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문제(Korean question)의 역사적 재구성과 6자회담 : 한반도협조체제의 전망 Prospect of the concert of the Korean Peninsula

        백준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1997 국제지역연구 Vol.7 No.4

        6자회담을 단순히 북핵문제를 해결하기위한 한시적이고 제한적인 논의구조로 상정하기 보다는 북핵문제가 배태한 역사적 조건과 극제환경을 고려하여 궁극적으로 한반도 문제의 안정적이고 항구적인 해결 가능성을 모색하는 제도적 틀로서 위치지우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6자회담이 국제레짐(international regime)화 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이론적인 탐색이 중요하다. 냉전이 해체되면서 변화하고 있는 동아시아의 국제환경은 다자간 협력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높은 수준의 안보공동체나 국제기구의 결성은 현 단계에서 어려울 지라도 낮은 수준의 국제레짐의 모색이 현실적이다. 6자회담을 다자간 협력의 제도로 전환시키는 문제는 당분간 이러한 범위 내에서 가능하며 이것은 '헙조체제'(concertacion)'라는 형태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북핵문제를 넘어서 6자회담을 '한반도 협조체제'로 전환시켜야한다. 이것은 더 높은 단계의 '제도로의 이행(the move to institutions)'의 시작이기도하다.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bring up for discussion the six-party talks while considering the historic condition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of what North Korean nuclear issues conceive rather than a temporary and limited discussion of the North Korea nuclear issue. Therefore, ultimately it is important to position the six-party talks as an institutional framework which searches for a stable and perpetual solution for korean issues and to do this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possibility of making the six-party talks international regime must be done. The ending of the cold war has changed the international circumstances of East Asia where there is now the possibility of multilateral cooperation. Even if the formation of high-level security associations 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ooks tough at the very moment a low standard international regime would be ideal. The issue of transferring the six-party talks into a multilateral institution system would be realistic within this range for the time being and this could be an alternative of it being 'Concertacion'. Henry Kisinger supposed it was international discussions on significant matters that made 19th century multi-polarized European countries in competition to relatively successfully evade war. The maintenance of European peace of European peace for a century has been assessed to be due to the so called contribution of the Concert of Europe. If we can find an encouraging model in Europe for the possibility of transferring the six-party talks into the Conce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 must be a shared awareness that the issues covering the threat of the terrorist in 'post-Post cold War period' and the proliferation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re put ahead of diplomatic danger or uncertainty among participant countries. Together with this, the recognition of the threat posed of the issue where a particular country is emerging as a supreme power in a particular region(East Asia), has become a more significant standard than the difference of regimes, values and social patterns of 'whether or not it is socialism or capitalism'. The south and North Korean case, for example, is a more desperate issue. The six-party talks has begun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North's Nuclear Issue. However, the fundamental solution of the North Korean unclear issue is eventually related to the key to solve the Korean Question. Therefore, the agenda dealing with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should be ultimately expanded into the solution of the Korean question where there is reason why the six-party talks should be converted into the systemization of multilateral cooperation, and 'the Concert of the Korean Peninsular'. In the course of solving the North Korean unclear issue and the Korean question, the so-called democratic enlargement policy such as 'regime change'- whether or not its purpose is 'terrorism uprooting' or 'the principle of universal humanitarianism'-is unrealistic. No country is qualified to decide on another country's political culture and regime. This cannot be justified by the historical fact thar a country has had a long-term occupying period of another country. Any diplomatic policy carried out resorting to this urging, as Paul Kennedy said, can be defined as 'imperial overstretching'. Instead, we should start with persuasion and consultation' among participants. The six-party talks has begun with the 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hich was had a limited agenda in terms of time and space. However, it is obviously an historic event that has a particular destiny to cover the issue beyon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is is an element related to the historical discourse regarding the Korean(Peninsular) question and the East Asia Peace issue. The Korean question is destined to walk a read onto globalization since it historically emerged. Since the time when the Korean Peninsular entered into the period of being a colony, the Korean question has become an international issue through serial political talks and is decided on or deferred by the deputy of so-called 'related countries' according to their interest. The six-party talks would not be an end but a new beginning. Under the circumstance where the surrounding greater power is returning to the history, we feel the necessity of converting the six-party talks into 'the Concert of the Korean Peninsula' beyon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is would be the beginning of a move to the more enhanced institution.

      • KCI등재후보

        미행정부의 북핵정책에 있어 변화와 연속성 - 북미관계의 딜레마 -

        박병철 한국통일전략학회 2013 통일전략 Vol.13 No.2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A as well as the American administration's North Korean policy to solve the nuclear issue. Recently, North Korea has tried to establish its status as a nuclear power through a third nuclear test. After 1993 whe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emerged,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endeavored to solve the problem with negotiations and sanctions. However, the only development i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s the fact that the regime has built up its nuclear capacity with three nuclear experiments and missile launches. That means that diverse efforts of over 20 years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have been ineffective. Then, what is the real intention of North Korea to develop nuclear weapons? North Korea is making efforts to find out a key to maintain its regime. After the cold war, North Korea faced critical situations both at home and abroad. A domestic crisis in economy and an external 'siege situation' threatened its regime. The nuclear development of North Korea is involved in its survival as a state. As Pyeongyang's efforts to keep up its regime collide with the global strategy of the USA to proliferate freedom and democracy, a better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is a pivotal factor for North Korea. That is, North Korean regime maintenance is entangled with its nuclear weapon development and a better relationship with the US. The most ideal answer to the North Korean nuclear development is a diplomatic normalization of North Korea and the USA on the basis of Pyeongyang's abandonment of nuclear weapons. For this purpose, a restoration of trust between North Korean and the United States should be established first and then, regional states concerned should trust each other. 본 논문은 북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한 미행정부의 대북정책과 북미관계의 변화를 다루고 있다. 최근 북한은 제3차 핵실험을 통해 핵무기 보유를 기정사실로 하려 한다. 북한 핵문제가 불거진 1993년 이후, 미국을 위시한 주변 국가들은 협상과 제재를 통해 핵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였다. 그러나 그 동안 북핵 문제에 있어 진척된 것은 세 차례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등 북한 핵능력이 더욱 증강되었다는 사실이다. 20여 년 동안의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아무런 실효성이 없었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러면 북한의 진정한 핵무기 개발 의도는 무엇인가. 북한은 체제생존의 열쇠를 핵무기에서 찾고 있는 것이다. 탈냉전 이후 북한은 대내외적인 위기상황에 직면하였다. 내부적 경제위기와 대외적 ‘피포위 상황’은 북한 체제를 위협하고 있었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은 체제생존과 결부되어 있다. 북한의 체제유지는 미국의 세계전략 - 자유와 민주주의 확산 - 과 연계되어, 미국과의 관계개선이 중요한 관건이다. 그러나 북한의 체제유지는 핵무기 개발과 미국과의 관계개선이라는 양립할 수 없는 조건에서 시작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 핵개발과 관련 가장 이상적인 해결책은 핵포기를 전제로 한 북미관계 정상화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북미 간 신뢰회복을 위한 노력들이 선행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지역 관련국 상호간의 신뢰회복이 되어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북핵문제의 해결은 이해 당사국들 간의 상호 신뢰회복이 가장 관건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신뢰회복의 전제조건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협상을 하겠다는 의지와 일관된 목표(핵폐기)에 대한 공감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미국은 북한의 행동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일정한 레드라인을 표명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보상과 제재를 주어질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해야 한다. 또한 북한은 핵을 포기해야 체제생존의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 KCI등재

        북한 핵문제 전개과정과 해결방안

        구본학 통일연구원 2015 統一 政策 硏究 Vol.24 No.2

        Though more than two decades have passed since the U.S. and North Korea agreed on the Geneva Agreed Framework in October 1994,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has become more difficult to be resolved than before. In spite of international sanctions, North Korea has implemented three nuclear test explosions and successfully launched long-range missiles. The North Korean young leader, Kim Jung Un, declared a parallel policy of economic and nuclear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It is clear that North Korea has tried every efforts to miniaturize and possess various kinds of nuclear bombs. North Korean watchers in the U.S. warned in early this year that North Korea would hold more that 100 nuclear bombs and long-range missiles which can target the U.S. main land. North Korea successfully possessed nuclear and long-range missile capabilities by a strong political willingness of political leaders for more than two decades. The U.S. unfortunately could not focused 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due to the war of antiterrorism. Presidents Kim Dae Jung and Rho Mu Hyun, pursuing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believed that the North’s nuclear development as means to negotiate with the U.S. The Presidents Lee Myung Bak and Park Geun-hye did not have opportunities to talk with the North due to continuous military provocations by the North. China provided an opportunity for North Korea to evade international sanctions imposed on the North by utilizing the nuclear issue to enhance its strategic position vis-a-vis the U.S. After the Iranian nuclear negotiation reached an agreement,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pay attention to resolve the North Korea nuclear issue. President Obama’s policy of “strategic patience” may not resolve the North’s nuclear enigma. The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will increase instability and nuclear domino in the region. Therefor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make every effort to denuclearize the North with such various measures as sanctions and pressure, political and economic support and compensation, measures to induce the North toward reform and openness, and so forth.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네바합의가 타결된지 20여년이 지났지만 북한 핵문제 해결은 더어려워졌으며, 장거리미사일 문제까지 더해졌다. 국제사회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세차례의 핵실험을 강행했다. 김정은은 경제건설과 핵무력의 병진정책을 선언하면서 핵계획을 포기하지 않을 것임을 천명했다. 북한은 핵무기의 소형화와 다종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미국의 연구기관들은 향후 5~6년 내에 북한이 100여개의 핵탄두와 미국을 직접 타격 하는 장거리미사일을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북한이 핵무기와 장거리미사일 능력을 가지게된 배경에는 장기간에 걸친 북한 정권의 강력한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대테러전으로 인해 북핵문제 해결에 대해 적극적 관심을 집중시킬 수 없었고, 남북관계 개선을 추구했던 김대중-노무현 정부는 북한의 핵개발을 협상용 이라고 믿었고, 이명박-박근혜 정부는 금강산, 천안 함, 연평도 등 끊임없는 북한의 도발로 인해 협상의 분위기를 만들 수 없었다. 미중 전략적 관계에서 북핵문제를 접근했던 중국은 북한이 국제적 제재를 회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란 핵협상이 타결된 상황에서 국제사회는 북한 핵문제 해결에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 오바마 대통령의 전략적 인내는 북핵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북한의 핵보유는 동아시아 국제질 서에 불안정성을 높이게 될 것이며 핵도미노 현상을 야기할 수도 있다.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제재와 압박, 정치·경제적 지원 및 보상, 그리고 북한체제를 개혁과 개방으로 유도하는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북한 핵실험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언론의 의제설정 및 증시 변화를 중심으로

        권숙도 국회입법조사처 2017 입법과 정책 Vol.9 No.3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on our economy by analyzing the impact of North Korea’s six nuclear tests on our stock market.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d the press attitude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on our economy and tried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is is in line with actual stock market changes. As a result,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has had a negligible effect on the Korean stock market, which has a direct impact on the Korean economy. Similarly, the attitude of the media coverage surrounding it also stayed on a superficial level. These results show that the economic threat posed by North Korea’s nuclear issue is somewhat exaggerated, and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impact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on our economy as a whole. In the meantime, we overestimated the economic threat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expanded and reproduced the South-South conflict within our society. However, we can confirm that the actual North Korean nuclear test has no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ur economy as well as the indicators of the stock market and media reports. Now,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unnecessary political debate an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policy as a productive area to 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이 논문은 북한의 6차례의 핵실험이 우리 증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핵실험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핵실험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를 분석하고, 이것이 실제 증시의 변화와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북한 핵실험이 우리 경제, 그 가운데에서도 직접적인 영향을 바로 파악할 수있는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실질적으로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이를둘러싼 언론의 보도태도 역시 피상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 핵실험이우리에게 주는 경제적 위협이 다소 과장된 수준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북핵문제가 우리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시 한번 검토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그동안 우리는 북한 핵문제의 경제적 위협을 과대평가하면서 이를 둘러싼 우리 사회 내부의 남남갈등을 확대재생산하여 왔다. 하지만 실제 북한 핵실험이 우리 경제에 별다른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주식시장의 지표는 물론이고 주요 언론의 보도내용으로도확인한 만큼, 불필요한 정치적 논쟁을 최소화하고 북핵 해결을 위한 생산적인 영역으로정책의 방향을 전환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 : 「안보-경제 교환」에서 「안보-안보 교환」으로

        김학린(Haklin Kim)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11 평화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북핵문제의 해결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 더 나아가 통일을 이루기 위한 핵심적 과제라는 문제의식 하에 기존의 북핵 접근법을 평가하고 보다 효과적인 새로운 해법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북핵 접근법을 「안보-경제교환」방식으로 보고 이의 대안으로 「안보-안보 교환」방식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북핵 문제 해결의 주요 관련국인 한국, 미국, 중국의 기존 북핵 접근법을 분석하고, 북한의 입장을 파악해보는 한편, 새로운 접근법의 필요성과 그 대안인 「안보-안보 교환」방식의 실효성과 추진방향에 대해 검토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안보-경제 교환」방식으로는 6자 회담이 재개되더라도 북핵문제 해결에 성과를 내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고, 협상이론에서 제시하는 교착상태의 타개 방법을 북핵문제 해결에 적용하여 1) 협상 이슈를 「안보-경제 교환」에서 「안보-안보 교환」으로 재규정할 것, 2) 협상 당사자 간의 관계를 우호적으로 변경하고, 「안보-안보 교환」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조치로 북한의 핵폐기 프로세스에 조응하여 제공될 안보 인센티브를 명확히 하는 연계경로 로드맵을 도출할 것, 3) 북한의 핵포기 대가로 제공될 안보 인센티브에 대한 협상에 보다 집중하기 위해 남북한과 미국 및 중국으로 구성된 4자회담 개최할 것을 정책대안으로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sess traditional approaches to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to suggest a new approach to solve its nuclear issue. Nuclear issue is the priority solving problem to achieve the stab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peaceful reunification of Korea. Specifically, this paper proposes that ‘security-security tradeoff’ as an alternative of ‘security-economy tradeoff’. For this, we analyze the traditional approaches to the North Nuclear issue of South Korea, U.S., China and North Korea’s position to nuclear issue. In addition, we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approach to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security-security tradeoff’ and make suggestions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Based on these analyses, we conclude that it is hard for us to predict a breakthrough for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by continuing these approaches in six-party negotiations. Therefore to resolve its nuclear issue, we should apply the method of breaking an impasse presented by negotiation theory; 1) Reframing issue: from Security-Economy Tradeoff to Security-Security Tradeoff, 2) Coming up with a road map which countries will pay for diverse security incentives to North Korea in exchange for discarding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3) Making a proposal for holding a four-party talks composed of North and South Korea, USA and China.

      • 문재인 정부 대북정책의 성공 조건과 전망

        박영민 ( Park Young Min )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2017 접경지역통일연구 Vol.1 No.2

        문재인 정부는 대북정책의 목표를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로 설정하고 있다. 그런데 당면한 북한 핵문제는 대북정책을 추진하는 중대한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 문제인 정부는 이러한 조건에서 대북정책을 실현을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국제주의), 남북관계개선(개입주의)의 양축을 동시에 강조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핵심적 대북정책은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 및 평화체제 구축’과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이다. 특히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은 ‘3대 경제 평화벨트’와 ‘시장협력’이라는 실질적 정책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3대 경제·평화벨트’는 환동해, 환황해, 그리고 접경지역권의 개발을 통해 한반도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고, 동시에 중국 러시아 등 북방경제권과 연계를 모색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하나의 시장’은 북한의 시장화 추세를 고려한 가운데, 남북한 간 상품 및 생산요소의 자유로운 이동을 촉진시켜 궁극적으로 남북한의 시장통합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런데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의 성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대해 검토가 요구된다. 첫째, ‘하나의 시장’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통제된 시장이 한국의 개방적·자유주의적 시장과 어떻게 결합될 수 있는 등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둘째, ‘한반도 평화체제’와 관련해서는 북핵 문제의 전개 방향에 따른 대응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북핵의 전개는 ‘핵·미사일 개발의 지속’, ‘보류(또는 중단)’, ‘폐기’의 중 하나로 수렴될 것이다. 따라서 북핵의 전개 양태와 조건을 고려한 세부전략의 마련이 요구된다.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of South Korea has set the goal of the North Korea policy as “Building a Peaceful, Prosperous Korean Peninsula”. However, the present North Korean nuclear issue has been a serious obstacle t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ts North Korea Policy. Under the circumstances, the Moon administration is emphasizing both the close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internationalism) and the improvement in inter-Korean relations(interventionism) to realize its North Korea policy. The key points of the government’s North Korea policy are “the peaceful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building the New Korean Peninsula Economic Map”. In particular, the “New Korean Peninsula Economic Map” sets two practical policy directions: “Three Great Economy-Peace Belts” and “Market Cooperation”. The “Three Great Economy-Peace Belts” aims to promote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Korean Peninsula by developing the East-Sea Rim region, the Pan- Yellow Sea region, and the border region, while seeking connections with the northern economic bloc including China and Russia. The “One Market” aims to encourage the free movement of products and production factor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ultimately pursuing market integrat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in consideration of the marketization trends emerging in North Korea. For the success of Moon’s North Korea policy, however, the following matters need to be reviewed. First,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One Market,”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he controlled market of North Korea can be combined with the open, liberalistic market of South Korea. Second, in relation to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counter-strategy to respond to the future direc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should be establishe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ill become one of the “persistence of the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the “suspension(or discontinuance),” or the “disposal”.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ome up with a detailed strategy considering the development aspect and conditions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 KCI등재

        북한의 6자회담 협상전략,전술: 평가와 전망

        김수민 ( Soo Min Kim ),윤황 ( Hwang Youn ) 한국세계지역학회 2008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6 No.3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그 동안 6자회담의 진행과정을 통해 북한이 보여준 협상전략·전술을 평가하여 향후 그 전략·전술을 전망하는 데에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정리된다.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서 북한의 협상에 관한 전략(strategy)과 전술(tactics), 협상전략·전술의 유형 등이 위기외교전략, 벼랑끝전략, 지렛대의 창출전략 차원에서 고찰되었다. 둘째, 그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6자회담에서 표출된 쟁점사안에 대한 북한의 협상전략·전술이 어떻게 나타났는가를 제1차 6자회담~제6차 6자회담 3단계회의에 이르기까지 분석되었다. 셋째, 북한의 협상전략·전술에 대한 평가와 향후 변화전망에서는 우선, 6자회담에서는 북한의 모든 협상전략·전술이 동원되어 집중되었고, 북한이 기본적으로 벼랑끝외교전략의 협상전략·전술을 꾸준히 구사해왔으며, 북한의 협상전략·전술은 더욱 다양해지고 체계화되고 있다는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되었다. 그리고 현재 북한은 정권·체제생존의 확보차원에서 핵보유전략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정권·체제생존이 확보될 때까지 핵보유전략에 터잡은 협상전략·전술을 갖고 6자회담에 나올 것이라고 전망되었다. 그 결과 결론적으로 향후 북한의 완전한 핵폐기·핵포기 목표점도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전망해야 할 것이라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North Korea`s negotiation strategies and tactics in the Six-party Talks for settlement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based on such analysis, to examine its special appraisal, and in future prospect on negotiating strategies and tactics of North Korea. The result of this article is as below. During the last five years North Korea had sat down with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China, Japan and Russia for dialogue to find ways to disable its nuclear facilities in exchange for economic aid and political concessions. The Talks have been stalled due to disagreement between American and North Korean officials over how to verify the North`s nuclear declaration and its nuclear dismantlement. But this paper assert that due to Kim Jong-il regime`s uncompromising negotiation strategies and tactics in the Six-party Talks, North Korea resumed operation of its nuclear facilities in Yongbyon in defiance of the 1994 Framework Agreement and extracted enough plutonium for at least four more nuclear weapons in addition to two or three in its arsenal and tested a nuclear weapon. When Pyongyang threatened to resume plutonium production in August in protest against the Bush administration`s demand for a verification process that included intrusive inspections of North Korean nuclear facilities. The Kim Jong-il regime`s officials, who emphasize direct talks and compromise with Washington, overlook the fact that North Korea violated the 1994 Geneva Agreement, the very cause of the current crisis, and try to gloss over the issue with a negotiated settlement, even by giving concessions whenever the North resorts to brinkmanship tactics. Such attitudes by the officials have led to a misconception among the people that giving concessions to the North when it resorts to brinkmanship is an engagement policy, as having a dialogue, whereas refusing to accept the North`s demands is a confrontational hard-line policy, refusing dialogue. Consequently, what is even worse is that North Koreans use such negotiation strategies and tactics in the Six-party to their advantage. It certainly makes them feel comfortable to know that they will win whenever they resort to brinkmanship. But the election of Barack Obama as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last November 14, 2008 will certainly bring change to the nuclear negotiat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 KCI등재

        박근혜 정부 대북정책에 대한 비판적 평가

        안문석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5 동향과 전망 Vol.- No.95

        NorthᐨSouth relations has mostly been at a stalemate since the Park Geenᐨ Hye government’s inauguration. This stalemate stemmed mainly from the Park government’s North Korea policy, which is based on the distrust and exclusiveness of North Korea and confrontation with it. The Park’s North Korea policy consists of the Trustᐨbuilding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Theory of Unification Bonanza, policy concern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defense policy. The Trustᐨbuilding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is premised on the distrust of North Korea. The initiative assumes that NorthᐨSouth relations are in distrust since the North has broken the promises with the South. It also holds that Pyongyang should keep promise to build confidence between the two Koreas. The Theory of Unification Bonanza just focuses on the result of Korean unification and ignores Korean unification as a process. It also accompanies the theory of contingency in North Korea, so can not help avoiding a criticism that it is a kind of theory of unification through absorption. The policy concerning the Korean Korea nuclear issue concentrates on demands that North Korea should take actions to denuclearize in advance. In other words, it tries to coerce North Korea into submission rather than negotiate with it. The defense policy of the Park government gives priority to the development of stateᐨof ᐨtheᐨart weapons to incapacitate North Korean asymmetrical weapons. It is a kind of strategy of maximization of relative power, which is a main assumption of offensive realism. Overall, such policies of the Park government has not contributed to easing tension on the Korean peninsula. So, the policy orientation of the Park government needs to be amended. It needs to open dialogues with North Korea by stopping the balloon messages which 222 동향과 전망 95호insult Kim Jongᐨun, reᐨopen NorthᐨSouth transactions by abolishing the 5·24 Measure, lead North Korea to the nuclear talks by lifting the bar before the Six Parties Talks, and block the deployment of the THAAD(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by improving NorthᐨSouth relations.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남북관계는 크게 진전을 이루지 못해 왔다. 남북관계가큰 진전을 이루지 못한 것은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이 지나치게 불신과 배제, 대결의 기조를 가져 왔기 때문이다.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통일대박론, 대북핵정책, 국방정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는 북한에 대한 불신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동안의 남북관계는 불신의 관계이고, 이러한 관계는 남북 간의 합의가 지켜지지 않았기 때문이며, 그 책임은북한에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북한에 대한 불신을 바탕으로 형성된 구상이다 보니 한편으로는 ‘남북 간의 합의는 철저히 지켜져야 한다’면서, 다른 한편으로는‘합의사항을 사안별로 검토해서 이행해 나갈 것이다’라고 밝혀 앞뒤 모순적인 논리구조를 보이기도 한다. 통일대박론은 결과로서의 통일만을 강조하고 과정으로서의 통일에 대한 논의를 배제하고 있다. 그러면서 북한급변사태와 함께 통일대박론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통일을 전제로 한 통일론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대북핵정책은 비핵화를 위한 우선적 조치를 북한에 요구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남북한의 교류도 비핵화가 이루어지기 전에는 어렵다는입장이다. 협상에 의한 해결보다는 북한의 완전한 굴복을 강요하는 정책으로 실현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하겠다. 국방정책은 사드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이 표출되고, 최첨단 무기를 적극 개발하면서 북한의 비대칭무기에 대한 역비대칭 무기체계를 확보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는 북한에 대한 상대적 권력의 최220 동향과 전망 95호대화를 추구하는, 다시 말하면 공격적 현실주의 정향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있다. 이러한 내용의 박근혜 정부 대북정책은 남북관계의 긴장 수위를 고도화시키는 역할을 해 왔다. 따라서 이러한 정책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바탕으로 정책의 개선에 나서는 것이 남북관계의 발전과 장기적인 통일분위기 조성을 위해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대북전단 살포를 금지시키고, 볼품없는 유물이된 5·24조치를 해제해 남북교류의 문을 열어야 할 것이다. 또, 6자회담의 진입장벽을 제거해서 북한을 핵회담으로 불러내야 할 것이다. 이후 진전된 남북관계를명분으로 사드 배치도 저지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6․25전쟁 시기 미국의 원자탄 사용 논의와 그 함의

        최정준 21세기정치학회 2018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precedent of the US that planned the use of atomic bombs in the Korean War to derive implications for overcoming the unstable sit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fac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United States continued to discuss the use of atomic bombs until the end of the Armistice Agreement. The Truman administration, which had retained its supremacy of nuclear supremacy, had four discussions on the use of atomic bombs. These discussions did not translate into actual action, but deployed a B-29 bomber deployment at a forward base in the Pacific. She also conducted simulated nuclear drills such as 'Operation Hudson Harbor'. Although the status of nuclear monopoly was broken due to the Soviet nuclear development, the Eisenhower administration, which had nuclear superiority, actively discussed the use of atomic bombs and embodied it through NSC 147. The United States began to recognize the usefulness and utility of nuclear weapons through the war,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establishing the US nuclear strategy. By the implic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 we need to recognize the cold reality of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Second, we must maintain an atmosphere of continuous dialogue and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for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joint military organization to respond to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Fourth, diplomatic efforts are needed to build up the dynamics of Northeast Asia in order to 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Fifth, we must maintain a close coordination system for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ith allies.

      • KCI등재

        특집 : 평화와 통일의 사건사; 북핵문제와 남북관계, 갈등과 협력의 이중주 -앙상블을 위하여

        양무진 ( Moo Jin Ya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9 No.-

        이 글의 목적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과 좌절들을 고찰하면서 현실적인함의를 찾는 것이다. 고찰의 주요 대상은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이지만 북핵20년의 역사적 인문학적 고찰이라는 점에서 김영삼 정부와 박근혜 정부도 포함시켰다. 김영삼 정부는 피는 물보다 진하다는 감성에서 출발하였지만 핵을 가진자와 악수할 수 없다는 강경노선으로 변화함으로서 통미봉남을 자초하였다. 노무현정부는 북핵불용이라는 원칙하에 북핵문제를 남북관계 차원에서 풀려고 노력했지만 ‘핵은 남쪽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라는 북한의 대미협상 선호논리에 막혀 가다 서다를 반복하였다. 이명박 정부는 ‘비핵·개방·3000’ 구상을 내세웠지만 모든 대화와 교류협력의 단절로 비핵화도 이루지 못하고 남북관계도 진전시키지 못한 최악의 한반도 상황을 이끌었다. 박근혜 정부는 핵을 머리에 이고 살 순 없다는 강력한 비핵화 의지를 보여주고는 있지만, 정치적 상황과 관계없이 인도적 지원은 하겠다는 유연한 입장도 견지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정책이행이 주목된다. 북핵20년사는 한반도문제가 남북한의 문제이면서 국제적인 성격을 지닌다는 이중성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중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관련국들의 공동노력을 통한 조화로운 앙상블이 요구된다. 북핵문제와 남북문제 해결의 선순환관계, 한미공조와 한중협력의 균형적 발전, 평화통일을 위한 내외의 합의기반조성이 시급한 과제이다. 갈등과 협력의 이중주 속에서도 한반도문제와 관련된 모든 연주자들이 조화롭고 협력적인 앙상블을 가하는 순간 한반도 통일은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우리 곁에 다가올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practical implications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rough discussing the efforts and frustrations behind this subject. The main target of the study is the historical consideration of 20 years of the nuclear issue from the Kim Young-sam to the incumbent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although the main focus is on Lee Myung-bak and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s. Kim Young-sam government departed from the sentiment of “Blood is thicker than water,“ but it ended up as a hardliner policy from its firm position that it will not hold hands with a nuclear state. This eventually led to North Korea`s policy of “Talk to the US, Isolate the South.” Roh Moo-hyun government took the approach to resolve the nuclear issue in the context of inter-Korean relations under the principle of intolerance for nuclear weapons, but North Korea retorted with the argument that ``nuclear arsenals`` were not aimed for the South and North-South relations repeated the stop-and-go from North`s preference to talk with the US.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Vision 3000 or “denuclearization, openness, and 3000” policy resulted in all dialogues,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the North to come to a complete halt, unsuccessful in achieving denuclearization or improving relations resulting in the worst inter-Korean relations in history. The Park Geun-hye government also is endorsing a strong ambition of denuclearization and at the same time showing a rather flexible attitude to continue humanitarian assistance regardless of political situation. The 20 years of the nuclear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indicates such duality- one that it is both inter-Korean and international concern. In order to overcome the duality, it requires harmonious ensemble with the major actors in the region to join in efforts and overcome challenges. The main tasks at hand is to turn the current inter-Korean relations to a virtuous cycle, balanced development of US-Korea and South Korea-China cooperation, and seek consensus-based resolution toward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duet of conflict and cooperation, all the players involved with the Korean Peninsula should attempt to form harmonious and cooperative ensemble in order to head toward the direction we want in reun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