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광수와 신채호의 만남, 그리고 영향

        김주현(Kim, Ju-hyeon) 한국현대문학회 201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8

        이광수는 신채호를 여러 차례 만났고, 또한 그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광수가 신채호를 만난 것은 총 4차례 정도 확인된다. 1910년 정주에서, 1913년 상해에서, 1918년 북경에서, 그리고 1919년 상해에서이다. 물론 이광수는 신채호를 만나기 이전부터 신채호의 글을 읽었고, 그를 어느 정도 알고 있었다. 이광수가 『우리 영웅』을 썼을 때부터 이미 신채호의『수군 제일 위인 이순신』을 읽었을 것으로 보이는 징후들이 포착된다. 이후에도 신채호의 글을 적지 않게 읽었고, 특히 그의 역사관으로부터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광수의 『이순신』과 『사랑의 동명왕』등에서도 신채호의 영향이 엿보인다. 1918년경 북경에서 이광수와 신채호의 만남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 당시 만남에서 신채호는 이광수에게 제언 내지 충고를 한 것으로 보이며, 신채호의 혈전론이 이광수의 『청년독립단선언서』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1919년 다시 상해에서 만난 신채호와 이광수는 임시정부 수립을 위해 노력하지만, 결국 각자의 길을 간다. 그것은 임시정부에서 이승만의 대통령 추대와 독립 노선의 차이 등 복잡한 상황으로 말미암는다. 이로 인해 신채호는 북경으로 돌아가 『천고』 발간에 나서고, 이광수는 『독립신문』 주필을 그만두고 몰래 국내에 들어옴으로써 이들은 완전한 타인으로 살아간다. 대의와 절개를 강조했던 신채호와 사랑과 용서를 강조했던 이광수이었기에 일제의 야욕 앞에서 하나는 비타협의 감옥행을, 하나는 타협을 통한 훼절의 길로 들어섰던 것이다. Lee Gwangsu had met Shin Chaeho several times, who significantly influenced him. It has been verified that Lee Gwangsu had met Shin Chaeho about four times. They met in 1910 at Jeongju, in 1913 at Shanghai, in 1918 at Beijing, and again in 1919 at Shanghi. Before Lee Gwangsu met with Shin, Lee already knew of Shin through Shin’s works. It appears that Lee Gwangsu had read Shin Chaeho’s “Lee Sunsin, the First Hero of Navy” before he wrote “Our Hero”. It seems that Lee had read a considerable amount of Shin Chaeho’s works and been influenced much by Shin Chaeho’s perception of history. The Influence of Shin over Lee can also be found in Lee Gwangsu’s works, such as “Lee Sunsin” and Love of King Dong Myeong. A meeting between Lee Gwangsu and Shin Chaeho roughly around 1918 seems to have special implications. During their meeting, Shin Chaeho appeared to have given offers or advice to Lee Gwangsu. Shin Chaeho’s Bloody Battle theory tends to be traceable in Lee Gwangsu’s “the Declaration of Youth Independence Group”. In 1919, when Shin Chaeho and Lee Gwangsu met again in Shanghai, they concerted their efforts to build a provisional government only to go on their separate ways. The two’s separation was the result of the complex situation, including selecting Lee Seungman as the president and differing views on how to achieve independence of Korea, with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ir departure led Shin Chaeho to go back to Beijing and publish Tienku, and Lee Gwangsu to leave the chief editor position of Independent Newspaper and secretly come back to Korea. The growing gap between them left the two completely estranged. Since Shin Chaeho stressed integrity and cause whereas Lee Gwangsu emphasized love and forgiveness, one followed an uncompromised path to prison while the other chose to compromise and forgo his integrity under the Japanese oppression.

      • KCI등재

        역사 ‘기록’과 영웅 ‘출현’의 관계: 신채호의 《을지문덕》 저술을 중심으로

        김수자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0 동방학 Vol.0 No.42

        역사가의 ‘역사적 상상력’에 의해 과거의 사실이 ‘새롭게’ 재구성되고 역사 글쓰기의 목적의식적 성격이 한국에서 강하게 드러나던 때는 일제 식민지로 전락하기 전후 시기이다. 대표적 인물로 ‘영광스러운 민족사’, ‘영웅의 역사’ 책을 저술한 신채호를 꼽을 수 있다. 신채호는 역사상에 실재했던 국난의 위기를 극복해낸 영웅의 면모를 ‘극대화’시키는 저술 활동을 통해 국가와 민족의 정체성 회복을 꾀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역사 영웅을 드러냄으로써 애국심과 민족의식을 고취시켜 국권을 수호하고자 했던 시대적 상황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신채호의 첫 영웅전 저술로는 1908년에 발간된 『을지문덕』이다. 『을지문덕』 저술시 신채호는 ‘역사적 상상력’만이 아니라 실제로 국내 역사서들뿐 아니라 중국의사서들도 섭렵하고 있었다. 이것은 신채호의 『을지문덕』의 저술 동기가 영웅의 출현이라는 기대감뿐이 아니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신채호는 『을지문덕』을 저술하며기존에 영웅의 역사 ‘기록’의 소략함이 영웅의 부재로 이어졌다며 영웅에 대한 자료를 수집, 정리하는데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리고 실제로 그는 을지문덕관련 ‘기록’을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꼼꼼하게 정리,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것을 책의한 장으로 구성하였다. 신채호가 『을지문덕』을 저술하기 위해 참고하였던 대표적인자료들로는 『삼국사기(三國史記)』, 『동국통감(東國通鑑)』, 『동사강목(東史綱目)』, 『해동명장전(海東名將傳)』, 『여지승람(輿地勝覺)』, 『성호사설(星湖僿說)』 외에도 중국의 역사서인 『수사(隋史)』 등이 있다. 신채호는 이 책들을 섭렵하며 고려시대 김부식에서부터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고구려사와 을지문덕에 대한 인식을 수용 및 비판하는 자세를 보였다. 신채호는 현재 한국의 힘이 약해진 것은 ‘승리의 역사’의 부재 때문이고 이것은영웅 역사의 부재 때문이라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한국에 영웅이 부족한 것은 한국역사 속 영웅에 대한 기록의 소력함과 영웅들의 기록을 중심하지 않았던 후손들의태도 때문이라며 기록의 수집 및 보존을 중시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을지문덕』은 발간 이후 지속적으로 신문에 판매 광고가 실렸으며 주요 도시의책방에서 판매, 구입할 수 있을 정도로 전국적으로 유통되었다. 이것은 일제 식민지로 전락한 후에는 조선총독부가 금서로 분류하여 압수와 수색의 대상이기도 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좌우대립의 극심한 혼란과 신생 독립국가 수립의 염원을 담은 『을지문덕전』이 발간되었다. 이 책은 구한말 신채호가 저술한 『을지문덕』을 저본으로하고 있으며 달라진 시대적 상황의 혼란함을 극복하고자 하는 저자의 의도가 담겨있다. 이와같이 해방 이후에도 을지문덕에 대한 재현물에 기초가 된 것은 신채호의 『을지문덕』이었다. The historical facts were newly reconstructed by the historian's 'historical imagination' and the 'purpose consciousness’ was revealed strongly. The representative figure is Shin Chaeho, who describes “glorious national history” and the history of heroes. Shin Chaeho wrote the book to "maximize" the behavior of a hero who overcame the crisis of the national crisis, which had existed in history for the purpose of restoring the identity of the nation and nation. This is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 historical situation in which the heroes of the nation were sought to defend national sovereignty by revealing historical heroes. The Great Figures mentioned by Shin Chaeho as history heroes include Euljimundeok, Kwanggaedo Great King, Yeongaesomun, Kang Gamchan, Choi Young, and Yi Sunshin. Shin Chaeho published Euljimundeok in 1908 to reveal his heroic history. However, when writing Euljimundeok, Shin Chaeho was not only interested in ` historical imagination,' but in fact not only domestic historical data but also Chinese resources. This means that the motive of Shin Chaeho's Euljimundeok was not only the expectation of the hero appearance. Shin Chaeho said that the lack of the historical record on the hero has led to the absence of the hero, and that he would do his best to collect and organize the record of the hero. Representative sources that Shin Chaeho referred to for writing Euljimundeok include Samguksagi(三國史記), Dongkuktonggam(東國通鑑), Dongsagangmok(東史綱目), Haedongmyeongjangjeon(海東名將傳), Yeojiseungram(輿地勝覺) and there was Chinese history books, Suesa(隋史). Shin Chaeho said that the current weakness of Korea is due to the absence of ‘history of victory’, which is due to the absence of the history of heroes. And the lack of heroes in Korea was due to lack of records of heroes in Korean history. Since its publication, Euljimundeok has been distributed nationwide so that it can be sold and purchased at bookstores in major cities. This shows that the reader of this book was wide. Even after falling into Japanese colony, it was classified as a book promoting independence, and seizure and search of Japanese colonial proceeded. Even after the liberation, there were intellectuals who published books with extreme confusion of left-right conflict and the hope of establishing a new independent nation, as Shin Chaeho wrote a book in forthcoming of a hero who would save the nation. In addition, Shin Chaeho's writings, Euljimundeok, later played a role in forming the basic framework of Euljimundeok biography.

      • KCI등재

        신채호 집필 추정 작품에 대한 저자 논증

        김주현(Kim, Ju-hyeo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6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3

        본고에서는 단재 신채호가 집필한 것으로 추정되는 몇 작품에 대해 저자를 논증해 보았다. 최근 이호룡은 『신채호 다시 읽기-민족주의자에서 아나키스트로』에서 새롭게 몇 작품을 발굴하여 단재 작품으로 제시하는가 하면, 또한 이전에 단재의 저작으로 규정했던 작품을 단재의 작품에서 배제하였다. 본고는 이호룡이 제기한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보완하는 입장에서 비롯되었다. 이호룡은 『신대한』 창간호에 실린 고마의 「국제연맹에 대한 감상」을 단재의 글로 규정했다. 본 연구자는 고마의 「국제연맹에 대한 감상」(『신대한』 1호)과 「난폭」(『신대한』 3호)을 단재의 작품과 비교하여 문체와 사상이 동일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므로 고마가 신채호의 호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또한 『천고』에 나온 필명 ‘아관’의 글은 단재신채호전집간행위원회에 의해 『개정판단재신채호전집』(1977)에 포함된 이래 단재의 글로 인식되어 왔다. 이호룡은 최근 아관이 신채호나 김지섭이 아닐 것이라고 주장했다. 본고에서는 여전히 아관이 김지섭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하지만, 향후 충분한 근거들을 통해 저자 확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호룡은『대한매일신보』 무서명 논설 몇 작품을 단재의 작품으로 규정하였다. 그는 단재의 전체 사상의 흐름에서 그렇게 본 것이다. 본 연구자 역시 논설 주필, 단재의 집필 시기, 그리고 단재의 사상과 글의 맥락에서 단재의 글로 판단했다. 앞으로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에서 단재의 글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처음 단재전집편찬위원회가 그러했듯 많은 연구자들이 힘을 모아 단재 작품들을 발굴하고 저자를 확정해야 한다. 그래야 단재 연구가 심화되고 확산될 것이다. In this study, I discussed authors of works that are assumed to be written by Danjae Shin Chaeho. Recently, Lee Horyong discovered some works and considered them as Danjae’s in Reading about Shin Chaeho Again- from a Nationalist to an Anarchist Additionally, he excluded some works which were previously stated as Danjae’s works. I started this discussion in a position of critically looking over and making up for the problems of Lee Horyong’s. Lee Horyong stated that “Appreciation about the League of Nations” written by Goma in first issue of The Shin Dai Hahn is Danjae’s work. I compared Goma’s “Appreciation about the League of Nations”(First issue of The Shin Dai Hahn) and “Violence”(Third issue of The Shin Dai Hahn) with Danjae’s works and discovered that they had the sameness of literary style and thought. By this, I concluded that Goma is Shin Chaeho’s pen name. In addition, works written by the pen name ‘A-Gwan’ in TienKu are considered as Danjae’s since the Compilation Committee of Danjae Shin Chaeho’s Complete Works has included A-Gwan’s work in Edition of Danjae Shin Chaeho’s complete works(1977). Lee Horyong recently stressed that A-Gwan is neither Shin Chaeho nor Kim Jiseob. In this study, I stated that A-Gwan would be Kim Jiseob, but we need to establish the author based on enough materials. Lastly, Lee Horyong defined as Danjae’s works some essays which were not signed in The Korea Daily News, based on the flow of Danjae’s whole thought. I concluded that they are Danjae’s works upon the chief editor of that newspaper, the writing period of Danjae, and those thought and style. In the future, we need effort for finding Danjae’s work in The Hwang Seong Newspaper, The Korea Daily News and etc. Just like the Compilation Committee of Danjae Shin Chaeho’s Complete Works, many researchers should put effort together to discover Danjae’s works and establish the author of them. That is how studies on Danjae can be intensified and spread.

      • KCI등재

        1924년 베이징의 스님 신채호와 조선의 언론인 홍명희·한기악 “妻鎖子獄”과 “朝鮮史藁”

        도진순 한국근현대사학회 2020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5 No.-

        This study reveals Danjae(丹齋) Shin Chaeho(申采浩)’s reply letter, “To Mr. Han Kiak(韓基岳)”, was written on June 29, 1924, not 1925. This finding provides various clarifications on the life of a monk Shin Chaeho, which had not been known so far. 1) After his initiation to Buddhism, Shin Chaeho went to Hongluo Temple(紅螺寺) in the suburbs of Beijing, where he wrote a short essay “My 一, 二, 三, 四, 五, 六, 七”, and an Chinese poem “無題”. 2) These writings clearly exhibit the inner side of Shin Chaeho in the early days of Buddhism. In the former, he expresses his regret not being able to write current and revolutionary writings that are close to reality. In the “無題”, he sings about the situation of an indigent refugee who could not take care of his young child in the homeland. 3) Monk Shin Chaeho, suffering from dire poverty, describes his situation as being locked in a “family prison(妻鎖子獄)”: imprisoned and bound in chains from having a wife and child. To him, the only weapons for liberation from this situation were “the Manuscripts of Korean history(朝鮮史藁)” in his head and a manuscripts fee. 4) Thus, monk Shin Chaeho wrote many manuscripts on Korean history at temples in Beijing including the Guanyin Temple(觀音寺), communicated with Hong Myunghee and Han Kiak in Korea through correspondence, and was able to submit to Korean newspapers and receive manuscripts fees. This relationship, connected by letters, was as valuable as a lifeline to Shin Chaeho. 본 연구는 丹齋 申采浩의 답신 「韓基岳 씨에게」가 1925년이 아니라 1924년6월 29일에 쓴 것이라는 것을 밝힘으로써,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신채호의 스님생활에 대해 여러 가지 해명할 수 있었다. 1) 단재는 불교 입문 이후 북경 교외의 사찰 紅螺寺에 갔으며, 그곳에서 「나의一, 二, 三, 四, 五, 六, 七」라는 단문과 한시 「無題」를 지었다. 2) 이 글들에는 불교 입문 초기 신채호의 내면이 잘 드러나 있다. 「나의 一, 二, 三, 四, 五, 六, 七」에는 현실과 밀착된 시사적 혁명적 글을 쓸 수 없는 아쉬움을토로하였고, 「무제」에서는 고국의 어린 자식을 돌볼 수 없는 亡命僧이 된 자신의빈한한 처지를 노래하였다. 3) 스님 단재는 당시 자신의 처지를 마누라로 해서 쇠사슬에 묶이고, 자식으로

      • KCI등재

        단재 신채호의 아나키즘 문학 운동: 중국 지우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맹문재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3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 No.66

        In this paper, Shin Chaeho’s pursuit of the anarchist movement in solidarity with close Chinese frien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war was examined along with his literary work. Shin Chaeho moved to Cheongdo in 1910 and continued his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until his death on February 21, 1936 in Yeosun Prison, so the anarchist movement he pursued is noteworthy. Shin Chaeho was not a compromise, such as preparation or diplomacy, but directly resisted Japanese imperialism. Shin Chaeho pursued Korean’s independence as well as the liberation of the people through the anarchist movement. It aims for a world in which the absolute freedom and community values of the people are realized after national liberation. Shin Chaeho joined the anarchist Eastern Alliance in Beijing and Tianjin, and was at the forefront of the anarchist movement, announcing the Declaration of the Revolution and the Declaration of the Korean Revolution, declaring a revolution by the people. It is also confirmed in novel such as “The Battle of Dragon and Dragon”, in works of poetry such as “sword fight”, “Song of Mugunghwa”, and “Song of Cicada”, which showed the victory of the popular revolution. “The Battle of Dragons and Dragons” is a novel written by Shin Chaeho during an anarchist movement with close Chinese friend in Beijing, and actively pursued anarchist ideas. Shin Chaeho’s anarchist thoughts also appear in the market “Song of Cicada”, which consists of six series. Cicadas sings about a world where there is no coercive ruler as well as a class that suppresses individuals. In addition to countering Japanese oppression, it is also pursuing a world in which individual freedom and community values are realized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n.

      • KCI등재

        자유주제 : 신채호의 시작품에 나타난 아나키즘 고찰

        맹문재 ( Mun Jae Mae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8

        단재 신채호는 일반적으로 독립운동가, 언론인, 역사가, 소설가 등으로 알려져 있는데, 시인으로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실제로 신채호는 어렸을 때부터 시를 지었고, 논설을 시로 쓴 경우도 있으며,「천희당시화(天喜堂詩話)」나「조선 고래(古來)의 문자와 시가의 변천」등을 통해 시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그리하여 55편이나 되는 시작품을 남겼다. 신채호는 시작품에서 아나키즘 사상을 토대로 한 민중 투쟁과 민족해방을 추구했고 그리고 이상 세계를 지향했다. 신채호가 시작품에서 아나키즘을 추구한 것은 상해 임시정부의 독립운동 방향인 준비론이나 외교론과는 달리 민중들이 일제에 직접 투쟁을 제시한 방법이었다. 아울러 해방 이후 민족 구성원들이 자유와 평등과 정의의 가치가 구현된 세상에서 살아갈 수 있기를 희망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차원에서 보면 신채호의 민족 해방 운동은 일제 강점기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려고 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신채호가 아나키즘의 사상을 수용하고 그것을 토대로 이상 세계를 지향한 것은 궁극적으로 민족의 해방을 추구하기 위해서였다. 따라서 신채호의 시작품들은 한국 근대시사에서 민족의식을 가장 적극적으로 나타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칼부름」「하늘북」「한 나라 생각」「무궁화의 노래」「너의 것」「독립자유의 노래」등의 시작품들이 그 구체적인 산물이다. This study tries to analyse the features of anarchism in poetry of Shin ChaeHo. He is a prominent fighter for independence, historian, journalist, social philosopher, novelist, and poet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days. Danjae(丹齋) is his pen name. As Japanese imperialism began to spread all over Korea, the nation`s primary challenge is to get liberation from Japan rather than achieve modernization in Korea. After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Shin, ChaeHo took refuge in Shanghai, China and accepted anarchism. As a result of this acceptance, he changed his ideology and consciousness toward Korea independence. It was the need of armed struggle that he emphasized from this event. He criticiz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because it didn`t try to do armed struggle against Japan. Hoping for Koreans` struggl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for the sake of national liberation, he published 『Shin Dae Han(新大韓)』and acted for the anarchists. Shin, ChaeHo wrote『Ulji moon duk(乙支文德)』,『Dream Sky(□하늘)』, and 『Great struggle between Dragons(龍과 龍의 大激戰)』, among which『Great struggle between Dragons』especially showed his anarchism. In his work, Shin, ChaeHo pursued direct revolution by Korean people in order to liberate Korea. Therefore his anarchism is not pursuit of certain individual theory or weapon but pursuit of national weapon. Shin, ChaeHo recognized that the liberation of Korea is possible only with struggle against Japanese. Shin, ChaeHo had sought absolute freedom and equality of all human-beings through the anarchism. That is why he thoroughly opposed the Japanese imperialism. He used anarchism as a means so as to attain the perfect independence of Korea from Japan. Consequently, what Shin, ChaeHo had really and primarily wanted was independence of Korea.

      • KCI등재

        신채호의 근대적 공동체 모색의 양상과 그 시대적 의미 - 사회진화론의 극복 양상과 민족의식의 전환을 중심으로 -

        진보성 ( Jin¸ Bosung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1 시대와 철학 Vol.32 No.3

        이 글은 신채호가 구상한 근대적 사회공동체 모색의 양상과 그 시대적 의미를 정리하고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시각의 중심은 사회 진화론의 극복과 민족의식의 전환이다. 신채호는 사회진화론을 자강의 차원에서 수용했다. 양계초가 수용한 사회진화론은 한국의 지식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었으나 신채호는 중국의 지식인들과 달랐다. 그는 한국의 특색을 바탕으로 우리 민족국가의 수립을 전망했다. 그 추세는 1920년대 전과 후로 나눌 수 있다. 이 논문은 신채호의 공동체 구상에서 그가 보여준 여러 복합적 모습들에 대한 종합적 평가이다. 그래서 그의 사상의 핵심 개념인 민족과 민중에 대해 설명하고, 또 1900~1920년대의 민족주의, 제국주의, 근대국가, 아나키즘을 다룬다. 결국 이 논문은 신채호가 사회진화론에 대응한 모습과 그가 민족과 민중을 시대에 따라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잘 보여줄 것이다. 한국의 식민지 시기 한 지식인의 변화무쌍하지만 일관된 내재성의 한 모습을 살펴보려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mmarize the aspects of the search for a modern social community envisioned by Shin Chaeho and evaluate the meaning of the theory. The center of that view is the overcoming of Social Darwinism and the trans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Shin Chaeho embraced Social Darwinism at the level of national strenuous efforts. Korean intellectuals were greatly influenced by Social Darwinism accepted by Yanggye-cho, as did Shin Chaeho. However, Shin Chaeho was different from the Chinese intellectuals. He predicted the establishment of our nation-stat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The trend can be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the 1920s. This thesis is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Shin Chaeho's various complex features in his community concept. So, he explains the core concepts of his ideology, the nation and the people, and deals with nationalism, imperialism, modern state, and anarchism of the 1900s and 1920s. In the end, this thesis will show how Shin Chaeho responded to Social Darwinism and how he understood the nation and the people according to the times. Let's take a look at the ever-changing but consistent immanence of an intellectual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 KCI등재

        신채호의 시작품에 나타난 아나키즘 고찰

        맹문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8

        This study tries to analyse the features of anarchism in poetry of Shin ChaeHo. He is a prominent fighter for independence, historian, journalist, social philosopher, novelist, and poet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days. Danjae(丹齋) is his pen name. As Japanese imperialism began to spread all over Korea, the nation's primary challenge is to get liberation from Japan rather than achieve modernization in Korea. After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Shin, ChaeHo took refuge in Shanghai, China and accepted anarchism. As a result of this acceptance, he changed his ideology and consciousness toward Korea independence. It was the need of armed struggle that he emphasized from this event. He criticiz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because it didn't try to do armed struggle against Japan. Hoping for Koreans' struggl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for the sake of national liberation, he published 『Shin Dae Han(新大韓)』and acted for the anarchists. Shin, ChaeHo wrote『Ulji moon duk(乙支文德)』,『Dream Sky(하늘)』, and 『Great struggle between Dragons(龍과 龍의 大激戰)』, among which『Great struggle between Dragons』especially showed his anarchism. In his work, Shin, ChaeHo pursued direct revolution by Korean people in order to liberate Korea. Therefore his anarchism is not pursuit of certain individual theory or weapon but pursuit of national weapon. Shin, ChaeHo recognized that the liberation of Korea is possible only with struggle against Japanese. Shin, ChaeHo had sought absolute freedom and equality of all human-beings through the anarchism. That is why he thoroughly opposed the Japanese imperialism. He used anarchism as a means so as to attain the perfect independence of Korea from Japan. Consequently, what Shin, ChaeHo had really and primarily wanted was independence of Korea. 단재 신채호는 일반적으로 독립운동가, 언론인, 역사가, 소설가 등으로 알려져 있는데, 시인으로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실제로 신채호는 어렸을 때부터 시를 지었고, 논설을 시로 쓴 경우도 있으며,「천희당시화(天喜堂詩話)」나「조선 고래(古來)의 문자와 시가의 변천」등을 통해 시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그리하여 55편이나 되는 시작품을 남겼다. 신채호는 시작품에서 아나키즘 사상을 토대로 한 민중 투쟁과 민족 해방을 추구했고 그리고 이상 세계를 지향했다. 신채호가 시작품에서 아나키즘을 추구한 것은 상해 임시정부의 독립 운동 방향인 준비론이나 외교론과는 달리 민중들이 일제에 직접 투쟁을 제시한 방법이었다. 아울러 해방 이후 민족 구성원들이 자유와 평등과 정의의 가치가 구현된 세상에서 살아갈 수 있기를 희망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차원에서 보면 신채호의 민족 해방 운동은 일제 강점기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려고 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신채호가 아나키즘의 사상을 수용하고 그것을 토대로 이상 세계를 지향한 것은 궁극적으로 민족의 해방을 추구하기 위해서였다. 따라서 신채호의 시작품들은 한국 근대시사에서 민족의식을 가장 적극적으로 나타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칼부름」「하늘북」「한 나라 생각」「무궁화의 노래」「너의 것」「독립자유의 노래」등의 시작품들이 그 구체적인 산물이다.

      • KCI등재

        20세기 신채호의 18세기 안정복에 대한 역사인식 - 안정복의 『동사강목』을 중심으로

        김수자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5 동방학 Vol.33 No.-

        동아시아에서 ‘史’의 개념은 과거 사실을 기록하여 지나간 사건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결정하고, 이를 통해 현재의 교훈을 얻고자 하는 것이었다. 조선 전기 이후로는 ‘史’의 개념에 ‘정통의 계승’이라는 의미가 추가되었다. 그러나 1905년 전후 ‘사’의 개념은 ‘국민국가의 역사’, ‘민족의 역사’라는 의미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와같은 의미의 역사 개념이 자리 잡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한 인물은 신채호라 할 수 있다. 신채호가 한국역사에서 근대 역사의 ‘아버지’라 불리는 이유는 두 가지이다. 첫째는 신채호가 왕조의 정통성을 옹호하는 왕조사에서 탈피하여 한국사를 한국민족의 역사로 파악하고자 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둘째는 한국사 서술을 위한 실증적, 고증적 방법을 강조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채호의 역사 서술태도에는 18세기 실학자였던 안정복의 역사인식에서 영향 받은 부분들이 많이 나타난다. 신채호가 안정복의 역사학에서 계승하고자 했던 것은 그의 정밀한 고증의 방법과 이를 통한 기존 역사서에 대한 비판적 태도, 그리고 통사 서술이었다. 특히 신채호는 지리고증방법론을 이용하여 한국 고대사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안정복의 강역론에 영향을 받았으며, 안정복의 추론 과정을 인정하며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단군 강역론은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의 연장선상에 ‘단군인식’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은 한국 역사의 공간을 확대시키는 결과일 뿐 아니라 한국 역사를 체계화시키는 결과를 가지고 왔다고 할 수 있다. In East Asia, the concept of ‘history’ has the meaning of judgement and decision about good and evil, or right and wrong at past incidents, and also meaning of recording for drawing a lesson at this time from past facts. After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the concept of history had also been included the meaning, ‘succession of legitimacy.’ The concept of history, around the year of 1905, had got settled ‘history of nation-state’ or ‘racial history.’ On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concept of history, the individual who has had the biggest impact on is Shin Chaeho. It has two reasons that Shin Chaeho has been called ‘Father’ of Korea modern history. First, he has bailed out of dynasty history supporting legitimacy of dynasty, and then focused on the Korea nation’s history. And second, he has emphasized on the historical describing method with empirical and historical evidence research. But the modernity of Shin Chaeho at the historical description attitude and historical perception has not just only affected by Liang Qi Chao of China and Western historian. Although in several aspects, he has not only been affected on the historical research method by Liang Qi Chao, but also influenced historical narrative attitude by An Jeongbok, late Chosun dynasty Silhak Scholar. Through the An Jeongbok’s history, Shin Chaeho has intended to succeed on his precise historical evidence research method, assuming a critical attitude to the existing historical book, and description of General History. Especially, he has been affected on the process of studying at Korean ancient history by historical geographic method through the territory theory of An Jeongbok, and also accepted with conceding the reasoning process of An Jeongbok. He has accepted Tangun’s territory, and also got extended the recognition to ‘Tangun’s recognition.’ Shin Chaeho has described Korean history centered on the nation emphasizing on ‘Tangun,’ and also selected Buyeo tribe as a central nation of historic system. Through that he has intended to instill national and racial consciousness. He has established Korean history system centered on Buyeo tribe, similar to An Jeongbok’s ‘Dongsagangmok’ on which Tangun has figured out as a starting point of legitimacy and also historic era has classified by the system of Korean orthodox family dynasty. It has the characteristic describing feature of An Jeongbok’s territory that Yodong region has been Korean territory from Tangun and Gija era. This point has got result to extend our historic space. That consciousness has also much influenced to 20th historian, Shin Chaeho.

      • KCI등재

        한말 일제 초 단군과 고조선 인식의 체계화

        류시현(Ryu, Si-Hyun)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1

        근대 민족 국가의 수립과 함께 민족공동체의 역사가 구성되기 시작했다. 한국 근대의 경우에도 민족사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민족의 기원인 단군과 고조선에 관한 관심과 이해가 높아졌다. 구체적으로 단군은 우리 민족 정체성의 상징인 동시에 공동운명체 형성의 중요한 매개체로 여겨졌다. 한말~1910년대 단군과 고조선에 관한 이해는 역사교과서, 신문과 잡지의 기사와 논설, 대종교 관련 자료 등에서 확인된다. 이글에서는 신채호와 최남선이 신문과 잡지에 기고한 글을 중심으로 당대 단군과 고조선에 관한 이해의 대중적 확산을 살펴보고자 한다. 신채호와 최남선은 한말과 일제강점기 한국 역사에 관한 다양한 글쓰기를 전개한 대표적인 언론인이자 역사학자이다. 물론 민족주의사학자와 문화사학자로 구분되는 1880년 생 신채호와 1890년 생 최남선 사이의 역사인식과 지향점에는 차이가 크다. 그런데 최남선은 한말 신채호의 『독사신론』 을 잡지 『소년』에 재차 게재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적극 개입시켰다. 따라서 한국 고대사 특히 단군과 고조선에 관한 인식은 당대 민족사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나아가 신채호의 『독사신론』 처럼 1910년대 최남선은 『계고차존』 을 통해 자신의 한국 고대사에 관한 인식을 발표했다. 이 두 편의 글은 한말~1910년대 문헌학적 방법론에 입각한 우리나라 역사학계의 최대한의 성과를 반영했다. 여기에서 논의된 단군(조선), 기자(조선), 위만(조선) 그리고 한사군에 관한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통해 당대 한국 고대사를 민족사의 관점에서 어떻게 재정리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From the beginning of Modern era, there were writing on the history of ethnic communities based on nation-states. The same as other countries, modern Korean people had interested in the origin of Korean nation such as Tan-gun who is known as the progenitor of our people and Ancient Korean history. Concretely, Korean people regarded Tan-gun as the key person of Korean’s national future. During the 1900s~1910s, the understandings of Tan-gun were comprised of Korean history text books, mass-media such as news papers and magazines and the new religions which were based on traditional belief. This paper focuses on both Shin Chaeho and Choi Namson’ writings which were published on news papers and magazines. The reason of these works that we will scrutinize the propagation of nation history. At that times, both Shin Chaeho and Choi Namson were very famous Journalists and national historians in Korean society. Naturally, they were very different in their approaching on Korean ancient history. So Shin was called as national historian and Choi was cultural historian. This paper focuses on Choi’s activities that he published Shin’s typical article on Korean ancient history in his magazine the Boys. Moreover, he intervened changing of words, adding of his opinions on Shin’s writing. Choi made public his original thoughts on Korean ancient history including Tan-gun at 1918. Not only Shins article but also Choi’s article contained a lot of arguments on Korean ancient history such as the territory of Ancient Chosun, and the role of a refugees from China, the occupied ares of Han(漢) empire and so on. Through Comparing 2 articles, we will find the composing of the origin of Korean national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