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정은 시기의 북한의 대남 군사도발의 유형과 변화 양상

        서우진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공공정책연구소 2019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Vol.5 No.2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invasion and provocation of South Korea from 2009 to 2018 when Kim Jong-un appeared on the fro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examin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es, and analyzes the nature and cause of provocation. It will help to find the direction to maintain and develop the types and frequencies of invasion and provocation of South Korea, which are the subject of empirical analysi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ypes of ground local provocation, maritime local provocation, aerial local provocation, nuclear test provocation, missile provocation, etc. The case presented a case of bypass infiltr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the military provocations under the Kim Jong-un regime were overwhelmingly high in strategic provocations such as the invasion of the NLL in the West Sea and nuclear and missile provocations. In particular, the missile test launch, which has the second highest frequency among provocation types, succeeded in miniaturizing and lightening nuclear weapons, and is currently seeking to diversify and multiply. In addition, the intensity of North Korea's provocation against South Korea has become stronger as Kim Jong-un's status is strengthened. North Korea's military provocations are clearly contrary to the 9.19 military agreement that prohibits mutual hostil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last year. There needs to be an active and effective response that can be curbed.

      • KCI등재후보

        북한의 무인기 위협과 한국의 대응

        김강녕 한국국회학회 2023 한국과 세계 Vol.5 No.2

        This paper is to analyze North Korea's unmanned aerial vehicle(UAV, drone) threat and South Korea's response. To this end, conclusions were drawn after examining UAVs and asymmetric threats, North Korea's UAV threat status and evaluation, and the ROK's response to North Korea's UAV threat. Recently, North Korea is attempting a new type of provocation against the South by unmanned aerial vehicles, such as invading a no-fly zone. In the case of North Korean drone infiltration, asymmetry exists due to operational asymmetry and the possibility of terrorism against South Korea. North Korea's unmanned aerial vehicle development is on the trend of shifting from the existing intelligence/surveillance/reconnaissance purposes to attacks. The background of North Korea's unmanned aerial vehicle development comes from North Korea's security, symbolic, and threatening motives and effects. In order to respond to North Korea's dron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tasks such as ①enhancing public- private-military cooperation, ②establishing joint drone command, and ③enhancing cooperation at the ROK-US alliance level. 본 논문은 북한의 무인기 위협과 한국의 대응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무인기와 비대칭위협, 북한의 무인기 위협 현황 및 평가, 한국의 북한 무인기 위협 대응과제를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하였다. 최근 북한은 비행금지구역을 침범하는 등 무인기에 의한 새로운 형태의 대남도발을 시도하고 있다. 북한의 무인기 침투의 경우 운용상의 비대칭성과 대남 테러 가능성으로 인해 비대칭성이 존재한다. 북한의 무인기 개발은 기존의 정보·감시·정찰의 목적에서 공격용으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북한의 무인기 개발배경은 북한의 안보적·상징적·대남위협적 동기 및 효과에서 나온 것이다. 향후 북한의 무인기 대응을 위해 ①민·관·군 협력 제고, ②합동 드론사령부 창설, ③한미동맹 차원의 협력 제고 등의 과제를 적극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연평도 포격도발 이후 미국의 대북정책과 한반도 정세 전망

        이인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1 국가안보와 전략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recast the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Yeonpyeong Island and vessel Cheonan incidents in 2010 and U.S.-China Summit in 2011. The intention of North Korea’s provocations are, internally for the residents'solidarity, showing off the capabilities of Kim Jong Un and demonstrating the power of Seongun politics, externally for the resumption of six party talks, induction of South-South conflict, and neutralization of NLL. If president Obama considers for reelection in 2012, he will take some drastic measures on North Korean issue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Therefore, Obama administration pressures on North Korea on the one hand, while on the other hand induces ROK to accept North Korea’s dialogue offensives and attempts to resume the six party talks. North Korea is taking advantage of an opportunity of omni-directional dialogue offensives shaking the U.S. and South Korea with January 19th U.S.-China Summit. There seems no sincerity in North Korea’s omni-directional dialogue offensives. North Korea’s recent dialogue offensives are unprecedented. Therefore if you do not deal with North Korea properly, you will be in the fetch of North Korea. Therefore, in drastic changes of the situ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we have to take into account the strategies of considering North-South relations as well as the U.S and China. 본 논문의 목적은 2010년 북한이 자행한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 및 우라늄농축시설 공개를 둘러싼 배경과 이에 대한 미국 및 국제사회의 대응을 살펴보고 미국의 대북정책의 변화양상을 분석해 본 후, 최근 미중 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정세를 전망하는데 있다. 북한의 도발 의도는 대내적으로 주민 결속, 김정은의 역량과시, 선군정치의 위력 과시의 목적이 있었고, 대외적으로는 6자회담 재개, 남남갈등 유도, NLL 무력화 등의 목적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오바마 대통령이 2012년 재선을 고려한다면 금년 하반기까지 북한문제에도 어느 정도 특단의 조치를 강구하면서 적극적으로 나오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한편으로는 북한을 강하게 압박하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으로 하여금 북한의 대화 제의를 받아들일 것을 유도하고 6자회담 재개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은 1월 19일 미중 정상회담을 미국과 한국을 흔드는 전방위 대화공세의 기회로이용하고 있다. 북한의 전방위 대화공세는 진정성을 갖고 있지 않아 보인다. 그리고 최근 북한의 대화공세는 유례가 없는 것으로 북한의 저의를 파악하고 제대로 대처하지 않으면 북한의 술책에 넘어가게 된다. 따라서 급격하게 돌아가는 한반도 정세의 변화 속에서 우리는 남북관계뿐만 아니라 대미·중관계 등 모두를 고려하는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북한 대남전략의 분석과 전망

        한관수(Han, Kwan-Soo),송세관(Song, Se-Gwan)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7 전략연구 Vol.24 No.1

        본 논문은 북한의 대남전략을 종합분석하고 전망하여 한국의 대응전략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북한의 대남전략의 결정요인을 전략체계, 환경 요인, 의사결정체계로 범주화 한 후 김정은의 통일과 남북관계에 대한 인식과 노선을 분석하고 전망하여 대응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은 주로 노동당 제7차 당대회에서 김정은이 발표한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면서 이후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3차 회의, 2017년도 신년사 발표를 거치면서 북한이 공식 발표한 내용을 전반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의 대남전략은 미국과 중국 요인과 한국 및 북한 요인이 의사 결정에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대남전략의 중심에는 북한 핵문제가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은 향후 핵무장 고도화, 공세적 대남 도발, 그리고 위장평화 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북한 핵무장 저지, 전방위 군사 대비, 한미동맹 강화, 실효성 있는 중국과의 관계 유지, 신 대북정책의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map out a strategy to North Korea after analyzing North Korea’s strategy to South Korea and forecasting further one. The factors which affect North’s strategy making were categorized; strategy system, environment, and decision making system. Based on these factors, Kim Jong-un’s perception and policy line about unification and relations with South were investigated. Then, the study suggested several counter-strategies to North. For the study, Kim Jong-un’s speech at the 7th Congress of the WPK was primarily analyzed along with 14th Annual Conference of the Supreme People’s Congress and new year’s announcement in 2017. The results show that conditions of U.S., South Korea and North Korea multiply affect North’s strategy making. In particular, North’s nuclear policy was shown as the main factor. It is predicted that North Korea will continue to accelerate nuclear armament, provoke South and keep disguised peace propaganda.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South Korea should force North Korea stop the nuclear armament, prepare total military defense, strengthen alliance with U.S, keep practical relations with China, and consider to establish new policy toward North.

      • KCI등재후보

        북한의 사이버 테러 위협과 한국의 대응방향

        김강녕(Kangnyeong Kim)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19 국가와 정치 Vol.25 No.-

        본 논문은 북한의 사이버 테러 위협증가와 한국의 대응방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이버 테러의 개념·유형·특성, 북한의 사이버 테러의 현황과 능력, 북한의 사이버 테러에 대한 한국의 대응방향을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본 것이다. 북한은 한국을 대상으로 2009년 7월부터 2017년까지 14건의 위협적인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였다. 청와대부터 시작해서 금융기관, 인터넷기업, 언론사, 한수원(한국수력원자력), 지하철 공사, 및 가상화페거래소 등 공공기관 및 국내주요시설을 제집처럼 넘나들며 공격하고 있다.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로 대한민국과 국제사회의 안전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북한의 사이버 테러위협은 더욱 고조되고 북한의 사이버 테러수법도 더욱 다양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은 사이버 테러 전력증강을 위한 핵심기술개발과 전문인력 양성에 주력해온 결과 사이버 테러와 GPS(인공위성위치정보) 전파교란 등 사이버 공격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은 IT강국이지만 사이버테러에는 취약하다. 이제 사이버 안보는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북한의 사이버 테러에 대한 대응은 대내외적, 법제적, 군사적·비군사적, 범국민적 대응역량 및 협조체제가 함께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우리 한국은 IT강국에 걸맞게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조직·인력·기술면에서 국가 사이버 안보능력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각 영역에 최고의 전문가들이 자신의 역량을 결집시켜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적극 대응해 나가야 한다. 한국은 사이버 안보의식 강화 및 사이버위협 정보공유, 사이버안보를 위한 법률적·제도적 기반정립, 사이버대응총괄전담기구의 설립과 공세적 대응역량강화, 사이버보안시스템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증대와 전문인력 양성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ncreasing threat of cyber terrorism in North Korea and the direction of Korea’s response.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the concep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yber terrorism; the present state and ability of cyber terrorism in North Korea; and the ROK 's response to cyber terrorism in North Korea; and conclusion. North Korea has conducted about 14 cyber attacks against Korea from July 2009 to 2016. Starting from Cheong Wa Dae, he is attacking financial institutions, Internet companies, media companies, KHNP(Korea Hydro & Nuclear Power). In a situation where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provocations threaten the security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threat of cyber terrorism is expected to further heighten and North Korea's cyber terrorism will become more diverse. Our Country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meet the needs of IT powers and strengthen its national cyber security capabilities in terms of organization, manpower and technology. The best experts in each area should mobilize their capabilities and actively respond to cyber attacks in North Korea. We should promote the development of cyber security consciousness and cyber threat information sharing, establishing a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for cyber security, establishing a dedicated cyber countermeasures authority and strengthening the response capability of cyber security, and increasing the R&D and training of professional manpower to strengthen cyber security system.

      • KCI등재

        탈냉전기 북한 대남도발의 전략적 의도와 행태

        한관수(Han Kwan-Soo)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2 전략연구 Vol.54 No.-

        본 논문은 탈냉전기에도 계속되는 북한 대남도발의 전략적 의도와 행태를 북한의 시각에 기초하여 환경적 요인, 의사결정체계, 도발수단으로 범주화 하여 도발사례를 분석하고 향후 도발양상을 전망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의 도발은 미국요인과 한국 및 북한 내부 요인이 의사 결정체계에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군사적, 비군사적 수단에 의해 자행되었고, 대남도발은 근본적으로 ‘전 한반도의 공산화 통일’이라는 북한의 국가전략체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공세적으로 지속될 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북한은 단기적으로는 비군사적 수단을 이용한 공세가 이어질 것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비타협적 군사모험주의 노선을 강도 높게 구사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우리는 북한의 예상되는 각종 도발에 전방위적으로 대응태세를 유지하면서 특히 가능성이 높은 서해 도발과 사이버전에 대비해야 되는 필요성이 높아진다. 이를 위해 북한의 국가전략에 기초한 대응책 수립, 도발시 강력한 응징, 주도권 확보를 위한 남북대화 전략 모색, 한미연합작전체제 강화, 중국과의 전략적 협력체제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North Korean (NK) strategic intentions and provocation against South Korea (SK) in the post-Cold War era in order to forecast future provocations. This analysis is done through the perspective of NK. This analysis is performed via the environment, decision making system, and the delivery system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ree factors contribute in North Korean decisions to provoke SK: U.S. policy toward NK, SK environment, and NK domestic environments. The NK intentions are influenced by their national strategy, ‘communiza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recent shift in focus on the Northern Limited Line (NLL) and Cyber War. In the short term, it is expected that North Korea will keep calling for the talks with South Korea and United Nations. However, in the longer term, their intentions seem provocative without compromise. Therefore, SK must prepare for these provocations and be flexible in response to a wide-range threats. It is especially necessary to be prepared for predictable attacks, such as from the West Sea as well as through Cyber War. To this end, SK should prepare counter measures against such possible attacks. SK must respond decisively and with commitment. Equally important is to strengthen a coalition with U.S. and China to further deter NK provocations.

      • KCI등재

        대남도발에 대한 강경대응전략의 실효성: 인도-파키스탄 사례를 중심으로

        김창준,박성수,권성진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2 한국군사학논집 Vol.78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인도-파키스탄 사례를 통해 한국이 북한의 도발에 대해 강경대응전략을 계획할 시 직면할 수 있는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수십 년간 지속되는 북한의 도발은 기존의 한국이 가진 대응전략이 실패했다는 증거이며, 그 결과 군사력을 동반한 ‘응징’을 통해서 북한의 도발을 억제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인도의 사례에서 나타나듯이, 한국이 강경대응을 계획하고 실행하게 된다면 국제사회의 개입, 확전의 위협이라는 두 가지 문제에 직면할 것이며, 재래식 수단을 동원한 강경대응계획을 보유만 하게 되더라도 이는 재래식 전력이 상대적으로 열세인 북한에게 위협으로 작용하여, 북한이 역대응 차원에서 의도적으로 핵사용의 임계점을 낮춤으로써 한반도의 불안정성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현재 한국의 상황에서 북한의 도발에 대하여 무력을 동반한 강경대응전략은 구현할 수도 없으며, 보유만으로도 안보 불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는 화이부실한 계획인 것이다.

      • KCI등재

        DMZ내 북한도발 및 남북무력충돌 분석 : 6·25전쟁∼1970년대를 중심으로

        김강녕(Kim Kang-nyeong)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1 한국과 국제사회 Vol.5 No.6

        DMZ가 생성된 이래 북한의 도발 및 남북무력충돌이 발생해 남북간 군사적 긴장이 가장 높았던 시기가 바로 1960∼70년대였다. 정전협정 체결 후 1960∼70년대 북한 무력도발은 ①남조선혁명의 일환으로 획책, ②체제결속의 강화 차원에서 지속, ③남북분단 고통의 심화·확대의 초래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북한의 대남전략 및 무력도발이 주는 시사점은 ①북한의 위장평화공세에 대한 철저한 대비, ②북한의 어떤 무력적화도발에 대해서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안보능력 강화, ③통일지상주의 및 근거 없는 낙관론의 지양, ④북한의 변화를 위한 점진적·단계론적 접근의 추진 등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우리의 국방은 항상 최악의 상황까지도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언제라도 북한의 무력도발을 억제하고 유사시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조적·공조적 국방안보능력 강화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Since the creation of the DMZ, the highest level of military tension between the two Koreas was in the 1960s and 1970s due to North Korean provocations and the occurrence of inter-Korean military clashes. After the signing of the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North Korea s military provocations in the 1960s and 1970s are characterized by ①planning as part of the South Korean Revolution, ②continuing to strengthen system solidarity, ③deepening and expanding inter-Korean division pain. The implications of North Korea s strategy and armed provocation against South Korea can be summarized as ①thorough preparation for North Korea s disguised peace offensive, ②strengthening security capabilities to flexibly respond to any armed provocation, ③avoiding groundless unification groundism and optimism, ④promoting a gradual and step-by-step approach to North Korea s change. Our defense should always be able to prepare for the worst. We should do our best to strengthen our self-help and cooperative defense security capabilities to suppress North Korea s armed provocations at any time and cope stably in case of an emergenc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