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삼 재배토양에서의 Procymidone 흡착 및 분해

        김효근,이윤환,이규승 한국환경농학회 2002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1 No.4

        인삼재배환경에서의 농약의 동태를 구명하기 위하여 살균제 procymidone을 공시하여 인삼 재배토양을 대상으로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procymidone을 처리한 인삼재배토양을 10℃ 및 25℃의 항온에서 배양하면서 토양중 잔류성을 조사하였다. 흡착실험을 통하여 구한 procymidone의 유기탄소기준 흡착분배계수(K_(oc))는 531~743 수준으로서 토양 중 procymidone의 이동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내 항온배양 실험결과로부터 계산된 procymidone의 반감기는 248일(25%) 및 330일(10%)로서 포장실험결과에 비해 현저히 길어졌으며, 이는 procymidone이 가수분해 또는 미생물에 의한 분해 등에 안정한 화합물임을 시사하였다. This work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pesticides in ginseng(Panax ginseng C. A. Meyer) cultivation environment, with a fungicide procymidone as a model pesticide. Procymidone adsorption on ginseng cultivating soil was studied and persistency of procymidone in soil was monitored in indoor incubation experiments at 25℃ and 10℃. The soil adsorption coefficients(K-(oc)) of procymidone were in the range of 513~743 suggesting the mobility of procymidone in soil is relatively low. Procymidone showed higher persistency in soil under indoor incubation condition than outdoor field condition. The half lives estimated from the first order reaction kinetics were 248 days and 330 days at 25℃ and 10℃, respectively.

      • KCI등재

        복숭아의 재배 및 저장기간 중 Procymidone, Chlorpyrifos 및 Cypermethrin의 잔류량 변화

        이용재,고광용,원동준,길근환,이규승 한국환경농학회 2003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2 No.3

        복숭아의 생산단계에서 잔류허용 기준과 최종 소비단계에서의 잔류양상 평가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복숭아에서의 procymidone, chlorpyrifos 및 cypermethrin의 포장상태에서와 실온(20°C) 및 저온(4°C) 저장시 잔류양상을 알아보았다. Procymidone의 포장상태에서의 반감기는 표준량 3.1, 배량 3.4일로 나타났고, chlorpyrifos는 포장상태에서 포준량 7.2, 배량 5.8일로 나타났으며, cypermethrin은 표준 10.1, 배량 14.4일로 나타났다. 약제 살포 후 초기 부착량이 MRL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의 시간을 계산해 본 결과 배량으로 살포 할 경우 procymidone과 chlorpyrifos는 안전사용기준 보다 시간이 오래 걸렸지만, 표준량으로 사용할 경우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 중의 procymidone, chlorpyrifos, cypermethrin의 반감일수는 20°C에서 4.6, 10.2, 12.9일 이며, 4°C에서는 16.1, 14.3, 13.1일로 저온에서의 반감기가 실온에서보다 더 긴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세척방법에 의한 잔류농약의 제거율은 수돗물에서는 최고 procymidone 82.9%, chlorpyrifos 27.0%, cypermethrin 24.0%로 나타났고, 세제를 사용 할 경우 procymidone 88.8%, chlorpyrifos 59.0%, cypermethrin 59.4%의 제거율을 보였다. The residue patterns of procymidone, chlorpyrifos and cypermethrin in peaches were examined. The pesticides were sprayed at 15 days before harvest and then were determined the residue at 0, 1, 2, 3, 5, 7, 10 and 15 days after pesticide application and calculated their DT_(50). Also, the degradation patterns at 4℃ and 20℃ during storage period were compared. Biological half-lives of procymidone, chlorpyrifos and cypermethrin in peaches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were 3.1, 7.2 and 10.4 days, respectively. The biological half-life of procymidone was shorter than the others. During the storage period, half-lives of procymidone, chlorpyrifos and cypermethrin were 16.0, 14.3 and 13.1 days at 4 C and 4.6, 10.2 and 12.9 days at 20℃, resp ectively. The degradation rates of these three pesticides in storage period were slower than them in cultivation period. Removal rates were 22.2--82.9% by tap water, and 12.5∼88.8% by detergent solution.

      • KCI등재

        멀칭토양에서 procymidone의 경시적 잔류량 변화와 부추에 대한 흡수이행성

        이득영,김영진,문보연,김경진,송아름,최지민,최근형 한국농약과학회 2022 농약과학회지 Vol.26 No.3

        50% Procymidone 수화제를 부추 노지 재배지에 살포하여 멀칭토양 중 procymidone의 경시적 잔류변화와 토양 잔류 procymidone의 부추에 대한 흡수이행계수 (Bioconcentration factor, BCF)를 산출하였다 . 약액 처리 후 토 양 중 procymidone의 초기 잔류량은 3.661 ± 0.114 mg kg-1이었고 , 최종 부추 수확 후 토양 중 procymidone의 잔류 량은 1.634 ± 0.116 mg kg-1으로 감소하였다 . 멀칭토양 중 procymidone의 잔류 반감기는 (Dissipation time, DT50) 216.6일이었다 . 부추는 시험 기간 중 총 4회 연속 수확하였으며 , 수확한 부추 중 procymidone의 잔류량은 0.789- 1.854 mg kg-1으로 현재 부추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최대 잔류허용기준량인 5.0 mg kg-1을 초과하지 않았다 . 약액 처 리 190일 경과 후 수확한 부추의 잔류량은 1.854 ± 0.117 mg kg-1이었고 , 최종 부추 수확일인 약액 처리 240일 경과 후 수확한 부추의 잔류량은 0.855 ± 0.085 mg kg-1으로 감소하였다 . Procymidone의 부추에 대한 BCF를 산출한 결과 0.216-0.506이었다 .

      • 쪽파 재배 토양 중 Procymidone의 경시적 잔류량 변화와 흡수이행성 평가

        이득영 ( Deuk-yeong Lee ),김경진 ( Kyeon-jin Kim ),문보연 ( Bo-yeon Moon ),송아름 ( A-reum Song ),최지민 ( Ji-min Choi ),손경애 ( Kyeong-ae Son ),최근형 ( Geun-hyoung Choi ),이희동 ( Hee-dong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22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2 No.-

        Dicarboximide계 살균제인 procymidone은 딸기와 오이, 고추, 토마토, 포도의 잿빛곰팡이병 방제에 사용된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유통 농산물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결과 부적합 농산물 중엽경채류의 부적합률은 3배 증가하였으며, procymidone은 다빈도로 검출되어 작물 중 잔류 문제가 우려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에 처리한 procymidone의 경시적 잔류량 변화와 쪽파에 대한 흡수 이행성을 평가하였다. 노지에 procymidone을 토양 처리한 후 쪽파 종구를 파종하여 재배하였다. 토양 중 procymidone의 경시적 잔류량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재배 기간 중 토양을 채취하여 잔류량을 분석하였으며, 쪽파는 약제 처리 후 50일차와 71일차에 각각 수확하여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채취한 토양과 쪽파는 QuEChERS EN법으로 추출하여 d-SPE 정제 후 각각 GC-ECD와 GC-MS/MS로 분석하였다. 토양과 쪽파 중 procymidone의 회수율은 73.8-116.1%이었고, 분석 변이 계수 (Coefficient of Variation, CV)는 1.1-6.5%이었다. Procymidone의 초기 토양 잔류량은 5.778 mg kg-1이었고, 최종 수확 시 토양 잔류량은 0.035 mg kg<sup>-1</sup>으로 초기 잔류량 대비 99% 감소하였다. 쪽파 시료 중 procymidone은 모두 LOQ 미만으로 불검출되었다. 쪽파에 대한 토양 잔류 procymidone의 흡수 이행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Expression Pattern of Antioxidant Enzymes Genes in the Ventral Prostates of Rats Exposed to Procymidone and/or Testosterone after Castration

        이종걸,연정민,정기윤,임춘매,정아영,이범준,윤영원,남상윤 사단법인 한국동물생명공학회 2011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Vol.26 No.4

        Procymidone is a fungicide with anti-androgenic properties widely used to protect fruits from fungal infection,which induces an excessive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in male reproductive organs. In this study, to clarify whether procymidone affect the cellular antioxidant system of prostate at onset of puberty, gene expression patterns of the representative antioxidant enzymes such as cytoplasmic glutathione peroxidase (GPx1), phospholipid hydroperoxide GPx (PHGPx), selenoprotein P (SePP), cytoplasmic copper/zinc superoxide dismutase (SOD1), and manganese SOD (SOD2) were investigated in the rat ventral prostates exposed to procymidone using real-time RT-PCR analyses. Seven-week-old Sprague-Dawley rats castrated at 6 weeks old were treated with procymidone (25, 50, or 100 mg/kg per day) orally for 7 consecutive days after testosterone propionate (0.4 mg/kg per day) administration by subcutaneous injection. As compared to normal control animals, GPx1 mRNA expression in prostate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administration with TP and/or procymidone. However, PHGPx and SOD1 mRNA levels significanatly decreased by over 25 mg/kg of procymidone treatment and SePP and SOD2 mRNA levels was significanatly reduced by over 50 mg/kg of procymidone treat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rocymidone may affect the antioxidant system of prostatic cells in up-regulation mode of GPx1, but in down-regulation modes of PHGPx, SePP, SOD1, and SOD2, suggesting that procymidone may affect differently the cellular antioxidant system of prostate according to the exposure doses

      • KCI등재

        상추의 생산단계별 Chlorpyrifos 및 Procymidone의 잔류허용기준 설정

        김영숙,박주황,박종우,이영득,이규승,김장억 한국환경농학회 2002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1 No.2

        상추의 생산단계에서의 잔류허용기준 설정과 최종 소비단계에서의 안전성 평가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상추수확물에서의 잔류수준과 검출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살충제 chlorpyrifos 및 살균제 procymidone의 포장상태에서의 생물학적 반감기, 보관상태에 따른 잔류량 변화 그리고 세척형태에 따른 제거율을 조사하였다. 시설재배포장에서 상추중 두 약제의 살포농도별 생물학적 반감기를 측정한 결과 기준량 살포의 경우 chlorpyrifos 1.2일 및 procymidone 1.3일, 배량살포의 경우에는 chlorpyrifos 1.5일 및 procymidone 2.6일로 나타났다. 유통과정중에서 일어날 수 있는 두 가지 농약의 잔류량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온(20℃) 및 냉장(4℃) 상태로 보관하면서 두 약제의 잔류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반감기는 실온저장시 chlorpyrifos 3.8일, procymidone 7.2일이었고, 냉장저장시에는 chlorpyrifos 12.4일, procymidone 20.9일로 나타나 두 약제 모두 실온저장보다 냉장저장시 잔류량의 감소가 훨씬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방법에 의한 잔류농약의 감소량을 조사한 결과 세제 사용시의 평균 제거율은 chlorpyrifos 48.3%, procymidone 52.6%로 나타났고, 물 사용시에는 chlorpyrifos 31.3%, procymidone 38.1%로 나타났다. Two pesticides commonly used for lettuce cultivation including chlorpyrifos and procymidone were subjected to a field residue trial to ensure safety of terminal residues in the harvest. After pesticides were applied at standard and double rates in a foliar spray, leaf persistence of their residues was investigated for 10 days prior to harvest. Even though far exceeded the tolerances, initial leaf residues were rapidly dissipated with time and remained only 0.4~7.2% of the residues in the harvest. As well fitted by the first-order kinetics, biological half-lives of the pesticide residues in lettuce leaves ranged 1.2~2.6 days. Slow dissipation of the residues in the harvest was observed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and 4℃ for 7 days. Portions of dislodgeable residues which resided in detergent washings decreased as time elapsed. Patterns in dissipation and distribution of dislodgeable residues were not largely affected by the application rate of pesticides. It is concluded that timing of pesticide application, that is, pre-harvest interval would be the first factor to determine the terminal residue level in edible portions of lettuce.

      • KCI등재

        인삼재배를 위한 차광조건이 인삼의 생육과 토양 중 Procymidone의 잔류에 미치는 영향

        김효근,이규승 한국환경농학회 2002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1 No.1

        본 실험에서는 음지식물인 인삼의 재배에 필요한 차광조건이 토양 중 Procymidone의 잔류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서 몇 가지 차광재료들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차광조건을 만들고서, 각 차광조건에서의 토양 중 Pocymidone의 잔류성을 조사하였다. 여러 차광재료들을 인삼포장에 가설하여 만든 다양한 차광조건하에서 토양 중 Procymidone의 반감기는 차광재료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혼합일복 (161일)>유리 (76일)>청색차광망 (39일)=흑색차광망 (36일)>볏짚일복 (21일)>노지 (7일) 순이었고, 이러한 토양 중 잔류성의 변화는 각 차광재료들의 누수율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인삼재배를 위한 차광시설의 존재는 토양 중 Procymidone의 잔류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농약의 토양 중 잔류성을 감소시키는 측면에서만 고려할 때, 강우시 가능한한 누수율을 중대시키는 차광재료들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토양 중 Procymidone의 잔류반감기는 차광재료들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각 차광재료들의 누수율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has been cultivated on raised beds with shading condition for 4 to 6 years because of it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shading condition maintains relatively stable soil environments protecting from rainfall and direct sunlight. Therefore, pesticides in ginseng growing soil are exposed to far different environment from the general cropping field. To study the behavior of pesticides under this condition, the effect of covering on the persistency of Procymidone in ginseng cultivating soil was investigated by using several shade material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Procymidone persistency in soil under covering was water leakage rates of shade materials.

      • KCI등재

        연작으로 인한 토양잔류 Procymidone의 비의도적 후작물 흡수이행

        곽세연 ( Se-yeon Kwak ),이상협 ( Sang-hyeob Lee ),( Aniruddha Sarker ),김효영 ( Hyo-young Kim ),신병곤 ( Byung-gon Shin ),김장억 ( Jang-eok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지 Vol.40 No.3

        BACKGROUND: Pesticides can persist in soil due to multiannual uses. To decrease the concerns for potential carry-over of such residues from treated soil during preceding crop cultivation to non-target crops grown in rotation, an uptake study of procymidone was conducted under the actual cultivation conditions in Korea. METHODS AND RESULTS: Procymidone was sprayed twice by foliar application with recommended and double dose according to the safe use guidelines for Korean cabbage up to 14 days before harvest. Arable land was kept fallow for 4 days after harvesting Korean cabbage, and spinach was cultivated as a succeeding crop. Initial residues in soil were 5.670-14.175 mg/kg that were degraded to 3.098-4.555 mg/kg until harvest of Korean cabbage, and then persisted at 1.026-1.300 mg/kg by spinach harvest. Procymidone residues in edible part of succeeding crops from soil uptake were in range of 0.020-0.048 mg/kg for recommended dose and 0.055-0.116 mg/kg for double dose. Root concentration factor (RCF) values of procymidone at different concentration ranged from 0.053 to 0.123, and translocation factor (TF) ranged from 0.176 to 0.768 for spinach. The value of TF was higher than RCF, indicating that the capability of translocation to shoot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root uptake and accumulation. CONCLUSION: Procymidone applied on Korean cabbage can be carried-over to spinach and detected at a level similar to MRL (0.05T mg/k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follow-up study for establishment of plant back interval (PBI) of succeeding crops reflecting the actual agricultural conditions as this study.

      • KCI등재

        들깻잎이 재배 및 저장기간중 Procymidone 및 Bifenthrin의 잔류량변화

        고광용,이용재,원동준,박혜진,이규승 한국환경농학회 2003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2 No.1

        들깻잎에서 procymidone과 bifenthrin의 경우 안전사용기준인 약제살포 후 5일에 각각의 농도가 38.16, 1.77 mg/kg 이지만 이는 살포 조건과 재배환경에 따른 농약의 초기부착농도가 높은데서 기인한 것이라고 예상되어진다. 앞에서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일반적인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으로 농약을 처리한다면 최초살포 이후 재배기간에서 5일간 50% 이상 이 분해되고 10일 후에는 90%이상이 분해된다. 또한 상온저장 중 20~40%가 분해되며 수돗물 세척에 의해서 만으로도 50%이상이 제거되므로 조리과정을 감안하지 않더라도 초기살포량의 약 90%는 분해 또는 제거되어 안전사용기준에 의거하여 사용한다면 두 약제 모두 MRL이하로 잔류하게 되어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어진다. 하지만 현행법상 수확 시점에 그 잔류량을 조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깻잎의 경우 재배가 대부분 하우스에서 이루어짐을 감안한다면 두 약제 모두 초기살포시 작물체로서의 부착량이 많을 경우에 수확시점에서의 잔류량이 MRL을 상회할 가능성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에 따른 약제 사용량의 축소나 저농도 약제의 사용, 살포일수의 조정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In order to know residual pattern of pesticides and to predict degradation period until below MRL, we experimented with procymidone and bifenthrin for perlua leaf which were the most detected pesticides by NAQS (National Agriculture-product Quality management Service) survey. In this experiment, we sprayed those pesticides 10 days before harvest and analyzed 0, 1, 2, 3, 5, 7, 10 day samples to establish logical equation and to calculate DT_(50). Also degradation patterns of those samples were compared during storage at 4℃ and 20℃. During cultivating period, procymidone residue amount was changed from 79.52 mg/kg (0 day) to 4.2 mg/kg, DT_(50) was 2.65 days by logical-equation, and bifenthrin residue amount was changed from 5.03 mg/kg (0 day) to 0.17 mg/kg, DT_(50) was 2.24 days. During storage period, DTso of procymidone and bifenthrin at 4℃ was 12.23 days and 10.57 days, and at 20℃ was 6.32 days and 8.2 days, respectively.

      • KCI등재

        Involvement of Alternative Oxidase in the Regulation of Sensitivity of Sclerotinia sclerotiorum to the Fungicides Azoxystrobin and Procymidone

        Ting Xu,Ya-Ting Wang,Wu-Sheng Liang,Fei Yao,Yong-Hong Li,Dian-Rong Li,Hao Wang,Zheng-Yi Wang 한국미생물학회 2013 The journal of microbiology Vol.51 No.3

        Sclerotinia sclerotiorum is a filamentous fungal pathogen that can infect many economically important crops and vegetables. Alternative oxidase is the terminal oxidase of the alternative respiratory pathway in fungal mitochondria. The function of alternative oxidase was investigated in the regulation of sensitivity of S. sclerotiorum to two commercial fungicides, azoxystrobin and procymidone which have different fungitoxic mechanisms. Two isolates of S. sclerotiorum were sensitive to both fungicides. Application of salicylhydroxamic acid, a specific inhibitor of alternative oxidas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values of effective concentration causing 50% mycelial growth inhibition (EC50) of azoxystrobin to both S. sclerotiorum isolates, whereas notably decreased the EC50 values of procymidone. In mycelial respiration assay azoxystrobin displayed immediate inhibitory effect on cytochrome pathway capacity, but had no immediate effect on alternative pathway capacity. In contrast, procymidone showed no immediate impact on capacities of both cytochrome and alternative pathways in the mycelia. However, alternative oxidase encoding gene (aox) transcript and protein levels, alternative respiration pathway capacity of the mycelia were obviously increased by pre-treatment for 24 h with both azoxystrobin and procymido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ternative oxidase wa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sensitivity of S. sclerotiorum to the fungicides azoxystrobin and procymidone, and that both fungicides could affect aox gene expression and the alternative respiration pathway capacity development in mycelia of this fungal pathog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