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민진의 『파친코』에 나타난 기독교와 미국 표상

        양미영 ( Yang Mi-you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2

        이민진의 『파친코』는 재일 디아스포라 조선인 가족의 이야기를 4세대에 걸친 연대기로 풀어낸 장편소설로, 미국에서 화려한 주목을 받았고 한국인들에게도 중요하게 여겨지는 트랜스내셔널한 작품이다. 이 논문에서는 『파친코』의 서사를 구성하는 기독교적 요소와 미국의 의미를 중점적으로 분석하면서 이 작품에서 자이니치 가족의 삶과 역사가 궁극적으로 보여주는 가치가 무엇인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파친코』는 그동안 문학에서는 잘 주목하지 않았던 재일 기독교의 존재와 항일 역사를 다루고 있다. 먼저 디아스포라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유대인의 이야기를 비유로 함께 등장시키며 ‘자이니치’를 몰랐던 세계의 독자들에게 자이니치를 설명할 뿐만 아니라 자이니치 서사에 보편성을 부여한다. 또한 재일 기독교인의 신앙적 지향점인 헌신과 환대를 인간의 보편적 가치로 확장시키고 자이니치를 차별받는 소수집단에서 포용하는 존재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 소설에서는 미국의 요소도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데, 현대 일본 사회와 문화에 미국이 얼마나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자이니치에게는 미국이 어떤 식으로 인식되었는지에 대한 부분에 집중하고 있다. 『파친코』는 자이니치가 축이 되지만 자이니치와는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 기독교적 요소와 미국적 요소가 어우러진 독특한 소설이다. 이는 한국계 미국인 작가의 디아스포라적 정체성이 작품에 투영된 것으로, 기독교와 미국이라는 요소는 서로 밀접히 엮여 소설의 궁극적 주제를 만들어낸다. 기독교적 가치를 삶의 지침으로 삼은 선자 가족을 통해 인간의 본질적 선함을 보편적 가치로 제시하고, 세계 디아스포라들의 유토피아였던 미국의 양가적 면모와 더불어 디아스포라의 현재와 미래를 고찰하게 한다. Min Jin Lee’s novel Pachinko is a four-generation chronicle of Korean diaspora family in Japan. Korean readers have considered Pachinko important as well as Most of the American media have turned a spotlight on this novel because of its ‘transnationality’. This essay aims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Zainichi(在日) life and history in Pachinko, analysing the plot and subject matters that are Christianity and America. Pachinko deals with Zainichi church and their anti-Japan (independent) movement history. First of all, in Pachinko the author sometimes depicts Zainichi in comparison with Jew who is the archetype of diaspora to give Zainichi universal position in the field of diaspora literature. In addition, the novel changes the impression of Zainichi from discriminated minor group to magnanimous being through presenting the value of devotion and hospitality, that are religious direction of Zainichi Christian as well as universal human value, as the ultimate theme of Pachinko. Secondly, Pachinko focuses on the influence of America in modern Japanese society and recognition of Zainichi about America. Pachinko is a very unique work which is mixed with Zainichi, Christianity and America in subject. The author Min Jin Lee reflects her diaspora identity in Pachinko and weaves elements of Christianity and America to makes the theme of the novel; presenting the essential goodness of human nature as universal value through Sunja’s Christian family, suggesting to rethink about America’s ambivalent aspect and about the here and the hereafter of diaspora. In short, Pachinko can be regarded as a transnational work that promotes Zainichi narrative to the field of world literature.

      • KCI등재

        「파친코 Pachinko」의 ‘장소성’ 서사 연구:-사람․장소․환대의 개념을 중심으로

        전현주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124 No.-

        This paper discusses the concept of “people, place, and hospitality” in the trajectory of the life of the Zainichi, who are not Japanese or Korean but belong to the categories of “boundary” and “marginal” beings, focusing on the “placeness” narrative of Pachinko (2017) written by Min Jin Lee. The concept of “hospitality” is applied to the life patterns and behavior codes of the diaspora experienced by the protagonist and characters (people) in Pachinko, focusing on “placeness” that provides an emotional foundation and a political and economic ideology that dominates human life (place). Thus, its placeness is discussed from three aspects: “ethnicity”, “residence segregation”, and “person’s/people’s native identity.” First of all, “placeness based on ethnicity” discusses the experience of ‘latent prejudice’, which is driven as a ‘peripheral’ and ‘marginal’ being who has to consciously choose an ‘invisible’ life, focusing on ‘Zainichi’ and ‘pachinko.’ Second, the “placeness based on residence segregation”, searches for the status of ‘Zainichi’, who are treated as strangers, being downgraded by interlocking with that of their residential area at the same time. Then, in the “placeness based on person’s/people’s native identity”, the origin of identity formation of ‘Noah’, who longs for assimilation into Japanese society as ‘ordinary person’ and ‘ordinary Japanese’, is traced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expand the perspective and scope of interpretation of Pachinko, lowering the barriers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through the spread of offering or receiving hospitality in the diaspora cultural climate; 2) to expand the horizon of recognition that can be given or taken in hospitality as a “regular” person within the community of their choice no matter what place the diaspora chooses; and 3) to transcend fundamental thinking so that the character implied by the experiences of numerous migrants who lead the diaspora life in Korean society can be replaced in a more positive way. 본고는 「파친코 」의 서사를 중심으로 ‘한국인’도 ‘일본인’도 아닌 ‘경계인’이자 ‘주변인’의 범주에 속한 ‘자이니치’의 삶의 궤적을 ‘사람, 장소, 환대’의 개념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초국가적인 장소의 이동을 거친 일본 거주 한국인 ‘자이니치’들에게 일본(인)이 ‘환대’ 대신 무차별적인 ‘차별’과 ‘편견’ 그리고 ‘냉대’로 점철된 삶의 공간으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양상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파친코 의 주인공과 등장인물들(사람)이 경험하는 디아스포라적인 삶의 양상과 행동 코드를 인간의 삶을 지배하는 정치․경제적 이데올로기이자 정서적인 토대를 제공하는 ‘장소성,’ 즉, 장소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민족’, ‘거주지 분화’, 그리고 ‘태생적인 정체성’ 등 세 가지 측면(장소)에서 ‘환대’의 개념을 적용하여 논의하였다. 우선, ‘민족 기반의 장소성’에서는 의식적으로 ‘비가시적인’ 삶을 선택해야 하는 ‘주변인’이자 ‘경계인’으로 내몰리는 ‘잠재된 편견’의 경험치를 ‘자이니치’와 ‘파친코’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둘째, ‘거주지 분화 기반의 장소성’과 관련하여 이방인 취급을 당하는 ‘자이니치’는 그들의 거주 지역의 지위 강등과 더불어 그곳 ‘사람’들의 신분과 위상도 동시에 강등되는 측면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어서 ‘태생적인 정체성 기반의 장소성’에서는 ‘평범한 사람’과 ‘평범한 일본인’으로 일본사회에 동화되기 위하여 살아가는 ‘노아’의 정체성 형성의 본류를 추적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파친코 해석의 관점과 범주를 확장하여, 환대하는 혹은 환대받는 디아스포라 문화 풍토의 확산을 통한 ’차별‘과 ’편견‘의 장벽을 낮추는데 일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디아스포라의 범주에 속하는 구성원들이 어떤 장소를 택하든 그들이 선택한 공동체 안에서 ‘평범한’ 사람으로 인정할/받을 수 있는 인식의 지평을 확장하는 것이다. 나아가 우리 안의 디아스포라적인 삶을 영위하는 수많은 이주자들의 경험치가 함의하는 성격을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근본적인 사유의 확장을 지향한다.

      • KCI등재

        확장되는 민족 역사와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 ― 이민진의 『파친코(Pachinko)』를 중심으로 ―

        이영호 한국일본학회 2023 日本學報 Vol.- No.136

        Pachinko, a novel by Min Jin Lee narrates the origin and settlement of Korean diaspora through Korean's history of emigration to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Japanese family's life story over four generations. In this regard, Min Jin Lee has treated Korean-Japanese literature differently. In this novel, Min Jin primarily focused on men themselves overcoming ethnic groups and ideologies, and in this regard, Pachinko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Korean-Japanese literature. The text defines relationships between groups and individuals with hatred and discrimination. Certain external factors, namely the Japanese society and governmental systems define the Korean-Japanese people as others and separate them from the Japanese people. On the other hand, Japanese individuals view Korean-Japanese people from a more fundamental aspect rather than men. They separate individuals from outside based on such aspect. Pachinko finds the origin of diaspora from Western elements of Christianity and the Jews. It includes the history of our people which is not limited to classes, nations, or races by integrating it with the Western elements. It obtains literary universality with Korean diaspora. The value and influence of literature on Korean diaspora can be obtained by analyzing Pachinko.

      • KCI등재

        부르디외(Bourdieu)의 사회학 관점에서 살펴본 이산문학 혼종성: 이민진(Min Jin Lee)의 Pachinko를 중심으로

        마승혜,김순영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2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 No.62

        This study analyzes linguistic hybridity in Min-jin Lee’s Pachinko from the perspective of Pierre Bourdieu’s theory of sociology, with specific focus on the concepts of habitus, capital, and field. First, Lee’s habitus is specifically examined as a Korean American writer. Her awareness that representing history accurately is crucial, and her belief that literature can be one of the ways of conveying history are also examined. In addition, as a history major, Lee accumulated a wide range of historical knowledge, cultivated a capability for meticulous historical research, and strengthened her skills as a writer by participating in various workshops. Two critical changes in the social field, the spread of the Korean Wave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Korean diaspora writers, made it possible for Pachinko to garner global popularity. However, when Pachinko was translated into Korean, the marked linguistic hybridity in the original was transformed into an unmarked language in the translation and, consequently, the author’s intention and message that are to be conveyed through such hybridity disappeared. The feeling of otherness and unfamiliarity that is intentionally created through linguistic hybridity can be tarnished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if the linguistic markedness in the original is not preserved. In consequence, the quality of the work can be damaged by the removal of the linguistic hybridity in translation; therefore, linguistic hybridity in diaspora literary works, which is the meaningful outcome of cultural translation, should be carefully preserved in inter-lingual translation.

      • KCI등재

        민진 리의 『파친코』와 찰스 디킨스의 『데이비드 코퍼필드』의 비교 검토 - 인물형상화와 서사구성의 방법 및 작품의 정신적 기조를 중심으로

        김미영(Kim, Mee 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2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5

        이 글은 민진 리의 『파친코』와 찰스 디킨스의 『데이비드 코퍼필드』의 유사점을 인물형상화와 서사구성의 방식 및 작품의 정신적 기조의 측면에서 검토한 것이다. 이 연구는 『파친코』의 시작이 디킨스의 문장이고, 마지막 장면에 『데이비드 코퍼필드』가 등장하며, 민진 리가 이 작품을 쓸 때 가장 많이 참조한 작품으로 『데이비드 코퍼필드』 를 꼽았기에 가능하였다. 『파친코』는 20C 초, 조선에서 일본으로 이주한 선자 일가가 일본에 정착하기까지의 가족사를 담고 있고, 『데이비드 코퍼필드』는 19C 영국에서 데이비드라는 한 남성이 불운을 딛고 행복에 도달하는 30년간의 성장스토리를 담고 있다. 전자에는 이민 1.5세대 코리안 아메리칸 작가 민진 리의 이민자의 삶에 대한 인식이 담겨 있고, 후자는 디킨스의 자전적 스토리여서 그의 인생관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초반 서사가 후반에 비해 강렬한 편인 두 작품은 모두 주인공과 그 가족들의 이야기를 시간 순으로 풀어내어 이야기성이 강한 장편들로, 인물의 성격이 서사를 추동하고 있어 인물소설적인 성격이 강하다. 또 시대적 배경 탓인지, 여성에 대해서는 보수적 인식이 감지된다. 서사 구성상으로는 두 편 모두 장편임에도 건축물의 뼈대에 해당하는 중심 갈등이 없이 에피소드가 선적으로 나열된 구성이고, 유머로써 불운으로 점철된 주인공의 삶을 덜 어둡게 끌어가고 있는 특징이 있다. 주인공들은 반(反)정치주의적이며, 경제적 성취를 우선시하는 통속적 세계관을 지니고 있는데, 이것이 두 작품의 정신적 기조를 이루고 있다. 『파친코』는 재일조선인 일가가 이민 2세대에 파친코 사업으로 경제력을 확보함으로써 현지인의 차별을 견뎌낼 내적 힘을 얻는 이야기이고, 『데이비드 코퍼필드』는 자본주의화로 계층 간 대립이 심각하던 빅토리아 시대에 중산층 남성이 하층민으로 전락했다가 상류층으로 도약하는 서사이다. 두 작품은 모두 불운을 극복하고 자력으로 성공하는 가계나 인물의 서사라는 점에서 매우 닮아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imilarities between Min Jin-Lee"s Pachinko (2017) and Charles Dickens" David Copperfield (1849). The reason for planning this study is that the beginning of Pachinko is a sentence by Charles Dickens, David Copperfield appears in the last scene, and David Copperfield was cited as the most referenced work by Min Jin Lee when had been writing Pachinko. Pachinko and David Copperfield, both are the novel that tell the story of the protagonist and his family in chronological order. The characters of main persons lead the narrative, so both of them are a kind of character novel, and the conservative consciousness of women stands out. In addition, the narrative at the beginning parts are more strong & clear, the main character is anti-political, and has a popular world view that prioritizes economic achievement. Even though it is a novel, the episodes are arranged in lines without a central conflict corresponding to the framework of the building. Also, with humor, the author expresses the dark life of the main character in a less dark way, which is dotted with bad luck. David Copperfield is a story about an orphan boy from the middle class who is dotted with bad luck against the background of 19th century England, where conflicts between classes were severe, and the process of becoming a high-class gentleman through his own efforts rather than yielding to his fate. Pachinko tells the story of a Korean virgin from Far East Asia in the 20th century who immigrated to Japan while pregnant with the baby of a married man and soon became a single mother with two children. It contains the story of landing safely in the Both works have in common that they contain the success story of a historical figure or family who prioritizes economic achievement.

      • 《Pachinko·柏青哥·파친코》中·韩译文比较

        金英姬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회 국제학술대회 Vol.2021 No.08

        본고는 미국1.5세작가 이민진의 장편역사소설 Pachinko의 중국어 한국어 번역본을 주로 눈에 잘 띄는 특징들을 골라서 소설제목, 등장인물들의 이름, 목 차에 달린 소제, 번역에서 사투리 사용, 번역 용어 선택, 문장구조, 의태어, 오역 등 면에서 비교했다. 비교의 목적은 어떤 번역에 더 좋다는데 결론을 내리는 것 보다 번역 이면에 숨어있는 문화에 더 관심을 가지고 비교했다. 번역을 비교해 보면, 영문독자가 영어로 읽는 것과 중국 독자가 중국어로 읽는 결과 및 한국 독자가 한국어로 읽었을 때 얻는 정보는 똑 똑 같다고 말하긴 힘들지만 그래도 비슷해야한다. 하지마 번역본을 비교해 보면 절대 그렇게 될 수 없는 것 같다. This presentation analyzed the Chines and Korean versions of Minjin Lee's novel Pachinko from the following aspects: the title of the book, the translation of the characters' names, use of dialect or regional language, onomatopoeias, mimetic words, and mistranslation. Usually the readers of Chinese and Korean should get same information from their translated versions, but after comparison, we may easily see that it would be really hard for both sides of the readers to get the same information.

      • KCI등재

        The Changes in the TV Series Pachinko: Seeking Alternative Narratives in Korean Historical Dramas

        이서현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BK21 Plus 사업단 2023 Situations: Cultural Studies in the Asian Context Vol.16 No.2

        The TV series Pachinko, an adaptation of the novel by Korean American writer Min Jin Lee, expands on its source material by introducing new historical episodes, a different sequencing of events, and interviews with actual Zainichi women,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e novel. The adaptation also meticulously translates the English dialogue in the original novel into different dialects in Korean and Japanese. These changes in the TV adaptation are evidence of the production’s effort to go beyond a standard TV adaptation of a literary text and strive to portray Korean history faithfully and accurately for a global audience. This paper elucidates how the adaptation’s candid approach to Korean history provides social acknowledgment and emotional compensation for the country’s painful history. Furthermore, through analysis of how this series differs from typical Korean historical dramas that tend to place the blame for Korea’s tragic history solely on Japan, I argue that Pachinko’s unique depiction of the era and its people expands the scope of Korean historical dramas by introducing nuanced representations of its Japanese characters and topics of contemporary relevance such as immigrant identity.

      • KCI등재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 연구- 드라마 「파친코」 한국어 및 영어 자막의 관련성, 중복성, 적절성을 중심으로

        윤미선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22 통번역학연구 Vol.26 No.4

        Watching image alone will not allow the Deaf and Hard of Hearing (DHoH) viewers to fully understand audiovisual texts. Deciding what is relevant (relevance) and which redundancy should be delivered (intersemiotic redundancy) and ultimately offering adequate contextual effects (adequacy) in SDH is a difficult task.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evance, intersemiotic redundancy and adequacy of Korean and English SDH in episode 4 of Pachinko (2022). The study shows that Korean SDH delivers more factual information such as paralinguistic elements and speaker identification, while English SDH focuses on offering narrative functions of music. The results imply that it is desirable to deliver relevant and adequate information while keeping the DHoH viewers away from unnecessary processing efforts.

      • KCI등재

        학부 문화번역 수업에서 기계번역을 활용한 교육방안 모색

        홍승연(Seungyeun Hong),윤미선(Miseon Yoon),최은경(Eun-Kyoung Choi)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2 영미연구 Vol.56 No.-

        번역 교육은 언어적 차원만이 아니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과 영미문화에 대한 이해증진 등 문화적 차원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부 번역교육이 문화적 차원에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 탐구하고자 영미권에서 출판된 문화텍스트, 소설 『파친코』를 문화번역 실습과정에 적용하고 기계번역을 학습 도구로 활용하였다. 『파친코』는 한국계 미국 작가 이민진이 2017년 미국에서 출간한 작품으로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인 1980년대까지 4대에 걸친 재일교포 가족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소설 속에는 한국 문화와 관련된 요소들이 다수 포함되어있으며, 이러한 문화적 요소는 기계번역 결과 적절하게 표현되지 않았고 오류도 많았다. 학생들은 실습 과정에서 파친코의 기계번역 결과물을 보고 원문 속 문화적 요소는 무엇이며, 그 문화적 요소를 도착문화권에 맞게 어떻게 번역하는 것이 효과적인가 논의를 이어갔다. 연구결과 문화번역 수업에서 학부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및 문화특정항목에 대한 개념정리가 더욱 상세하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텍스트 상에 명시적으로 표현되어 있지 않지만 맥락상 문화적 요소로 판단되는 지점을 학생들이 충분히 논할 수 있도록 원문 텍스트에 대한 선행학습이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문화텍스트 속에 숨겨진 문화적 암시정보를 찾아내어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번역교육 과정에서 기계번역을 학습도구로 적용하고 문화텍스트의 기계번역 결과물을 활용하면 번역에 대한 학생들의 사유를 효과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undergraduate translation course should incorporate more training in cultural aspects. The English novel, Pachinko, was used as a translation practice text in the cultural translation class, and machine translation (MT) was applied as a learning instrument. Pachinko was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in 2017 by Korean American author Min Jin Lee, and tells the story of four generations of Korean-Japanese family member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1980s after liberation. The novel includes a large number of culture-specific items (CSI) related to Korea, as a result the machine-translated text has many errors. The students discuss what types of CSI are found in the source text (ST), and learn how to better translate these cultural elements in Pachinko's MT results. This study presents three effective methods to educate undergraduate students in cultural translation class. First, the concept of culture and CSI should be more clearly taught. Second, the source text (ST) must be thoroughly explained in order that students can discuss the cultural elements that are not explicitly expressed in the text. Third, students should be educated to find implied contextual information in cultural text. This study has shown that MT can be used as a learning instrument to expand students' thoughts on translation.

      • KCI등재

        차별의 장소성과 환대의 불가능성, 편재하는 자이니치 — 이민진의 『파친코』와 Apple TV 드라마 <Pachinko>를 대상으로 —

        김영삼 현대문학이론학회 202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2

        이 논문은 이민진의 소설 『파친코』와 Apple TV의 시리즈 <Pachinko>를 교차분석함으로써 식민지 조선의 ‘영도’와 일본 오사카의 ‘이카이노[猪飼野]’라는 장소에 얽힌 차별의 정치성과 편재하는 권력 작용을 밝히려 한다. 차별의 경계는 국가, 인종, 성별, 장애, 직업, 젠더, 질병, 신분 등 매우 광범위하게 포진되어 있다. 차별의 서사는 ‘자이니치[在日]’에만 국한되지 않고, 제국과 식민의 관계를 넘어 일본 사회의 정상가족 담론에서 배제된 소수자들(부라쿠민, 장애인, 동성애자 등)과 ‘멋진 신세계’로 표상되었던 미국 사회의 근대적 표상에서 배제된 아시아 이민자들(솔로몬)의 삶에도 관여되어 있다. 때문에 이민진의 소설을 분석하면서 식민지 시절 일본으로 건너간 재일조선인들이 제국주의 사회에서 겪었던 민족적 한(恨)에만 초점을 둔다면 얼굴을 바꾸며 등장하는 차별의 낙인들을 제대로 번역하기 힘들어진다. 특히 시간의 흐름을 충실히 따르면서 구성된 소설 『파친코』와 달리 드라마 <Pachinko>는 이민자 1세대인 ‘선자’와 3세대인 ‘솔로몬’의 서사를 동시에 전경화하면서 식민시대와 1970년대 자본주의 풍경을 번갈아 보여주기 때문에 원작과 드라마의 교차 분석은 탈시간적 차별의 편재성을 드러내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관점에 입각해 본 연구는 소설 『파친코』와 Apple TV의 시리즈 <Pachinko>를 함께 살피면서 서사에 담겨있는 다양한 차별의 양상과 그 의미를 환대와 장소성의 개념을 매개하면서 살펴보려 한다. 고향 영도는 식민지배의 공간으로서 제국 권력의 타자성과 가부장적 질서, 비과학적 생리학, 보수적 성관념이 덧칠된 차별의 장소였다. 또 이들이 이주한 이카이노는 제국 내 게토로서 국적, 인종, 언어, 재산권, 성원권 등의 권리로부터 차별적으로 배제되는 장소였다. 재일조선인들은 이후 대한민국이나 북한의 국적도 아니고 일본 국적도 아닌 사라진 나라 ‘조선’의 국적을 가진 사람들이 되면서 어떤 장소에도 소속되지 않는 존재로 남겨진다. 그들이 거주하는 일본 사회는 이들에 대한 성원권 부여를 지속적으로 유예하고 지연시킴으로써 제국의 외부를 형성하고 경계선을 긋는 방식으로 생명정치 권력을 구성한다. 이러한 장소성에 얽힌 차별적 권력작용을 기반으로 인물들의 장소 이동과 시간의 흐름을 추적하면서 차별의 장소성과 환대의 가능성을 진단한다. 먼저 영도라는 장소를 중심으로 고한수과 백이삭의 등장이 가진 낙인과 환대의 의미를 밝히고, 다음으로 일본으로 이주한 조선인들이 직면한 차별의 낙인들을 ‘이카이노’라는 장소성을 중심으로 분석한 후, 절대 생존을 위한 그들의 탈정치적 삶의 태도가 어떤 결과로 이행하면서 생명정치에 포획되는지를 분석한다. 더불어 재일조선인들만이 아니라 부라쿠민, 동성애자, 사회적 패배자 등 일본 사회 내에서 차별받는 일본인들의 서사를 분석하면서 차별의 작동이 폭넓게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려 했다. 절대 생존의 삶-권력이 결국은 조건적 환대의 문턱을 넘지 못하며 결국은 회한의 눈물로 귀결된다는 것을 ‘비상과 추락’이라는 수직적 시퀀스 분석을 통해 드러내려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