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삼락(Samuel H. Moffett)의 역사 이해에 대한 비판적 성찰

        김승곤 한국교회사학회 2018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0 No.-

        이 글은 마삼락(馬三樂, Samuel Hugh Moffett)의 역사 이해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마삼락은 마포삼열(Samuel A. Moffett)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평양외국인학교, 휘튼 대학교,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공부하고, 1945년 예일 대학교에서 라투레트(Kenneth Latourette)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취득한다. 그는 복음적 에큐메니즘의 입장에서 복음전도, 교회연합, 사회참여를 융합하여 우선주의와 축소주의에 빠지지 않는 구조를 만든다. 교회가 자기봉쇄의 경향을 강화하면 세상에서 게토화 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그는 은둔주의자 타티안(Tatian)과 혼합주의자 바르다이산(Bardaisan)을 대조하며 초기 아시아 역사를 연구한다. 문화의 접근 모델로는 산 위의 은자, 도시의 감독, 학교의 교사, 기독교 게토의 족장을 제시하고, 본보기로는 땅 끝으로 나가는 선교사를 제안한다. 그의 선교신학은 선교의 중심과 변두리, 교회와 세상, 연합과 선교, 내부와 외부, 서양과 동양이 구분되는 경계를 강조하기보다는 예수 그리스도의 중심을 강조한다. 그는 아시아 교회의 성공과 실패의 요인들을 역사적으로 분석하고, 네스토리안 선교 또는 경교(景敎)를 연구하면서 교회는 이념과 권력과의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교회는 연합하고 선교하는 사명을 회복해야 한다고 촉구한다. 그는 서양에서 기독교가 시작되었다는 역사의 왜곡을 지적하고 아시아 중심의 교회역사를 서술하면서 동양과 서양의 교회역사는 서로 배워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flect critically on the history understanding of Samuel Hugh Moffett (1916-2015) focusing on Asian context. Samuel H. Moffett was the third son of Samuel Austin Moffett (1864-1939) and Lucia H. Fish. He studied at Pyongyang Foreign School, Wheaten University, and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and received his doctorate from Yale university under the guidance of Kenneth Latourette. Samuel H. Moffett’s evangelical ecumenism emphasized evangelism, church unity, and social engagement. He concerned about that if the church strengthened the tendency of self-containment, it would result in a lack of contact with the non-Christian world. He researched the early Asian history and contrasted the thoughts of Tatian with Bardaisan. He also presented the four models of the hem1it on his holy hill, the bishop in his blessed city, the teacher in his school, and the patriarch in his Christian ghetto. He put stress on the ultimate model of the missionary to the ends of the earth. His frontier mission theology emphasized the center of Jesus Christ, rather than distinctive boundaries between the center and the edge, the church and the world, unity and mission, inside and out, and the West and the East. He analyzed the factors of the success and failure of Asian churches and argued that the church should maintain a distance from ideology and power by studying Nestorian missionary. He insisted on restoring the church’s essence of the unity and mission. He pointed out the distorted history of the beginning of Christianity from the West, described the history of church in Asia and asserted the balance of the history of church in East and West.

      • KCI등재

        마삼락(馬三樂, Samuel Hugh Moffett)의 생애와 선교신학 연구

        김승곤 한국선교신학회 2017 선교신학 Vol.48 No.-

        이 글은 마삼락(馬三樂, Samuel Hugh Moffett, 1916-2015)의 생애와 선교신학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마삼락은 선교사, 목사, 교육가, 역사가, 설교자, 행정가, 저술가, 민간외교관, 종교기자, 특파 원과 같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마삼락은 한국 교회의 개척자 마포삼열(Samuel A. Moffett)의 셋째 아들이며 마포화열(Howard F. Moffett)의 형이다. 그의 생애는 30년 어간으로 1기(1916~1945), 2기(1945~1981), 3기(1981~2015)로 나눌 수 있다. 마삼락의 선교 신학은 복음전도, 교회연합, 사회참여라는 삼요소가 상호융합을 추구 하는 복음주의적 에큐메니즘의 통전적 성격을 지니면서 우선주의와 축소주의를 비판한다. 마삼락은 1966년 베를린대회와 1974년 로잔대 회에 참여한 복음주의자이면서 교회연합운동을 지지하며 에큐메니스 트 역할을 하였고, 마삼락은 복음전도와 사회참여를 동등한 협력자로 여기면서 교회분열과 교회의 자기봉쇄를 죄로 규정하면서 교회의 연합 과 선교를 주창하였다. 마삼락은 복음전도를 강조하여 예수 그리스도께 순종하는 영성을 실천하면서도, 신학교육을 통하여 한국교회가 세계교 회와 동반 협력하도록 공헌하였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life and mission theology of Samuel Hugh Moffett (1916~2015). He played a variety of roles such as a missionary, a pastor, an educator, a historian, a preacher, an administrator, a writer, a civilian diplomat, and a correspondent. He was the third son of Samuel A. Moffett who was a pioneer of the Korean church, and one of the brothers of Howard F. Moffett. He criticized prioritism and reductionism from the perspective of his mission theology, which was characterized as Evangelical Ecumenism. His mission theology as Evangelical Ecumenism was composed of Evangelism, Ecumenism, and Social Engagement. He was not only an evangelical missionary who participated in the Berlin Congress in 1966 and the Lausanne Conference in 1974, but also an ecumenical theologian who supported the church unity. Both evangelism and social engagement were considered as the equal partners within the framework of his mission theology. He advocated the unity of church as well as the mission of church. On the other hand, he criticized schism and self-containment of the church as a critical sin. Based on the biblical meaning of the gospel, he contributed to the church of Korea’s cooperation with the Church around the world for world mission through a theological education and a spirituality of obedience.

      • KCI등재

        『마포삼열 자료집』에 나타난 초기 개신교 선교사의 한국어 학습 고찰 : 韓國語 敎育史的 觀點에서

        박근희(Park Keun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9

        이 논문의 목적은 『마포삼열 자료집』에 나타난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의 실체가 어떠했는지를 한국어 교육사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료집에서 한국인 및 한국어와 관련된 기록을 찾아 당시 선교사들의 한국어에 대한 인식과 선교사들이 한국어 학습을 위해 일상에서 사용했던 방법, 그리고 한국인에 대한 인상과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의 실제 모습을 확인하고 이를 기술하였다. 『마포삼열 자료집』에 나타난 선교사들의 한국어에 대한 인식은 ‘한국어는 지극히 어려운 언어’이며, ‘한국어 습득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선교사들은 열악한 상황에서도 일상에서 한국어 공부를 위해 자신들만의 방법을 구상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한편 한국인을 인식하는 마포삼열 선교사의 태도가 한국에 정착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한국인을 더 이해하고 긍정적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록 선교의 목적이지만 당시 선교사들은 문맹자나 여성 교인들에게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서 한국어로 교육했던 모습들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실제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에서 종교적 사료라 할 수 있는 『마포삼열 자료집』에 나타난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의 실체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앞으로도 분야를 초월한 다각적인 시도의 연구들이 계속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education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how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learned Korean in the 『Sources of Samuel Austin Moffett』. To this end, we found records related to Koreans and the Korean language in the archives and identify and describe the missionaries percep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methods used by the missionaries in their daily live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their impressions of Koreans, and the actual appearance of education for Koreans. The missionaries’ perception of the Korean language in the 『Sources of Samuel Austin Moffett』 was that “Korean is an extremely difficult language” and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acquire the Korean language.” However, the missionaries worked hard to devise and practice their own methods for studying Korean in everyday life, even in poor conditions. Meanwhile, it was confirmed that S. A. Moffett s attitude, which recognized Koreans, settled in Korea, and he understood Koreans more and more positively over time. Additionally, even though they had missionary purposes, the missionaries at that time were able to learn how to teach illiterates and women in Korean using various method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s at the true nature of Korean language learning by missionaries in the 『Sources of Samuel Austin Moffett』, which can be called religious feed in the absence of activ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I look forward to continuing diverse research attempts beyond this field.

      • 말라카에서 서울까지, 『쟝원량우샹론』의 전래, 번역 그리고 한국교회사적 의의

        이영식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지평 Vol.35 No.-

        1813년 LMS 소속 선교사 윌리엄 밀른(William Milne, 米燐)이 중국에 도착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아 말라카에서 선교부를 개설하여 선교활동 을 했다. 그는 이곳에서 1818년 영화서원(英華書院)을 설립하였으며, 1819 년 『쟝원량우샹론(張遠兩友相論)』의 저술을 마치고 출판하였다. 『쟝원 량우샹론』은 기독교인 장(張)씨와 기독교에 호기심이 많은 원(遠)씨와의 대화체로 구성된 전도문서 및 교리문서이다. 이 전도문서는 중국과 동아 시아에 인기가 많았던 책자이다. 따라서 일본과 한국에서도 번역판이 출 판되어서 복음화에 기여했다. 1893년경에 마포삼열(S. A. Moffett) 선교사에 의해서 국내 한글번역본 이 출판되었다. 『쟝원량우샹론』은 민족복음화의 귀중한 결실을 가져오 는데 공헌을 했다. 또한 문서선교의 지평을 넓혀주었으며, 순 한글로 번 역되어 한글보급을 통한 민족문화 창달 및 한국 근대화 발전에도 큰 기 여를 했다. 그리고 한글번역판 『쟝원량우샹론』은 오늘날의 한국교회에 복음전파에 대한 열정을 갖도록 촉구하고 있다. 아울러 『쟝원량우샹론』의 국내도입과 전파는 동서양 문화교류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In 1813, William Milne, a missionary from LMS, arrived in China, but due to circumstances, he opened a missionary station in Malacca to conduct missionary work. He established The Anglo-Chinese College(英 華書院) here in 1818 and he finished writing and published The Two Friends(張遠兩友相論) in 1819. The Two Friends was a missionary and doctrinal tract consisting of dialogues between two friends, Christian Chang and non-Christian Yuen. This evangelistic document was popular in China and East Asia. Therefore, translations were also published in Japan and Korea and contributed to evangelization in their nations. Around 1893, a Korean translation of The Two Friends was published by missionary S. A. Moffett. This tract contributed to bringing the precious fruits of national evangelization. In addition, it broadened the horizon of documentary missionary work and was translated into pure Korean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promotion of national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rnization through the distribution of Hangeul by being translated into pure Korean. And the Korean translation version of The Two Friends urges today’s Korean church to have a passion for evangelical propagation again. Moreover, the int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The Two Friends in Korea has the meaning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East and West.

      • KCI등재

        마삼락(Samuel H. Moffett)의 선교적 교회론 형성 배경에 관한 소고

        김승곤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4 복음과 선교 Vol.65 No.1

        마삼락(Samuel H. Moffett)의 선교적 교회론 형성 배경에 관한 소고본 논문은 마삼락(馬三樂, Samuel H. Moffett, 1916-2015)의 선교적 교회론 형성 배경에 관한 이해와 선교적인 함의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마삼락 선교사는 평양에서 마포삼열(Samuel A. Moffett, 1864-1939) 선교사의 셋째아들로 태어나 평양외국인학교, 미국 휘튼대학교, 프린스턴신학교를 거쳐 1945년 예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는다. 중국교회를 주제로 박사학위논문을 쓴 마삼락은 1947년 중국 선교사로 파송을 받는다. 그러나 1951년 공산주의 영향으로 추방을 당한다. 그는 기독교 복음의 능력으로 공산주의 이념을 극복하기 위하여 기독교의 사회참여를 강조하고 그 대안으로 설정한다. 이후 1955년 한국 선교사로 파송을 받고 26년간 한국교회의 지도력 양성과 신학교육에 이바지한다. 1959년 마삼락은 한국교회 분열의 역사 속에서 연합과 일치를 도모하였고 세계교회와의 협력에 앞장선다. 그가 중국 공산주의 영향으로 추방을 경험한 사람이었음에도 한국교회 분열 역사에서는 용공(容共) 논쟁에 휘말려 오해를 받기도 한다. 복음의 능력, 교회의 연합, 사회 참여를 함께 균형 있게 강조한 마삼락은 교회의 자기봉쇄(自己封鎖)가 선교를 방해하는 걸림돌이고 연합을 해치는 죄라고 비판한다. 그는 교회의 본질은 선교와 연합을 위한 부르심에 있음을 상기시킨다. 마삼락의 선교적 교회론은 복음의 능력을 전하는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임을 강조하면서 하나의 제자 공동체가 되라는 예수님의 명령에 입각한 본질적인 연합을 강조한다. A Study on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Formation of Missional Ecclesiology by Samuel H. Moffet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background and implications of missional ecclesiology with the perspective of Samuel H. Moffett(1916-2015). He was born in Pyongyang as the third son of Samuel A. Moffett(1864-1939). He studied Pyongyang Foreign School, Wheaton College, and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and received his Ph.D. from Yale University in 1945, under the supervision of Kenneth S. Latourette. He was sent as a missionary to China in 1947. However, in 1951, he was subject to involuntary withdrawal due to communist influence. He emphasizes Christian social participation and sets it up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communist ideology with the power of the Christian gospel. Afterwards, he was sent as a missionary to Korea in 1955 and contributed to leadership training and theological education in the Korean church for 26 years. In 1959, He promoted church unity in the history of division in the Korean church and took the lead in cooperation with the world churches. Although he was a person who experienced exile due to the influence of Chinese communism, in the context of schism in Korean church, he was caught up in the controversy over pro-communism and was sometimes misunderstood. He, who emphasized the power of the gospel, the unity of the church, and social participation in a balanced way, criticizes the church for self-containment, which is an obstacle to missionary work and a sin that harms the unity of church. He reminds us that the essence of the church lies in its call for mission and unity. His missionary ecclesiology emphasizes not only the fact that the church that spreads the power of the gospel is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but also the essential unity of the church based on Jesus’ command to become one toward the community of disciples.

      • KCI등재

        한국교회의 성장과 분열에 대한 선교적 함의

        김승곤(Seung Kon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7 선교와 신학 Vol.43 No.-

        본 논문은 마삼락(Samuel H. Moffett, 1916-2015)의 한국교회 성장과 분열에 대한 역사적 해석과 그 선교적인 함의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는 평양에서 마포삼열(Samuel A. Moffett, 1864-1939) 선교사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평양외국인학교, 미국 휘튼대학교, 프린스턴신학교를 거쳐 1945년 예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마삼락은 마포삼열, 라투레트, 스피어, 뉴비긴 등의 영향을 받았다. 1947년 중국선교사로 파송을 받았고, 1951년 공산주의의 영향으로 추방을 당한 후 1955년 한국 선교사로 파송을 받고 26년간 한국교회의 지도력 양성과 신학교육에 이바지하였다. 1959년 마삼락은 한국교회 분열의 역사 속에서 연합과 일치를 도모하였고 세계 교회와의 협력에 앞장섰다. 그는 교회의 자기봉쇄(自己封鎖)가 선교를 방해하는 걸림돌이고 연합을 해치는 죄라고 비판하였다. 그는 교회의 본질은 선교와 연합에로 부르심에 있음을 상기시켰고, 한국교회를 위하여 에큐메니칼 선교의 초석을 놓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missional implications on the growth and schism of Korean churches with the perspective of Samuel H. Moffett(1916-2015). He was born in Pyongyang as the third son of Samuel A. Moffett(1864-1939). He studied at Pyongyang Foreign School, Wheaton University,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and received his Ph.D. from Yale University in 1945, under the supervision of K. S. Latourette. He was influenced by thought of his father, Kenneth Latourette, Robert Speer, and Lesslie Newbigin. In 1947, he was sent to China as a missionary. After being expelled by the influence of communism in 1951, he was sent to Korea as a Korean missionary in 1955 and committed the training of Korean church leadership and theological education for 26 years. In 1959, he promoted unity in the context of the schism of Korean churches and took the leadership in cooperating with the world church. He defined the sin of selfcontainment as lack of meaningful contact with the non-Christian world. He contributed to unity in the schism of Korean church and to strengthen solidarity with the world church. He laid the foundation of the ecumenical mission in Korean church.

      • KCI등재

        초기 개신교 선교사의 ‘한국어 능력 평가’에 관한 史的 고찰 : 『마포삼열 자료집』을 중심으로

        박근희(Park Ke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는 『마포삼열 자료집』에 나타난 선교사들의 ‘한국어 능력 평가’에 관한 내용을 한국어 교육사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최근 공개된 마포삼열의 서신들과 <한국어 시험 위원회> 보고서, 그리고 기타 자료들이 정리되어 책으로 출간된 『마포삼열 자료집』에는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 능력 평가’ 점수 및 내용이 비교적 소상히 기록되어 있다.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 다루지 못했던 선교사 개인의 평가 점수와 그 내용까지 표시되어 있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평가의 내용 및 평가 방식 등을 논의하는 데에 기준점으로 삼거나 근대 한국어교육의 역사적 기록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마포삼열 자료집』의 기록들 중에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부분을 상세히 살펴 마포삼열 선교사가 2년 차 되던 시기인 1891년 문답 형식으로 치러진 시험 방식 전체 과정, 그리고 1901년 마포삼열이 아내에게 쓴 서신의 내용을 통해 당시 한국어 평가 방식 및 점수에 대한 일부 정보 등을 기록하였다. 1904년과 1905년 선교본부에 보내는 보고서 내용을 통해서는 해당 년도 1, 2, 3년 차 선교사들의 구체적인 점수와 평가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기록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선교사들의 한국어 시험 평가 및 관리의 주최인 <한국어 시험 위원회>의 다양한 역할과 활동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계기로 다양한 자료들이 종교적 기록물로서의 개념을 넘어 근대 한국어교육의 역사를 재조명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될 수 있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 for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recorded in the 『Samuel Austin Moffett Colle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educational history. The 『Samuel Austin Moffett Collection』 was published with recently disclosed letters, <Korean Language Examination Committee> reports, and other materials of S. A. Moffett contains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relatively detaile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ssessment scores and evaluations. In particular, the evaluation scores and contents of individual missionaries, which were not covered in previous studies, were displayed, so it was worth being used as a reference point for discussing the contents and evaluation method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or as a historical record of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examined the detail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und and recorded some information on the Korean language evaluation methods and scores of the 『Samuel Austin Moffett Collection』 through the entire course of the test conducted in 1891, when S. A. Moffett was in his second year, and the contents of the letter written to his wife in 1901. Through the contents of the report sent to the Mission Headquarters in 1904 and 1905, the specific scores and evaluations of missionaries in the 1st, 2nd, 3rd year were identified and recorded. In this process, the missionary organizers of the Korean test evaluation and management various roles and activities of <Korean Language Examination Committee> were confirm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allow various materials to be evaluated as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that can shed light o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beyond the concept of religious records.

      • KCI등재

        초기 내한 선교사들의 언어적 동일화 연구: 언더우드, 마펫, 게일을 중심으로

        김혜정(Hye Jeong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0 선교와 신학 Vol.51 No.-

        선교사는 복음을 전하는 사명자이다. 선교현장에서 선교사는 현지어에 숙달하려는 능력이나 의지를 분명히 갖추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선교사의 언어적 동일화에 대해 초기 내한 선교사였던 호러스 G. 언더우드, 사무엘 A. 마펫, 제임스 S. 게일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특별히 올해가 마펫 선교사의 내한 130주년임을 고려할 때 동시대에 내한하여 선교사역한 세 명의 선교사를 살펴보는 것은 더욱 의미가 남다르다고 하겠다. 언더우드는 25세에 선교사로 파송 받고 26세의 나이에 내한하여 30여년 동안 선교사역하였고 새문안교회를 설립하여 사역하였다. 언더우드보다 5년 늦게 내한한 마펫은 1890년 내한하여 1936년 그의 나이 72세 때까지 47년 동안 사역하였다. 특별히 평양에 선교지부 설립에 공헌하였고, 1903년 평양신학교 개교, 1904년 평양신학교 초대교장으로 부임하여 교육사역에 35년 동안 전념하였다. 게일은 1888년 내한하여 1928년까지 40여년 동안 사역하였고, 1900년부터 28년 동안 연못골교회(현 연동교회) 담임목사로 사역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내한 선교사로서 이들의 언어적 동일화의 노력과 특징에 관해 선교편지, 선교보고서, 기고 글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연구를 시도한다. 언어적 동일화에 관해 현지어 습득의 태도과 진보, 성경 번역 등 문서사역, 내한 선교사들에게 끼친 영향 등을 중심으로 논하고, 이에 대한 이들의 언어적 동일화의 선교신학적 평가를 제시하며, 오늘날 선교사들에게 이들을 넘어선 선교사 동일화의 노력이 강조되고 지속되기를 요청한다. A missionary refers to a person who has a calling to preach the gospel. Therefore, the missionaries should have an ability or a will to become proficient in the local language of a mission field. In that regar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inguistic identification patterns at the early stage of Christian mission in Korea based on the missionaries such as Horace G. Underwood, Samuel A. Moffett and James S. Gale. In considering that this year marks the 130th anniversary of the missionary Samuel A. Moffett, it would be all the more significant to investigate three missionaries who visited Korea at a similar period and devoted themselves to the missionary works. Horace G. Underwood was nominated as a missionary and dispatched to Korea at his age of 25 and 26, respectively, and he had served as a missionary more than 30 years since then. Samuel A. Moffett, who visited Korea five years later than Underwood, had conducted the missionary works for 47 years until his age of 72 since coming to Korea in 1890. Moffett, in particular,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Pyongyang mission station and opened the Pyongyang Theological Seminary in 1903. Subsequently, he had dedicated himself to the educational missionary works for 35 years since being appointed as the first principal of the Pyongyang Theological Seminary in 1904. James S. Gale had served missionary works for about 40 years until 1928 since visiting Korea in 1888, including the 28 years of his missionary work as a senior pastor of the Pond Valley Church. This study attempts a study by mainly investigating missionary letters, missionary reports and articles in terms of their efforts and characteristics for linguistic identification as the missionary of the early stage of Christian mission in Korea. In other words, this study discusses about the linguistic identification by focusing on their attitudes and advancement in acquiring local language, missionary works in documentation such as translation of the Bible and influence on other missionaries visited Korea, thereby suggesting the missiological evaluation on linguistic identification of the missionaries who served in Korea at the time, and we hoped that the efforts on linguistic assimilation by the missionaries in recent days would be emphasized and continued comparing with those of the missionaries in the early stage of Christian mission in Korea.

      • KCI등재

        한국개신교회의 새벽기도의 초기에 대한 연구

        이말테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1

        한국개신교회의 새벽기도에 대한 경건 서적이나 일반적인 도서는 수많지만 새벽기도의 초기를 연구한 학문적 글들의 수는 매우 적다. 필자는 2004년에서 2010년 사이에 한국교회의 새벽기도의 역사적 기원과 종교적 배경에 대하여 연구했고 2010년 7월에 박사학위 논문을 제출하여 2011년 2월에 독일 아우구스타나 대학교에서 종교학/선교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오늘까지 한국 목사들과 신학자들의 대다수가 새벽기도가 20세기 초의 부흥운동 때나 그보다 조금 이전에 시작되었다고 생각하며 길선주를 창시자로 본다. 필자가 2004년과 2005년에 한국개신교회의 새벽기도가 이미 1890년대에 실천되었다는 증명을 발견한 후 2006년에 옥성득 박사가 한국 교회의 새벽기도가 1898년에 시작되었다는 논문을 출판했다. 그러나 필자의 연구에 의하면 한국개신교회의 새벽기도가 1898년 보다 더 일찍 실천되었다. 박사학위 논문에서는 그 이전에 이미 한국천주교인들이 실천했던 새벽기도도 연구했고 새벽기도의 종교적 배경도 연구했지만 이 논문에서는 우선 개신교회의 새벽기도의 초기에 대해서만 집중하며 다른 연구결과들은 앞으로 차차 소개할 계획이 있다. 박사학위 취득 후에 한국개신교회에서 아마도 가장 일찍 실천되었던 새벽기도에 대한 기록을 필자가 2011년에 김경진 박사를 통하여 알게 되었다. 이에 대한 증거도 검토하며 논문 마지막에서 한국 개신교회에서 새벽기도를 시작한 자가 누구이었는지에 대해 논하려고 한다. The author gives an overview over the oldest early morning prayers of Korean Protestants between 1880 and 1909. Out of the 14 examples, 6 were newly detected by the author. The author gives a brief analysis and sometimes a new interpretation of all examples. Until 2006 when Sung-Deuk Oak introduced an early morning prayer held in 1898, the earliest known early morning prayers stemmed all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author found 5 examples for early morning prayers before 1898, the earliest in September 1890. In 2011, through Kyeong-Jin Kim, he learned of a description of maybe the oldest early morning prayer by a Korean Protestant known so far, that can be dated into the years between 1880 and 1891. The author shows that the usual explanations for the beginning of the practice of early morning prayers are obsolete through his research. Neither did the early morning prayers start during the Revival Movement, nor were they initiated by women, introducing Korean women's traditional folk-religious custom of early morning prayer during the offering of "Jeong-An-Su" (also called "Jeong-Hwa-Su" or "Ok-Su") into the church, as at least six out of the earliest seven examples were practised only by men. Also the allegation that Koreans started them autonomously has become very questionable, as in two cases, foreign missionaries held early morning prayers all by themselves, and Samuel Austin Moffett possibly was involved in five of the earliest seven examples. Besides Moffett, also Seok-Jin Han and Hong-Jun Baek and the early Protestant community in Euiju may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introduction of early morning prayers into the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