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사의 전환교육 수행에 따른 딜레마 : 네 가지 딜레마 프레임을 활용한 질적 분석

        박영근,John L. Hosp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3 장애와 고용 Vol.23 No.4

        이 연구는 특수교사들이 전환교육 수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행의 정도가 이에 미치지 못하게 만드는 교사들의 딜레마를 알아보기 위해 고등학교 혹은 전공과에서 실제로 전환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과 전화 면담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어려움을 분석하기 위해, Windschitl(2002)이 제시한 네 가지 딜레마 프레임, 즉 개념적 딜레마(Conceptual Dilemma), 교수적 딜레마(Pedagogical Dilemma), 문화적 딜레마(Cultural Dilemma), 정치적 딜레마(Political Dilemma) 프레임을 활용하여 교사들이 겪는 딜레마를 분석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교사들은 전환교육의 이론, 모델, 과정과 같은 개념적인 구성요소들이 수행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그동안 배웠던 개념적인 지식들을 잊어버리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반해 실제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평가하고, 계획을 세워서 훈련을 시키는데 필요한 지식 및 전략에 있어서는 개념적 지식보다는 좀 더 실천적인 부분이라, 이에 대한 효능감은 좀 더 높게 나타났다. 특수교사들은 실제로 전환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학생들의 다양한 특성, 장애의 중도 및 중복화, 문제행동 등이 전환교육 수행에 있어서 교사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특수교사들의 전환교육 수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교사 외부적인 요소 즉, 학교장, 학부모, 관계 기관, 사업체, 정부기관 등의 협조 및 인식 등 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lemmas keep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implementing transition services although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transition service and to analyze these dilemmas by using the four dilemmas framework suggested by Windschitl. This framework includes conceptual, pedagogical, cultural, and political dilemmas. This study utiliz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cluding openended survey questionnaires and phone interviews. The researchers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with students in high schools or in post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in special schools and conducted phone interviews with volunteer teachers who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verall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se four dilemmas in their own attempts to implement transition service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knowledged that conceptual components such as transition theory, models, and process influence the implementation level of transition services. However, they tended to forget this conceptual knowledge because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apply it in practical education settings. Second, teachers had more self-efficacy in pedagogical components involving knowledge and strategies for providing transition services, such as transition assessment, transition planning, and transition training, than they did in conceptual knowledge because they tended to apply pedagogical knowledge daily in educational settings. They also recognized that pedagogical knowledge increases teachers’ self-efficacy for implementing transition services and over time improves the quality of implementation levels.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cultural factors such as varying student characteristics, severity of disabilities, and student behavioral problems inf luence teachers' implementation level of transition services. Fourth,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implementation are political, such as the principal’s cooperation, parental cooperation, and the support of government organization.

      • 한 교육대학원 교사교육자의 교수적 갈등과 딜레마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동성 한국질적탐구학회 2016 질적탐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e paper was to review pedagogical conflicts and dilemmas of a teacher educator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rough an autoethnography approach. The research finding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I, as a teacher educator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d experienced pedagogical conflict and dilemma between the role as a teacher educator focusing on academic excellence and field(school)-oriented teaching professionalism. Secondly, I, as an autoethnographer and teacher educator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d also experienced pedagogical conflict and dilemma between the role of facilitating self-initiated learning of graduate students and pedagogical coaching, driven by educational authority and instruction of teacher educator. Thirdly, I, as a researcher and teacher educator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d experienced conflict and dilemma while developing, maintaining or restructuring the exis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se conflicts and dilemmas of a teacher educator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caused by the tension and borderline between pedagogy and andragogy in lifelong education for school teacher as an adult learner.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a trigger to improve intrinsic function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developing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in-service training of school teachers. Also, this paper will suggest alternative perspectives to enhance educational competence and ensure sustainable development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이 연구는 자문화기술지를 통하여 한 교육대학원 교사교육자의 교수적 갈등과 딜레마를 내부자의 관점에서 세밀하게 조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교육자로서의 나는 교육대학원에서 성인학습자들인 현장교사를 가르칠 때, 교수자 중심의 학문적 수월성과 학습자 중심의 현장기반 교수 전문성 사이에서 교수목표의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그리고 교사교육자로서 나는 현장교사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 유도와 대학 교수자의 교육적 코칭 사이에서 교수적 갈등을 경험하였다. 또한, 한 교육대학원의 교사교육자인 나는 현행 교육대학원의 유지 및 발전과 재구조화 사이에서 갈등과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한 교육대학원 교사교육자의 이러한 교수적 갈등과 딜레마는 성인학습자를 위한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볼 때, 페다고지(pedagogy)와 안드라고지(andragogy)의 긴장과 경계에서 비롯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 교사교육자의 내부적 관점에서 교육대학원에서의 교육적 이슈를 조명함으로써 현장교사의 재교육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대학원의 본질적 기능과 역할을 제고하고, 교육대학원의 교육역량 강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안적 관점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