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크라이나의 오렌지혁명과 주변국의 반응

        박태성(PARK Tae Sung)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7 동유럽발칸학 Vol.9 No.2

        2004년 말부터 2005년 초에 걸쳐 발생한 우크라이나의 ‘오렌지혁명’은 일련의 정치적 저항 사건이었다. 2004년 대선을 치르면서 보여준 대규모 부패와 유권자에 대한 협박, 직접선거의 사기에 맞서 오렌지색 깃발을 휘날리며 전국을 휩쓸었던 것이다. 오렌지색은 야당 대표자 유쉔코의 선거 캠페인 때 사용된 공식 색깔이었고, 오렌지 리본은 비폭력 저항의 공통 상징이 되었다. 유쉔코 지지자들은 2004년 11월 21일 2차 투표가 부정으로 치러졌다는 소문에 새벽부터 항거의 목소리를 높였고, 다음날 시작된 대중봉기는 우크라이나 전 도시로 퍼졌다. 우크라이나의 대선은 이 나라의 미래에 대해 각기 다른 지정학적 관점을 가진, 즉 친서방주의자와 친러시아주의자 두 정적 간의 대결이었다. 혁명에 가담한 활동가들은 서구와 미국의 정부 및 비정부기구의 지원을 받아 정치적 조직전술을 익혔고 비폭력 저항의 기술을 전수받았다. 반면 러시아의 선거개입은 더욱 직접적이고 비중 있게 야누코비치 총리 편을 들었다. 그의 선거 캠페인은 누가 보아도 러 시아의 국가통제 기업으로부터 결정적인 원조를 받고 있었던 것이다. 결국 오렌지혁명은 서방과 러시아의 평화로운 대리전쟁이었다. 그리고 이 사태는 혁명이라기보다 정권창출을 위한 ‘운동’의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옳을 것이다. Ukraine's 'Orange Revolution' of 2004~2005 was a series of protests and political events that took place throughout the country in response to allegations of massive corruption, voter intimidation and direct electoral fraud during the 2004 Ukrainian presidential elections. Orange was the election campaign color of the main opposition candidate, V.Yushchenko, and orange ribbons were common symbols of non-violent protest. The Yushchenko campaign publicly called for protest on the dawn of election day, Nov.21, 2004, when allegations of fraud began to spread. Beginning on the next day massive protests started in cities across Ukraine. The presidential elections in Ukraine pitted two of the most prominent politicians in the country against each other(pro-Western vs pro-Russia), each with a different view of the future geopolitical situation in this country. Activists in this revolution were funded and trained in tactics of political organization and nonviolent resistance by the Western and US governments and non-government agencies. On the other hand, Russia's involvement in the election was more direct and heavily on the side of prime mininster V.Yanukovych. Most observers agreed that the Yanukovych campaign received significant contribution from Russian state-controlled business. Finally, Orange Revolution was a peaceful proxy war between Western and Russia. In addition, this accident may be called not revolution, but movement for accession to power.

      • KCI등재

        우크라이나의 "오렌지혁명"에서 국제요인과 대외정치적 정체성

        강봉구 ( Bong Gu Kang ) 한국세계지역학회 2009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7 No.1

        탈소비에트 (半)권위주의 사회의 재민주화를 시작하는 데 외세의 적극적 개입 의지표명과 실제 관여가 필요조건들 중의 하나임은 분명하겠지만, 그것만으로 재민주화 시작의 완전한 기제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필자는 그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핵심 요인이 일국의 `대외정치적 정체성`이라고 본다. 이 논문의 주장은, 오렌지혁명의 전개 과정에서 외세의 적극적 개입은 우크라이나의 유럽지향적·개방적 대외정치적 정체성과 결합됨으로써 성공적이었다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후발 민주화 국가들에서 재민주화의 시작은 국제사회·국제기구의 관심과 관여에 대해 해당 국가가 지속적으로 일정 정도 이상의 민감성과 유연성을 보일 때만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lthough foreign powers` will of active engagement and their actual interference are necessary conditions for instigating re-democratization of post-Soviet (semi-) authoritarian societies, they are not sufficient enough to explain the latter. This article maintains that a key factor filling up the logical gap in this explanation would be `foreign policy identity` of a country. As a case, it argues that the foreign forces` active interference in the process of the `Orange Revolution` was successful by being combined with Ukraine`s Europe-oriented and open-minded foreign policy identity. Throughout this study, it might be inferred that the re-democratization process in a late democratizing countries can be started only if a country has been continuously showing some amount of sensitivity and susceptibility to international community`s interests and engagement.

      • 우크라이나 선거에 나타난 지역주의 연구

        박정호(Park, Joung-Ho)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0 동유럽발칸학 Vol.12 No.1

        우크라이나의 선거과정에서 나타난 지역주의 문제는 독립이후 국가 건설과정에서 중요한 현안 과제로 부상하였다. 한 국가 내에 존재하는 민족들 혹은 지역들 간의 갈등과 대립은 국가적 통합성과 사회적 안정성 확립에 있어서 중대한 장애 요인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동부와 서부의 지역주의 현상이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역사적 발전과정의 결과물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본 사안은 결코 단 기간 안에 해결될 수 없는 문제였다. 동부와 서부를 필두로 하는 우크라이나의 개별 지역들이 고유한 사회 문화적 정체성을 토대로 지역성(locality)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었다는데 주된 원인이 있었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에 기초한 유권자들의 투표 성향은 독립이후 현재까지 우크라이나 선거과정에서 거의 예외 없이 발현되었다. 본 논문은 대선 후보자와 정당의 지역별 지지율 분포와 정당의 지역균열지수를 추적함으로써 우크라이나 지역주의 현상의 실제적인 수준을 파악해 보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본다면, 유쉔코 통치 시기 우크라이나에서 ‘지역’과 ‘지역주의’ 요인은 정치과정의 중요한 변동을 초래할 수 있는 핵심 요인이었다고 볼 수 있다. 2006년과 2007년 총선, 2010년 대선에서 나타난 지역주의 투표성향은 우크라이나의 지역 분할구조와 정치 사회적 현실을 분명하게 반영해 주는 중요한 지표였다. 동부와 서부 지역에 정치적 기반을 둔 정당들과 대선 후보자들은 선거과정에서 지역 대결구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지역 유권자들을 정치적으로 동원하였다. 이 과정에서 동부와 서부 지역 간에 내재되어 있었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갈등 양상이 투표를 통해 지역주의 현상으로 표출되고야 말았던 것이다. 이는 유쉔코 통치 시기 우크라이나의 정치적 혼란과 사회적 갈등의 주요한 원천이었다. 또한 우크라이나 동부와 서부 지역의 특수성과 입장차이는 단일한 정치 공동체 형성과 대내외 정책의 방향설정에 있어서도 중대한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국 우크라이나 선거에서 나타난 지역주의 현상의 핵심적인 동인은 우크라이나의 역사 발전과정에서 형성되었던 지역적, 인종적 분리와 정치문화의 차이에 기초한다고 정의해 볼 수 있다. This paper has two main purposes. The first aim is to explore political implications of ukrainian parliamentary and presidential elections after orange revolution. The second purpose is to analyze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regionalism in ukrainian elec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oting results of presidential candidates and main political parties in eastern and western regions of Ukraine. Also this paper evaluates regional cleavage index of main political parties since orange revolution. The analysis on the electoral results in east and west indicated that level of regionalism has been intensifying. This study revealed that determinants of eastern and western regionalism are due to regional divisions, including differences of historical experience, ethnic, economic, religious factors.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that regional cleavages or regionalism in the post-communist Ukraine primarily reflect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legacy and political culture in east and west. Regionalism and regional divisions continue to a major challenge to the political development of independent Ukraine.

      • KCI등재후보

        Pipeline politics: Russian energy sanctions and the 2010 Ukrainian elections

        Randall E.Newnham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3 Journal of Eurasian Studies Vol.4 No.2

        In early 2010, the ‘Orange Revolution’ in the Ukraine came to an end. The pro-Western President, Viktor Yushchenko, was replaced by the pro-Russian Viktor Yanukovych. This paper argues that Russian energy sanctions helped pave the way for Yanukovych's election. The Kremlin undermined the Ukrainian economy by exploiting the country's dependence on Russian oil and gas, imposing harsh price increases and financial terms and even cutting off supplies in 2006 and 2009. In the end, I argue, these measures fit the ‘classic model’ of economic sanctions: impose pain until the population turns against its government and removes it. Uniquely, however, this paper links sanctions to the long-standing literature on elections in the U.S. and other democracies which shows how economic decline influences voting behavior. A certain level of sanctions may cause a predictable change in election outcomes in the targeted state. This opens, I believe, an important new potential avenue in research on sanctions.

      • KCI등재

        Learning from past experience: Yanukovych's implementation of authoritarianism after 2004

        Stephen G.F. Hall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7 Journal of Eurasian Studies Vol.8 No.2

        This paper argues that an important concept of authoritarian learning is missing. This is how leaders learn from domestic experience. Using Yanukovych's defeat in the Orange Revolution, the paper illustrates how he adapted to stop a new Colour Revolution. Through using Party of Regions resources, Yanukovych improved his image, developed Party of Region's electoral success, controlled institutions and the political system, coerced the opposition, built-up security forces and pro-regime groups and created a family. While the paper finds that Yanukovych adapted to the failure of the Orange Revolution these adjustments contributed to the Euromaidan and the learning from domestic experience resulted in ultimate failure.

      • KCI등재

        2010년 우크라이나 대선 분석: 평가와 전망

        박정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2

        This paper has two main purposes. The first aim is to explor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2010 ukrainian presidential election. The second purpose is to analyze perspective of new government and political situation. The main result of the 2010 ukrainian presidential election was a defeat of the orange revolution groups and Tymoshenko. Yanukovich became a fifth ukrainian president. As a result two factors seems to have contributed to Yanukovich's victory. Firstly, his substantial gains in the central Ukraine and Western Ukraine. Secondly, lower turn-out in the central Ukraine and Western Ukraine. In this context, the 2010 ukrainian presidential election appeared to indicate that political and economical crisis was most important factor by defeating Tymoshenko. Finally, perspective of new government depends on whether new president Yanukovich successfully will not only control Rada, but also recover ukrainian economy. 2010년 우크라이나 대선은 소연방으로부터 독립 이후 실시되는 다섯 번째의 대통령 선거였다. 이번 선거는 무엇보다도 2004년 시민혁명을 통해 집권에 성공했던 오렌지 혁명세력에 대한 정치적 심판의 무대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함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선거는 향후 우크라이나의 정치 지형도와 대내외적 정책방향을 판가름할 수 있는 중차대한 시금석이라고도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2010년 결선투표 결과에 따르면, 야누코비치 후보가 48.95%의 지지율을 얻어 45.47%를 득표하는데 그쳤던 티모쉔코를 근소한 차로 앞서면서 우크라이나의 5대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그는 2004년 대선에서 유쉔코에게 2,200,000표 차이로 아쉬운 패배를 당했지만, 2010년 대선에서는 오렌지 혁명 세력들을 모두 제압하고 승리를 쟁취할 수 있었다. 2010년 결선투표의 승인과 패인은 사실상 우크라이나 중부 지역에서 결정되었다고 정의할 수 있겠다. 특히 중부 지역에서 야누코비치의 약진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이에 비해, 티모쉔코는 키예프를 포함한 중부 지역에서 최소한 1,700,000표 이상, 오렌지 혁명의 본향이었던 서부 지역에서도 약 1,200,000표를 상실함으로써 결정적인 패배를 당하게 되었다. 이는 본질상 중부 지역의 경제적 침체, 오렌지 후보들의 갈등과 난립에 따른 서부 지역 유권자들의 표 분산, 키예프 시민들의 정부에 대한 불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던 결과였다. 대선 이후에도 우크라이나 정부 앞에 많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난제들이 산적해 있다. 정치적으로는 새로운 의회를 구성하기 위한 조기 총선의 실시 여부, 연립정부 구성과 안정적 운영, 헌법 개정 등의 문제들이 남아있다. 경제적으로도 경제 위기 극복과 민생 문제 해결 등과 같은 여러 과제들이 놓여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향후 우크라이나 정국은 상당히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개연성이 크다고 전망할 수 있다.

      • 2007년 우크라이나 총선 분석: 평가와 전망

        박정호(Park, Joung-Ho)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8 동유럽발칸학 Vol.10 No.1

        2007년 9월 30일 실시된 우크라이나 총선은 독립이후 다섯 번째 치러지는 의회선거로서, 대통령의 의회해산명령에 따라 실시된 최초의 조기총선이었다. 이번 선거는 유쉔코 정권의 정치적 미래는 물론이고 향후 우크라이나 대내외정책방향 수립에도 큰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금석이었다. 2007년 총선 결과 오렌지 정치 세력들이 의회의 과반 의석(450석 중 228석)을 확보함으로써 새로운 연립정부를 구성하게 되었다. 새롭게 형성된 연합정권은 2006년 총선이후 지역당이 주도하였던 위기 정부연합을 대체하면서 년 티모쉔코 총리의 해임으로 2005 反 촉발된 오렌지 세력의 분열을 2년 만에 봉합시켰다. 따라서 2007년 총선의 가장 중요한 정치적 의미는 단연코 오렌지 혁명세력의 부활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오렌지 정부연합의 출현은 총선의 실질적 승리자였던 티모쉔코 블록의 현저한 지지율 상승에 기초한 덕분이었다. 티모쉔코 블록은 총선에 참여한 정당들 가운데 유일하게 이전보다 지지율이 급상승했으며 전국 정당으로의 발전 가능성까지 보여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티모쉔코는 우크라이나 행정부의 총 책임자로서 유쉔코 대통령과 함께 국정을 이끌어 나가고 있으며, 유력한 차기 대권후보로서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었다. 우크라이나의 정국 전망은 새로운 권력집단으로 부상한 오렌지 연립정부의 정치적 미래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의회 다수파 연합의 안정성 확보 문제가 가장 중요한 변수이다. 다수파 연합의 불안정한 과반 의석, 다수파 연합에 참여하는 정당들의 내재적 허약성, 티모쉔코 정부와 유쉔코 대통령 간의 정치적 경쟁관계, 지역당이라는 강력한 야당세력의 존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앞으로 심각한 정치적 위기가 도래할 가능성을 결코 배제할 수 없다. 이밖에도, 오렌지 연립정부의 국정운영 능력에 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경제개혁정책의 추진과 경제회복, 부정부패 해소, 민생현안 해결,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 EU 통합 및 NATO 가입 문제 등과 같은 산적한 현안들의 처리여부가 사실상 오렌지 정부의 미래를 담보할 개연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has two main purposes. The first aim is to explor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2007 ukrainian parliamentary elections. The second purpose is to analyze perspective of new governmental coalition. The main aim of calling early ukrainian parliamentary elections in 2007 was to resolve the political stalemate that had existed since the parliamentary elections of 2006. The main result of the 2007 parliamentary elections was restoration of the orange revolution groups, and the real winner was Bloc Yulia Tymoshenko. Her bloc came first or second place in no fewer than 23 of 27 Ukrainian regions. As a result premier Yulia Tymoshenko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ukrainian politics and society. In this context, the 2007 ukrainian parliamentary elections appeared to indicate that Yulia Tymoshenko would be the most serious contender for the 2010 presidential elections. Finally, perspective of orange coalition government depends on whether premier Yulia Tymoshenko successfully will not only control Rada, but also recover ukrainian economy.

      • KCI등재

        Hegemonic Competition over Eurasia and Ukraine's Diplomatic Choice

        홍완석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08 동유럽발칸연구 Vol.21 No.1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in 1991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15 new entities that can independently engage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 particular, Ukraine's restoration of the sovereign rights signifies more than just a creation of a country. Geopolitically, Ukraine is an axis power that can tip the scale in the hegemonic rivalry between the US and Russia over the Eurasian Continent. The strategic value of Ukraine was clearly demonstrated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November 2004, which was viewed practically as a proxy war between the two superpowers. Amid the intensifying power struggle between the US‐led West and Russia, Ukraine is left with little room to maneuver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e country remains exposed to various forms of pressure coming from EU and NATO constantly marching toward the East, and Russia on the watch to thwart their expansionary attempts. Squeezed between East and West, Ukraine should design their foreign policies firmly based on the cold reality facing the nation in order to ensure national security and prosperity as well as to cope with the changing international order in a more effective and flexible manner. This foreign policy was embodied in the so‐called "multivectorism" advocated by former Ukrainian president Leonid Kuchma. In a nutshell, multivectorism denies a conflict of policies that can exist between the European vector and the Russian vector, which presents a source of headache for Ukraine in formulating its foreign policy. How Ukraine sets and prioritizes its policies is not a matter of choice between the two vectors. Rather, it involves multivectors. According to the theory, Ukraine can play the role of a "bridge linking East and West". The Yushchenko government is currently shifting toward a pro‐West stance while weaning itself from Russia. Given the geopolitical reality facing Ukraine, however, multivectorism seems to be the only alternative.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in 1991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15 new entities that can independently engage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 particular, Ukraine's restoration of the sovereign rights signifies more than just a creation of a country. Geopolitically, Ukraine is an axis power that can tip the scale in the hegemonic rivalry between the US and Russia over the Eurasian Continent. The strategic value of Ukraine was clearly demonstrated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November 2004, which was viewed practically as a proxy war between the two superpowers. Amid the intensifying power struggle between the US‐led West and Russia, Ukraine is left with little room to maneuver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e country remains exposed to various forms of pressure coming from EU and NATO constantly marching toward the East, and Russia on the watch to thwart their expansionary attempts. Squeezed between East and West, Ukraine should design their foreign policies firmly based on the cold reality facing the nation in order to ensure national security and prosperity as well as to cope with the changing international order in a more effective and flexible manner. This foreign policy was embodied in the so‐called "multivectorism" advocated by former Ukrainian president Leonid Kuchma. In a nutshell, multivectorism denies a conflict of policies that can exist between the European vector and the Russian vector, which presents a source of headache for Ukraine in formulating its foreign policy. How Ukraine sets and prioritizes its policies is not a matter of choice between the two vectors. Rather, it involves multivectors. According to the theory, Ukraine can play the role of a "bridge linking East and West". The Yushchenko government is currently shifting toward a pro‐West stance while weaning itself from Russia. Given the geopolitical reality facing Ukraine, however, multivectorism seems to be the only alternative.

      • KCI등재

        유라시아 패권경쟁과 우크라이나의 외교적 선택

        홍완석(Hong, Wan-Sog)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8 동유럽발칸연구 Vol.21 No.1

        이 글의 목적은 유라시아 대륙에서 우크라이나가 차지하는 전략적 가치를 살 펴보는 가운데 러시아(동)와 미국(서)이라는 거대한 세력의 양 날개에 낀 우크 라이나가 자국의 영토적 안전보장과 국가의 발전을 위해 과연 어떤 대외적 좌표 를 선택할 것인가를 분석적으로 조감해 보는데 있다. 1991년 소연방의 해체와 함께 탈 소비에트 공간에서 15개의 새로운 국제관 계 행위주체가 등장했지만, 이 가운데 우크라이나의 주권 회복은 단순한 특정국 가 출현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그 이유는 우크라이나가 지닌 잠재적․현재적 국 력의 현주소와 지리적 위치를 감안할 때, 이 나라가 유라시아대륙 장악을 둘러 싼 미‐러간 패권경쟁에서 승패를 좌우할 수 있는 지정학적 추축(樞軸)국가에 해 당하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의 전략적 가치는 무엇보다도 2004년 12월 실시된 우크라이나 대선이 미․러의 대리전 양상으로 진행되었다는 사실에서 단적으로 확인된다. 미국으로 대표되는 서방과 러시아간 치열한 세력경쟁 속에서 우크라이나의 대외적 운신은 “동”과 “서” 사이에서 항상 쉽지 않은 상태이다. 동쪽을 향해 세 력권을 확대하려는 EU 및 NATO와 이를 저지하려는 러시아로부터 동시에 가해 져 오는 다양한 압력과 회유에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동과 서 사이에 낀 우크라이나는 냉철한 현실주의를 바탕으로 한 대외전략을 통해 국가적 생존과 번영을 확보하고 국제질서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안된다. 외교정책에서 이의 구체적인 표현이 바로 전 우크라이나 대통령 쿠츠마 가 천명했던 소위 ‘멀티벡터리즘(multivectorism)’으로 설명할 수 있다. 요지는 우크라이나 대외정책에서 고민을 제공하는 유러피언 벡터와 러시안 벡터 양자간의 정책적 충돌은 존재하지 않으며, 우크라이나 외교정책의 우선순 위와 방향성의 문제는 양자간의 선택이 아닌 멀티벡터적이라는 것이다. ‘교량 역할론’, 또는 ‘동서 가교노선’으로 해석이 가능한데 현재 유센코 정부가 친서탈 러 노선을 추구하고 있지만, 우크라이나의 지정학적 현실을 감안할 때, 멜티벡 터리즘이 유일한 대안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소견이다.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in 1991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15 new entities that can independently engage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 particular, Ukraine's restoration of the sovereign rights signifies more than just a creation of a country. Geopolitically, Ukraine is an axis power that can tip the scale in the hegemonic rivalry between the US and Russia over the Eurasian Continent. The strategic value of Ukraine was clearly demonstrated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November 2004, which was viewed practically as a proxy war between the two superpowers. Amid the intensifying power struggle between the US‐led West and Russia, Ukraine is left with little room to maneuver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e country remains exposed to various forms of pressure coming from EU and NATO constantly marching toward the East, and Russia on the watch to thwart their expansionary attempts. Squeezed between East and West, Ukraine should design their foreign policies firmly based on the cold reality facing the nation in order to ensure national security and prosperity as well as to cope with the changing international order in a more effective and flexible manner. This foreign policy was embodied in the so‐called "multivectorism" advocated by former Ukrainian president Leonid Kuchma. In a nutshell, multivectorism denies a conflict of policies that can exist between the European vector and the Russian vector, which presents a source of headache for Ukraine in formulating its foreign policy. How Ukraine sets and prioritizes its policies is not a matter of choice between the two vectors. Rather, it involves multivectors. According to the theory, Ukraine can play the role of a "bridge linking East and West". The Yushchenko government is currently shifting toward a pro‐West stance while weaning itself from Russia. Given the geopolitical reality facing Ukraine, however, multivectorism seems to be the only altern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