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신재생에너지 전력 유통 및 공급 법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황지혜(Jihye Hwang) 한국토지공법학회 2022 土地公法硏究 Vol.100 No.-

        세계 각국에서 지구온난화에 대처하기 위한 탄소중립화 정책의 일환으로, 화석 에너지 대신 신재생 에너지(태양광, 지열, 바이오매스 등)를 주요 전력 에너지원으로 하기 위한 정책과 법제를 마련하고 있다. 한국도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 법률에서는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는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2020-2034)이 실시되고 있다.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2020-2034)에 의하면, 2034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5.8%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계획이 목표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효과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의 전력을 효과적으로 생산 및 유통하고, 국민에게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법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즉, 신재생에너지 전력 유통 및 공급 체계가 확립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동기에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전력 유통 및 공급 법제가 안정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유통하고 공급할 수 있는 법제로 기능할 수 있도록, 일본의 신재생에너지 전력 유통 및 공급 법제를 비교법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일본 법제를 비교 대상으로 하는 이유는, 일본은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의 비율을 전체 수급 전력 비율 중 36~38%로 늘리기 위해 활발하게 법제를 정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신재생 에너지 전력 유통 및 공급 체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일본의 전반적인 전력 유통 및 공급 체계에 관한 법제를 논의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본의 전력 유통 및 공급 법제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 전력 유통 및 공급 법제를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일본 법제에서의 논의를 기초로 하여 한국 신재생에너지 관련 법제에의 시사점과 법제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이와 같이 일본 법제와 비교하여 한국 법제의 개선 방향을 정함으로써, 급격한 전력 가격 변동이나 위기 상황에도 안정적으로 국민에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법제로 기능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As part of carbon neutralization policies to cope with global warming, policies and legislation are being prepared to make renewable energy (solar, geothermal, biomass, etc.) the main sources of power instead of fossil energy. Korea is Act On The Promotion Of The Development, Use And Diffus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of 2020 renewable energy policy and carry out. This Act establishes a basic plan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implements new and renewable energy policies. Currently, the 5th Basic Plan for Renewable Energy (2020-2034) is being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5th Basic Plan for Renewable Energy (2020-2034), the goal is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to 25.8% by 2034. However, in order to effectively increase the propor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imed at this pla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legal system that can effectively produce and distribute power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supply it stably to the peopl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distribution and supply legal system. In this context, this paper consider to Japanese renewable energy power distribution and supply legal system in a comparative study so that Korean renewable energy power distribution and supply legal system can function as an act that can stably distribute and supply renewable energy. The reason why Japan to compare the legal system, Japanese entire power supply and distribu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by 2030 to increase by 36 to 38 percent because legislation to encourage active. To understand to Japanese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distribution and supply, it is necessary to overall the legal system on power distribution and supply in Japan. In addition, based on the discussion on Japanese power distribution and supply legal system,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distribution and supply legal system is considered. Finally, the writter suggests solution to improve Korean new and renewable energy distribution and supply legal system based upon Japanese new and renewable energy distribution and supply legal system. In this way, by setting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Korean legal system compared to Japanese legal system, it can be expected to function as a renewable energy legislation that can stably supply power to the public despite rapid power price fluctuations or crises.

      • KCI등재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세제지원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이중교 ( Joong Kyo Lee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2014 法과 政策 Vol.20 No.1

        인류의 공통과제인 온실가스의 효과적 감축을 위해서는 온실가스 목표제와 같은 직접적 규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와 같은 시장원리의 도입 등과 더불어 친환경적인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도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에 힘을 기울여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이 계속 상승하고 있으나, OECD 국가들과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2035년까지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11%까지 높이기로 목표를 정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발전차액지원제도(FIT), 신재생에너지 이용의무화제도(RPS), 재정지원, 금융지원, 세제지원 등의 각종 정책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 중 세제지원의 경우 다음과 같은 사항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첫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세제지원을 일몰기간을 설정하여 한시적으로 운용하는 것은 타당하나, 제도의 불안정성을 줄이고 지원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는 2년 내지 3년의 짧은 일몰기간을 설정하는 것보다 5년 이상의 다소 긴 일몰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둘째, 신재생에너지의 보급과 지방재정 건전화의 문제를 조화시키기 위하여 신재생에너지시설에 대한 지방세 감면, 비과세를 인정하되, 그로 인해 감소하는 지방세수를 국가가 보전하는 것이 타당하다. 셋째, 신재생에너지산업이 안정적인 성장기반을 구축할 때까지 신재생에너지 이용의무화제도(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s)와 세제지원의 정책조합보다 발전차액지원제도(FIT, Feed-in Tariff)와 세제지원의 정책조합을 채택하는 것이 타당하다. 나아가 신재생에너지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하여 FIT, RPS와 세제지원의 정책조합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가치가 있다. 넷째, 화석연료와 신재생에너지는 대체관계에 있으므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지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신재생에너지의 사용을 촉진하는 세제를 정비할 때 화석연료의 사용을 억제하는 세제의 개편을 동시에 추진할 필요가 있다. We need the promotion of new renewable energy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greenhouse gas target management system and greenhouse gas trading system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endeavored to promote new renewable energy and the rate of new renewable energy usage has increased, but it is low-level comparing with OECD countries The Korean government has set the goal of increasing the rate of new renewable energy usage to 11 percent by 2035 through the second energy basis pla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t needs to implement various new renewable energy support strategies such as Feed-in Tariff(FIT), Renewable Portfolio Standards(RPS), fiscal measures, financing support, tax incentives etc. Among them, this article deals with consideration factors for tax incentives.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it is proper to establish so-called “sunset period” for tax incentives for new renewable energy, but “sunset period” should be more than 5 years rather than 2 or 3 years to reduce policy uncertainty and enhance policy effect. Second, it needs to give local tax relief and credit to new renewable energy, but tax incentive cost should be borne by the central government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local finance. Third, the combination of FIT and tax incentives should be took priority over the combination of RPS and tax incentives until the new renewable energy industry constructs foundation of growth. Futhermore, the combination of FIT, RPS and tax incentives deserves much consideration to strengthen policy support for the new renewable energy industry. Fourth, the new renewable energy is alternative to the fossil fuel, so the tax reform to promote the new renewable energy and reduce the fossil fuel should be carried out in parallel to maximize the supporting effect for the new renewable energy.

      • KCI등재

        초등학교 교과서의 신ㆍ재생 에너지 교육 내용 분석 및 교재 개발

        천은주(Eun-Ju Chun),최돈형(Don-Hyung Choi) 한국환경교육학회 2008 環境 敎育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new & renewable energ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to develop workbook related new & renewable energ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 of contents analysis energy education and new & renewable energy education through textbooks on 7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ubjects including contents related energy are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Moral Education, Social Studies, Science, and Practical Arts. Contents related new & renewable energy are taught 4~6th grades but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ontents are very poor. Second, this study developed workbook related new & renew-able energy education for 5th and 6th grades. The workbook is organized with 5 themes that are the need of new & renewable energy, the definition and kinds of new & renewable energy, strengths and weakness of new &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a case of new & renewable energy, and the application of new & renewable energy to practical life. Third, to improve workbook developed, it was applied to 6th grade and then more appropriately modified. Based on the results, it suggests the following for new & renewable energy education. Energ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ust equally be taught through the all scope of energy education. To solve the energy problem, the content related new & renewable energy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much more both quantity and quality. New & renewable energy education workbook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reinforce current text-books that is being taught a little content of new & renewable energy education.

      • KCI등재

        신・재생에너지 중장기 인력 수요 전망 및 인력양성 방향 연구

        이유아,이동준,허은녕,김민지,최혁준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4

        The importance of new・renewable energy is emphasized not only new growth engine but also the key solution for the exhaustion problem of fossil energy and environment problem. For the steady growth of new・renewable energy industry, securing related labor force is an essential factor. In this study, the status on labor force of new・renewable energy industry was identified and forecasted the labor force demand of new・renewable energy in 2015 by reflecting the industrial growth outlook on the new・renewable energy.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ology, the stock approach of Bureau of Labor Statistics (BLS) of the United States was applied. Also by performing survey on the experts, the opinions of experts on supply and demand of new・renewable energy labor force or worker training programs have been gathered. As a result of study, it has been analyzed that nearly 20% annual growth rate will be shown as the labor force demand in the field of new・renewable energy industry increases from 14,100 people in 2010 to 33,200 people in 2015. In the survey on experts, we could find that a plan for supplying labor force must be prepared promptly in order to accomplish new・renewable energy supply objectives and industrial growth objectives by our country in the future as the supply of new・renewable energy labor force is currently insufficient. Also,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effort for deciding the proper new・renewable energy labor force training program standard will be necessary. This study result could be used as a material of labor force training plan for the steady growth of new・renewable energy industry in the future. 신・재생에너지 인력은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인력 현황을 파악하고, 신・재생에너지 산업성장전망을 반영하여 2015년 신・재생에너지 인력수요를 전망하였다. 정량 분석방법론으로는 미국 노동통계국(BLS)의 저량접근법(stock approach)을 응용하였다. 또한 설문을 통하여 신・재생에너지 인력 수급 및 인력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 신・재생에너지 산업 부문의 인력수요증가가 2010년에 1.4만 명에서 2015년에 3.3만 명으로 증가하여 연평균 20%에 가까운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문가 설문에서는 현재 신・재생에너지 인력 공급량 부족으로 앞으로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보급 및 산업 성장 목표달성을 위하여 인력 공급대책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절한 신・재생에너지 인력 양성 프로그램 수준 결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지속적인 신・재생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인력 양성 방안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미래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법제 대응 방안

        김종천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가천법학 Vol.6 No.1

        인류는 21세기 들어 기후변화, 에너지 고갈과 경제, 인구문제와 식량, 수자원 부족 및 오염, 생물다양성 위기,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의 격차 확대 등과 같은 전 지구적인 도전과 위협에 직면해 있다. 현재 세계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전 세계의 에너지 소비도 급증하고 있으나, 에너지 공급은 이를 동일한 비율로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에너지 자원, 특히 석유, 석탄, 천연가스의 매장량은 각각 40년, 170년, 65년 정도 사용할 것밖에 남아 있지 않다고 추정되고 있다. 이에 비해, 최근 다수의 선진 국가들은 전체 에너지 소비의 80% 이상이 석탄, 석유, 천연가스라고 한다. 또 전 세계적으로 많은 나라에서 약 440기의 원자력발전소를 가동하여 저렴하게 전기를 사용해 오고 있다. 그런데 1973년 3월 28일 미국의 펜실베니아주 해리스버그의 스리마일 섬에서 원자력발전소 사고, 1986년 4월 26일 (구) 소련의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고, 2011년 3월 11일 일본 동북부 지방을 관통한 대규모 지진과 쓰나미로 인한 후쿠시마 현 원자력 방사능 누출사고는 전 세계 국가들로 하여금 에너지의 중요성을 새롭게 각인시키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독일, 스웨덴, 스위스는 원자력 발전소를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폐쇄할 계획에 있으며, 이에 반해 프랑스는 현재 전력수요 80%를 원자력발전소에 맡길 예정이고, 다른 유럽 국가들은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에너지 이용 및 산업발전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맞이하게 되었다.우리 정부도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을 통하여 현재 1차 에너지 소비의 2.5%에 불과한 신재생 에너지 비중을 2030년까지 10%대로 늘리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는 기술개발과 사업 확대를 통하여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육성하여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의 국가산업의 성장동력의 요체로 삼겠다는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예컨대 우리나라는 2002년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신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단가와 일반 전력단가의 차이를 보조하는 “발전차액지원제도(FIT)”를 운영하였다. 동 제도를 운영한 이유는 우리나라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이용 기술이 충분하게 상용화된 단계에 이르지 못한 상태에서 화석에너지와 경쟁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국가가 어느 정도 경쟁가능한 단계에 이를 때까지 신재생에너지 시장을 형성하고 산업을 육성하여야 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지난 10년간 신재생에너지 지원에 소요된 재정만 2조원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은 저조하고 발전량도 전체의 1% 수준에 불과했다. 또 하나의 문제는 발전차액지원제도가 태양광발전에 치우쳐 다른 신재생에너지의 균형발전에 미흡했다는 것이다. 이에 정부는 2012년 1월 1일부터「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제12조의5부터 제12조의10은 공급의무화제도(RPS)를 입법화하였다. 동제도는 단순히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자금을 지원해주는 게 아니라 정부가 발전사업자나 전력판매자들에게 총 발전량의 일정 비율만큼 신재생에너지 사용의무를 부여해 시장을 창출해 주되, 그 시장의 진입은 공급자들 간의 경쟁을 통하여 하게 한다는 점에서 보다 효율적인 지원방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지는 산업으로 육성한 국가로 덴마크, 스페인, 독일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 독일은「전기연결법(Stromeinspeisungsgesetz)」,「전기매입법(Gesetz über die Einspeisung von Strom aus erneuerbaren Energien in das öfentliche Netz: StrEG)」, 「재생가능에너지법(Gesetz für den Vorrang Erneuerbarer Energien, Erneuerbare Energien Gesetz)」,「재생열 사용촉진에 관한 법률(Gesetz zur Förderung Erneuerbarer Energien im Wärmebereich: EEWärmeG)」을 통하여 국제사회에서 환경보호의 선진국으로 위상을 차지하게 되었다. 즉 이러한 독일의 재생에너지법제의 제․개정으로 새로운 재생에너지 산업의 진흥으로 자국민을 위한 많은 일자리를 창출했다는 점에서 미래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법제의 발전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이 같은 맥락에서 우리 정부도 미래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법적 대응방안을 위하여 여러가지 정책적 대안을 제시했다. 즉, 신재생에너지 기술특성의 유형별 비율차등제도와 혼소발전의 도입, 조력발전을 통한 대상전원을 확대하는 방안,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을 통해 강제적인 공급의무화제도 및 임의제도인 녹색가격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이 그것이다. 그리고 신재생에너지의 연료인 바이오디젤과 바이오에탄올 등 이른바 바이오에너지 계열의 연료 사용을 법제화하는 신재생 연료 공급의무화제도(RFS, Renewable Fuel Standard)를 도입하는 방안 또한 제시했다. 뿐만 아니라 미래 에너지원 확보를 위하여 신재생에너지를 비롯한 천연가스의 시스템정비와 세일가스(Shale gas)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되며, 신재생에너지에 의한 높은 전력 전달과 저장을 위한 스마트 그리드 기술, 탄소포집 저장기술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법제 대응 방안이 필요로 한다는 점을 제시했다. Since the 21st century started, the human beings are facing planet-scale challenges and threats such as climate change, energy depletion and economy issue, population and food shortage issue, water resource shortage, water contamination, biodiversity at risk, and the growing gap between developed countries and developing countries The world population has increased rapidly and so has the world energy consumption. However, the energy supply has not been able to keep up with the pace of the consumption. The reserved amount of energy resources including oil, coal and natural gas is estimated 40 years, 170 years and 65 years of supply respectively. On the contrary, the consumption on oil, coal and natural gas by a majority number of the advanced countries account for 80 percent of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A number of countries in the world have used electricity at a lower price by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s. There are about 440 nuclear power plants in operation across the world. There were some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that remind the world of the importance of energy, which are the partial nuclear meltdown at the Three Mile Island nuclear power plant in Harrisburg, Pennsylvania, US on March 28, 1979, the Chernobyl nuclear power plant disaster in the former Soviet Union on April 26, 1986, and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disaster caused by the powerful earthquake and tsunami in the northeast of Japan on March 11, 2011. In the aftermaths of such accidents, Germany, Sweden and Switzerland are planning to phase their nuclear power plants out by 2022. France will use nuclear power plants to generate 80 percent of its current power consumption. Other European countries are also facing a paradigm shift in energy use and industrial development that demand for a transfer to new and renewable energy.Korea has also joined the global move. The Korean government has set up ‘the basic national energy plan’ and decided to increase the shar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n the primary energy consumption from the current 2.5% to 10% by 2030. With this strategy, the Korean government plans to develop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industry by developing the related technology and expanding the business. Furthermore, the government plans to make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industry as a growth engine of the national industry and to create more jobs. Particularly, Korea has run a Feed-In-Tariff (FIT) which provides cost-based compensation to new and renewable energy producers from 2002 to December 31, 2011. Korea’s new and renewable energy technology has not been advanced enough to commercialize, which will put new and renewable energy industry in a less competitive position against fossil energy. Thus, the government have put the policy in place to create a market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to promote the industry until the industry obtains a capability to compete. The Korean government has invested more than 2 trillion won in supporting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industry over the last ten years, however,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penetration rate is still low and the generation amount accounts for only one percent of the entire energy production. The other issue is that the FIT system has put a focus more on solar energy, which fails to make a balanced development with other types of new and renewable energy production. Hence, the Korean government legislated the Act on the Promotion of the Development, Use and Diffus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s of January 1, 2012. The Act prepared the ground for the system for a mandatory supply of new and renewable energy pursuant to Article 12(5) to Article 12(10) of the Act. The system does not only give monetary support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The government, under the system, will require an operator or seller of a new and renewable power generation business to use new and renewable energy in a certain percentage of total production. This will create a new and renewable energy market and the market access will be available through competition between suppliers. In this sense, the mandatory supply system may be a more efficient system than the existing ones. Some of the countries that have developed a competitive renewable energy industry in the world market are Denmark, Sweden and Germany. Particularly, Germany legislated the related laws including ‘Electricity Feed-In Law (Stromeinspeisungsgesetz)’, ‘Law on Feeding Electricity from Renewable Energy Sources into the Public Grid (Gesetz über die Einspeisung von Strom aus erneuerbaren Energien in das öfentliche Netz: StrEG), ‘Renewable Energy Act (Gesetz für den Vorrang Erneuerbarer Energien, Erneuerbare Energien Gesetz)’, and ‘Law for the Promotion of Renewable Energy for Heat Generation (Gesetz zur Förderung Erneuerbarer Energien im Wärmebereich:EEWärmeG).’ With the laws in place, Germany has raised its status in the global society as an advanced nation in environment protection and also created more jobs thanks to the new renewable energy industry. The Germany’s case is the best practi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new and renewable energy laws. In this circumstances, Korea has proposed a legislative and strategic measure to promote new and renewable energy in the future. The proposed measures are the introduction of a differential rate system based on a technology typ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the introduction of dual fuel generation, expansion of power options with tidal power generation, a mandatory supply under the Act on the Promotion of the Development, Use and Diffus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the introduction of green price system. It also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RFS (Renewable Fuel Standard) that legislates the use of bioenergy including biodiesel and bioethanol. Bioenergy is the fuel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n addition, reorganizing the natural gas system and the Shale gas may play an important role alo

      • KCI등재

        미국 뉴욕주의 재생에너지 법제에 대한 연구

        조성자(SungJa Cho)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31 No.2

        태양광, 바람, 물과 같이 자연계에 상시 존재하는 에너지 흐름으로부터 만들어지면서 신속하게 재생되어, 석탄, 석유 같은 화석연료처럼 전세계적인 기후변화를 촉발하는 온실가스 같은 오염원을 배출하지 않는 재생에너지는 기후변화로 몸살을 앓고 있는 세계 모든 국가들이 총력을 기울여 개발하고 있는 새로운 대체에너지의 선두주자다. 트럼프 행정부가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정에 대한 미국의 약속을 이행하지 않겠다고 공언한 이후에도, 미국 기후변화 대응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 뉴욕주는 재생에너지 중심의 청정에너지와 청정 일자리 경제를 지향하면서 청정 에너지경제(clean energy economy)로의 도약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016년 이후 뉴욕주 하원에서 계속 입법화된 ‘뉴욕주 기후 지역사회 보호법(New York State Climate and Community Protection Act)’은 재생에너지 중심의 청정일자리, 청정에너지 경제를 추진함에 있어서 이러한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저소득층과 취약 계층을 위해 환경적 정의와 형평성의 원칙을 고려한 재생에너지 혜택의 분배적 정의 원칙을 법 원칙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런 원칙은 2018년 쿠오모 뉴욕주지사가 발표한 ‘청정에너지 일자리와 기후변화 아젠다(Clean Energy Jobs and Climate Agenda)’를 비롯한 뉴욕주정부의 핵심 재생에너지 정책들의 추동원리가 되면서, 뉴욕주의 재생에너지 정책을 단순한 양적 발전 중심의 에너지 경제에서 청정일자리 청정에너지 경제로의 질적인 도약을 추구하는 원리가 되고 있다. 뉴욕주의 청정에너지 경제로의 변환이라는 질적인 도약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을 위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대체에너지원의 최대 확대라는 측면에 주력하고 있는 한국의 재생에너지 법제에 환경정의(environmental justice), 환경 형평(environmental equity)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wind and water is produced and reproduced rapidly, from the energy flow constantly existing in nature, without emitting greenhouse gases to cause the worldwide climate change, such as fossil fuels of coal and gas. So, renewable energy sources are leaders of new alternative energy that all countries in the world are exerting their best efforts, in the midst of radical climate change phenomena. Even after the Trump administration announced that the US would not keep its pledge submitted to the Paris Conference of Parties of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the State of New York has been one of the leader states to fight against the climate change and has exerted its best efforts toward clean energy economy focused on clean energy and clean jobs based on renewable energy. New York State Climate and Community Protection Act of 2016 is a new law passed in the New York State Assembly for the last three years. The law shows that the legal principle of distributive justice of renewable energy benefits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the environmental justice and equity, for low income class and vulnerable community in the change process of economic paradigm toward clean jobs and clean energy economy based on renewable energy. Such principles also have embedded in the core renewable energy policies of New York State, including `Clean Energy Jobs and Climate Agenda` announced by Governor Cuomo in early 2018, whereby the State of New York has been pursuing qualitative transformation to clean jobs and energy economy from simple quantitative energy economy. Such qualitative transformation to clean energy economy of New York State provides environmental justice and equity implications to the Korean renewable energy law and policies since the Korean renewable energy policies are mainly focused on quantitative expansion of alternative energy sources to meet the reduction standard of greenhouse gases emission against responding to the climate change.

      • KCI등재

        신・재생에너지 중장기 인력 수요 전망 및 인력양성 방향 연구

        이유아(Youah Lee),이동준(Dongjun Lee),허은녕(Eunnyeong Heo),김민지(Minji Kim),최혁준(Hyukjoon Choi)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1

        신?재생에너지 인력은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인력 현황을 파악하고, 신?재생에너지 산업성장전망을 반영하여 2015년 신?재생에너지 인력수요를 전망하였다. 정량 분석방법론으로는 미국 노동통계국(BLS)의 저량접근법(stock approach)을 응용하였다. 또한 설문을 통하여 신?재생에너지 인력 수급 및 인력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 신?재생에너지 산업 부문의 인력수요증가가 2010년에 1.4만 명에서 2015년에 3.3만 명으로 증가하여 연평균 20%에 가까운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문가 설문에서는 현재 신?재생에너지 인력 공급량 부족으로 앞으로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보급 및 산업 성장 목표달성을 위하여 인력 공급대책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절한 신?재생에너지 인력 양성 프로그램 수준 결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지속적인 신?재생에너지 산업 발전을 위한 인력 양성 방안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importance of new?renewable energy is emphasized not only new growth engine but also the key solution for the exhaustion problem of fossil energy and environment problem. For the steady growth of new?renewable energy industry, securing related labor force is an essential factor. In this study, the status on labor force of new?renewable energy industry was identified and forecasted the labor force demand of new?renewable energy in 2015 by reflecting the industrial growth outlook on the new?renewable energy.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ology, the stock approach of Bureau of Labor Statistics (BLS) of the United States was applied. Also by performing survey on the experts, the opinions of experts on supply and demand of new?renewable energy labor force or worker training programs have been gathered. As a result of study, it has been analyzed that nearly 20% annual growth rate will be shown as the labor force demand in the field of new?renewable energy industry increases from 14,100 people in 2010 to 33,200 people in 2015. In the survey on experts, we could find that a plan for supplying labor force must be prepared promptly in order to accomplish new?renewable energy supply objectives and industrial growth objectives by our country in the future as the supply of new?renewable energy labor force is currently insufficient. Also,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effort for deciding the proper new?renewable energy labor force training program standard will be necessary. This study result could be used as a material of labor force training plan for the steady growth of new?renewable energy industry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에서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정책적 과제

        이상훈(Sanghoon Lee)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4 환경법과 정책 Vol.12 No.-

        재생에너지는 에너지 효율 향상과 더불어 에너지 삼중고를 넘어 지속가능한 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적인 기술적, 정책적 수단이다. 정부도 에너지 안보 강화, 온실가스 감축, 신성장동력 육성 등을 고려하여 2003년 제2차 신ㆍ재생에너지기본계획 수립 이후 신ㆍ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산업 육성을 위해서 지속적인 노력을 전개해오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다. IEA 재생에너지 통계에 따르면 2011년 기준 한국의 일차에너지 대비 재생에너지 비중은 0.7%, 발전량 대비 재생에너지 비중은 1.4%에 불과하다. 신ㆍ재생에너지 보급 및 산업 육성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정부의 정책 의지이고 이와 관련하여 정부는 2035년 일차에너지의 15% 이상으로 재생에너지 목표를 상향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명확히 분리하여 국가 통계의 신뢰성을 높이고 재생에너지 지원정책의 효과성을 높여야 한다. RPS 의무 이행 비용을 전기요금에 명시적으로 반영하고 중소규모재생에너지 발전의 촉진책을 마련하며 시유지에 태양광발전의 입지가 쉽도록 근거 규정을 마련하는 것 등도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필요한 과제이다. 나아가 재생에너지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여 사회적 수용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이런 정책적 과제를 현실화하려면 신ㆍ재생에너지기본계획의 합리적 수립과 함께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및 이용 보급 촉진법」의 개정이 필수적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조(정의), 제12조5(신ㆍ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등), 제26조(국유재산ㆍ공유재산의 임대 등), 제30조(신ㆍ재생에너지의 교육ㆍ홍보 및 전문인력 양성) 등에서 조문을 개정하거나 새로운 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Renewable energy(RE) as well as energy efficiency is a key solution to reach sustainable development beyond energy trilemma . Korean government has also implemented the policy for RE deployment and industry with the aim of energy security,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new growth engine since the second basic plan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in 2003. However, the share of renewable energy in South Korea is far lower compared to other OECD countries. According to the IEA statistics, the contribution of RE sources to TPES in South Korea is merely 0.7% and the share of electricity production from renewable sources is 1.4% as of 2011. The most important thing in order to promote RE and foster the industry is government’s political will, so the government needs to show the will with 15% renewable energy target by 2035. Also, it should completely devide the term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nto new energy and renewable energy to raise credibility of the government statistics and effectiveness of RE deployment programs. In order to promote RE deployment, the government should take action such as legally passing cost for implementation of the RPS onto electric rates, facilitating small and medium size RE equipments and enabling RE equipments on public owned land at a reasonable rent. Furthermore, social acceptance for RE should be raised by strengthening education and communication related to RE through additional budget and a new foundation. Consequently, “the act on the promotion of development, use and dissemina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should be essentially revised focusing on articles related to definition, RPS, rent for public owned property, education and communication to realize those policy suggestions measures as well as the basic plan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should be set in a rational way.

      • KCI등재후보

        녹색성장을 위한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이용.보급 촉진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정연부(Joung, Youn-Boo)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法學論叢 Vol.17 No.1

        경제성장에 따른 도시화, 산업화, 대량화는 과도한 에너지 소비라는 결과를 낳았다. 결국 유한한 자원은 에너지 고갈이라는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고, 계속된 화석연료 사용으로 지구온난화라는 문제를 일으켰다. 지구온난화는 다양한 환경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현재 직면하고 있는 환경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세계는 온실가스배출을 규제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녹색산업ㆍ녹색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녹색성장은 미래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되었다. 한국 역시 녹색성장정책으로 자원위기와 환경위기를 극복하는 동시에 관련 세계시장의 선점을 통하여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한국은 석탄 수입이 세계 2위일 뿐만 아니라, 에너지소비량의 97%를 수입에 의존하는 국가이다. 이러한 에너지 수입 현황은 석유자원의 공급변동과 가격상승에 따른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에너지 공급문제뿐만아니라 에너지 소비의 부산물에 따른 환경문제도 녹색성장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한국은 에너지 사용에 따른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한국 역시 국제온실가스 규제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인식으로 한국은 향후 60년의 새로운 국가비전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녹색성장은 에너지와 환경문제뿐만 아니라 새로운 일자리 창출, 성장동력 확충, 기업 경쟁력 제고, 국토 개조, 녹색생활 혁명 등 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것이다. 이러한 녹색성장정책의 핵심은 녹색 에너지정책이다. 정부가 새로운 녹색에너지정책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법제의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촉진법 이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녹색성장정책을 위한 에너지정책 중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 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 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먼저, 정부가 추진 중인 녹색성장정책 내용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과 관련된 에너지 관련 법제를 분석하여 에너지 법제 전체의 구조를 파악하였다. 이를 기초로 구체적 연구대상인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 의 현황을 검토한 후,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 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수소연료의 법규정상의 체계문제, ‘총건축공사비’의 일정비율 기준을 ‘연간 에너지사용량’의 일정비율로 개정하는 문제, ‘발전차액지원제도(FIT)’의 ‘신ㆍ재생에너지공급의무제(RPS)’로의 전환하는 문제 등에 대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gigantism have resulted in excess energy consumption. So limited resources have to face the crisis of energy depletion and continued uses of fossil fuel have caused the problem of global warming. Global warming is causing diverse environmental crises. In order to overcome the environmental crisis it faces, the world is restricting the greenhouse gas production. Together with this, the world has been developing green industry and green technology. Accordingly, green growth has become new growth engines of the future. Korea also aims to overcome the resources crisis and the environmental crisis with green growth policies and to reinforc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the preoccupancy of the related global market. Korea is the world’s second largest producer of coal and 97% of its energy consumption is dependent upon imports. Such current conditions of energy imports cause various problems arising from supply fluctuations and price rises of oil resources. Not only the problems of energy supply but also th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the byproducts of energy consumption are also important factors of hindering green growth. Korea has the problem of lots of carbon dioxide emission which is the principal offender of global warming caused by energy consumption. This means that Korea also is not free from the international greenhouse gas control. With the aforesaid recognition, Korea presented ‘low carbon dioxide green growth’ as the new national vision for the next 60 years. Korea’s green growth comprises not only the problems of energy and the environment but also creation of new jobs, the reinforcement of growth engines, the enhancement of corporate competitiveness, the reconstruction of the national land, and the revolution of green living. The core of such green growth policies is green energy policies. Legal supports are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implement the new green energy policies. With regard to this, the “New Energy and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Use, and Spread Promotion Law” is currently put in force. Accordingly,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New Energy and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Use, and Spread Promotion Law” among Korea’s energy policies for the green growth policy. In order to deriv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schemes of the “New Energy and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Use, and Spread Promotion Law”, first, the contents of the green growth policy that the government is promoting were examined. And then the structure of the entire energy-related laws related to the “New Energy and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Use, and Spread Promotion Law” was analyzed to grasp the entire structures of energy laws. Based on this,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New Energy and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Use, and Spread Promotion Law”, which is this research subject, was examined and the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schemes of the “New Energy and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Use, and Spread Promotion Law” were presented. This research presente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schemes with regard to the system of laws and regulations of hydrogen fuel, the issue of changing ‘the standard of the certain ratio of the ‘total construction cost’ to the certain ratio of ‘the annual quantity of energy consumed’, and the issue of converting ‘the feed-in tariff system’ to ‘the 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and others.

      • KCI등재

        신ㆍ재생에너지설비 등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 적용 관련 법적 고찰

        권경현(Kwon Kyoung-Hyun)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0 행정법연구 Vol.- No.27

        In the amendment of act on the promotion of the development, use and diffus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system is introduced. Energy suppliers whom competent authority will designate according to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the development, use and diffus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must substitute energy quota as new and renewable energy. But, present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ies are not sufficient for energy suppliers in performing their duties. In the amendment of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Private Particpation in Infrastructure,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ies become infrastructure facilities. So some energy suppliers can make private participation in infrastructure project if they satisfy the requirement which the act on Private Particpation in Infrastructure describes. Specially some energy suppliers may be public instistuitions. In the act on Private Particpation in Infrastructure, public instistuitions is not able to be concessionaire. In other words, public instistuitions is not allowed to take part in a private participation in infrastructure project except a public and private joint corporation. Because the act on Private Particpation in Infrastructure describes 'Concessionaire' means a legal entity including any form of corporation other than those belonging to the public sector which is designated as the concessionaire under this act, and which conducts the PPI projects. But this act prescribes 'public and private joint corporation' in the concessionaire. Therefore energy suppliers as public instistuitions can coduct private participation in infrastructure project in the way of public and private joint corporation to establish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