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입자동차의 평택항 선택 결정 요인에 관한 분석

        최기영(Kiyoung Choi) 한국항만경제학회 2011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7 No.3

        평택항이 자동차 수출입 특화항으로 부상하고 있다. 울산항에 이어 줄곧 2위항 자리를 지켜 온 평택항이 2010년 우리나라 31개 항만 중 자동차 수출입 처리 실적 전국 1위항을 기록했다. 2011년에는 수출입 자동차 물동량이 100만대를 넘어설 전망이다. 평택항은 특히 외국산 수입자동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2011년 상반기 수입물량이 2010년 한해 물량에 거의 육박하고 있는 수준이다. 본 연구는 수입자동차들이 평택항 선택 결정 요인과 평택항의 개선 필요 요인게 대한 관계자들의 견해를 묻고 그 중요도를 분석했다. 본 연구는 2011년 7월 현재 평택항을 이용하고 있는 14개 수입자동차 회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AHP분석 방법을 통해 실시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외국산 수입자동자들의 항만선택 시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은 ‘항만입지’이며, 개선이 가장 시급한 요인은 ‘항만시설’로 분석됐다. Pyeongtaek Port is becoming a specialized for importing or exporting cars. In 2010, Pyeongtaek Port became the major port, out of the 31 ports in Korea, for import and export of cars. Usage of this port was especially high for imported cars. In 2011, more than 1 million cars are expected to be imported or exported via Pyeongtaek Port. This researeh analyses the factors for selecting Pyeongtaek Port for imported cars and recommendations required to improve Pyeongtaek Port. To do this,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14 imported car companies that currently, July 2011, use Pyeongtaek Port and used AHP criteria to asses the importances of each factors. According to this researeh,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for the use of Pyeongtaek Port is ‘Port Location’ followed by ‘Port Cost’, ‘Port Facility’, ‘Port Service’, ‘Port Marketing' and ‘Port Cargo Volume’, in the order of importance. Also, imported car companies say that the factor in need for the most urgent improvement is ‘Port Facilities’ in Pyeongtaek Port.

      • KCI등재

        항만의 경쟁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이진규(Jin-Kyu Lee),여기태(Gi-Tae Yeo) 한국항만경제학회 2015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각 항만들이 다루고 있는 31개의 수출입화물품목에 대하여 품목간·항만간 경쟁을 규명하고, 실제 항만간 전이량을 파악한 후, 가장 큰 폭의 물동량 하락을 경험하고 있는 항만의 향후 정책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2005년~2014년 서해안 권역의 물동량 집중도는 점차 분산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9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분산화가 진행되었으며 2014년에는 0.448으로 나타나 권역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었다. BCG Matrix를 이용해 인천항, 평택·당진항, 군산항의 정적포지셔닝과 동적포지셔닝을 분석한 결과, 정적포지셔닝분석에서는 인천항은 3사분면(Cash Cows),평택·당진항은 2사분면(Question Marks), 군산항은 (Dogs)군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인천항은 비록 성장률은 낮지만 상대 항만군에 대한 높은 점유율로써 그 위치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동적포지셔닝 분석에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인천항의 시장점유율과 성장률은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이할당 분석결과, 인천항과 군산항의 물동량은 평택항으로 전이되고 있으며, 인천항과 군산항은 잠재성장치 대비 절대성장치가 평택ㆍ당진항보다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LQ지수 분석 결과, 타 항만과 중복되지 않는 인천항의 특화품목은 육류, 어패류ㆍ갑각류 등, 유연탄, 원유 및 석유, 석유정제품, 플라스틱 고무 및 그 제품, 방직용 섬유 및 그 제품, 비철금속 및 그 제품, 전기기기 및 그 제품, 항공기, 선박 및 그 부품으로 10개 품목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31 import and export cargo items handled in each port to investigate which items face the most competition among the ports and how many of them are transited to other ports. The study aim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port policy of Incheon Port. It was found that the volume concentration in the Western Coast region from 2005 to 2014 became increasingly decentralized. The decentralization began in earnest in 2009 in particular, and the value was 0.448 in 2014, indicating fierce competition among the regions. According to the static and dynamic positioning analyses results for Incheon Port, Pyeongtaek and Dangjin Port, and Gunsan Port, using BCG Matrix, the static positioning analysis showed that Incheon Port belongs to the 3rd quadrant (Cash Cows), Pyeongtaek and Dangjin Port belongs to the 2nd quadrant (Question Marks), and Gunsan Port belongs to the (Dogs) group. This implies that Incheon Port has maintained its position with large shares compared to those of other ports, despite its low growth rate. However, the market position and growth rate of Incheon Port decreased according to the dynamic positioning analysis results. The shift-shar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volumes of Incheon Port and Gunsan Port were shifting to Pyeongtaek and Dangjin Port. Moreover, the ratio of absolute growth to potential growth of Incheon Port and Gunsan Port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yeongtaek and Dangjin Port, implying that Incheon Port and Gunsan Port are declining as compared to Pyeongtaek Port and Dangjin Port. According to the LQ index analysis results, specialized items from Incheon Port that do not overlap with other ports included the following ten items: meat, fish and crustaceans, bituminous coals, crude oil and petroleum, petroleum-refined products, plastic rubber and products, textiles, nonferrous metal and products, electric machinery, and aircrafts and ship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bulk cargo of Incheon Port was actually shifting to Pyeongtaek and Dangjin Port following the policy of re-establishing port functions.

      • KCI등재

        평택항 발전전략과 추진과제의 선정에 관한 연구

        이충배 ( Lee Choong-bae ),김현중 ( Kim Hyun-chung ),노진호 ( Noh Jin-ho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21 해운물류연구 Vol.37 No.2

        항만의 가용 자원을 적절히 배분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항만경쟁력 제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평택항은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과 중국 및 동남아를 수출입하는 화물의 처리에 특화되어 괄목할만한 성장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최근 환경변화에 대응한 항만발전 전략과 실천과제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AHP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평택항의 발전전략 요인을 도출하고 평택항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정책 추진과제의 우선 순위를 선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AHP 분석결과 상위 전략요인으로는 항만배후단지 및 연계강화가 가장 중요하며 다음은 항만운영효율화로 나타났다. 전체 16개의 세부추진요인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할 과제는 항만배후단지 확충, 항만클러스터 조성, 스마트항만 개발의 순으로 나타났다. T검정을 통한 집단 간 인식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평택항의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배후단지의 개발과 스마트 항만으로의 개발이 가장 시급하게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할 수 있다. Proper allocation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port’s resources available play a vital role in enhancing port competitiveness. Pyeongtaek Port has maintained remarkable growth by specializing in the handling of cargoes to and from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Gyeonggi-do, and China and Southeast Asia. However,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ort development strategies and action tasks while prioritizing in response to recent environmental changes.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factors for the development strategies for Pyeongtaek Port and to prioritize policy implementation tasks based on the perceptions of port’s stakeholders employ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As a result of AHP analysis, as the top strategic factors, the port hinterland and reinforcement of linkage ar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port operation efficiency. Out of all 16 implementation tasks, the most important tasks to be pursued were the expansion of the port hinterland, the creation of a port cluster, and the development of smart ports in order. There was identified no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groups through the T-tes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for the development of Pyeongtaek Port, the development of the hinterland complex and the development of a smart port must be promoted most urgently.

      • 평택항 물류 활성화 방안

        조응래,이수행,박지선 경기연구원 2018 정책연구 Vol.- No.-

        Looking at the increase in cargo volume in Pyeongtaek and Dangjin Port, the total cargo volume has risen by 0.7% annually from 109.25 million tons in 2013 to 112.49 million tons in 2017, ranking 5th in the nation. The container cargo volume of Pyeongtaek · Dangjin Port increased from 520,000 TEU in 2013 to 640,000 TEU in 2017, increasing by 5.5% per annually, ranking 4th in the nation. The number of automobiles fell from 1.45 million cars in 2013 to 1.29 million cars in 2017. However, the number of passengers increased from 430,000 in 2013 to 480,000 in 2017, this was an annual increase of 2.8%. The vision of Pyeongtaek Port is to build logistic clusters and a smart port city. It’s goal is to enter the ‘Top 100 Ports in the World’. Five detailed strategies are set up to achieve this vision and goal. To begin with the first strategy is to strengthen the development between the port and the local industries. This strategy is to induce the port to be combined with the regional industry and the surrounding city to develop the port, industry, and residential complex. The second strategy is to strengthen its functions as a logistic hub by maximizing the added value of the logistics industry through logistics business in addition to existing transportation, storage and unloading functions. Thirdly, improvement of eco-friendly and smart port facilities is a strategy to improve the operation of harbor facility with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technolog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fourth strategy is to expand the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to operate it efficiently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logistics hub and the hub can be smooth. Lastly, establishing a governance system that can lead the development of Pyeongtaek Dang-jin port.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plan for Pyeongtaek and Dangjin Port and to bring it upon the 5th National Land Plan.

      • 평택,당진항의 활성화 전략

        현인규 ( In Gyou Hyun ),박소진 ( So Jin Park )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사회과학연구 Vol.15 No.1

        본 논문에서는 평택과 당진의 황해경제자유구역 선정으로 인한 황해경제권의 변화를 둘러싸고 황해경제권의 대표항인 평택·당진항 개발의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택시와 당진군 내 산업단지의 현황을 파악하고 평택·당진항을 SWOT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전략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항만이지만 수도권이 인접해 있고 중국과의 지리적 접근성이 뛰어난 평택·당진항이 국제항으로서의 역할이 증대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다수의 배후 산업단지는 물류중심지로의 성장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평택시와 당진군 두 지역에 분산되어 운영되어 오던 행정상의 문제를 차별화 하여 특화함으로써 행정능력과 지역 발전 도모를 꾀함으로서 평택·당진항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oint of this paper is activation strategy of Pyeongtaek·Dangjin Port. Because recently port industries are confronted with enormous changes like globalization, to cope with this changing harbors business environment, liners have pursued economies of scale, and they also have dealt with shippers requirements with efficiency of their hub system Not only is Pyeongtaek·Dangjin Port situated at the northeast part of Korea and close to Metropolitan area, but also Pyeongtaek·Dangjin port has a geographical accessibility to China Moreover Pyeongtaek·Dangjin Port is the best physical distribution area that can decrease distribution cost because easy to connection with automobile, road, railroad, air traffic. In this study, grasping the industry present condition of Pyeongtaek·Dangjin city and SWOT analysis are suggested for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y and development plan by Pyeongtaek·Dangjin Port.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future port policy and development plan. And asking for the close business cooperation and differentiating harbor service offer for successful harbor management. As well as, we will continue persistent study for efficient Pyeongtaek·Dangjin Port development.

      • KCI등재

        평택당진항 개발 방향의 우선순위 분석 연구

        정현재 ( Jung Hyun-jae ) 한국해운물류학회 2023 해운물류연구 Vol.39 No.1

        항만은 대외무역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에 필요한 주요 기반 시설이며 생산 증대 및 고용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1986년 개항한 평택당진항은 최근 성장이 둔화되는 상황이며 재도약을 위한 국면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택당진항을 발전시키기 위해 향후 추진해야할 과제를 중심으로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추진과제의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해 AHP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 항만 경쟁력 강화(0.184), 네트워크 강화(0.128), 고부가가치 항만 육성(0.122) 순으로 중요도가 평가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택당진항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항만 배후단지의 조속한 개발과 더불어 전기 및 전자, 자동차, 전자상거래 등 지역의 특화산업과 연계된 배후단지의 운영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또한 항만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항만 진입도로 확장 및 철도 인입시설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Ports are a major infrastructure necessary for economic growth in Korea,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foreign trade, and Ports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production and creating jobs. However, Pyeongtaek Dangjin Port, which opened in 1986, is experiencing a slowdown in recent growth, and it is time to change the situation for revitaliz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tasks to be promoted in the future to develop Pyeongtaek Dangjin Port. AHP technique was used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tas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mportance was evaluated in the order of strengthening port competitiveness (0.184), strengthening network (0.128), and fostering high value-added ports (0.122).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Pyeongtaek Dangjin Port, it is argued that the need to operate hinterland complexes linked to local specialized industries such as electricity, electronics, automobiles, and e-commerce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port hinterland.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port accessibility, the necessity of expanding port access roads and developing railroad lead-in facilities was suggested as an implication.

      • KCI등재

        항만서비스 품질 지각이 서비스 만족과 재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평택항을 중심으로

        노윤진 한국국제상학회 2017 國際商學 Vol.32 No.4

        항만 상호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해외 및 국내 항만 운영자들은 경쟁우위 창출을 통한생존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우위는 시설 및 장비 등 하드웨어적인 부분과 운영 및 지원상의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택항의 항만서비스 품질속성이 해당 항만의 품질만족도와 재 이용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대형 항만이 아닌 중소형 항만이 지향해야 하는 항만서비스 품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한다. 연구결과, 서비스 이용자들이 공감하는 평택항의 항만서비스 품질은 항만 시설 및 장비보다 항만 이용자에 대한 대응적 자세가 평택항 이용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며, 전반적인 품질만족에 있어서도 항만내 발생하는 문제와 오류에 유연한 반응 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Purpos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attributes that constitute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in Pyeongtaek Port and the effect of the quality on service satisfaction and reutilization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o test the hypothesies, 73 data were collected by shipping companies, shippers, cargo companies, and port services companies.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Results : As a result of the analyses, the actual port service rather than the physical factors such as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of the port has an effect on the quality and reuse intention of Pyeongtaek port. Conclusions : The port service quality of Pyeongtaek port affects the user loyalty of Pyeongtaek port rather than port facilities and equipm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flexibility in response to problems and errors in port affects overall quality satisfaction.

      • KCI등재

        평택항의 제주도 화물 유치 방안 연구

        백종실(Jong sil Baik) 한국국제상학회 2014 國際商學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의 감귤, 무 등 농산물과 삼다수 등이 수도권에 상당량이 배송되고 있는데, 평택항이 제주도 화물의 배송거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도록 화물을 유치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현재 제주도 농산물은 주로 제주도에서 목포항과 녹동항 등으로 해상수송후 화물자동차를 이용하여 수도권의 유통시장까지 운송되거나 김포공항까지 항공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총물류비 절감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신중히 검토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다른 연구의 분석자료를 활용하여 평택항의 제주도 화물 유치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목포항과 녹동항 그리고 부산항을 중심으로 제주도와 내륙간 항로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으나, 향후 평택항과 제주도간 카페리 정기항로를 개설하고 운항할 경우 Modal Shift 정책에 부응하고, 카페리선이 신선화물을 신속하게 운송할 수 있는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제주도의 신선농산물이 평택항을 이용함으로써 신속하고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호남권과 영남권을 중심으로 제주도 화물의 항로네트워크가 구축되고, 농산물 등이 영남권과 호남권에서 수도권까지 도로운송되는 물류패턴을 평택항과 제주도간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물류비도 절감하고, Modal Shift도 추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의미가 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mainly to suggest cargo inducement strategy for Pyeongtaek Port from/to Jeju in order to rationalize logistics system between Jeju and metropolitan area(Seoul) by way of using Jeju Logistics Center in Pyeongtaek Port.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Both a literature research in relation to logistics system of Jeju products and a data analysis materials of precedent research about logistics costs and logistics procedures in this paper. Results : According to this research, Pyeongtaek Port has a lot of potential to attract Jeju products with Jeju Logistics Center in Pyeongtaek Port and enhance cold chain of agricultural products from Jeju to metropolitan area. Conclusions : Daily liner service between Jeju and Pyeongtaek Port is necessary and establish agricultural SCM within Pyeongtaek Port and activate logistics collaboration between Pyeongtaek Port and APCs of Jeju products located in Jeju.

      • KCI등재

        항만배후도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이정호(Lee, Jungho),심완섭(Shim, Wanseop),이민상(Lee, Minsang)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13년까지 우리나라 주요항만도시인 부산, 인천, 광양, 평택의 항만입지특성요인과 항만배후도시성장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과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국내 항만중 대표적인 컨테이너처리 항만인 부산항, 인천항, 광양항, 평택항을 분석대상으로 배후도시 성장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무엇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패널분석을 추진하였다. 독립변수는 항만 입지특성인 수출입물동량,입출항선박톤수, 선석길이로 하였고, 종속변수는 지방세로 하였다. 분석결과 수출입물동량과 입출항선박톤수와 선석길이 모두 종속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입물동량과 입출항선박톤수는 배후지역 도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지만 선석길이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revious port studies show that private terminal operators would own facilities in competing ports within an east asian regional system, that policy environments in such a system can have spatial (de)concentration effects beyond market forces alone, and that government policies stimulating spatial alignment result in an atypical spatial jumping pattern by private players (Wang, 1998;Wang and Slack, 2000). The development of the major port-city interface can be regarded as an evolving relationship between a port and its urban surrounding (Daamen 2007). Anyport model has been supported during the past half-century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challenge in the field of port research. It provided a main criteria to compare the development of actual ports (Bird 1963). Port-City development analyzes the spatial interaction of a port and its surrounding urban area (Abdullah et al. 2012). Hoyle (2000), in his port-city evolution model, adopts a six-stage chronological approach to explain the port-city interrelationship. The ports in this study are the fourmajor ports that deal with shipping containers in south korea, which are located in the following cities: busan, incheon, gwangyang, and pyeongtaek. The data in this study ranges from 1997 to 2013. The methods used to obtain this data include gathering relevant business documentation, interviewing employees or subjectmatter experts, and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nd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panel regression was conducted on the four primary ports that deal with shipping containers in south korea, which are Busan, Incheon, Gwangyang, and Pyeongtaek. The port variables examined include the number of cargo traffic including export and import, the number of vessel traffic such as arrival and departure of each port, and berth length which is a measure of the port's overall construction. The variable used to determine city growth was the amount of local taxes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panel regression revealed that all three variables had an effect on taxes. Increases in container cargo and vessel traffic corresponded to increases in taxes collected for nearby cities, which indicates growth in those cities. However, an increase in berth length had a negative effect on taxes collected, which indicates a negative overall effect on city growth.

      • KCI등재

        평택항 개항에 따른 배후 지역의 변화에 대한 연구

        신영재(Yeong Jae Shi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3

        1986년에 개항된 평택항은 국제무역항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평택항의 배후 지역인 평택시는 도시와 농촌이 공존하는 지역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평택항 개항에 따른 평택시의 지역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평택항과 지역 간 평균 거리(23.7km) 기준으로 인구와 지가의 변화를, 입지 계수를 통해 산업별·지역별 산업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인구와 산업별 종사자 수는 평택항에 가까울수록 증가율이 높았으며, 지가 상승률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입지 계수로 보면, 제조업은 촌락 지역인 읍·면 지역에서, 3차 산업은 도시 지역인 동 지역에서 특화가 이루어졌다. Pyeongtaek port, opened in 1986, has played a role as an international trading port. Pyeongtaek city which is a hinterland with Pyeongtaek port has both landscape of city and rural area. Aims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regional change of Pyeongtaek city according to the opening of Pyeongtaek port: the change in population and land value by the average distance(27.3km) between Pyeongtaek port and each region and the change in industry and regional industry with location quotient of region. The increasing rate of population and people who work for industry showed an aspect of rising as a place locates near Pyeongtaek port, yet the increasing rate of land value showed little differences. In short, as the area is closer to Pyeongtaek port,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employees are higher. Yet, the increasing rate of the land value showed little difference. The study showed that manufacturing industry is specialized in rural region(eup?myeon region), and tertiary industry is specialized in urban region(dong region) of Pyeongtaek city according to location quot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