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장암환자 조직에서의 p53 및 PCNA 단백질 발현

        정석인,정구보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7 忠北醫大學術誌 Vol.7 No.2

        본 실험은 85예의 대장암 조직에서 p53 단백질과 PCNA단백질의 발현을 면역조직화학 염색방법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53 단백질의 발현율은 총 25예에서 양성은 11예(44%) 음성은 14예(56%)이었으며, 종양의 분화도가 나쁠수록, 종양의 위치가 5-결장직장 암에 위치한 경우, CEA가 5.0ng/dl 미만인 경우, Dukes씨 병기가 C인 경우, 임파절 전이수가 적을수록 발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 환자의 나이가 60세 이하인 경우 또는 종양의 크기가 커질수록 발현율이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PCNA 단백질의 labeling index는 평균70.48+18.83이었으며, 종양의 분화도가 나쁠수록, 종양의 위치가 5-결장직장에 위치한 경우, CEA치 5.0ng/dl 미만인 경우, Dukes씨 병기가 C인 경우, 환자의 나이가 적을수록, 임파절 전이수가 많을수록 labeling index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 병소의 크기가 5cm이상인 경우가 PCNA 단백질 labeling index가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p53과 PCNA단백질의 발현 관계는 p53 단백질이 양성인 경우 양성율이 높은 때 PCNA의 발현율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10). 본 실험의 결과로 953 단백질은 대장암에서 환자의 나이 및 크기와 관련이 깊고, PCNA 단백질의 경우는 종양의 크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이들의 발현이 대장암의 재발 및 예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는 좀 더 연구해야 할 과제이다. Histopathologic staging of the colorectal cancer is known as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 But it is not enough to be used with full confidence in clinical field. It is the reason why various other prognostic factors have been intensively investigated. A few of them are p53 and PCNA protein. To evaluate the efficacy of p53 and PCNA protein expression as prognostic factors in the colorectal cancer, 25 specimens of colorectal cancer patients were select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sing ABC technique was performed for p53 and PCNA protein expression in paraffin tissue. The positive expression rate of p53 protein was 44% of specimen. p53 protein expression was not correlated with grade of differentiation, tumor site, Preoperative CEA, Dukes stage and number of metastatic lymph node. However, the expression rate of p53 prote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younger patients (under age 60) and in larger tumors (over 5cm) (p<0.05). The labeling index of PCNA prote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arger tumors (over 5cm) (p<0.05). PCNA protein expression was related to grade of differentiation, tumor site, preoperative CEA, Dukes stage, age of patients and number of metastatic lymph node. The over expression of p53 protein was correlated with labeling index of PCNA protein.

      • KCI등재후보

        PCNA 및 BrdU 표지에 의한 흰쥐 갑상샘 조직 재생에 관한 비교 연구

        황영일(Young-il Hwang),유영복(Young Bok Yoo),백상호(Sang Ho Baik) 대한해부학회 2000 Anatomy & Cell Biology Vol.33 No.2

        갑상샘에서 세포분열 정도는 갑상샘종의 예후나 감별진단을 위하여 중요하게 연구되고 있는 항목이다. 조직절편에서 세포분열을 확인하는 방법은 많이 있으나 그 중에 PCNA 염색과 BrdU 염색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과적으로 절제된 흰쥐 갑상샘의 재생 과정을 PCNA 염색과 BrdU 염색으로 각각 살펴보았으며 또한 이 두방법의 결과가 서로 부합하는지를 확인하였다. 흰쥐의 갑상샘 양쪽 엽을 모두 50~60% 정도 외과적으로 절제한 후 수술 후 1, 2, 3, 4, 5, 7일 후에 조직을 얻고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PCNA와 BrdU 양성세포를 각각 계수하였다. 수적인 차이를 제외하면 PCNA와 BrdU 염색에 의한 결과는 기본적으로 같았으나 전반적으로 PCNA 양성세포의 수는 BrdU 양성세포에 비하여 약 4~6배 정도 많은 비율로 나타났다. 정상 조직에서 양성세포의 수는 많지 않았으나 수술 다음날부터 양성세포율이 증가하여 수술 후 2일째 최고가 되었으며 수술 후 4일까지는 많은 양성세포가 관찰되다가 5일과 7일을 거쳐서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재생과정 전 기간에 걸쳐서 양성세포는 절제면 가까운 곳에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세포증식 연구에 있어서는 PCNA 염색과 BrdU 염색이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결과 및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BrdU 염색법이 PCNA 염색법에 비하여 보다 판독이 용이하고 세포증식을 좀더 특이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바이다. Cell proliferation index in the thyroid is regarded as an important marker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and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thyroid tumors. Among the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cell proliferation in histological sections, immunohistochemistry for PCNA and BrdU are the most preferable on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generation process of the thyroid in the rat after surgical resection with special respect to the cell proliferation revealed by both PCNA and BrdU immunohistochemistry, and compared these two results. Rat thyroid was resected bilaterally, about 50~60% of the total lobe in volume, and the tissues were obtained 1, 2, 3, 4, 5, and 7 days after operation, immunohistochemistry was done, and positive and negative cells were counted. The regeneration pattern reflected by cell proliferation was basically same in both PCNA and BrdU immunohistochemistry, except that the positive ratio for PCNA was 4~6 fold higher than that for BrdU in general. In the control thyroid, positive cells were rare. However, the ratio of positive cells increased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on day 1, and reached at its peak on day 2. The high ratio sustained until day 4, after which the ratio declined abruptly. Through the experimental days, positive cells were more crowded in the area adjacent to the resection plane than elsewhere, suggesting that the areas are more active regenerating focus. Although the pattern of proliferation was same both in PCNA and BrdU immunostaining in terms of time and localization, BrdU staining was easier to read and seeded to reflect cell proliferations more specifically than PCNA staining.

      • 위선종 및 위선암종에 있어서 PCNA 발현 양상에 관한 연구

        김미진,이태숙,최원희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5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2 No.1

        최근 3년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에 의뢰되어 진단되었던 위선종 25례와 위선암종 64례를 대상으로 항 PCNA항체를 이용한 면역 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CNA 양성율은 대조군 29.14±12.77%, 위선종 44.09±17.11%, 위선암종 80.15±10.69%로서 대조군, 위선종, 위선암종 순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2) 위선암종에 있어서 PCNA 양성율을 조직학적 분화도와 비교한 결과, 중분화형 및 저분화형은 고분화형에 비해 반응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3등급 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3) 위선암종의 PCNA 양성율을 침습 정도와 비교한 결과, 그 정도가 심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조기위암군과 진행성 우암군으로 대별할 경우 진행성 위암종에서 의의있는 증가를 보였다. 4) 위선암종의 PCNA 양성율을 림프절 전이상태와 비교한 결과, 림프절 전이가 있는 선암종에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선암종에 비해 의의있는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PCNA 양성반응은 위선종과 위선암종의 감별진단에 크게 도움으르 주리라 사료되며, PCNA는 위선암종의 침윤과 전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예후 측정에 보조적인 가치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PCNA 반응도만으로는 독립적인 예후 척도로 인정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며 다른 예후 인자와 함께 고려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A monoclonal antibody to PCNA, which can be used on routinely processed tissue, was applied to 25 cases of gastric adenomas and 64 cases of gastric adenocarcinomas in order to diffentiate adenoma and adenocarcinoma and also to evaluate the prognostic value in adenocarcinom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CNA labelling index was 29.14±12.77% in control, 44.09±17.11% in adenoma and 80.15±10.69% in adenocarcinoma, resulting in significant increase in adenocarcinoma compared to adenoma. In adenocarcinoma,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PCNA labelling index and histologic grade, and there was increased tendency of PCNA labelling index in proportion to depth of invasion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PCNA index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dvanced adenocarcinoma compared to early gastric carcinoma, and also in positive nodal metastasis group than in negative group. From above results, the PCNA stain will be able to provide a helpful method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gastric adenoma and adenocarcinoma, and could be a useful prognostic factor in adenocarcinoma if other factors are considered together.

      • 실험 방광 종양화과정에서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의 발현

        김원재,송형근,이현무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2 忠北醫大學術誌 Vol.2 No.1

        Fisher 344백서에 0.1% N-butyl-N-(4-hydroxybutyl) nitrosamine(BBN)을 투여하여 방광에 단순과증식(simple hyperplasia ; SH), 결절성 혹은 유두상 과증식(nodular or papillary hyperplasia ; NPH) 및 표재성 방광암(Ta, T1)을 유발시킨 후 개개의 단계의 증식성의 차이를 보고자 후기 G1 phase, S-phase 및 전기 G2/M phase를 반영하는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cyclin)에 대한 anti-PCNA/cyclin 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하여 세포의 labeling index(LI)를 구하였다. 정상,SH,NPH,Ta 및 T1에서의 LI는 0.76±2.71,4.52±7.74,10.55±17.99,16.97±18.66, 17.04±16.10이었으며, grade I이 14.54±16.21, grade II가 19.30±16.74이었다. 방광암의 종양화 과정이 진행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LI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또한 분화도가 나빠질수록 LI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종양의 경우 즉, Ta와 T1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4)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이들의 경우에 있어서 세포분화도상 비슷한 병기의 표재성 종양이기 때문에 LI의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이같은 세포역동학적 분석방법에 있어서는 종양의 병기보다는 개개의 세포의 생물학적 악성도에 의해서 좌우되는 것 같다.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cyclin is a cell-cycle-regulated protein, which can be demonstrated in routinely fixed specimens. The expression of PCNA/cyclin was investigated immunohistochemically in BBN induced rat bladder tumorigenesis using anti-PCNA/cyclin monoclonal antibody in embedded tissue fixed with formalin. Sequential cellular changes(normal, simple hypernlasia, nodular or papillary hyperplasia, and transitional cell carcinoma-Ta, T1) were observed in rat urinary bladder in accordance with the duration of BBN administration. The PCNA labeling index(LI) was determined by counting the number of PCNA labeled cells in the corresponding tissue section. The average PCNA LI obtained using this method in normal, simple hyperplasia(SH), nodular or papillary hyperplasia(NPH), and bladder tumor(Ta, T1) was 0.76, 4.52, 10.55, and 17.01(16.97, 17.04), respectively. Also, higher PCNA LI was found in grade II compared to grade I. Higher PCNA LI indicated greater biological malignancy based on the fact that mean LI progressively increased with tumorigenesis. However, mean LI at Ta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at of T1, which implied that Ta might reflect similar cellular characteristics as a superficial bladder tumor.

      • SCOPUSKCI등재

        각화극세포종과 편평세포암에서 b치-2와 PCNA 면역조직화함염색 비교

        김영태 ( Young Tae Kim ),박덕규 ( Duk Kyu Park ),이서열 ( Sung Yul Lee ),조현득 ( Hyun Deuk Jo ),이종석 ( Jong Suk Lee ),황규왕 ( Kyu Uang Whwg ),김의한 ( Eui Han Kim ) 대한피부과학회 2002 大韓皮膚科學會誌 Vol.40 No.12

        N/A Background : The function of the bcl-2 oncogene was known to prolong cell life by inhibiting apoptosis. PCNA have been used as a cellular proliferation marker. Because there are much similarities between Keratoacanthoma(KA) and Squamous Cell Carcinoma(SCC), it is often hard to differentiate KA and SCC, clinically and histopathologically. Although a number of recent studies have been attempted to separate these two entities by immunohistochemical stains, the distinction between KA and SCC may be still debatable and a matter of speculation.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method by analyzing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bcl-2 and PCNA in a matter of differentiating KA and SCC. Method : 11 cases of Keratoacanthoma and 22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 which are conformed by histopathologic examination were stained with bel-2 and PCNA immunohistochemically. Results : 1. In KA, The bel-2 was negative in 100% and the PCNA was positive in 100%. 2. In SCC, The bcl-2 was negative in 95% and the PCNA was positive in 100%. 3. In the pattern of staining of PCNA, KA have more peripheral pattern(73%) than diffuse pattern(27%), otherwise SCC have more diffuse pattern(59%) than peripheral(27%) and focal pattern(14%). Conclusion : bcl-2, PCNA, Keratoacanthoma(KA), Squamous Cell Carcinoma(SCC)Our research showed that KA is almost similar to SCC except that there are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staining of PCNA. According to the result of our study, we think that it is hard to differentiate between KA and SCC only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PCNA, Although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PCNA would not be a confirmative method, it will help us to distinguish KA from SCC as a supplementary measure. By the fact, more researches are necessary to differentiate KA and SCC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Korean J Dermatol 2002:40(12) 1461∼1467)

      • 실험적으로 유발된 랫드의 뇌종양 모델에 관한 병리학적 연구(Ⅱ)

        김창옥,김기석,김대중,안병우,한범석,홍석민,장우영,정상우,천명훈,최광식 식품의약품안전청 1997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1 No.-

        신경교종의 로질에 있어서 세포증식능을 알아보기 위한 하나의 밟법으로서 증식세포 핵항뭔(PCNA) 단택과 bromodeoxy uridine(BrdU)단백의 발현양상을 관찰함으로써 항암제드으이 효과를 알 수 있는 지표로서 연구되어져 왔으며, 종양 발생의 기전과 유전자 치료법 개발 등의 연구를 위해 뇌종양과 관련되는 종양유전자 변화등이 연구되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년도에 확립된 9L 세포주를 이용한 랫드의 뇌신경교종모질을 이뭉하여 PCNA와 BrdU의 발현양상과 P53 단백, c-erbB-2 유전자 산물등의 종양단백의 유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9L 세포준를 8주령된 즐D랫드의 미상핵 부위에 직접 투여한 후 2주후에 관류고정 후 부검을 씨행하였다. PCNA와 BrdU 단백에 대한 면역염색 후 영상분석기를 이용하여 면역염색된 면적을 측정하엿으며 labeling index인 전체 세포수중에서 면역 염색된 세포수의 백분율을 측정하였다. PCNA 단백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소견상 종양전반에 비교적 균일하게 염색되었으며 염색되는 양상은 방추형의 세포의 핵에 염색되었으며, Brdu는 종양의 주변부케 국한하여 세포의 핵에 약양성으로 염색되었다. c-erCB-2는 국소적으로 염색되었으며 염색되는 양·탕은 세포막을 따라 염색되었다. P53 단백은 국소적으로 염색되었으며 종양세포의 핵에 염색되는 양상을 보였다. PCNA에 대해 면역 염색된 면적은 전체 면적에 대하여 평균 5.26% 염색 면적이 측정되었다. 전체 Pixels수인 768×512개로 환산해 보면 평균 393216pixe1s· 개수가 염색뵉었으며 PCNA labeling index는 48%였다. 이상의 결과로 세포증식능의 지표로서 종양전반에 걸펴 비 교적 균일하게 염색되고 labeling index도 대조군으로 적당한 48%정도를 보이는 PCNA글 적합하며 면역조직화학 염색상 P53단백과 c-erbB-2의 유전자 산물에 대한 국소적 양성 반응을 확인하였다. ' Expression of PCNA protein and BrdU protein which is a index of anticancer drug of(ect is a methods to verify cell proliferation in glioma model, and changes of oncogene concerning to braintumor has studied to identify mechanism of turner initiation and to develope gene therapy method- This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xpression of PCNA, BrdU, P53, c-erbB-2 gene product proteinusing rat brain tumor model induced by 9L ce31 line. After 9L cell lirte was implantated to nucleus partof 8 week-old SD rats, sacrificed them 2 weeks later. After immunohistochmical staining of PCNA andBrdU proteiu, stained cell area and percentage of immunostained cell in total cell, that is 1?beling index,was measured. Stained pattern of PCNA protein was evenly distrihuted to tumor cell and focused on no-cleolus of spindle cell. That of BrdU was distributed to peripheral f)art of tumor and nucleus showedweak positive. c-erbB-2 was focaB along the cytoplasmic membrane and PS3 protein was focal on nucle-us of tumor cell. PCNA stained area was 5.26% of total area. Mean pixel number was 393216, so PCNAlabeling index was 48%. This results indicate that PCNA was most adequate as proliferating index, forit was evefly distribute and it's labeling index showed 48%, and imnlunohistochemical staining of P53protein af'a c- erb8-2 gene product showed focal positive reaction.

      • KCI등재

        재생 중인 흰쥐 간의 형태학적 변화 및 PCNA 발현에 미치는 rrhGM-CSF의 영향

        정진주,허시현,김지현,윤광호,이영준,한규범,김완종,Jeong, Jin-Ju,Heo, Si-Hyun,Kim, Ji-Hyun,Yoon, Kwang-Ho,Lee, Young-Jun,Han, Kyu-Boem,Kim, Wan-Jong 한국현미경학회 2010 Applied microscopy Vol.40 No.2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는 과립구 및 대식세포뿐만 아니라 상피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자극하는 당단백질이며, 최근 생산된 벼세포 유래 재조합 GMCSF(rrhGM-CSF)는 감염원으로부터 안전하고 당사슬이 매우 풍부하여 물질의 안정성 혹은 효과의 지속성을 높여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실험에서는 간 재생 능력이 우수한 흰쥐를 실험모델로 하여 간의 78%를 제거한 후, 간 재생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rrhGM-CSF를 처리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형태변화의 차이와 더불어 단백질 발현 분석법과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PCNA 발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rrhGMCSF는 간 재생 속도를 뚜렷이 증가시키지는 못하였으나,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는 재생 초기에 간 세포판의 붕괴와 재구성 시기를 다소 앞당기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증식 중인 세포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핵단백질인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의 간 조직에서의 분포와 발현 정도를 보면 부분간절제 후 12시간과 24시간에서는 PCNA 단백질이 두 그룹에서 조금씩 발현되다가 간 절제 3일과 5일이 경과한 실험군에서 단백질이 높게 발현되었다. 간 재생이 진행될수록 간 조직 전체에서 고르게 PCNA 양성반응이 나타났으며, 대조군 보다 실험군에서 반응성이 더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부분 간절제 후 간 재생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rrhGM-CSF가 세포분열을 촉진시키는 인자들 중의 하나로 작용하여 간 재생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iver regeneration is a result of highly coordinated proliferation of hepatocytes and nonparenchymal liver cells. Partial hepatectomy (PH) is the most often used stimulus to study liver regeneration because, compared with other methods that use hepatic toxins, it is not associated with the tissue injury and inflammation, and the initiation of the regenerative stimulus is precisely defined.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which is a cytokine able to regulate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epithelial cells, was first identified as the most potent mitogen for bone marrow. Particularly, rrhGM-CSF, which is highly glycosylated and sustained longer than any other types of GM-CSF in the blood circulation, was specifically produced from rice cell culture. In this experiment, effects of rrhGM-CSF administration were evaluated in the regenerating liver after 78% PH of rats. Morphological changes induced by PH were characterized by destroyed hepatocyte plate around the central vein and enlarged nuclear cytoplasmic ratio and increased hepatocytes with two nuclei. And then, proliferation of liver cells (parenchymal and nonparenchymal) and rearrangement of plates and lobules seemed to be carried out during liver regeneration. These alterati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preceded those of the control. Since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is known to be a nuclear protein maximally elevated in the S phase of proliferating cells, the protein was used as a marker of liver regeneration after PH in rats. PCNA levels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immunohistology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PCNA protein expression of two groups at 12 hr and 24 hr after injury showed similar pattern. The protein expression showed the peak at 3 days in both groups, however, the protein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On immunohistochemical observations, the reaction product of PCNA was localized at the nuclei of proliferating cells and the positive reaction in experimental group at 3 days was clearly stronger than that in control group. The results by Western blotting and immunohistology for PCNA showed similar pattern in terms of the protein levels. In conclusion, rrhGM-CSF administration during liver regeneration after 78% PH accelerated breakdown and restoration of the hepatic plate and expression of PCNA. These results suggest that rrhGM-CSF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during liver regeneration in r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