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리아 그랜드세일 정책의 효과성 분석: 2013~2015 외래관광객 실태조사를 활용

        오영미,신홍철 한국호텔관광학회 2016 호텔관광연구 Vol.18 No.6

        The Korea Grand Sales is shopping tourism festival during the low season aim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FIT. The Korea Grand Sales is held by the Koran government and private companie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 Grand Sale tourism policy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e employ a representative micro-level data of Foreign Tourists Survey from 2013 to 2015 for the empirical study. The Korea Grand Sale is designed to provide a variety of shopping promotions for inbound tourists visiting in Jan ~ Feb annually. It is the main purpose of this policy to attract inbound tourists in low season, to increase per capita overall and shopping expenses and moreover to motivate their revisits in the near future. As an instrument for policy evaluation, yearly linear regression approach is adopted and we focus on per capita expenditure difference of foreign tourists between sale-period and non-sale-period. In summary, three empirical results are found. First, despite the Korea Grand Sale, still low-season per capita spending is less than high-season(Mar~Dec). Second, the gap of tourist spending between sale- and non-sale periods is gradually reduced due to the Korean Grand Sale promotion and actively participating shops and companies. Third, when we limit our discussion to shopping expenses, the difference in 2015 becomes even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s well as the gap between sale- and non-sale periods is steadily shrinking over last three years.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the Korea Grand Sale is contributing to achieve the policy goals of increasing tourism revenue and revitalize the domestic economy.

      • KCI등재

        공매도 규제에 관한 연구

        이정수,김도윤 한국기업법학회 2017 企業法硏究 Vol.31 No.4

        Study of Regulation on Short Sale: Focusing on Problems Related to Current Structure of Regulation in Korea and Direction for Reform Jung-Soo Lee․Do-Youn Kim A short sale is an investment device which one sells a stock not possessed to. In a case where the stock price goes down, a short seller can get gains through selling stocks not owned and paying stock back some days later. It is a controversial issue whether a short sale should be regarded as a justifiable investment method or not, but principally, regulatory authorities have a negative view as well as public opinion. However, the short sale has many merits such as it provides liquidities to the stock market, it would be a new investment device to investors, and hedging device as well. In this regard, a regulatory frame for the short sale changes from overall prohibition to selective permission such as allowance of covered short sale and position disclosure obligation to mitigate its negative effect while maintaining positive ones. For this purpose, there is a regulatory regime set up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which has developed her own regulation system from the Securities Exchange Act to the Capital Market Law. In the present regulation frame in Korea, there are three core elements: exceptional allowance of covered short sale to minimize unsettlement risk, disclosure obligation of short position and a reservation of governmental market intervention right for market crisis. However, there are still problems in this regulatory frame. It is ambiguous to determine what is a covered or what is a naked. Also, no one denies there is a regulation gap to new investment devices connected to the short sale and a disclosing obligation reveals its limitation to the appearance of the TRS (Total Revenue Swap). Furthermore it is true that securing effectiveness of regulation by relying only on monetary fines which has a cap approximately thirty thousand USD is not only difficult but unrealistic. Therefore, Korean regulation frame is not completed but still developing one as well. In this paper, we have reviewed the meaning, merits of the short sale and analyzed regulation frames but more focused on the problems and future development of the regulations. We hope that this paper could be the one of references for determining of direction of the short sale regulations in the future. 공매도(空賣渡)란 보유하고 있지 않은 자산을 매도하는 거래를 의미한다. 향후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그대로 혹은 주식을 빌려서 매도한 뒤 차후 실제로 주가가 하락하면 같은 종목을 하락한 주가로 되사는 방법으로 차익을 얻는 매매기법이다. 공매도에 대해서는 찬반 양론이 존재하나, 기본적으로 주가에 하락 압력을 가하는 요인이 됨을 이유로 규제당국은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입장을 취해왔고, 사회적인 여론 또한 다르지 않았다. 하지만 공매도는 시장 가격 형성을 원활히 하고,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투자수단을 제공하며, 위험회피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 또한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공매도 규제의 프레임은 이러한 공매도의 이점을 고려하여 공매도의 순기능은 살린 채 그 역기능은 최소화하고자 하면서 전면 금지에서 선별적 허용 및 포지션 관리와 공시규제로 변화해왔다. 이를 위해 공매도 규제체계가 정립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증권거래법 시절을 지나 자본시장법이 제정되고 개정되어 오면서 나름의 체계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그 체계는 차입공매도의 예외적 허용을 통한 공매도의 결제불능위험의 최소화와 공매도 포지션 보고, 공시를 통한 시장보호 및 예외적인 금융당국의 시장개입유보로 정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체계 하에서도 여러 문제점이 남아 있다. 차입공매도의 기준은 여전히 모호한 점이 있고, 공매도와 다른 거래를 연계한 투자기법에 현 제도는 규제의 공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총수익스왑과 같은 새로운 파생상품의 등장으로 공매도 포지션 규제도 역시 한계를 노정하고 있으며, 과태료 처분만으로 공매도 규제의 실효성 확보도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공매도 규제에 대해서는 그 규제의 방향이 타당한지, 수단이 적정한지에 대해 논의가 계속 중이고, 우리나라의 공매도 규제 역시 완성형이라기보다는 현재 진행형에 가깝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공매도의 의의와 기능에서 시작하여 기존 논의의 정리․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공매도 규제체계를 들여다보고, 외국의 규제들과 비교한 다음 현행 공매도 규제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고가 향후 공매도 규제의 정책방향을 정립하고, 법규화하는데 있어 하나의 참고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商品房预售许可对商品房预售合同效力的影响(中国法)

        김세성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8 국제법무 Vol.10 No.2

        The “Urban real estate administration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as promulgated on July 5, 1994. It marks the formal establishment of China’s Commodity houses advance sale system on the legal level. Since then, the advance sale of Commodity houses has been opened nationwide. From July 1994 to May 2017, China’s real estate advance sale market has experienced the most prosperous 23 years. As an important part of China’s Commodity houses advance sale system, the Commodity houses advance sale licensing regulations solve the problem of unbalanced supply and demand in China’s real estate market to a certain extent, and ensuring the stability of Commodity houses advance sale. “Interpretation of the supreme people’s court on the relevant issues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law for trying cases on dispute over contract for the sale of commodity houses” was promulgated and entered into force on June 1, 2003. Article 2 of this judicial Interpretation provides that “A contract for advance sale of commodity houses which is concluded between a seller who has not obtained the certificate on permit of advance sale of commodity houses and a buyer shall be ascertained to be invalid, however, if the seller has obtained the certificate on permit of advance sale of commodity houses before litigation, the contract may be ascertained to be valid.” Chinese court cases in recent years show that, whether it is a non-fault party (buyer) or a fault party(real estate development enterprise) to file a lawsuit for determining that the contract for advance sale of commodity houses is invalid, Therefore, this paper will focus on how China’s commodity houses advance sale permit regulations affect the validity of commodity houses advance sale contract, and put forwar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Key words : commodity houses advance sale system, commodity houses advance sale permit, validity of advance sale contract, invalid lawsuit 1994년 7월 5일 [중화인민공화국도시부동산관리법]의 공포는 중국의 부동산예매제도가 법률측면에서 확립된 것을 의미한다. 그로부터 중국전국범위 내에서 부동산예매를 하기 시작했다. 1994년 7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중국부동산예매시장은 가장 번창한 23년을 경험했다. 부동산예매허가규정은 중국부동산예매제도의 중요한 일환으로서 일정한 정도로 중국부동산시장의 수급 불균형난제를 해결하면서 선분양부동산거래의 안정성을 보장해왔다. 2003년 6월 1일부터 시행한 [최고인민법원 부동산매매계약분쟁사건 심리 관련 약간문제에 대한 해석] 제2조에 따르면 “매도인이 부동산예매허가증명을 취득하지 못한 경우, 매수인과 체결한 부동산매매계약은 무효로 인정해야한다. 단, 소송을 제기하기 전까지 부동산예매허가증명을 취득한 경우 유효로 인정할 수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법원사례로 알 수 있는 것은 과실이 없는 부동산매수인이든 과실이 있는 부동산개발기업이든 상관없이, 부동산예매계약무효 확인의 소를 제기한 경우 법원은 “해석” 제2조에 따라 계약무효로 판시하였다. 이것은 관련 법령의 입법취지와 현저히 어긋난다. 따라서 본문에서 중국부동산예매허가규정이 부동산예매계약효력에 미친 영향을 분석할 것이며 개선방안을 제기할 것이다.

      • 부동산 정보 사이트 허위매물 등록정보 실태와 개선에 관한연구

        조성자,임재만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16 부동산분석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1

        부동산 정보 사이트는 부동산 중개업소가 의뢰받은 매물을 등록하는 곳으로 일반인들이 필요한 정보를 입수하거나 거래할 때 유용한 사이트이지만 허위매물 노출문제가 심각하다. 다수의 매물 노출 자체가 고객을 유인하는 광고로 사용되는 부동산중개업소와 정보 사이트로 인하여 허위매물이 줄어들지 않고 있다. 기존 해결방식인 신고제도는 사후처방으로서 실효성이 낮다. 이 연구에서는 매물을 등록하는 과정에서 사전에 허위매물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건축물대장과 토지대장의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중복매물을 여과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최소한 중복매물을 걸러주며, 오기재와 미기재로 인한 허위매물을 방지하고, 거래계약서 및 실거래가신고서 작성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부동산중개업 종사자에 대한 인터뷰로 사전 여과 방법 사용 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을 정리했다.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한 것은 다른 경쟁 부동산 중개업소에게 매물을 빼앗긴다는 것이다. 또한 매물에 대한 광고 홍보 효과가 줄어들고 직접 거래가 성행하게 되며 정보유출이나 중개사고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지적되었다. 그럼에도 허위매물 사전여과 방법은 부동산 중개업소와 중개 의뢰인에게 모두 유용하다고 긍정적으로 판단했다. 이 허위매물 여과 시스템은 허위매물의 감소를 도모하며 부동산 중개업의 신뢰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eal estate information site is the place with which the object for sale left to the real estate brokerage agency is registered, and the very useful site for ordinary people to acquire necessary information and transact real estate. But the problem of exposure of the object for false sale is very serious. There may be a sligh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real estate, but there are such problems as the overlapping of the object for sale, different registration of the same real estate for sale, the omission of the matters to be mentioned and the exposure of the more overstated object than the actual object for sale. The report system, the existing method of solution relating to the object for false sale, is low in effectiveness as expost facto prescription. So this study proposed that as the method of reducing objects for false sale in advance, the object for sale should be registered in a method of screening the overlapping object for sale by entering the proper number of the building register and the land registe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the prior filtering system to reduce overlapping objects for sale at the time of registering objects for sale might inflict more or less discomfort in business on the real estate brokerage agency but be more beneficial and useful. The positive examination, introduction and use of the system for filtering overlapping objects for sale as the preventive measure, not the expost facto measure would contribute to attempting to reduce objects for false sale and improving the confidence in real estate brokerage business.

      • KCI등재

        자산유동화와 진정한 매매의 법리

        윤부찬(Bu-Chan Yoon) 한국비교사법학회 2007 比較私法 Vol.14 No.3

        Last 1998, the Asset-Backed Securitization Act (hereinafter ABSA) was enacted in Korea. One of the most important legal issues in the ABSA must be the legal aspect related to the true sale in the obligation. The true sale is designed to prevent the obligation transferred to the special purpose vehicle (hereinafter SPV) before the bankruptcy of the transferor from being considered a sale of the obligation even though the transferor after the transfer of the obligation went into the bankruptcy. Moreover, the true sale stems from the American legal system based upon the case law and is provided in the article 13 of the ABSA. Such a sale of the obligation is not considered as a secured sale where the sale meets the requirements of the article 13 of the ABSA as follows: (1) the transfer concerned is performed by means of a sale or an exchange (2) interests or rights of the transferred asset belong to a transferee (3) a transferor does not have any recourse to the transferred asset while a transferee also does not have any recourse to the equivalence for the transferred asset and (4) a transferee takes the risk related to the ABS transferred by a transferor. The piece points out several draw backs in the true sale of the article 13 of the ABSA as follows: First, because several concepts such as the true sale, interests and risks, are not embodied in the article 13 of the ABSA, such problems cannot improve the efficacy for the article 13 of the ABSA. Second, there is not any precedent in Korea which courts considered the true sale as a secured sale. Third, even though, in order for a transaction to be a secured transaction in Korea, such a transaction has to satisfy two requirements such as the ‘existence’ of the obligation based upon a security and the ‘transfer’ of the property secured for the obligation, there are not such requirements in the ABSA for the true sale. In this sense, the true sale of the American legal system does not consist with that of the Korean legal system. Forth, the article 13 of the ABSA frustrates the efficacy and diversity for the asset-backed securitization in that the recourse in the article 13 of the current ABSA for the true sale is not almost accepted. Therefore, the author recommends that the article 13 of the current ABSA be amended as the ‘safe harbor,’ which a transaction is not considered as a secured transaction in the bankruptcy code when the asset concerned is transferred to an eligible entity.

      • KCI등재

        주택분양보증계약에 의한 분양이행시의 법적 문제 - 주택분양보증약관 및 부속서류를 참고하여 -

        김태관 ( Kim Tae-kwan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홍익법학 Vol.19 No.2

        주택분양보증은 사업주체가 시장 등에게 입주자모집승인 신청시 구비되어야 하는 요건중 하나이므로, 사업주체는 선분양을 하기 위해서 주택도시보증공사와 사이에 주택분양보증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보증사고가 발생한 경우 주택도시보증공사는 주택분양보증계약에 따라 주택을 분양받은 분양계약자를 위해 해당 주택을 분양이행하거나 또는 계약금과 중도금을 환급하여야 한다. 분양이행을 할 경우 주택도시보증공사는 분양계약의 당사자가 아니므로 여러 장애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장애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주택도시보증공사는 주택분양보증약관과 함께 사업주체와 시공자 등으로부터 다양한 부속서류를 작성하여 징구하고 있다. 주택분양보증약관과 부속서류를 검토한 결과 주택도시보증공사는 주택분양보증약관과 부속서류를 통해 사업주체나 시공자로부터 필요한 협력을 얻어낼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주택분양보증약관에는 보증채권자에 대해 협력을 요구하는 규정을 두고 있지만, 정작 분양보증의 이행에 가장 큰 협력이 필요한 주채무자인 사업주체의 협력을 요구할 수 있는 별도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않고, 부속서류를 통해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주택분양보증약관에서 사업주체의 분양보증 이행에 필요한 협력사항을 규정함이 타당하다. Housing sale guarantee is one of the requirements that the business entity has to prepare for applying for approval of tenant recruitment. Therefore, the business entity must conclude a housing sale guarantee contract with Korea Housing & Urban Guarantee Corporation(HUG) to make a preliminary sale. In the event of a guarantee accident HUG shall either fulfill the housing either by fulfilling the housing or refunding the down payment and the mid-way amount for the sale agent who has received the sale of the housing based on the housing sale guarantee contract. In case of fulfillment of sale, because HUG is not a party to a sales contract, it will face multiple failure situations. In order to overcome such a failure situation, HUG creates and uses various attached documents together with the housing sale guarantee agreement. As a result of consideration of the housing sale guarantee contract and the attached document, HUG uses the housing selling guarantee condition and attached documents as a legal basis to obtain necessary cooperation from business entities and constructors. However, the housing sale guarantee conditions have provisions to seek cooperation from the sale contractor, but there is no provision that can request cooperation of the business entity necessary for fulfilling sale guarantee. Therefore, a provision that can request the cooperation necessary for the business entity in the housing sale guarantee condition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한정할인판매행사에서 가격할인율과 한정판매수량의 상대적 중요성: 조절초점성향과 마인드셋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허종호 ( Huh Jong-ho ),신봉섭 ( Shin Bong-sup ),박혜경 ( Park Hye-ky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5

        한정할인판매행사에서 제품구매 시 가격할인율과 한정판매수량 중 어느 것에 더 끌리는가? 이러한 선택상황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으며, 특히 한정할인판매행사는 오늘날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소셜커머스나 모바일쇼핑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어 실무적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이기도 하다. 더구나 기업의 입장에서 볼 때 한정할인판매행사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한정할인판매행사를 기획하고 실행하는 마케터에게는 한정할인판매행사가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효용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어느 경우에 가격할인율에 초점을 둔 한정할인판매행사가 실행되어야 하는지, 또한 어느 경우에 한정판매수량에 초점을 둔 한정할인판매행사가 실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전략적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한정판매행사에 대한 연구에서는 제품 본연의 희소적인 가치만을 다루고 있어서 한정할인판매행사와 같이 가격할인이 동반된 희소성 메시지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여전히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격할인율과 한정판매수량이 상충되어 제시되는 한정할인판매행사에서 어떤 소비자가 가격할인율에 주목하고, 또 어떤 소비자가 한정판매수량에 주목하는지, 소비자의 내재적 변인인 조절초점성향과 마인드셋의 조절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총 2번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피험자의 조절초점성향이 한정할인판매행사에 있어서 가격할인율과 한정판매수량 간의 상대적 중요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향상초점성향의 소비자는 한정판매수량은 적어도 가격할인율이 높은 한정할인판매행사를 선호한 반면 예방초점성향의 소비자는 가격할인율은 낮아도 한정판매수량이 많은 한정할인판매행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피험자의 마인드셋이 한정할인판매행사에 있어서 가격할인율과 한정판매수량 간의 상대적 중요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추상적 마인드셋을 지닌 소비자는 한정판매수량은 적어도 가격할인율이 높은 한정할인판매행사를 선호한 반면 구체적 마인드셋을 지닌 소비자는 가격할인율은 낮아도 한정판매수량이 많은 한정할인판매행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소비자의 조절초점성향과 마인드셋에 따라 선호하는 한정할인판매행사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향상초점성향의 소비자와 추상적 마인드셋을 지닌 소비자는 해당 대안의 실현가능성보다는 이상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므로 기대효용이 동일하다면 한정판매수량이 많은 것보다는 가격할인율이 높은 한정할인판매행사를 선호하지만, 예방초점성향의 소비자와 구체적 마인드셋을 지닌 소비자는 해당 대안의 이상성보다는 실현가능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므로 기대효용이 동일하다면 가격할인율이 높은 것보다는 한정판매수량이 많은 한정할인판매행사를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기업의 마케팅 및 판촉 담당자가 한정할인판매행사를 기획하고 실행하는데 있어서 효용 최적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준다. Are you more attracted to price discount rates or limited sales volume when purchasing products at a limited discount sale event? This choice can be easily observed in everyday life, in particular, limited discount sale events are frequently used in social commerce and mobile shopping, which is rapidly growing in recent years and became a very important issue in practice. In addi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rporation, the limited discount sale event is costly. Therefore, marketers who plan and execute the limited discount sale event, in order to optimize the utility to the consumer, need a strategic guideline on whether a limited discount sale event should be implemented or a limited sales volume should be implemented. Nevertheless, previous researches on limited discount sale events merely address the rare value of the product itself, so there is still a limit to explaining the effect of scarcity messages accompanied by price discounts, such as limited discount sale ev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which consumers are paying attention to the discount rate, which consumers are interested in the limited quantity of sale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both the chronic regulatory focus and the mind-se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discount rate and the limited sales volume, the consumers of the promotion focus tend to prefer the higher discount rate, whereas the consumers of the prevention focus prefer a limited discount sale event with a limited sales volume though the price discount rate is low.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mind-set between the discount rate and the limited sales volume, consumers with abstract mind-set prefer the higher discount rate whereas consumers with a specific mind-set prefer a limited discount sale event with a limited sales volume even if the price discount rate is 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eferred limited discount sale event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ustomer's chronic regulatory focus and mind-set. In other words, consumers with a promotion focus and an abstract mind-set prefer ideality rather than feasibility of the alternative, so they prefer a limited discount sale event with a higher price discount rate even though the expected utility is the same. However, consumers with a prevention focus and a specific mind-set prefer the feasibility rather than the ideality of the alternative, so they prefer a limited discount sale event with a limited sales volume rather than a high discount rate even though the expected utility is the sam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strategic guidelines for utility optimization in planning and executing limited discount sale events for marketing and promotion.

      • KCI등재

        상사매매에 있어서 제69조의 적용범위에 관한 연구

        김명준(Kim, Myong-Jun) 한국법학회 2011 법학연구 Vol.43 No.-

        물품매매에는 일반적으로 민사매매와 상사매매로 구분하고 있으며, 매매에 관한 법적 규율로써 명문규정으로는 민법과 상법에 몇 개의 조문만을 두고 있는데, 상사매매에 관한 규정은 우리 상법 제2편(상행위)에서는 겨우 5개조의 특칙을 두고 있을 뿐이다. 그 이유는 매매가 민법의 계약법에서도 가장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민법 채권편에서 매매에 관한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상법은 매매에 관한 기본적인 규정은 민법의 규정에 맡기고 있다. 또한 상사매매는 특히 신속성을 중요시 하며 동시에 당사자의 사적자치를 가장 강하게 요구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이에 관한 상세한 규정을 두게 되면 오히려 거래의 자유로운 발전을 저해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경제활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우가 일방적 상행위임에도 불구하고 상사매매에 대하여 규율하는 규정은 미흡한 실정이다. 물론 상인간의 매매가 아닌 상사매매도 상행위의 일종이기 때문에 상행위법 통칙의 규정은 적용된다. 우리 상법은 당사자 중 어느 일방이 상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상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사매매에 관한 규정 중에서 상법 제69조인 매수인의 목적물의 검사와 하자통지의무에 관한 규정은 특칙규정으로써 쌍방적 상행위에만 적용된다는 판례와 통설의 입장은 거래의 안전과 신속을 요구하는 상사거래에는 문제점이 있다고 본다. 생각건대 상법 제69조의 매수인의 검사ㆍ통지의무의 규정은 반드시 매도인이 상인이어야만 적용된다는 것은 매도인을 보호하고 상거래의 결제를 신속하게 하기 위한다는 주장은 잘못된 해석으로 본다. 즉 매도인이 상인이 아닌 경우에 민법규정을 적용한다면 매도인을 오랫동안 불안한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오히려 이와 같은 입법취지에 역행한다고 본다. 따라서 매수인이 상인이라면 매도인은 상인 여부와 관계없이 상거래의 신속과 매도인을 보호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는 매수인이 상인이라면 일방적 상행위에도 검사ㆍ통지의무 규정을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제작물 공급계약에 있어서 부대체물에 대한 제작물공급계약인 경우에는 상사매매계약이 아니라 민법상 도급계약으로 보고 상법 제69조 제1항의 매수인의 목적물의 검사와 하자통지의무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통설과 판례의 입장이다. 비록 부대체물의 제작공급계약에서도 상법 제69조 제1항을 적용하는 것이 입법취지와 상법이념에 부응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상사매매에 있어서 그 계약의 효력을 민법 규정과 같이 오랫동안 불안정한 상태로 방치하는 것은 매도인에 대하여는 인도 당시의 목적물에 대한 하자의 조사를 어렵게 하고, 그 하자에 대한 다른 대체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서 손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부대체물의 제작물공급계약도 일종의 특정물매매와 같은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제작물을 수령하면 지체 없이 그 하자여부와 수량에 관하여 검사와 통지의 의무를 부과함으로써 상거래를 신속하게 결말짓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Sale of goods is categorized into civil sale and commercial sale. Several provisions in civil law and commercial law are expressly that if the provisions are specific, then they could impeded the free development of deal because speed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and, at the same time, private autonomy of the parties to a suit is demanded in commercial sale. Some regulations are applicable to one-sided commercial transaction, while some regulations are just applicable to both commercial transaction among regulations of commercial law about commercial sale contract. this is because only commercial sale among dealers is subject to an express provision concerning commercial law. Specifically, when a sale is made by one party, that is, the dealer, even in commercial sale, it is subject to civil law, and not to commercial law. Commercial sale not among dealers is certainly appliable to the regulation of express provision in commercial activity law because it is a kind of commercial activity. Actual trade connection is often regulated by trade customs or clauses that are legislated and used by persons in various businesses. A commercial activity by one dealer among parties is subject to commercial law. In precedent and common view, it is considered a drawback that article 69-the regulation of obligation notice to defect and the object examination of buyer-is only applicable to both commercial transaction as an express provision among the regulations of commercial sale. It is wrong idea that the regulation of obligation notice to examination, article 69, is appliable to only dealer in order to protect a seller and make rapid payment of business transaction. Precedent and common view indicates that if article 69, section 1-the regulation of the object examination of buyer and obligation notice to defect-it is not applicable to production supply contract because it is considered a contract in civil law, and not a commercial sale contract. It is natural that article 69 section 1 of commercial law should be appliable to production supply contract toward things can not substitute because of meeting the purpose of legislation and the idea of commercial law. An example of a disadvantageous position resulting from a contract in civil law is finding it difficult to investigate the defect in an object when the seller transfers the object to the buyer. Further, one cannot replace defective products. Because it is regarded production supply contract toward things that cannot be substituted as a kind of sale of a specific product, it is the buyer’s responsibility, as soon as he receives the product, to check the amount and whether the product is defective. That ends the business transaction.

      • KCI등재

        주택법상 매도청구권에 관한 연구

        이기형(Gi-Hyoung Lee)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2013 부동산 도시연구 Vol.6 No.1

        매도청구권 제도는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집합건물법이라고 한다.),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이하, 도정법이라고 한다.), 주택법 등 몇 개의 법률에서만 규정되어 있다. 매도청구권은 타인의 소유권을 강제로 취득하는 점에서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하, 공익사업법이라고 한다.)의 수용과 유사하다. 그러나 매도청구권은 매매계약 체결이 의제될 뿐 판결로서 확정되어 소유권을 취득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반면, 수용의 경우는 토지수용위원회의 재결로 신속하게 소유권을 확보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매매대금의 시가 또는 보상액의 산정에 있어서도, 매도청구권은 개발이익을 포함하지만, 수용의 경우는 개발이익을 배제하는 점에서도 차이를 가져온다. 주택법과 도정법의 매도청구권은 집합건물법 48조의 매도청구권 규정을 준용하는 점에서 규정방식이 유사하다. 그러나 주택법(제18조의2)과 도정법(제39조)에서 매도청구권에 고유한 규정을 두면서 기타 세부적인 사항에 관해서만 집합건물법을 준용하는 바, 매도청구권을 규정하는 각 법률 간에 그 입법취지, 요건, 내용, 절차 등 여러 측면에서 차이점을 가져온다. 현재, 집합건물법 또는 도정법의 매도청구권에 관하여는 선행 연구가 많은 편이지만, 주택법상 매도청구권에 관한 선행 연구는 별로 없으며 나아가 각 매도청구권 간의 차이점을 탐구한 연구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주택법상의 매도청구권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기로 하되, 다른 법률에 근거한 매도청구권과 비교하면서 주택법의 매도청구권에 고유한 법리와 체계를 세우는 데 연구의 중점을 두기로 한다. 주택법상 매도청구권이 다른 법률의 것과 차이를 보이는 것은 적용되는 대상 사업의 본질이 다르기 때문이다. 즉 주택법상 매도청구권은 주택건설사업에 관하여 적용되는 반면, 다른 법률의 매도청구권은 주로 재건축사업에 관하여 적용된다. 이러한 점 때문에 주택법상 매도청구권은 집합건물법 또는 도정법의 매도청구권과 비교할 때, 매도청구권의 요건, 내용, 절차 등에서 차이를 가져오고 나아가 그 입법취지도 다르기 때문에 결국은 매도청구권 규정의 위헌성에 관한 평가도 다르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다른 매도청구권과의 비교를 통하여 주택법상 매도청구권을 연구하는 방식은, 각 법률에 규정된 매도 청구권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나아가 주택법의 매도청구권에 관한 고유의 법리와 체계를 세우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Rights of Claims of Sale is provided in some statutes such as (i) Act of Ownership and Management for Aggregate Buildings (Aggregate Buildings Act), (ii)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Regeneration Act (Urban Regeneration Act), and (iii) Housing Act. The Rights of Claims of Sale is very similar to the condemnation of Act on the Land Acquisition and Compensation in that is acquired ownership of others by force to the public services. However, the Rights of Claims of Sale takes a long time as a decided judgment to acquire possession with the reason of fictitious sales contrac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ndemnation it takes comparatively little time to own the land by adjudication of Land Expropriation Committee. The market price of sales or calculating amount of compensation, the Rights of Claims of Sale includes development merit, but in the case of condemnation it did not include the development profit. The regulatory method is similar in that the Rights of Claims of Sale on the Housing Act and Urban Regeneration Act apply mutatis mutandis Article 48 of the Rights of Claims of Sale. However, the intrinsic rule against intrinsic rule in the article 18-2 of the Housing Act and article 39 of the Urban Regeneration Act is prepared and specific items are applied mutatis mutandis Aggregate Buildings Act, and this bring differences between the individual statutes in the purpose of legislation, requirements, contents, procedural clauses. Currently, in regard to the Rights of Claims of Sale on the Aggregate Buildings Act and Urban Regeneration Act, many prior researches appeared but the Rights of Claims of Sale on the Housing Act is almost never shown in the literature. In addition, no research published about the difference among the Rights of Claims of Sale in the separate Statues. Therefore, this work analyze the Rights of Claims of Sale focusing on the Housing Act, I will compare the Rights of Claims of Sale with other Acts and put emphasis on the establishment unique legal theory and frameworks of the Rights of Claims of Sale in Housing Act. The reason is that the difference appears for the Rights of Claims of Sale on the Housing Act unlikely the other statutes have different business in nature that is applied subject project. In other words, the Rights of Claims of Sale on the Housing Act is applied in the housing construction project but the Rights of Claims of Sale in the other Act is mainly applied Housing Redevelopment. In this reason, the Rights of Claims of Purchase and Sale on the Housing Act brought into the difference of the requirement of the rights, contents, procedure when we compare the rights with the Rights of Claims of Purchase and Sale on the Aggregate Buildings Act and Urban Regeneration Act. Besides, the purpose of the legislature is different in each Act, and the evaluation of Constitutionality about the Rights of Claims of Sale is differently appeared. Like this, the research method through the compare the Rights of Claims of Sale with other statues can be contributed to the setting original legal dogma and framework of the righ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