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erratia marcescens 검출을 위한 PCR 기법 개발 및 돼지정액 유래균주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양상

        정지아(Ji-A Jung),김애란(Aeran Kim),서병주(Byoung Joo Seo),정석찬(Suk Chan Jung),김인철(In Cheul Kim),정기화(Ki Hwa Chung),정병열(Byeong Yeal Jung)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9

        돼지 원정액의 채취나 희석정액의 제조과정 중 세균오염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정자활력의 감소뿐 아니라 모돈의 수태율 저하 등을 유발한다. 특히 Serratia marcescens는 환경에 널리 존재하며 비위생적으로 제조된 정액에 많이 분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 marcescens의 신속한 동정을 위하여 PCR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국내 돼지정 액 유래 S. marcescens을 이용하여 최소생육억제농도(MIC) 등을 조사하고 유효 항생제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개발 PCR 기법은 S. marcescens에서만 306 bp의 특이 유전자 증폭산물을 형성하였으며, 기타 돼지정액에서 분리 보고된 균주나 Serratia 속균에서는 유전자 증폭 산물이 형성되지 않아 특이성이 인정되었다. PCR 기법의 민감도는 S. marcescens에서 추출된 DNA 50 pg/μl까지 검출이 가능하였다. 디스크확산법에 의한 국내 돼지정액 유래 S. marcescens의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gentamicin, ceftiofur, neomycin 등에서 80% 이상의 높은 감수성을 보였 다. 한편 ceftiofur, enrofloxacin, gentamicin, neomycin의 MIC90는 각각 8, 8, 8, 16 μg/ml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발된 PCR 기법은 S. marcescens를 동정하는 유용한 방법이며, gentamicin 등 선발된 항생제는 S. marcescens에 의한 정액 내 세균오염을 관리하기 위한 희석제용 항생제로 추천된다. During the collection of boar semen, bacterial contamination usually occurs. The contamination has deleterious effects both on semen quality and on sow fertility. The majority of contaminants are gram-negative bacteria, especially Serratia marcescen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PCR assay for the identification of S. marcescens targeting the luxS gene (GenBank no. EF164926). S. marcescens yielded a specific 306 bp PCR product. However, no amplification was observed in the other strains tested. The detection limit of PCR was 50 pg/μl of template DNA of S. marcescens.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s of S. marcescens isolated from boar semen were tested using the disk diffusion method. Gentamicin, ceftiofur, florfenicol, and neomycin showed high sensitivity in this test.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was also determined by the broth microdilution method. The MIC90 values of ceftiofur, enrofloxacin, gentamicin, and neomycin were 8, 8, 8, and 16 μg/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CR amplification of the luxS gene is a reliable and effective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S. marcescens and that ceftiofur, enrofloxacin, gentamicin, and neomycin are effective semen extenders for controlling S. marcescens.

      • SCOPUSKCI등재

        대장균과 Serratia marcescens에서 Serratia marcescens Metalloprotease(SMP) 유전자의 발현

        김기석,정재연,박군식,김태운,변시명,신용철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5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3 No.3

        몇가지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제조하여 Serratia marcescens metalloprotease(SMP)의 발현을 대장균과 S. marcescens에서 조사하였다. Tac promoter를 갖는 SMP 고발현 플라스미드 pKSP2의 경우 대장균에서 SMP 유전자가 총 세포단백질의 36%로 고발현되었지만 전혀 활성이 없는 SMP 전구체로 세포내에 축적되었다. 활성이 있는 SMP를 생산하기 위해서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S. marcescens로 transformation시켰다. Lac promoter를 갖는 pSP2의 경우 S. marcescens에서 대조균 S. marcescens(pUC19)보다 5.1배 높은 530 U/㎖의 SMP를 생산하였다. 그러나 강력한 tac promoter를 갖는 pKSP2의 경우 S. marcescens 균체성장을 저해하였으며 또한 거의 SMP를 생산하지 못하였다. S. amrcescens에서 조절이 가능한 플라스미드를 만들기 위해서 SMP 유전자에 trc99a promoter와 이것의 조절유전자 lacI^q를 도입하여 pTSP2를 제조하였다. S. marcescens(pTSP2)의 경우 9시간 배양 후 1.0 mM IPTG로 유도하는 경우 최종 2,200 U/㎖의 SMP 수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것은 대조균의 21배에 해당하였다. To investigate high-level expression of Serratia marcescens metalloprotease (SMP) in Escherichia coli and S. marcescens, we constructed various recombinant plasmids: pSP2, containing SMP gene and lac promoter; pKSP2, containing SMP gene and tac promoter; pTSP2, containing SMP gene, trc99a promoter, and lacI^q. The recombinant E. coli (pKSP2) strain expressed SMP to a high-level, about 36% of total cellular proteins but accumulated inactive SMP precursors intracellularly, which indicated that E. coli does not have activation and secretion system for SMP. To overproduce active SMP, we transformed S. marcescens with the recombinant plasmids by a modified CaCl_2 method. The recombinant S. marcescens ATCC27117 (pSP2) containing lac promoter for SMP transcription produced 530 U/㎖ of active SMP on LB broth, which is about 5.1 times of the SMP yield, 105 U/㎖ of a control strain, S. marcescens ATCC27117 (pUC19). However, S. marcescens ATCC27117 (pKSP2) containing tac promoter for SMP transcription did not grow healthy and hardly produced SMP. To overcome a harmful effect of the strong tac promoter, we constructed a regulatory plasmid pTSP2 containing a strong trc99a promoter and its repressor gene lacI^q. When S. marcescens ATCC27117 (pTSP2) was induced with 1.0 mM IPTG after 9 hr cultivation, 2,200 U/㎖ of SMP was obtained in LB broth, which is about 21 times of that of a control strain.

      • KCI등재

        Chitinase 생성을 위한 배did 조건 최적화

        차진명,석근영,차월석 한국생물공학회 2001 KSBB Journal Vol.16 No.4

        Chitinase producing microorganism, Serratia marcescens KY, was isolated from seashore mud around Beobseongpo in Chunnam province by selective enrichment culture. As the colloidal chitin concentration increased, chitinase production was increased. But chitinase production with addition of other carbon sources (glucose, fructose, galactose, maltose, sucrose, starch) was decreased. The effect of nitrogen sources on the chitinase production with serratia marcescens KY was as fellows. The opitimum mineral concentration for chitinase production was K$_2$HPO$_4$ 0.2 g/L and MgSO$_4$ 0.20 ∼ 0.25 g/L, respectively. The effect of nitrogen sources on chitinase production by Serratia marcescens KY was increased as follows, tryptone > yeast extract > beef extract > asparagine. Serratia marcescens KY와 Serratia marcescens ATCC 27117 두 균주 모두 기본 배지에 $K_2$HPO$_4$ 농도를 0.2 g/L 농도 첨가할 경우 최대 chitinase 생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세포 성장에 따른 균체량은 기본 배지에 $K_2$PHO$_4$ 농도 0.2 g/L 이상에서는 균체량은 약간 감소한다. 1.2% colloidal chitin과 0.2 g/L의 $K_2$PHO$_4$가 포함된 기본 배지에 MgSO$_4$를 0.2-0.25 g/L를 첨가하였을 때 최대의 chitinase 생성을 보이고, 두 균주 모두 K, P, Mg 및 기타 mineral을 영양 요구 인자로서 필요한다. Colloidal chitin을 1.2% 함유하고 있는 기본 배지에 각종 탄소원의 종류에 따른 세포 성장과 chitinase 생성은 colloidal chitin만을 첨가하였을 때가 상대적으로 가장 우수하고, 탄소원을 첨가할 경우 Serratia marcescens는 모든 탄소원에서 chitinase 생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질소원에 따른 세포 성장과 chitinase 생성은 Serratia marcescens KY와 Serratia marcescens ATCC 27117 모두 tryptone이 가장 우수하였고, 2.0 g/L의 질소원 농도까지는 질소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hitinase 생성은 증가하다가 2.0 g/L 이상의 농도에서는 질소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hitinase 생성은 감소하였다. 이들 질소원 중 chitinase 생성은 trypotone>yeast extract > beef extract > asparagine 순서로 chitinaserk 생성되므로, Serratia marcescens는 chitinase 생성에 있어 vitamin B군과 같은 질소원을 growth factor로 요구한다.

      • KCI등재

        파프리카에 발생하는 주요 병원균에 대한 길항미생물, Serratia marcescens-YJK1, 분리와 특성

        양수정,김형무,주호종,Yang, Soo-Jeong,Kim, Hyung-Moo,Ju, Ho-Jong 한국유기농업학회 2014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2 No.4

        파프리카에 발생하는 병들을 방제하기 위하여 합성농약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왔지만 최근에 수많은 농약사용의 부작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다. 파프리카 주요병인 잿빛곰팡이병, 줄기 및 과실썩음병, 역병, 균핵병, 시들음병을 방제하기 위한 미생물을 분리하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지방산분석과 16S rDNA 염기배열은 이 연구에서 분리한 YKJ1가 Serratia marcescens 그룹에 속하는 것을 밝혔다. 특히, YKJ1의 16S rDNA 염기배열은 S. marcescens의 염기서열과 99% 상동성을 보였다. 광학현미경을 통해 YKJ1처리에 의해 병원균의 포자 발아 및 균사 생장이 저해됨을 확인 하였다. YKJ1처리는 팽윤균사와 같은 현저한 형태적 변화와 세포벽의 분해를 유발하였다. 역병균의 경우 유주자낭의 형성이 억제되었다. 본 연구에서 동정한 S. marcescens는 S. marcescens-YKJ1으로 부르고자 한다. 포장실험등과 같은 시험이 차후 더 요구되어지나 파프리카의 주요 병관리를 위한 생물적 방제제의 하나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ynthetic agro-chemicals have been widely used to control diseases on paprika but these days negative attention has been increasing to use of them because of several adverse effect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solate and to characterize the antagonistic microorganism to control major paprika diseases, gray mold rot, fruit and stem rot, phytophthora blight, sclerotium rot, and wilt disease. Analysis of the fatty acid and analysis of the 16S rDNA gene sequence revealed that YKJ1 isolated in this research belongs to a group of Serratia marcescens. Specially, 16S rDNA gene sequence of YKJ1 showed 99% of sequence similarity with S. marcescens. Observation through the optical microscope revealed that YKJ1 suppressed the spore germination and the hyphal growth of pathogens. YKJ1 treatment on pathogens induced marked morphological changes like hyphal swelling and degradation of cell wall. In the case of phytophthora blight, the zoosporangium formation was restrained. S. marcescens found in this study call as S. marcescens-YKJ1 and it may be valuable as one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against major diseases of paprika in the future even though it is require to be tested with more study on field test.

      • SCOPUSKCI등재

        Serratia marcescens Strain P 성장에 미치는 중금속 내성

        유관희,이호용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2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0 No.6

        공장 폐수를 비롯한 중금속 오염 환경으로부터 효율적인 중금속 제거를 위해 생물학적 오염제거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Serratia marcescens를 대상으로 이 균주가 중금속들에 대해 어떤 경향을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lead, iron, magnesium, manganese 등의 처리군에서 24시간내에 1,000 ppm 이상의 고농도 처리군에서 최소억제성장농도(MIC)를 나타냈으며, cadmium에서는 600 ppm 처리군에서, 구리는 800 ppm의 처리군에서 MIC를 보였으며, 아연 처리군에서는 50 ppm에서 MIC를 나타냈다. 또한 48시간 배양에 따른 MIC 비교 결과, 중금속의 고농도 처리군에서 매우 긴 적응기를 갖는것으로 확인하였다. 15가지의 항생제를 대상으로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ampicillin, tetracycline, cefamandole, cephalothin에서 저항성을 보였으며 다른 S. marecescens 균주들에 비해 chloramphenicol에 대한 특이한 민감성을 보였다. 카드뮴과 납을 대상으로 중금속의 세포내 흡수를 조사한 결과 16.59%와 35.38%의 중금속이 세포내로 흡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he resistant effect of several heavy metal ions to Serratia marcescens stain P was studied by the method of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 and testing for their metal biosorption. S. marcescens strain P showed a good survival in the presence of high concentrations of some metal ions, namely cadmium, lead, iron, magnesium, and manganese. Copper had the most inhibitory effect among tested. The MIC value was ranged from 0.79 to 1.58 mM. Cells of S. marcescens strain P exhibit an abnormally long lag phase when incubated in high concentrations of zinc and cadmium. Pigment production was reduced by zinc and cadmium, but enhanced by lead and iron. S. marcescens strain P was resistant to ampicillin, tetracycline, cefamandole and chloramphenicol with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128 ㎍/㎖, 32 ㎍/㎖, 256 ㎍/㎖, and 8 ㎍/㎖, respectively. The kinetics study of biosorptive uptake by S. marcescens strain P revealed that 16.59% of cadmium and 35.38% of lead were eliminated from the media.

      • Molecular Approaches to Determine the Character of Serratia marcescens Associated with the Insect Pathogenicity to Brown Planthopper

        KIM, HEE KYU,BAE, DONG WON,PARK, JIN HEE,YUN, HAN DAE 경상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3 遺傳工學硏究所報 Vol.12 No.-

        벼멸구에 강한 병원성이 있는 Serratia marcescens, biotype A2a를 분리, 동정하였다. 벼 유묘에 분무한 후 성충-계절풍을 따라 비래하는 형태-을 공시하고 병원성을 조사하여 3∼5일 만에 강한 살충력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세균의 곤충병원성 관련 형질 탐색을 하기 위하여 Tn5로써 돌연변이를 시도한 후, Chitinase, Protease, DNase indicator media에서 돌연변이 계통을 분리하였다. 이들을 공시충에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Pro-Strain중에서 병원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공시충을 전자현미경(SEM, TEM )으로 관찰하여, abdomen 의 전장부위와 표피사이에 다수의 세균이 증식하였음을 발견하였다. 곤충복부표피조직중 cuticle층은 intact 한 상태였다. 따라서, 이에 관련된 유전자를 분리하기 이해 genomic library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A bacterium, pathogenic to Nilaparvata lugens Stal. cousing high mortality in 3∼5 days, were selected and identified as Serratia marcescens biotype A2a which is not a nosocomially infective strain. In order to determine the characters of Serratia marcescens associated with insect pathogenicity, Tn5 mutagenesis was carried out by conjugating with E. Coli pJB4J1. Transconjugants were plate-assayed for missing chitinase, protease and DNase activity. A protease negative mutant was selected for missing insect pathogenicity. SEM and TEM revealed the presence of bacterial cells in the epithelial tissue of inner abdomal itssue of the hypodermic layer of abdomen. Such a colonization was limmited to the subjacent tissue inside the intact cuticular epidermis. These observation supported our result of pathpgenicity tests of transconjigants.

      • Serratia marcescens Nuclease의 Escherichia coli에서의 분비

        신용철,이상열,김기석 慶尙大學校 기초과학연구소 1991 基礎科學硏究所報 Vol.7 No.-

        Serratia marcescens가 세포외 배지 중으로 분비하는 nuclease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pNUC4 플라스미트를 E. coli에 transformation하여 E. coli에서의 분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E. coli에서 Serratia nuclease 활성이 세포내 periplasm 세포밖 배지 중에서 각각 16.6%, 54.2%, 29.2%로 측정되었다. 배양시간에 따라서 nuclease는 면적 periplasm에 축적되었으며 점차적으로 세포외 배지 중으로 분비되었고 세포내에서는 낮은 효소활성이 점차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분비기작을 연구하기 위해서 에너지대사 저해제인 sodium azide, signal peptide processing 저해제인 procaine, 단백질 합성 저해제인 chloramphenicol을 처리하였다. sodium azide 존재시 peripasmic nuclease 환경이 줄어들고 세포외 nuclease 활성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procaine과 chloramphenicol을 처리했을 때도 이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로 부터 E. coli에 있어 Serratia nuclease의 분비는 energy-dependent process 이면서 precursor processing이 필요한 inner membrane 통과와 이것과는 무관한 outer membrane 통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Secretion of Serratia marcescens nuclease by E. coli harboring pNUC4 was investigated. 29.2, 54.2 and 16.6% of total nuclease were observed in culture medium, periplasm, and cytoplasm of E.coli, respectively. To investigate the secretion mechanism of Serratia nuclease by E. coli, secretion kinetics of nuclease was examined in the presences of sodium azide, an energy metabolism inhibitor, procaine, an exoprotein processing inhibitor; and chloramphenicol, a protein synthesis inhibitor. In the presence of sodium azide, periplasmic unclease was gradually decreased and the extracellular nuclease was linear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ubation time.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presences of procaine and chloramphenicol.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two transport processes are involved in nuclease secretion: secretion of nuclease through the inner membrane is occurred by an energy-dependent process and probably requiring precusor processing: secretion of nuclease through outer membrane does not require energy, de novo protein synthesis, and precursor processing.

      • Changes of Cell Surface Hydrophobicity of a Serratia marcescens with Cultivation Time and Temperatures

        Lee, Sang-Yeol,Shin, Yong-Chul,Kang, Eun-Kyeong,Kwon, Heun-Young,Cho, Moo-Je 慶尙大學校 기초과학연구소 1990 基礎科學硏究所報 Vol.6 No.-

        Serratia marcescens를 30℃에서 진탕배양했더니, 적색색소인 prodigiosin이 초로기(senescent phase of growth)에서 생성되었다. 그리고 이조건에서 배양한 세포를 polystyrene dish를 사용하여 세포의 hydrophobicity를 측정한 결과 상당한 소수성 성질이 발현되어 대부분의 세포가 비극성 성질의 polystyrene dish에 흡착되었다. 그러나 이 박테리아를 37℃에서 배양했던, 적색색소인 prodigiosin도 생성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소수성 성질도 발현되지 않음으로서 세포가 polystyrene dish에 흡착되지 않고 pre-washing 단계에서 모두 씻겨 나갔다. 또한 30℃와 37℃에서 배양한 serratia marecescens의 지질성분을 분석한 결과, 30℃에서 배양한 세포의 지질은 phospholipid, glycolipid 및 확인되지 않은 지질 등이 생성되었으나 37℃에서 배양한 세포의 경우 주로 양쪽성 성질의 aminolipid인 serratamolide가 생성되어, 배양한 온도조건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로부터, Serratia marcescens 세포 표면의 소수성 성질은 세포배양 시간과 배양온도의 조건에 영향을 받는 여러 요인들에 의하여 변화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S. marcescens cultured at 30℃ with vigorous shaking was shown to produce red-pigment, prodigiosin, in the senescent phase of growth. Also, it showed many hydrophobic characteristrics, which were tested by the adherence to noncharged surfaces of polystyrene dishes, a typical agent for the binding of hydrophobic cells and molecules. However, when the cell was cultured at 37℃, it no longer produced either red pigment or hydrophobic materials. Therefore, the bacteria cultured at 37℃ was completely washed-out from the polystyrene dishes at the copious washing step with tap water, in contrast to the cell cultured at 30℃ which was sticked onto the polystyrene dishes very tightly. The lipid compositions extracted from the S. marcescens cultured at 30℃ or 37℃ we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hospholipids, glycolipids and unidentified lipids were porduced from the cell cultured at 30℃, whereas large amounts of serratamolide, amphipathic compound, were produced from the cell cultured at 37℃. The data suggest that the pronounced cell surface hydrophobicity of the S. marcescens is mediated by a combination of several surface factors that affected by cultivation time and temperatures.

      • Serratia marcescens에서 cAMP receptor protein(CRP)유전자의 클로닝 및 해석

        유주순,문종환,정수열,김혜선,최용락 東亞大學校附設遺傳工學硏究所 1999 遺傳工學硏究 Vol.- No.6

        전사조절인자로서 잘 알려져 있는 cAMP receptor protein(CRP)은 cAMP와 DNA에 결합하는 특별한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cAMP-CRP complex를 형성하여 수많은 유전자의 발현조절에 관여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cAMP-CRP의 조절은 어떤 면에서 총체적 조절체계라고까지 한다. 본 연구는 Serratia 균주에서 crp유전자의 분자적 특성 및 cAMP에 의한 발현조절을 받는 분자기구를 해석하고자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발현을 확인하였다. MacConkey배지에서 maltose를 탄소원으로 충분히 이용하지 못하는 대장균 TP2139(△crp,△lac)를 숙주로 이용하고, 염색체DNA를 library로 작성하여 얻은 형질전환체 약 일만개의 콜로니에서 red colony를 나타내는 5종류 의 양성 클론을 얻었다. 이들 클론을 Southern방법으로 확인한 결과 3kb의 단편을 가진 pCKB12클론이 crp유전자를 coding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glpD-lacZ 융합 plasmid인 pLDC6 의 BamHI부위에 pCKB12의 3kb 단편을 삽입시킨 재조합 plasmid pLDC 6-Scrp를 작성하여, 클로닝된 Serratia 의 crp 유전자가 대장균에서 유전자 전사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cAMP-CRP 복합체 형성에 의한 전사조절 기능이 확인되어졌다. One of the better-characterized transcription factor of E. coli is the cAMP receptor protein(CRP) and the CRP binds cAMP and DNA. The cAMP-CRP complex is involved in regulation of many genes at bacteria. The cAMP-CRP regulatory element represents, in some respects, a global regulatory network. The aim of this work was to study the structure and the mechanisms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CRP in Serratia marcescens. We have been get 5 different clones from Serratia which stimulated the cells to use maltose as a sole carbon source in E. coli TP2139. The crp gene clone, pCKB12, was confirmed by Southern hybridization with E. coli crp gene. The location of the crp gene was determined by constructing subclones carrying various portions of pCKB12.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role of CRP in E. cloi, lacZ fused plasmids were constructed and investigated the β-galactosidase activity of the fused plasmid. The Serratia marcescens cAMP receptor protein can substitute the E. coli CRP in transcriptional activation at the lacZ ge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rratia marcescens cAMP receptor protein complex functions to regulate several promoters in E. coli.

      • Serratia marcescens Nuclease의 Escherichia coli에서의 분비

        신용철,이상열,김기석 慶尙大學校 기초과학연구소 1990 基礎科學硏究所報 Vol.6 No.-

        Serratia marcescens에서 세포와 배지중으로 분비되는 nuclease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pNUC4 플라스미드를 E. coli 에 tranformation하여 E. coli에서의 분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E. coli에서 Serratia nuclease 활성이 세포내, periplasm, 세포밖 배지중에서 각각 16.6%, 54.2%, 29.2% 측정되었다. 배양시간에 따라서 nuclease는 먼저 periplasm에 축적되었으며 점차적으로 세포외 배지중으로 분비되었고 세포내에서는 낮은 효소활성이 점차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분비기작을 연구하기 위해서 에너지 대사 저해제인 sodium azide, signal peptide processing 저해제인 procaine, 단백질 합성 저해제인 chloramphenicol을 처리하였다. Sodium azide존재시 periplasmic nuclease 활성이 줄어들고 세포외 nuclease 활성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procaine과 chloramphenicol을 처리했을 때도 이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로부터 E. coli에 있어 Serratia nuclease의 분비는 energy-dependent process 이면서고 precursor processing이 필요한 inner membrane 통과와 이것과는 무관한 outer membrane 통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Secretion of Serratia marcescens nuclease by E. coli harboring pNUC4 was investigzated. 29.2%, 54.2% and 16.6% of total nuclease were observed in culture medium, periplasm, and cytoplasm of E. coli, respectively. To investigate the secretion mechanism of Serratia nuclease by E. coli, secretion kinetics of nuclease was investigated in the presences of sodium azide, an energy metabolism inhibitor : procaine, an exoprotein processing inhibitor : and chloramphenicol, a protein synthesis inhibitor. In the presence of sodium azide, periplasmic nuclease was gradually decreased and the extracellular nuclease was linear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ubation time.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presences of procaine and chloramphenicol. Form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two transport procaine and chloramphenicol.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two transport processes are involved in nuclease secretion : secretion of nuclease through the inner membrane is occurred by an energy-dependent process and probably requiring precusor processing : secretion of nuclease through outer membrane does not require energy, de novo protein synthesis, and precursor proces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