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기술지연구, 실행연구와 사례연구의 비교분석

        최기호 한국조형교육학회 2013 造形敎育 Vol.0 No.4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xamine the possibility and the uses of three different kinds of qualitative research, ethnographic study, case study,and action research in art education. Since the 1990s, the qualitative approaches to educational research has called attention by virtue of their advantages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e complexity and dynamics of humans and human societies within authentic contexts of learning and schooling. Notwithstanding aforementioned advantages of the qualitative approaches,researcher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have struggled to sort out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for the uses of different qualitative approaches. This study explores the applicability of thre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ethnographic study,action research, and case study among ot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① ethnographic study is designed to delineate the value systems and believes underlying particular cultural practices and it is to suggest alternative perspectives on preexisting educational practices: ② action research is geared towar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actices and further the empowerment of educators along with their students as active learners and researchers: ③ case study is aimed to describe and understand “a bounded system - a case” undergoing changes over time. Employing a pragmaticist view point, case study incorporates almost every possible research methods for the pursuit of the rich description of a case or cases and the interpretation of results of a case study is completed by readers, not by researchers.

      • KCI등재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사례연구의 특성

        이원석(Lee, Wonsuk) 질적연구학회 2020 질적연구 Vol.21 No.2

        Purpose: To analyze key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case study different from other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designs and provide useful guidance to researchers who conduct qualitative case studies in the field to fully demonstrate characteristics and benefits of case stud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mainly through the literature analysis of case study. Results: Results showed that key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case study were selection of cases, research questions inherent in cases, the importance of context and the pursuit of a heuristic understanding. Researchers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checking the suitability of the case, identify research questions inherent in the case, focus on the case and its contexts, and provide thick description of the case. Conclusion: Case study is the most powerful research method design to understand a particular case in depth and integration and to solve its actual problems through these characteristics.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의 사례관리 실천과정 수행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황세인,박정란 충북연구원 2019 지역정책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지역사회복지관의 사례관리자들이 사례관리의 전 과정을 어떻게 수행하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나타난 이슈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부산·경남지역의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례관리자 7명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관리의 각 단계(도입-사정-목표설정과 서비스 계획수립- 서비스 계획 실행-모니터링-평가 및 종결)에 따라 질적으로 분석하여, 19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들의 사례관리실천 과정은 ‘클라이언트의 주체적인 삶을 지향하며 클라이언트와 그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여러 딜레마와 소진을 경험하며 사례관리자의 역량 범위 안에서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해결하는 현실적인 선택을 하는’것이었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근거로 고지, 클라이언트의 참여, 욕구판단 및 개입수준, 평가관련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사례관리 실천의 응용력 향상을 위한 교육을 강화하고 딜레마 해결을 위한 사례수집과 매뉴얼 작성, 사례관리자들의 소진예방을 위한 내·외부체계 정비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method of qualitative case study in order to figure out the process of how case manag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practice(perform) case management.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the in-depth interviews with 7 case manager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Gyeongnam and Busan a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qualitatively. From the analysis of each stage of case managements such as introduction, assessment-target setting, service planning, execution of service plan, monitoring, evaluation and closure, nineteen subcategories of the issues were derived. The case manag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believed to work hard to help the clients to make an effort toward their own better life and environment through the process of case management practice.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the case managers have faced a number of dilemmas and experienced exhaustion and thus made choices based on compromise with reality in practicing the case mana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case managers' cap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scussion points presented relating to the informed consent for case management, participation of clients, case managers' judgment about clients’ real needs. And this study discussed the case managers' intervention level and assessment of their case managing practice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strengthen case managers'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ir application of case management skills and the need for better ways of collecting data and preparing manuals for solving dilemmas, and the need to reorganize internal and external system for prevention of case manager's burnout syndrome.

      • KCI등재

        선교적 공공교회 모델을 통한 교회와 세상의 재연결(Reconnection) : 질적 사례연구 중심으로

        주상락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is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ssinoal Public Church Type’ among four types of Missional Church in South Korea that I found in my former study. A study of the missional church movement in South Korea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early 2000s. However, I am able to recognize a lack of qualitative study of the missional church movement. For this reason, I had visited twenty five models of missional church in 2018-2021, analyzed the models, and found four types of missional church(the Missional Village Communiy Type, The Missional Public Church Tpye, The Missional Discipleship-Culture Type, and The Missional Alternative Community Type) by employing on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attempts to focus on ‘The Missional Public Church Type’ for carrying out reconnec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world. In this study, I try to accept triangulation for increasing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research findings such as interviews, participant-observation, and library research. I select three models of ‘The Missional Public Church Type’ to follow up John W. Creswell’s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Especially, a qualitative study in which within-case and across-case analytic methodologies are integrated. I find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Missional Public Church Type’ through within-case analysis. I am also able to get ten key words through across-case analysis: 1) common good, 2) the Kingdom of God, 3) the missional grassroot movement, 4) Considering locality(incarnational mission), 5) publicness, 6) social entrepreneurship, 7) village ministry, 8) lifestyle, 9) storytelling, and 10) Relationships with municipality. In order to reconnect with unchurched and dechurched people who live in their communities, ‘The Missional Public Church model’ is practicing communication, listening, publicness, and missional life by overcoming the attractional church mindset. 이 연구는 ‘한국형 선교적 교회 연구’의 후속 연구이다. 2000년대 초 한국교회에 ‘선교적 교회’라는 개념이 소개된 후 선교적 교회 담론은 최근까지 계속 발전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적 연구를 통한 ‘한국형 선교적 교회 연구’가 부족한게 사실이다. 필자는 한국형 선교적 교회모델 특징들을 발견하기 위해 2018-2021년 (3년간) 25개의 모델들을 직접 방문하고 분석했고, 한국형 선교적 교회의 네 가지 유형으로 ‘선교적 마을공동체 유형’, ‘선교적 제자도-문화 유형’, ‘선교적 공공교회 유형’, 그리고 ‘선교적 대안공동체 유형’을 발견했다. 본 연구는 이 선행 연구 중에서 ‘선교적 공공교회 유형 모델’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에 집중하였고, 교회와 세상의 재연결을 위해 노력하는 모델들을 발견했다. 사례연구를 하면서 주관적 편견이 들어가지 않도록 인터뷰, 참여관찰, 그리고 문헌 검토와 같은 삼각측정법으로 질적 연구의 신뢰도를 높였다. 선행 연구에서 총 6개 교회(부천 새롬교회, 군산 행복한교회, 군포 갈릴리교회, 안산 밀알침례교회, 더불어숲동산교회, 보령밀알교회)의 선교적 공공교회 모델들을 발견했으나, 존 크레스웰(John W. Creswell)의 제안을 수용하여 부천 새롬교회, 안산 밀알침례교회, 더불어숲동산교회 (총 3개)의 모델 연구에 집중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사례의 맥락을 보여주는 사례 내 분석(within- case analysis)과 사례들이 비슷하게 다루는 주제들을 분석하여 선교적 공공교회의 특징들을 발견하는 사례 간 분석(across-case analysis)을 동시에 수행했다. 필자는 세 가지 모델들의 ‘사례 내 분석’을 통해 ‘선교적 공공교회 모델’의 특징을 발견했고 크레스웰이 제안한 사례연구 방법 중 ‘사례 간 분석’을 적용해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총 10개의 사례 간 통합주제들을 추출했다: 1) 공동선, 2) 하나님의 나라의 현재성, 3) 선교적 풀뿌리 운동, 4) 지역을 고려(성육신 선교), 5) 공공성, 6) 사회적 기업가 정신. 7) 마을 중심(목회), 8) 라이프 스타일, 9) 스토리 텔링, 그리고 10) 지자체와의 관계. 이 통합 주제들을 발견했고 질적 연구, 분석을 통해 선교적 공공교회 모델이 세상과 소통, 경청, 그리고 재연결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특수교육 분야의 질적 사례연구 동향과 과제

        강승모,류수연,임경원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논집 Vol.2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verall trend of qualitative case stud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listed in domestic education-related journal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Method: The papers to be analyzed are 51 qualitative case stud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listed 31 domestic education-related journals, and analysis factors were used to analyze trends by year and journal, trends by research topic,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findings through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ies, qualitative case stud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have conducted in the field of various special education, treatment education, general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with the research of subject education and instruction-learning strategy and the research related to family support accounting for the largest portion. Single-total case studies and technical - descriptive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research design and type in research methods, and interview studies were the most frequently conducted in special school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various methods were used to secure the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case studies.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qualitative case stud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should present research designs and types so that the research methodological elements of qualitative case studies can be clearly revealed, and as it is a study on a specific case, systemicity and concreteness need to be clearly described so that the boundary between temporality and spatiality of the case can be clearly revealed. And finally, in order to secure the truthfulness of the research, detailed comments are required on the data collection process and the verification method.

      • KCI등재

        한국어교육학의 질적 사례연구 연구방법론적 양상

        구민지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is being used in the academic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use of the case study metho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79 papers explicitly presented as ‘case studies’ in the title were extracted from academic papers on Korean education and qualitatively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papers could be classified into class case studies, intensive case studies, operation case studies, and experimental case studies, and class case studies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bservation and interview methods were found to be actively applied in terms of data collection, and factual case studies were actively applied in terms of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is a clear perception of ‘case’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but few papers fully capture the essence of qualitative case studies in term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 Conceptualizing Case Study

        Seung-Ryul Lee 미래영어영문학회 2012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2 No.1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ase study articles which have been published in the ETAK journa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search method and identify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I have investigated sixteen articles which are classified as case studies. This research reveals that case studies are more widely named than other approaches. The researchers seem to view case studies as a broad term which covers the study of a case as an object to be studied. This broad perspective might confuse case studies with action research. As different approaches imply different theoretical backgrounds and research processes, they need to clarify their research approach correctly. In particular, case studies are mainly grounded on phenomenology as their theoretical backgrounds. As such, researchers who are going to adopt case studies need to be concerned with pedagogical phenomena as their research themes.

      • KCI등재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질적연구

        김수림(Su Lim Kim)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2

        최근에는 EAP 상담에 관심을 갖고 조직 및 임직원의 변화하는 요구에 맞추어 상담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조직의 문화와 맥락은 다양하여 그에 적합한 운영방식으로 EAP상담을 적용하기란 쉽지 않다. 기업의 특성에 맞는 전문적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EAP상담 운영에 대한 반성적 평가와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종단적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EAP상담의 활성화를 위한 운영방안 연구는 장애요인, 개선사항과 더불어 무엇보다 EAP상담을 운영한 후, 개선사항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도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특히 개선사항에 대한 제언에서 나아가 개선된 사항에 대한 반성적이고 탐색적인 연구로써 기관의 변화에 대한 측면에서도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그 의미를 찾기 위해 종단적 관점으로 추적하는 것은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 매우 가치 있는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된 사항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종단적 관점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연구는 현장의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종단적 관점의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EAP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과 EAP상담사를 대상으로 참고할 수 있는 정보 및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3개의 주 연구문제와 총 7개의 하위문제로 구분된다. 연구문제 1. 2019년~2022년 동안의 S도시공사 EAP상담의 연도별 연구결과는 어떠한가에 대한 하위문제 1) 4년간 기업의 조직문화에 따른 고충의 특성은 무엇인가? 2) EAP 상담 운영과정의 방해요인은 무엇인가이며, 연구문제 2. 4년 동안의 연구결과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에 대한 하위문제로 1) 방해요인은 개선이 되었는가?, 2) 개선된 요인은 무엇이었는가? 3) 이러한 결과들은 연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결과를 보였는가? 이며, 연구문제3. 현장에 적용 가능한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에 대한 하위문제 1) S도시공사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 2) 일반화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종합적이고 총체적 결과의 도출을 필요로 한다. 이에 우선적으로 하위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주 연구문제에 대한 종합적 · 총체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설계하였다. 연구 방법론에 있어서는 현상학적인 접근 방식으로 사례 연구방법 및 종단적 관점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년간 동일한 심리검사 및 프로그램을 운영한 S도시공사의 EAP 상담사례는 종단적인 관점에서 심층적인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의 연구사례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에 있어서는 2019년~2022년 S도시공사의 자체적인 선별방법에 의해 선정된 근로자들로 구성 되었으며, 본 연구의 참여에 대한 부분은 S도시공사와 근로자의 자발적인 동의를 얻어 진행하였다. EAP상담 참여인원 및 기간은 2019년 5월~6월 20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8회기씩 총 160회기, 2020년 4월~7월 10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8회기씩 총 80회기, 2021년 4월~7월 17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4회기씩 총 68회기와 12월 1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총 2회기, 2022년 7월~11월 17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4회기씩 총 68회기, 2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2회기씩 총 4회기, 2명과 추가상담 1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6회기씩 총 18회기, 전체 69명을 대상으로 총 398회기의 상담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2019년~2022년 각 연도별로 전사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 방법에 있어서는 1차 연도별로 반복적 비교분석을 하고, 2차로 1차에 분석된 4개의 자료를 종합하여 반복적 비교분석과 교차분석으로 체계화하였으며 3차 종단적 관점의 고찰을 통해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여자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5개 영역의 36개의 핵심개념 1) 근로자의 고충, 2) EAP상담 진행 중 방해요인, 3) 종합적 개선사항, 4) EAP상담 경험, 5) EAP상담 영역이 도출되었고 이를 토대로 첫째, S도시공사 근로자가 갖는 고충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4년 동안 EAP상담 진행 중 방해요인이 개선되었는가? 셋째, 개선된 사항이 조직과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졌는가? 넷째, S도시공사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 4개의 총체적인 결과가 분석되었다. 이하 결과에 대해 기술함에 있어서는 제시된 결과의 내용을 전부 설명하기보다는 ‘개선’에 중점을 두고 본 연구의 주제와 연구목적을 가장 잘 표현해낼 수 있는 특정내용에 대해서만 서술하였으며, 연구문제의 순서에 따라 기술하였다. 연구문제 1과 하위문제의 결과는 고충의 응답빈도가 높아도 그것이 주요 상담으로 진행되지는 않았으며, 이들의 고충은 감정노동자와 유사했다. S도시공사가 갖는 고충의 특성으로는 수평적 조직체계, 인사이동, 사회적 대인관계 단절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와 하위문제의 결과는 EAP상담 진행 중 방해요인 영역의 ‘타이트한 근무시간대의 상담에 대한 부담감’, ‘상담 장소에 대한 불편함’, ‘상담내용이 보고되는 것에 대한 불안함’, ‘상담서비스 안내 및 한계로 인한 아쉬움’이었고, 개선된 사항에 있어 EAP상담이 운영되는 4년 동안 부서별 관리담당자 배정, 상담공간 협조, 유연한 상담회기, 일부 부서에 대한 운동시설 설치 및 휴게실 침대 구비 등 EAP상담사와 조직의 협력으로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다. 연구문제 3과 하위문제의 결과는 S도시공사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위해서 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한 EAP상담 지원, 개인상담과 연계된 집단상담 운영, EAP상담 홍보, 개인의 특성에 따른 차별적 회기 제공 등 충분한 서비스 지원이 필요하며, 전일제 EAP상담사가 배치되어야 하고, 조직의 협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시사되는 바를 논의하고 현장에 적용 가능한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 현장에서 이루어진 EAP상담의 종단적 관점 및 개선사항에 주목한 실사례 분석이라는 점에서 희소성을 갖는다. 또한, 조직문화에 적합한 EAP상담을 실제 적용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일반화할 수 있는 지식을 얻고자 분석하고 통찰하였다는데 가치가 있다. Recently, more and more companies are interested in EAP counseling and are operating counseling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needs of organizations and executives and employees. However, the culture and context of the organization are diverse,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EAP counseling in an appropriate operating method. In order to provide professional counseling servic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reflective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existing EAP counseling operation are required, and longitudinal research is needed for this. In addition, research on operational measures to revitalize EAP counseling should be studied in-depth analysis of improvements after operating EAP counseling, as well as obstacles and improvements. In particular, as a reflective and exploratory study on improved matters, what is the significance in terms of institutional changes? Tracking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to find its meaning is a very valuable important task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EAP counseling.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on these improvements as well as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on the field, and through this, it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information and efficient operation plans for companies and EAP counselors who want to introduce EAP.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divided into three main research problems and a total of seven sub-problems. Stationery Question 1. What are the annual research results of S Development Corporation's EAP consultation from 2019 to 2022? Sub-Question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grievance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company for 4 years, and 2) What are the obstacles to the EAP counseling operation process? And, Stationery Question 2. What changes do the research results show over the past four years? The sub-question for is 1) Did the obstruction factors improve? 2) What were the improved factors? 3) What results did these results show over the course of the year? And,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of EAP counseling applicable to the field? The sub-question for is 1) What is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of S Development Corporation? 2) What is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that can be generalized? The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requires the derivation of comprehensive and total results. First of all, it is possible to derive comprehensive and overall results for the main research problem by solving the sub-problem.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ase research methods and longitudinal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a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in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EAP counseling case of S Development Corporation, which operated the same psychological test and program for four years from 2019 to 2022, was selected as a research case for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workers selected by the S Development Corporation's own screening method from 2019 to 2022, and the participatio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voluntary consent of the S Development Corporation and the workers. The number and period of EAP counseling participants are 160 sessions, 8 sessions each for 60 minutes, for 20 people from May to June 2019, From April to July 2020, a total of 80 sessions were conducted for 10 people, 8 sessions each for 60 minutes, A total of 68 sessions for 17 people from April to July 2021, 4 sessions for 60 minutes each, and a total of 2 sessions for 1 person in December, From July to November 2022, 17 people will have a total of 68 sessions, 4 sessions each for 60 minutes, and 2 sessions each for 2 people will have a total of 4 sessions, A total of 18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for two people and one additional consultation for 60 minutes each, and a total of 398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for a total of 69 people.

      • KCI등재

        입양가족의 개방입양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권지성 ( Ji Sung Kwon ),변미희 ( Mi Hee Byun ),안재진 ( Jae Jin Ahn ),최운선 ( Woon Sun Choi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방입양을 시도한 가족들이 개방입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다양한 이슈들을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개방입양을 시도한 입양가족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사례연구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최종 7사례를 통해 수집한 자료들을 가지고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각 사례들을 전반적으로 검토한 뒤 이야기 형식으로 요약하였고, 각 사례에서 나타난 주요한 개방입양의 이슈들을 사례 순으로 비교하면서 기술하였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사례 내 분석에서 나타난 이슈들을 염두에 두고 전체 사례들을 재검토하여 8개의 주제로 통합하였다. 8개의 주제를 제시해보면,`결정적 만남`,`분명한 선 긋기`,`불안한 평행선 걷기`,`그 엄마`,`누가 진짜 부모인가?`,`절대로 해서는 안되는 말`,`숨은 주역들`,`관계의 중심 또는 방관자`등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입양분야에서 개방입양과 관련된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으며,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풍부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후속연구들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open adoption experience of adoptive families.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iverse data collection method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with adoptive families who had experiences of open adoption and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Data collected from six adoptive families were employed for within-case analysis and cross-case analysis. Each case was carefully examined and summarized using story-telling style in the within-case analysis and major issues for open adoption appeared in each case were described and compared one by one. In the cross-case analysis, all the cases were re-examined keeping the issues appeared in the within-case analysis in mind and eight integrated themes were emerged from it. The eight integrated themes are `the crucial meeting`, `a clear arrangement`, `an uneasy parallel`, `the other mom`, `who are the real parents?`, `the words never to say`, `the hidden characters`, and `the center of relations or the outsid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olicies and practical guidelines related to open adoption were suggested. Also,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were made to obtain more abundant information beyo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발달장애를 가진 부모의 발달장애 자녀 양육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김현아,나경은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4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n the cases of four different families to find out what experiences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erienced when raising their children when they ha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ive parents participated in an in-depth interview to analyze the cases of four families, and each of them conducted "within-case analysis" and "cross-case analysis" to analyze the data. In the 'within-case analysis', topics that can clearly reveal the experience of the child rearing process in each case were identified, and in the 'cross-case analysis', topics that encompass cases were reviewed to derive a common theme for each cas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hild-rearing experiences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ed difficulties in school life for their children,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guiding their children, economic difficulties, and the lack of support from a spouse related to child-rearing and welfare benefits related to child-rearing. And it was found that they were suffering from a lack of information about child-rearing, and they wanted to receiv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due to the stress of raising children. In the discussion, implications for the above results were describ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along with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본 연구는 발달장애를 가진 부모가 발달장애 자녀를 두고 있는 경우 자녀 양육 시 어떠한 경험을 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각기 다른 네 가정의 사례에 대해 심층 면접을 실시했다. 4개 가정의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5명의 부모가 심층 면담에 참여했으며, 각각 자료의 분석을 위해 ‘사례 내 분석(Within-case analysis)’과 ‘사례 간 분석(Cross-cas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각 사례에서 자녀양육과정의 경험이 잘 드러날 수 있는 주제를 확인하고 ‘사례 간 분석’에서는 각 사례들의 공통 주제를 도출하기 위해 사례들을 대표하는 주제들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 자녀를 두고 있는 발달장애 부모의 자녀 양육경험에는 자녀들 학교생활의 어려움, 자녀들에 대한 학습·생활지도의 어려움, 경제적인 어려움, 자녀양육관련 배우자의 도움의 부족, 자녀양육관련 복지혜택 및 이에 대한 정보 부족 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양육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정서적 지원을 받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이상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기술하였고 연구의 제한점과 함께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