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유사 역사학의 특성과 역사 왜곡의 방식

        기경량 ( Ki Kyoung-ryang ) 강원사학회 2018 江原史學 Vol.0 No.30

        역사학계는 1970~1980년대 유사 역사학자들이 주도한 몇 차례의 역사 파동을 거치며 그들이 논리와 대화로는 설득이 불가능한 집단임을 깨달았다. 이에 그들의 도발을 무시하는 전략을 취하게 되었다. 역사학계가 방치하는 동안 유사역사학자들은 끊임없이 대중화 작업에 집중하였고, 결국 이들의 주장은 일반에 더욱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말았다. 한국의 유사 역사학이 확산되는 데는 안호상, 문정창, 박창암, 임승국과 같은 극우 파시스트들이 핵심적 역할을 하였다. 이는 유사 역사학의 사상적 뿌리를 보여 준다. 유사 역사학은 한국 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존재한다. 미국의 역사학자 Ronald H. Fritze의 분석을 참고하면, 미국의 유사 역사학은 ①증거의 선별적 채택, ②유통기한 지난 연구 이용, ③가능성과 개연성의 혼선, ④실재성에 대한 집착, ⑤예외적 증거에 대한 선호와 같은 특성을 보인다. 이는 한국의 유사역사학이 보이는 양태와도 정확히 일치한다. 최근 유사 역사학자 이덕일을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주장은 상기한 특성을 고스란히 품고 있는 왜곡물이다. 이는 학술 행위라기보다는 대중 선동의 영역에 속한다. 유사 역사학은 확증 편향적 사고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영토 문제에 이상 집착한다. 이들은 식민주의 사학에 대항한다고 자임하며, 한국사가 반도가 아닌 대륙에서 전개된 역사임을 증명하고자 노력한다. 하지만 이는 반도의 역사가 대륙의 역사보다 열등하다는 식민주의 사학의 대전제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다. 정작 일제 강점기 식민주의 사학은 침략 대상이 확장됨에 따라 만주와 한반도의 역사를 묶은 滿鮮史나 몽골까지 포함한 滿蒙史 같은 관점을 창출한 바 있다. 또한 이란 동부 평원에서 발원한 ‘상상의’ 민족 집단을 상정한 투란주의(Turanism), 이에 입각한 대아시아주의를 주창하는 한편 일본·조선·만주·몽골이 같은 조상을 가졌다는 주장도 만들어냈다. 한국 유사 역사학의 뿌리는 일본 제국주의자들이 만들어낸 이 같은 대아시아주의에 닿아 있다. 유사 역사학은 파시즘의 유전자가 각인되어 있는 역사상이며, 반지성주의의 산물이다. 우리 사회에 역사적 반동이 도래하는 것을 경계하기 위해서라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Academia of history realized that pseudo historians were a group that could not be persuaded by logic and dialogue, going through a few historical crises in the 1970s-1980s. Thus, it coped with that in the way of ignoring them. In the meantime, the pseudo-historians constantly focused on popularization, and finally, their claims became widespread as a result. In the expansion of Korean pseudo history, fascists as extreme rightists, including Ho-sang Ahn, Jeong-chang Moon, Chang-am Park and Seung-guk Lim played a major role. This shows the ideological root of the pseudo-history. The pseudo history exists in other countries as well as in South Korea. To sum up what was analyzed by American historian, Ronald H. Fritze, the pseudo-history has characteristics as follows: ① selective adoption of evidence; ② the use of research past expiration date; ③ the mixture of possibility and plausibility; ④ obsession about substantiality; and ⑤ preference for exceptional evidence. This is completely consistent with the aspects of the Korean pseudo history. Most claims recently suggested by pseudo-historian, Lee, Deok-il are products of distortion, which contain all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the pseudo-history. They belong to the area of demagoguery, and it is difficult to acknowledge them as a sincere academic category. The pseudo-history has a thinking structure with a confirmation bias and is obsessed with territorial problems. They pose themselves against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and make an effort to prove that the Korean history is a history developed from the continent, instead of the peninsula. However, this has a fundamental problem in that it uncritically accepts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that the peninsular history is inferior to continental history.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ad produced the Manchu-Korean history that combined the history of Manchuria with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Manchu-Mongolian history that included Mongolia as the invasion targets expanded. In addition, Turanism appeared, which assumed an ‘imaginary’ ethnic group, which rose in the Eastern plain in Iran, and Pan-Asianism was claimed based on that. Even, a claim that Japan, Korea, Manchuria, and Mongolia had the same ancestors emerged. The root of the Korean pseudo history reaches Pan-Asianism made by Japanese imperialists. The pseudo-history is the concept of history in which the genes of the fascist forces as extreme rightists are carved and a product of anti-intellectualism.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ociety as a whole in order to protect from the advent of fascism.

      • KCI등재

        진실을 가장한 허구: : 서양에서의 유사역사학 사례들

        최성철(CHOI, Seong-Cheol) 한국사학사학회 2018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8

        ‘유사역사학(pseudohistory)’이란 ‘종종 제도권 역사학계에서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면서 역사 기록을 왜곡하거나 사실과 다르게 재현하기를 시도하는 유사학문의 한 형태’를 의미한다. 이 논문은 서양에서의 수많은 유사역사학 사례들 중 (1) 인류 문명의 발상지는 이집트이고 서양에서 이집트 문명을 훔쳐갔다고 주장하는 ‘아프리카중심주의(Afrocentrism)’, (2) 기존의 연대기는 모두 거짓이고 모든 역사를 새롭게 재구성해야 한다고 역설하는 ‘신 연대기(New Chronology}’, (3) 아메리카 대륙이 콜럼버스 이전에 이미 중국인들에 의해 발견되었다는 ‘콜럼버스 이전 대양(大洋) 간의 문명 접촉설’ 등 세 가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이들 유사역사학이 갖는 몇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첫째, 유사역사학을 구성하거나 주장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비제도권, 다른 직종에 속한 아마추어 역사가, 타 학문 분야의 학자들이다. (2) 둘째, 유사역사학은 언제나 기존 제도권의 주류 역사학계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거나 승인된 또는 대체로 합의에 이른 역사적 사실들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내용들을 주장한다. (3) 셋째, 유사역사학은 대체로 대중들 또는 특정 집단이나 민족 및 인종이 선호할 만한 또는 환상과 상상에 입각한 흥미 위주의 내용들과 주제들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여기서 포퓰리즘, 민족주의, 인종주의 등의 이데올로기와 특정 의제의 메커니즘이 작동한다. (4) 넷째, 유사역사학은 대중과 소통하기 위해 대체로 인터넷, 스마트폰, SNS 등 새로운 매체의 환경과 기술을 이용한다. 물론 유사역사학이 많은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인공지능, 로봇,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등 진실과 허구 사이의 경계가 점점 옅어져가고 그 경계 자체의 의미가 점점 사라져가는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인 오늘날 정확한 증거와 엄밀한 진실만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19세기적 역사학을 무작정 신봉하는 태도, 완벽하고 객관적이며 진실한 역사는 단 하나뿐이라는 관점 등도 재고되어야 한다. ‘Pseudo-history’ is a form of pseudo-science which often attempts to distort historical records or reproduce them in a different way, using a method similar to that used in institutional and academic histor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ree cases among the many pseudo-historical works in the West: (1) ‘Afrocentrism’, which claims that the birthplace of human civilization is Egypt, and that the West has stolen Egyptian civilization; (2) ‘New Chronology’ (Anatoly T. Fomenko), which emphasizes that all existing chronologies are false and that all history should be reconstructed; (3) ‘the theory of pre-Columbian trans-oceanic contact’ (Gavin Menzies), which insists that the Americas were already discovered by the Chinese before Columbus. Some characteristics of these pseudo-histories are as follows: (1) First, most of the people who construct pseudo-historical studies are non-institutional, amateur historians without a historical background, and scholars of other disciplines. (2) Second, pseudo-history always contradicts historical facts that have been officially recognized, approved or largely agreed upon in the mainstream history of the existing system. (3) Third, pseudo-history focuses largely on contents and topics based on fantasy and imagination that are favored by the public or a particular religious or ethnic group. Here, the ideology of populism, nationalism, racism, and mechanisms of specific agendas work. (4) Fourth, pseudo-history uses the environment and technology of new media such as internet, smart phone, SNS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general. Indeed it is true that pseudo-history has many problems. But toda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ost-postmodernism era, in which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emerge, and the boundaries between fact and fiction are blurred, and the meaning of boundaries itself become more and more vanishing,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or give up the attitude of blindly believing in 19th-century-style history that claims that there is only one perfect, objective and true history based on accurate evidence.

      • KCI등재

        한국 대중 작품에 깃든 유사역사

        이문영 역사문제연구소 2024 역사비평 Vol.0 No.147

        유사역사학의 전파는 근본적으로는 유사역사가의 책과 그들이 소개한 위서들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이들의 주장에 의해서 시민에게 널리 전파된 것은 아니다. 유사역사가의 주장을 받아들인 대중문화 종사자들의 작품들이 유사역사학 전파에 크게 기여했다. 본고에서는 1절에서 유사역사학에서 사용되는 위서에 대해서 살펴보고, 2절에서 유사역사학이 발흥한 60년대와 이들의 영향 아래 국수주의 작품들이 등장한 것을 고찰한 뒤, 3절에서 70년대에 유사역사가들이 결집하고 이들이 사회적 영향력을 확장한 점을 조망한다. 4절에서는 80년대 전반기에 유사역사학의 영향을 받은 대중 작품들을 분석하고 이어서 5절에서 유사역사학 영향력의 극성을 맞이한 80년대 후반에서 90년대의 대중 작품들을 살펴본다. 결론을 대신한 6절에서 현재 우리나라 유사역사학의 영향과 그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The dissemination of pseudo-history is primarily attributed to the contributions of pseudo-historians and the pseudographical works which they introduced. Yet, the proliferation of their assertions extends beyond mere academic circles; popular culture practitioners incorporating these pseudo-historical claims have markedly amplified the reach of pseudo-history. This chapter delineates the role of pseudographs within pseudo-history in Section 1 and explores the emergence of pseudo-history and its nationalist-driven works during the 1960s in Section 2. It further examines the consolidation and burgeoning social influence of pseudo-historians throughout the 1970s in Section 3. Section 4 provides an analysis of popular works influenced by pseudo-history in the early 1980s, while Section 5 focuses on works from the late 1980s and 1990s, a period marking the zenith of pseudo-history’s impact. Conclusively, Section 6 assesses the contemporary implications of pseudo-history in Korea and proposes strategies for addressing its influence.

      • KCI우수등재

        ‘사이비 역사학’의 평범성에 대하여 - 역사학의 전문성을 위한 단상 -

        오항녕 역사학회 2019 역사학보 Vol.0 No.241

        The areas of history were the productions of the records that resulted from the behaviors of human, the transfer and the use of the materials. The history as a discipline studies the traces and acquisition of the experiences, criticize and organize the materials and documents, and write the articles, dramas and stories. The Pseudo-History, on the other hand, has defects in these procedure mainly due to intentionally distorted interpretation. Furthermore it agitate the popular and oppress the debates on the scholastic issues. The fallacies of the Pseudo-History appear at the area of facts, which were insisted the none-existed as the existed or the existed as the noneexisted. Sometimes the Pseudo-historian exaggerate or distort the relations of the facts for their purposes. In these respects, the Pseudo-History negate the experimentalism of the history. However the negligence of facts prevails in the Korean contemporary History and this is the reason why I give warning of. Secondly, the history curricular of school composed of the nation history and can’t reflect the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humanbeing. Especially this inclination easily give a hotbed to the chauvinism. The injection of the national history should be replaced by the historic thinking. Thirdly, the deep-rooted teleological modernism in the contemporary history is also the basis of the summon of the past glories. 본고에서는 사이비 역사학 자체에 대한 비판보다 사이비 역사학의 토양을 연구하였다. 사실에 대한 경시, 국사 중심의 교과, 목적론적 근대주의라는 한국 역사학의 약점이 사이비 역사학에게 자양분을 제공한 것이 아닌가 한다. 역사의 영역은, 인간의 행위에서 나온 기록의 생산, 사료의 전수와 이용을 포함한다. 학문으로서의 역사는 그 경험의 흔적과 획득을 연구하고 사료를 비판, 조직하며 논문, 드라마,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반면 사이비 역사학은 의도적인 곡해로 인하여 이러한 과정에 결함을 가진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그것은 대중을 선동하고 학문 주제에 대한 논쟁을 억압한다. 사이비 역사학의 오류는 사실의 영역에서 나타난다. 없는 사실을 지어내고, 있는 사실을 없다고 하는 형식으로. 때로 그것은 사실의 관계를 과장하거나 왜곡한다. 이런 점에서 그것은 역사학의 경험주의에 대한 부정이다. 둘째, 국사 중심으로 짜인 정규 학교의 역사 교과과정은 인간의 다차원적 성격을 반영하지 못한다. 특히 이는 쉽게 쇼비니즘으로 기우는 경향이 있다. 개인, 가족, 사회, 동아리 등이 역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국사 교육은 역사 교육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셋째, 뿌리 깊은 목적론적 근대주의 또한 과거의 영광을 소환하는 토대이다. 특정 이론에 맞추어 사실을 재단함으로서 역사의 편향과 왜곡을 초래한다. 나아가 현대를 역사의 궁극적인 목적지로 간주하는 근대주의와 쇼비니즘과 근대주의의 결합은 정치적으로 수구-반동적 성격을 띤다.

      • KCI등재

        고대사파동과 식민주의, 한국고대사학의 성과와 과제

        이정빈 한국역사교육학회 2020 역사교육연구 Vol.- No.37

        This article aims at considering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Korea ancient history for decolonizing drawing a lesson from the so called crisis in the study of Korea ancient history. In two crises in the study of Korea ancient history, chauvinistic pseudo history claimed to support liquidation of colonialist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cognition of Korean history in chauvinistic pseudo history originated from the urge to forget the memory of colony and create history, as it did in many independent countries that escaped from the colonies in the late 20th century. chauvinistic pseudo history set the colonialist history as an axis of confrontation, and claimed to be anti colonialism and nationalist history. It also argued that the study of Korean history, which did not match this, was to be forgotten by criticizing it as the result of colonialist history. This was the very attempt to justify the creation of a chauvinistic perception of Korean history. However, the chauvinistic pseudo history was an imitation and appropriation of Pan Asianism of Japanese imperialism, and was a way of thinking and product of imperialism and colonialism. It was a colonialism hidden in anti colonialism. In comparison, the history academia criticized colonialist history in terms of recognition and logic rather than content. The academia particularly focused on the theory of heteronomy, and criticized the geographical determinism that was the premise of the theory. Furthermore, the academia criticized the theory of nationality and racism of colonialist history, taking the nationalism(國粹主義) and imperialism into account which possessed colonialist history.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maintain a critical stance with consciousness of crisis in the crisis in the study of Korea ancient history caused by the nationalist pseudo history of the mid 1970s to 1980s. However, it did not move from anti colonialism to post colonialism because it aimed at pursuing study of the development of national history until the 1990s. Post colonialism has been pursued since the 1990s from the perspective of post modernism. The same is true in the study of Korea ancient histor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various perspectives of the ancient states and societies, races and genders, regions and cultures, human beings and natural and ecological environments more broadly. For the complete escape from colonialism, it is necessary to look from the bottom, not from the top, and to pay attention to the periphery, not only to the center. This article believes that complete escape can be possible after fully dissecting and overthrowing colonialism and that new and diverse historical research is also possible. It may also be a way to prevent the rerun of another crisis in the study of Korea ancient history. 본고에서는 이른바 고대사파동을 거울로 삼아 탈식민을 위한 한국고대사학의 성과와 과제를 생각해 보고자 했다. 두 차례의 고대사파동에서 국수주의적 유사 역사학은 일제시기 식민주의 역사학에 대한 청산을 표방했다. 국수주의적 유사 역사학의 한국사 인식은 20세기 후반 많은 수의 식민지 독립국가에서 그러하였던 것처럼 식민지 기억을 망각하고 역사를 창출하려는 충동에서 비롯되었다. 그들은 식민주의 역사학을 대립 축으로 설정하고, 反식민주의·민족주의 역사학을 표방했다. 그리고 이에 그와 부합하지 않는 한국사 연구를 식민주의 역사학의 소산으로 비난하며 망각하자고 했다. 이로써 국수주의적 한국사 인식의 창출을 정당화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국수주의적 유사 역사학이야말로 일제의 대아시아주의를 모방·전유한 것으로, 제국주의·식민주의의 사유방식이자 그 산물이었다. 반식민주의에 감추어진 식민주의였다. 이와 비교해 역사학계는 식민주의 역사학의 내용보다 인식과 논리의 측면에서 비판하였다. 특히 타율성론에 주목했는데, 그 전제가 된 지리적 결정론을 비판하였다. 나아가 식민주의 역사학을 배태한 국수주의·제국주의를 염두에 두고, 그의 민족성론·인종주의를 비판하였다. 그러므로 1970년대 중반~1980년대의 국수주의적 유사 역사학이 일으킨 고대사파동에서도 위기의식을 갖고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할 수 있었다. 다만 1990년대까지 민족사의 발전을 구명하는 데 목표를 두었기에 반식민주의에서 탈식민주의로 나아가지 못한 면이 있었다. 1990년대 이후 탈근대주의의 관점에서 탈식민주의가 추구되고 있다. 한국고대사 연구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고대의 국가와 사회, 종족과 성별, 지역과 문화, 인간과 자연·생태환경을 바라보는 여러 시각을 보다 폭넓게 점검할 필요가 있다. 식민주의를 충분히 해부하고 전복해야 그로부터 온전히 벗어날 수 있으며, 그래야 새롭고 다양한 역사상의 모색도 가능하다고 믿는다. 또 다른 고대사파동의 재연을 방지하는 길이기도 할 것이다.

      • KCI등재

        역사와 진리 : - 역사 쓰기와 역사 만들기

        김기봉(KIM, Gi-Bong) 한국사학사학회 2018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8

        역사가는 과거를 역사로 만드는 사람이다. 과거는 사실인 반면, 역사는 이야기다. 실증사학은 과거의 사실과 일치된 역사를 쓰는 것을 진리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런 실증사학의 공리는 실현 불가능한 요청일 뿐이다. 실제로 역사서술의 역사는 과거와 역사의 일치가 아닌 불일치를 조건으로 해서 전개됐다. 데카르트는 역사가는 과거에 대한 명증한 지식을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역사는 과학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비코는 인간은 자신이 만든 것만을 확실히 알 수 있다는 전제에 입각해서, “진리 그 자체는 만들어 진 것이다(Verum esse ipsum factum)”이란 명제를 세웠다. 역사가가 연구한 결과물인 ‘역사적 사실’은 ‘과거의 사실’을 데이터로 이용해서 역사가가 만든 사실이다. ‘사이비 역사’란 데이터인 ‘과거의 사실’을 왜곡하거나 날조해서 쓴 가짜 역사를 지칭한다. ‘사이비 역사’는 데이터 과학으로서 역사학의 정체성을 위협하기 때문에 몰아내야 한다. 하지만 역사가에게 데이터의 정확성은 의무일지언정 미덕은 아니다. 현실세계의 많은 것들이 가상세계로 전환되고 있는 디지털 시대에 역사학이 추구해야 하는 진리란 무엇인가? 가상세계에서 인간은 사실을 만들기 때문에, 진리란 그야말로 “만들어진 것”이 되고 있다. 이렇게 진리를 만드는 시대를 맞이하여 앨빈 토플러는 “미래는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상상하는 것”이라 말했다. 4차 산업혁명은 이전의 인류가 가보지 못한 문명사의 새로운 길을 만들 것을 요청한다. 인공지능의 도전에 직면해 있는 역사학은 과거에 관한 객관적 지식을 탐구하기보다는 미래를 위한 진리를 창조하는 상상력을 키우는 학문으로 변모해야 한다. Historians are people who make the past history. History is a story, while the past is a fact. Positivism in history claimed that historians were able to approach the truth by restoring what had happened in the past. However, this axiom of the positivist approach is merely an unrealizable postulate. Indeed, the history of historiography has been developed on the condition of inconsistencies, not in accordance with past and history. Descartes argued that history could not be science because historians were unable to produce clear and distinct knowledge of the past. On the contrary, Vico established the proposition “Verum esse ipsum factum” based on the premise that humans can know only what they have made. Historians make ‘historical facts,’ as a result of their study by utilizing ‘facts of the past’ as data. ‘Pseudo-history’ refers to a false history written by an attempt to distort or fabricate the historical data. ’Pseudo-history’ must be driven out since it threatens the identity of history as data science. But for historians, the accuracy of data is an obligation, but not a virtue. What is the truth that history must pursue in the digital age when many things in the real world are turning into the virtual world? In the virtual world, humans make facts, so truth is actually ”made-up”. In this era of truth making, Alvin Toffler said, “The future is not to predict but to imagin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lls for a new path to civilization that has not been visited by previous humans. In response to this request, history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discipline that fosters imagination that creates truth for the future rather than exploring objective knowledge about the past.

      • KCI등재

        한국 대중 작품에 깃든 유사역사

        이문영(Lee Moon-young) 역사비평사 2024 역사비평 Vol.- No.-

        The dissemination of pseudo-history is primarily attributed to the contributions of pseudohistorians and the pseudographical works which they introduced. Yet, the proliferation of their assertions extends beyond mere academic circles; popular culture practitioners incorporating these pseudo-historical claims have markedly amplified the reach of pseudohistory. This chapter delineates the role of pseudographs within pseudo-history in Section 1 and explores the emergence of pseudo-history and its nationalist-driven works during the 1960s in Section 2. It further examines the consolidation and burgeoning social influence of pseudo-historians throughout the 1970s in Section 3. Section 4 provides an analysis of popular works influenced by pseudo-history in the early 1980s, while Section 5 focuses on works from the late 1980s and 1990s, a period marking the zenith of pseudo-history’s impact. Conclusively, Section 6 assesses the contemporary implications of pseudo-history in Korea and proposes strategies for addressing its influence.

      • KCI등재

        사이비 역사학과 역사 파시즘

        기경량(Ki, Kyoung-ryang) 역사비평사 2016 역사비평 Vol.- No.114

        There have been irrational history research attempts obsessed with the national power and territory of the ancient countries in Korea, which can be termed ‘pseudo-history’. Pseudo-history originated from the government-issued history textbooks enforced by the Park, Jeong-Hee regime in 1974. Pseudo-historians took advantage of diverse media for unsubstantiated slander and indiscriminate criticism against historians who disagreed with them and filed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in order to urge the government to edit the content of history textbooks in favor of their perspectives. It was Ahn, Ho-Sang, the then Minister of Education, who led these moves. Pseudo-history appeared to stand against Japanese colonialistic historical perspective, but in fact it was nothing more than chauvinism that internalized the theory of “peninsular trait” by Japanese colonialists. Moreover, when it comes to the their manipulation and spread of the fake book called Hwandan-gogi, such perspective cannot be considered as a legitimate discipline of academic research. It seems obvious that pseudo-history during the 1970s in Korea basically originated from a Fascistic approach to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Despite of its fascist intentions, both conservatives and liberals tend to accept the claims presented without any sense of vigilance, which indicates that Korean society is vulnerable to all kinds of chauvinism.

      • KCI우수등재

        기로에 선 한국고대사 연구와 전망

        이경섭 역사학회 2017 역사학보 Vol.0 No.235

        The research field of ancient history of Korea published a lot of noticeable source books, papers, and books for the last two years. They contributed to the broadening base of historical records and the partial advancement of new methodologies, bu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y reinforced the quality level of ancient history research overall. It is the result of college and national research support projects that place importance on quantitative evaluation. The outcomes include the absence of theoretical researches in the field of ancient history, researchers' avoidance of macroscopic researches, and the chronic internal issue of worsening inclination toward certain areas among researchers and research topics. In addition, pseudo-historians are attacking the history circles from the perspectives of nationalism and ultranationalism in the projects of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by resorting to the political power. Thes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mean that the research of ancient history is facing a crisis, which can be overcome by both individual researchers and researcher groups and societies making active efforts to increase the quality of research internally and also joint efforts to improve the research environment. Researchers also need to have a contemplation over what to do in the area of ancient history to promote a mature perception of history in the civil society. It is time to reflect on whether researches separate from the society under the pretense of fact and proof created a background for the emergence of “pseudo-history.” 지난 2년 동안 한국고대사 연구는 주목할 만한 자료집들과 논문, 저서들이 다수 간행되었다. 이를 통하여 사료의 저변이 확대되고 새로운 연구방법론 등에서 일부 진전되었지만, 전체적으로 보아 고대사 연구의 질적인 수준을 심화시켰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듯하다. 전반적인 경향은 정치사와 대외관계사 연구가 양적으로 다수를 차지하였고, 사회경제사와 사상사 연구는 매우 침체된 상황이라고 판단된다. 이는 연구의 정량적 평가가 중요시되는 대학과 국가적 연구지원 사업의 영향이라고 생각된다. 그 결과 고대사 연구에서 이론적 연구의 부재, 거시적 연구의 회피, 연구자와 연구주제에서 특정 분야로의 쏠림 현상이 심화되는 내부적 문제가 고질화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사이비 역사 세력들은 정치권력에 기대어 국가 연구기관의 사업들을 중심으로 민족주의적․국수주의적 시각에서 학계를 공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내외적인 환경은 고대사 연구가 위기에 직면해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인 연구자들은 물론 연구자 집단과 학회 등의 내부에서 연구의 질적 제고(提高)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과 연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이 또한 필요하다. 아울러 성숙한 시민사회의 역사인식을 위해서 고대사의 영역에서 연구자들은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도 요구된다. 신자유주의시대의 대학 아래에서 사실과 실증의 미명으로 사회와 유리된 연구가 ‘사이비역사’의 대두 배경이 아닌지 반성이 필요하다. 결국 중요한 것은 과거의 사실만이 아닌, 그것을 토대로 한 현재의 역사학과 역사관이라고도 생각된다.

      • KCI등재

        역사와 문학을 보는 관점

        송희복(Song Hui Bog) 동악어문학회 2011 동악어문학 Vol.56 No.-

        본 연구는 그 동안 소설가들이 창작한 장보고 관련 역사소설을 분석과 성찰의 대상으로 삼아서 그들이 한 시대의 역사 인물을 오늘날 삶의 지평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하고 재구성했느냐, 또한 그들이 텍스트의 담론을 생성하고 텍스트 상호간에 대한 비평적인 의미망을 연결시키고 있었느냐 하는 점을 고찰하고, 규명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그러기 위해서 좀 더 섬세한 통찰 속에서 역사문학의 이론적 근거를 밝히기 위해 문학의 역사성, 문학의 반(反)역사성, 문학의 탈(脫)역사성으로 개념을 세분화하였다. 정한숙의 「바다의 왕자」는 민족주의의 입장에서 장보고의 인간됨을 묘사하고 있다. 민중주의의 시각에서 그 인물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 대목에선 그가 민족의 영웅이 아닌 민중지도자의 인간상에 해당한다. 이 말은 그가 민족주의와 민중주의 가운데 어느 한 곳에도 편벽되지 않겠다는 의도를 보여준 것이라고 할 것이다. 홍명희의 『임꺽정』의 영향권에서 벗어나지 못한 경우라고 하겠다. 홍명희 경우처럼, 정한숙의 장보고는 계급적으로 상하층을 아우르며 연결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저히 중도적이다. 그런데 유현종의 『해왕』은 장보고의 왜구 소탕 과정을 다룬 소설로 사실과 합치되지 않거나 성실하지 않는 역사 고증의 문제로 역사소설로서는 신뢰성이 없는 경우라고 해야 할 것이다. 역사를 포장한 반역사의 성격이 드러나 있는 이 같은 유의 역사소설은 우리 주변에 흔하게 발견되고 있어서 비평적인 옥석의 구분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이중원의 역사소설 『장보고』(2004)도 역사성의 바람직한 방향이 아닌 역방향으로 지향하고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닌가 생각되는 작품이다. 비교적 최근에 발표된 역사소설 중에서 문학의 역사성이란 관점에서 논의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있다면 가장 전형적인 경우가 최인호의 『해신』(2003)이다. 이 작품은 통일 신라 시대의 해상왕으로 잘 알려진 진취적인 인물 장보고의 일대기를 서술한 것. TV드라마로도 제작이 되어 일반 대중에게도 잘 알려진 이 작품의 기저를 이루는 것은 민족주의적인 정조를 자극시키는 데 있다. 역사소설과 민족주의의 상관관계는 가장 익숙한 문학적인 컨벤션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최인호의 『해신』은 진일보한 역사소설이라고 말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인호의 『해신』에는 역사성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탈(脫)역사성도 존재하고 있다. 이 소설의 문학적인 특성이 강조될 때 부각될 수 있는 이 개념은 역사성과 반(反)역사성 중간 지점에 놓이고는 한다. 이 대목에서 거론한 이른바 탈역사의 개념이 수면에 떠오르게 된 것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하는 작품이다. This paper is about ‘A viewpoi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History, and Comparison of and Prospect for historical Novels with the Jangbogo-subject’. They already had discussed many years of relation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There are three points of view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First, there is a history of literature. Second, there is an anti-history of literature. And third, there is an ex-history of literature. Literature has a historic nature. This is well represented by the Clio who is one of the Muses in Greek mythology. Northrop Fyre, a Canadian literary critic, stated that, “History includes a general concept of Art.” Korean modern novels have develop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Most Korean novelists think that the purpose of a novel is to pursue a better life. But, some novelists think that literature does not have a historic nature or must never have had a historic nature. All in one, critics who support a formalism and structuralism have this position. They insist that a novelist use history as a means because they want to remedy a grievance of reality. The novelist sinks into pseudo-history, lack of historic truth, or imaginary history that reveal an anti-history of literature. Recently, Korean historical novel have formed a new trend. It is a growing trend that opposes the existing historical novel such as; group consciousness, ideology, and mega discourse. These days, historical novels which, important factions, rather than fact, is popular. It seems that ‘post-histories’- a new historical view of post-modernists, affects this kind of historical novel. This is in relation to the changed desire of readers who want to over a boundary of reality and imaginary. Jung Han-sook's historical novel, 「King of the Sea : Jangbogo」, is hardly looking up a description of Jangbogo's heroic behavior. This is a very exceptional thing. Lukacs said, “His work is a historical novel which is shunning excess of Hero and Villain, People and The people.” In between characters is a classical feature of a historical no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