 수준이 체계화되어 있지 못한 점 등은 앞으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시조 형식 교육의 목표가 의미성, 실용성, 흥미성이라는 측면에서 진술될 필요가 있다. 그럼으로써 시조 형식 교육의 필요성과 가치를 학습자에게 분명히 전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정훈의 시조와 한시 비교연구

        정소연 ( So Yeon Chu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4 문학교육학 Vol.43 No.-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Han-si and Si-jo of Jeong Hoon in 17th centiry on the viewpoint of diglossi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deals with Han-si and Si-jo of thematic areas, the subject area of Si-jo are more spacious. Other diglossic writers have shown the subjects of Jeong Hun`s Si-jo mainly in Han-si. Second, the culture of responding poetry appears in the Si-jo in the case of Jeong-Hoon. Third, the nature and himself are dealt in Han-si, people and social problem in Si-jo. Especially, the people in Jeong Hoon`s Sijo are the real and contemporary persons, not abstract or fictional. Fourth, the form of Hansi is broken and Han-si have tendency to singing song and Si-jo formal poetry. Fifth, Jeong Hoon acknowledges Si-jo itself, so he translated Si-jo into Han-si saving the three lines form. In conclusion, we can say that Jeong Hoon is the important poet showing the changing process of the position of Han-si and Si-jo in the history of poetry and song in Korea.

      • KCI등재

        한문과 국어의 양층언어성(diglossia)을 중심으로 본 송강 정철의 한시와 시조 비교연구

        정소연(Chung So-ye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8 No.-

        송강 정철은 한시와 시조를 모두 지은 작가임에도 그간 한시와 시조에 대해서 각각 연구가 진행되었고, 송강의 한시와 시조에 대한 본격적인 비교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본고는 송강의 한시와 시조를 본격적으로 비교하고, 사대부 본령의 갈래인 한시 외에 왜 시조를 필요로 했는지, 시조의 효용은 송강에게 무엇이었는지, 그럴 수 있는 이유는 매체언어와 관련해 무엇인지 규명해냈다. 논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송강의 한시와 시조의 주제를 비교한 결과, 한시는 작가의 삶과 밀착되어 시조보다 더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그러나 전쟁은 주로 한시를 통해, 백성에 대한 교훈적인 내용은 시조를 통해 드러내었다. 둘째, 두 갈래에서 모두 자연보다는 사람을 많이 다루나, 한시에서는 정철이 속한 사대부 남성과의 교유가 위주가 되고 상층 사대부가 많이 나타난다. 이에 비해 시조에서는 임금부터 백성까지, 상하남녀노소의 다양한 사람을 다루었다. 셋째, 한시에서는 작시의 특정 상황과 특정인물이 제목 및 내용에서 잘 드러나는 데 비해, 시조에서는 ‘나’, ‘너’, ‘우리’, ‘늙은이’, ‘젊은이’, ‘부모’, ‘아들’ 등 누구나 대입할 수 있는 일반 명사를 사용해 보편적인 인간으로 확장될 수 있는 사람을 다루었다. 넷째, 한시에서는 작가와 시적 화자의 거리가 멀지 않고 거의 일치하나, 시조에서는 실제 작가와 시적 화자의 거리가 멀고 거의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시조에서 관심을 둔 사람은 실제 작가의 처지를 뛰어넘어 보편적인 인간으로 확장될 수 있었다. 다섯째, 상층 사대부 남성이라는 작가의 실제 신분을 뛰어넘어 상하남녀노소의 보편적 인간에 대해 노래할 수 있었던 것은 모든 인간이 죽음앞에서 동등하다는 의식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인식은 한시보다 시조를 통해 잘 드러난다. 여섯째, 보편적 인간에 대한 애정과 소통이 한시보다 시조를 통해 드러날 수 있었던 것은 매체언어의 특징과 밀접하다. 사대부 남성의 기록 매체인 한문으로 짓는 한시는 사대부 본령의 갈래로서 작가가 속한 신분과 생활에 밀착되어 있다. 이에 비해 시조는 상하남녀노소가 모두 사용하는 모국어로 짓기 때문에 다룰 수 있는 범위가 훨씬 넓다. 일곱째, 보편적 인간애는 문자보다 소리를 통해 표출하기가 쉽다. 문자는 사람의 손을 떠나 있고, 영원히 존재하지만 소리는 사람을 통해 전달이 되고 일회적이다. 소리의 특성은 죽음을 겪는 초초한 삶을 사는 인간 삶의 특성과 맞닿아있어서 문자로 짓는 한시보다는 소리로 향유하는 시조로 나타내기가 더 알맞다. 본고는 송강 정철 당대에 한문과 국어가 문자언어와 음성언어로, 상위어와 하위어로 기능했던 양층언어적 현상을 중심으로 한시와 시조를 비교함으로써 송강에게 있어서 한시와 시조의 상관성과 갈래적 기능을 본격적으로 규명해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ough Song-Gang Jeong-Chul composed both Sino-Korean poetry (Han-Si) and Korean songs(Si-Jo), but it has not been studied in earnest. So, I researched Comparative Study of Song-Gang Jeong-Chul’s Sino-Korean poetry and Korean songs(Si-Jo) and investigated the interrelationship of genre and language choice, and what the necessity of Si-Jo was to Song-Gang Jeong-Ch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subject, Song-Gang treated more several subjects in Sino-Korean poetry than in Korean songs(Si-Jo). Second, Song-Gang paid attention to human than nature in both genre, but the social status of people were different. The people appeared in Sino-Korean poetry were almost upper class’ male, but those in Korean songs(Si-Jo) were several, from King to farmers, men and women of all. Third, the people appeared in Sino-Korean poetry were specific men. We can know their name and status because of the title of Han-Si. On the other hand, the nouns in Korean songs(Si-Jo) are ‘me’, ‘you’, ‘us’, ‘the old’, ‘the young’, ‘parents’, ‘son’, etc, those are general nouns, so any person can be applied. Fourth, the writer and poetic speaker coincide in Sino-Korean poetry, but, the distance of the writer and poetic speaker is far in Korean songs(Si-Jo). So, the poetic speaker can be extended to universal human, jumping over the position of real writer. Fifth, this cognition of Song-Gang Jeong-Chul comes from that all humans are equal before death. It is well showed in Korean songs(Si-Jo) than in Sino-Korean poetry(Han-Si). Sixth, the affection for universal human are well appeared in Korean songs(Si-Jo). It is closely connected the character of language choice. The Korean language is a mother tongue which all people use from birth, so, it is natural that the affection for universal human is appeared in Korean songs(Si-Jo.) Seventh, the affection for universal human are well appeared by voice, spoken language than by written language. Written language exists leaving the man and be forever, but spoken language always exists with man and be temporarily. These characters of voice are similar to those of human’s life.

      • KCI등재

        돈호법을 중심으로 본 시조 작시법

        송지언 ( Song Ji-eon ) 한국작문학회 2011 작문연구 Vol.0 No.12

        이 연구는 시조에 나타나는 돈호법의 다양한 양상들을 탐구하였다. 돈호법은 시조에서 많이 사용된 수사법의 하나로서, 단지 문체상의 특징으로 머무르지 않고 시조의 공식구적 표현과 의미구조 그리고 발상과 깊은 관련을 맺는다. 그런 점에 착안하여 이 연구는 돈호법을 중심으로 한 시조 작시법을 기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 『시조문학사전』(정병욱 편) 소재 시조들을 분석하여 시조에서 돈호법이 사용된 양상과 호명된 대상의 유형들을 검토하였다. 검토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시조의 초장에 돈호법이 오는 경우는 사람보다는 사물이나 추상적인 관념을 호명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고 의문문과 주로 함께 쓰인다. 반면 시조의 종장에 돈호법이 오는 경우는 사람 특히 ‘아희’(童子)를 불러들이는 경우가 많고 이때는 명령문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검토 작업을 통해서 돈호법이 시조를 쓸 때에 공식구적 표현의 목록과 의미구조의 유형을 선택하는 틀이 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돈호법의 효과는 상황마다 다를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청자나 호명된 대상과의 관계를 지향하는 발상을 추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작시법을 운율 규칙으로 제한하여 생각하기 보다는, 내용의 생성, 조직, 표현의 유기적인 체계로 보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따라서 고대 수사학이 제시한 담론 생산방식인 ‘발상’, ‘배열’, ‘표현’의 체계를 따라 돈호법을 중심으로 한 시조 작시법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앞으로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작시 과정에 따른 전략이나 창작 모델을 재구성해 본다면 시조 창작 교육의 내용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d various methods of apostrophe used in Si-jo, the Korean traditional fixed-form poetry. Apostrophe is one of the rhetoric devices that have been used most frequently in Si-jo, and sinc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e of Si-jo and its conception, apostrophe should not be considered merely as an antiquated figure. In this light, this study aims to describe how to write Si-jo using apostrophe. Thus, the condition of using apostrophe and the types of objects from over two thousand pieces from the Si-jo anthology are described in this study. Tendency as the following were found. The first line of Si-jo, apostrophe tends to address objects or abstract ideas rather than human―preferably birds―and interrogative sentences are most common. Whereas, the 3rd and also the last line tends to address human, especially a boy valet 'dong-za(童子)', and imperative sentences are more relevant. The examination revealed that if apostrophe is meant to be used in Si-jo, it could offer the list of formulaic expressions and more or less settle the structure of the meaning. Furthermore, the effect of apostrophe could diff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but the conception is mainly concerned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 audience or the object that is referred to. This study suggests that writing Si-jo could be regarded as the correlated system of conception, expression, and structure rather than just metrics. In this paper, the ways of writing Si-jo using apostrophe is described according to the way of discourse formation―‘inventio’, ‘dispositio’ and ‘elocutio’, which has been suggested by ancient rhetoric. For further study it would be interesting to look into the model or the strategy of writing Si-jo.

      • KCI등재

        시조의 외국어 번역에 관한 시론

        조태성(Jo Tae-Seong)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1 No.-

        본고에서는 시조의 번역에 있어 의미화의 직접적 매개라고 할 수 있는 시적 감성의 정확한 전달에 필요한 번역 방식을 논구하고자 하였다. 이에는 시조의 형식적 특성과 그것 안에 함의된 감성 구조를 이해하였다는 전제 아래, 전체 율격을 고려한 시어의 배치, 套語의 활용, 장 배치의 환원 동의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먼저 율격을 고려한 시어의 배치는 시조가 가진 3ㆍ4조 내지 4ㆍ4조의 4음보라는 율격적 격식을 반영하고자 함을 말한다. 그리고 투어의 활용은 종장 첫 음보의 번역에 있어서의 활용을 의미하며, 장 배치의 환원은 의미 전달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을 재배치해야 한다는 의미가 되겠다. 시조를 번역하는 데 있어 그 형식적 요소를 규제해야 한다는 점만은 분명한 듯 보인다. 이러한 규제가 특히 현대시조를 창작하고 비평하는 한 가지 기준이 된다면 번역은 장차 더욱 쉬운 작업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이유로 시조의 번역을 제안하면서 몇 가지 전제와 요건을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시조의 종장 첫 음보에는 그 형식에서뿐만 아니라 의미상의 구조까지도 염두에 둔 용어가 활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투어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시조의 내적 구조를 의미의 연결이라는 측면에서 간과하지 않아야 한다. 1개의 시조는 많게는 6개, 적어도 3개의 의미 단락을 구성해야 시조의 미학적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셋째, 시조를 시조답게 번역하기 위해서 -번역된 작품이 시조임을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가곡창의 노랫말 배열 방식이었던 5행의 방식을 차용해야 할 것이다. 5행의 배열 방식은 시조의 형식적, 의미적 가치를 가장 돋보이게 하는 형식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I attempted to translate Si-jo into a foreign language on this essay. In this process, it is seemed to clear that we regulate the formal element in translating of Si-jo. If this regulation is to be a standard criticism on the modern Si-jo, the translation will be an easy work. According to this point, I propose this translation as follows : First, we must use a term that is considered the construction of meaning besides to its type in the first tribrach on the last of the 3 verses of a Si-jo. For this work, it is desirable for our to develope and practical use the regulated words[套語]. Second, we have to watch the intrinsic construction of Si-jo. We must compose six meaning frame or at least three meaning when we write Si-jo works. So that, Si-jo must to be recognized its aesthetic values. Third, we must arrange the verse of Si-jo as the form of 5 lines for translating, like a traditional Si-io. The form of 5 arranged lines was the form of Gagok-chang[歌曲唱].

      • KCI등재후보

        강호시조에 나타난 ‘벗’의 유형과 공간성의 관계

        김현정 겨레어문학회 2010 겨레어문학 Vol.44 No.-

        In this study, I paid attention to 'the spaces' in Gang-ho Si-jo to improve the outcomes of former studies that regard the nature in Gang-ho Si-jo reflects a view of the world and nature. The spaces in Gang-ho Si-jo tell us that the poets of Gang-ho Si-jo recover their spaces of lives through their poetical imagination which enables them to create subjective spaces as their new own world. Gang-ho Si-jo have many spacial requisites according values to the spaces in Gang-ho Si-jo. Since they are only human-beings or humane requisites in Gang-ho as a nature space, 'the companions' in many works are significant. In some works, ‘the companions' named ‘Go-in(a saint, 古人)’, ‘Yet Saram(the ancients, 옛 사람)’, ‘Yet But(an old friend, 옛 벗)' serve as a role model who went their way in a philosophical view. And ‘the companions' named ‘But(friends, 벗)’ serve as practical friends who can go the way in present life with a poetic narrater in some works. Many natural objects which have a large number of valuating attributes in a poetic narrater's mind, serve as companions in expanded meaning. We can also find many potential companions named 'Saram(사람, people)', 'Yuin(遊人, excursionists)', 'Uri(We, 우리)', ‘Jeolmun But(young friends)'. These can be significnat companions who know the meaning of the lives in Gang-ho with a poetic narrater in many contex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s in many Gang-ho Si-jo works, the companions share the values of the spaces, or can be means which express them or expand them. Judging these facts, the spaces of Gang-ho Si-jo are not exclusive but open. 본고는 강호시조의 자연이 강호시조를 창작한 주체들의 세계관이나 자연관을 반영하는 것이라는 기존 논의를 보완하기 위해 강호시조의 ‘공간’에 주목하였다. 강호시조의 ‘공간’에 주목하면 강호시조 창작 주체들이 서정시의 상상력을 통해 자기만의 새로운 세계, 즉 주관적인 공간을 창조함으로써 ‘삶의 공간 되찾기’를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강호시조의 공간에는 그 공간에 가치를 부여하기 위해 선택된 다양한 공간 구성소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 ‘벗’은 강호라는 자연 공간에 등장하는 인간 존재로서 특수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강호시조 작품을 검토한 결과, 강호시조 안에서 ‘벗’은 ‘고인’, ‘옛 사람’, ‘옛 벗’ 등으로 모범이 되는 道友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하고, ‘벗’, ‘벗님’ 등으로 현재의 삶을 함께 꾸리는 실제적인 의미의 道友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적 자아가 추구하는 가치를 실현한 속성을 부여받은 자연물은 확장된 의미의 ‘벗’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강호시조 안에 나타나는 ‘젊은 벗’이나 ‘사람’, ‘遊人’, ‘우리’ 등은 작품의 맥락에 따라 시적 자아가 추구하는 삶의 의미를 알고 삶의 공간의 가치를 함께 누리는 벗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지닌 ‘잠재적인 벗’으로서의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작품의 공간적 성격으로 볼 때, 강호시조에 나타난 ‘벗’은 공간의 가치를 공유하는 존재가 되거나 공간의 가치를 표명하는 도구가 되기도 하고, 공간의 가치를 확장하는 의미를 지니기도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점들로 미루어 볼 때, 강호시조에 나타난 ‘벗’의 의미에 주목하면 강호시조가 형상화한 공간은 폐쇄적인 공간이 아니라 여러 인간 존재들, 인격적인 가치를 부여받은 자연물을 통해 개방될 가능성을 지닌 공간적 성격을 지님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