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病機19條에 관하여 ≪醫學心悟≫가 ≪黃帝內經≫과 다른 세 가지 論點에 관한 考察

        전찬용 대한한방내과학회 2023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44 No.6

        Objective: The 19 Mechanisms of Disease were first described in Huangdi Neijing. When examining Yixuexinwu, three descriptions that were different from Huangdi Neijing were found. Methods and Results: After examining the two books, three differences in the description of the 19 Mechanisms of Disease were discovered: 1) The upper and lower locations of dyspnea (喘症) are reversed. 2) The ratio of provisions for “fire (火)” and “cold (寒)” is different. 3) The organ affiliation for pain is different. Conclusion: 1) The upper and lower locations of dyspnea (喘症) are reversed. : Regarding external contraction dyspnea (外感喘), Yixuexinwu used the disease of the upper location (lung 上, 肺) in the same way as in Huangdi Neijing. In terms of internal damage (內傷喘), it was separately classified as a disease of the lower location (kidney 下, 腎). 2) The ratio of provisions for “fire (火)” and “cold (寒)” is different. : Arithmetically, if you round off the number after calculating the frac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ratios becomes the same. Theoretically, five provisions of “fire” are replaced by four provisions of “heat (熱)”, and the difference in ratios is exactly the same. Empirically, it emphasizes that there are more illnesses from fire and heat than from cold. 3) The organ affiliation for pain is different. : Huangdi Neijing described general inflammatory pain, while the Yixuexinwu described only stress-related abdominal pain (肝木乘脾 腹痛).

      • KCI등재

        『황제내경』의 저자는 누구인가?: 그들의 신분·계급 그리고 정치적 이념

        송석모 ( Seokmo Song ),이상룡 ( Sang-ryong Lee ) 대한경락경혈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34 No.2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authors of Huangdi Neijing such as status, class, and political ideology. Methods : We analyze the Neijing text and the social order and historical situations in the Han dynasty. Results : Some authors of the Neijing were the local medical officers whose salary was 100∼400shi. Their positions were medical craftsmen(yigong) or chief medical craftsmen(yigongchang). They would have published the Neijing after the administrative reforms(146-145 BCE) that began after the suppression of the Rebellion of the Seven Kingdoms. The bureaucrat yigong(chang) would have expected to participate in the public health policy of the empire or kingdom as an acupuncture expert. They would have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welfare and health of the privileged intellectual group and the public, hoping to ascend in status and class. Conclusions : By investigating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authors who composed the Neijing, its various aspects would be newly understood.

      • 황제내경과 플라워에센스의 감정 치유에 대한 연구

        장석종(Jang, Seok-Jong) 한국자연치유교육학회 2019 자연치유교육학회지 Vol.3 No.1

        현대인은 감정의 불균형으로 인해 많은 고통을 당하고 있다. 최근 감정의 문제를 치유하는 심리 치료가 각광을 받고 있다. 심리 치료는 심리학과 상담학의 방법으로 감정의 문제를 치료하려고 시도한다.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감정 치유는 꼭 심리 치료에 의해서만 가능한가?”, “심리 치료 외에 감정을 치유할 수 있는 길은 없는가?”와 같은 질문을 던져 보았다. 이 질문에 대해 필자는 황제내경의 이론과 에드워드 배치 박사의 플라워에센스 이론이 감정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황제내경은 몸의 5장 6부를 감정과 연결시키는 이론의 틀을 제시했는데, 감정에 대해 일곱 가지 감정 즉 “희노사우비공경”(喜怒思憂悲恐驚)으로 분류한다. 그중에서 성냄(怒), 기쁨(喜), 생각(思,), 슬픔(悲), 두려움(恐)의 감정을 몸 안의 장기, 5장 6부와 연결하여 설명하고 있다. 황제내경에 의하면, 장기의 불균형은 감정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간의 불균형은 분노를, 심장의 불균형은 헛웃음을, 비장의 불균형은 생각과 근심을, 폐는 슬픔을, 신장은 공포와 놀람을 유발한다고 여긴다. 감정의 불균형은 다시 몸의 질병의 원인이 된다. 또한 오장육부의 조화와 균형의 회복은 감정을 다시 조화롭게 조정할 수 있다. 둘째, 영국의 동종요법 의사인 에드워드 배치 박사는 1936년 꽃에서 추출한 “플라워에센스”(Flower Essence)로 감정의 문제를 치유할 수 있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환자들의 감정을 7개 그룹, 38개로 분류했다. 7개 그룹은 외로운 마음, 타인의 복지에 대한 지나친 관심, 현재 상황에 흥미가 없는 마음, 주변의 영향(생각)에 너무 민감한 마음, 불확실한 마음, 두려운 마음, 절망이나 자포 자기한 마음이다. 그는 각가지 문제가 되는 감정에 상응하는 꽃 추출물인 플라워에센스를 처방했을 때, 감정의 문제가 치유되었다고 보고했다. 셋째, 황제내경과 플라워에센스의 감정은 다음과 같은 유사점을 보였다. 분노(怒) 감정은 긴장감에 해당되는 Vervain과 결백 정화인 Crab Apple, 기쁜(喜) 감정의 불균형은 웃는 얼굴로 자신의 문제를 감추는 Cerato와 많은 생각과 불신으로 인생의 혼돈인 Wild Oat, 슬픈 감정은 깊은 슬픔으로 우울해지는 Mustard와 슬픔을 표현할 길이 없어 애타하는 Star of Bethehem, 공포 감정은 이유를 알 수 없는 두려움인 Aspen, 이유를 알고 있는 두려움인 Mimulus, 극심한 공포인 Rock Rose와 유사함으로 연결된다. 이런 연구에 근거하여, 이 논문은 황제내경의 감정인 “노희사비공”(怒喜思悲恐)에 대한 고찰과 플라워에센스 이론의 “7개 그룹 38개 감정”의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두 이론의 상호 연관성을 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래된 동양고전인 황제내경과 20세기 서양 의학의 산물인 플라워에센스 이론이 함께 감정 치유를 도울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People today suffer much from their emotional imbalances. Psychotherapies that treat emotional difficulties has received great attention. Psychotherapy attempts to treat emotional problems with psychological and counseling methods. In relation to this, the author searched for possible means to treat emotional problems other than psychotherapy. The author examined theories of Huangdi Neijing and Dr. Edward Bach’s Bach Floweressence Remedies. First, Huangdi Neijing, an ancient Chinese medical text, presented a framework of theory that connects internal organs with emotions. Huangdi Neijing classifies emotions into seven. In particular, the emotions of joy, anger, sorrow, anxiety, and fear are considered to have direct connection to specific parts of the body. According to the ancient text, first, imbalance between internal organs causes emotional imbalance and imbalance of emotions again causes somatic problems. Second, adjusting balance among internal organs lead to harmonious emotions, therefore, wellbeing. Second, an English homeopath Dr. Edward Bach presented theory in 1936 claiming that emotional problems could be treated with “Flower Essence” extracted from various plants. Bach separated the 38 Bach Flower Remedies into 7 emotional groups. The 7 Bach Flower groups are Loneliness, Over-care for welfare of others, Insufficient interest in present circumstances, Over-sensitivity to influences and ideas, for those who suffer Uncertainty, for those who have Fear, and Despondency or Despair. Bach reported that negative emotions that interfere with the equilibrium of the being as a whole could be treated with specifically designed flower extractions. Based on studies of Huangdi Neijing’s five major emotions and The Bach Flower Remedies’ seven groups, this research examines the mutual relevance between two theories and further proposes collaboration to treat emotional problems.

      • KCI등재

        論文 : 《黃帝內經》成書的西漢文化背景

        장등본 ( Zhang Dengben ) 대한한의학원전학회(구 대한원전의사학회) 2013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26 No.4

        Huangdi Neijing was completed during the several decades after Shijiand before Qilue, whose main content draws from the medical achievements of Qin and Han Dynasty, and is deeply influenced by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of Qin and Han Dynasty. What creates the profound impact on its construction of medical theories are the thoughts of this period, such as “Valuing life”, “people”, “Valuing Yang”, “Valuing earth”, “the Heaven theory”, “the Unity of Man and Nature”, and the important works of this period, such as Huai Nan Zi, Chun Qiu Fan Lu, Shiji. Even the astronomy, calendar and medical achievements of this period are the basic material absorbed into the theories of Huangdi Neijing.

      • KCI등재

        《黃帝內經》“藏象”理論對現代中醫美容的啓示

        김효철 ( Hyochul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作爲中國長期以來優秀文化的思考方式,藏象學說在中醫名籍《黃帝內經》里也有全面的表現。本課題經由硏究《黃帝內經》每個篇段所使用的藏象學說方式與途徑,對人體病理、生理、養生保健和辨證論治等內容進行剖析與闡述,了解到藏象理論式對中醫美容的探究起到關鍵的价値與參考意義,對人體養生美容、容貌美的探究與美容辨證論治等內容也起到啓發的影響。本課題的探究成果顯示,《黃帝內經》藏象理論是中醫美容理論探究的源泉,深入探究其與現代醫學的關系可以推動中醫美容學的改革、進步與傳承。 As an important thinking mode of Chinese traditional excellent culture, Tibetan image theory is also fully embodied in the classic Huangdi Neijing. By investigating the various chapters of Huangdi Neijing, this paper analyses and discusses the aspects of human physiology, pathology, syndrome differentiation, treatment and health care, and finds that the theoretical model of Tibetan phenomena has important value and reference significance for the stud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smetology, as well as enlightenment for the study of human body cosmetology, the differentiation and treatment of cosmetology and health car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traditional study of the viscera theory in Huangdi Neijing is the source of the research on the theor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smetology, and will promote the inheritance, innov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smetology.

      • KCI등재

        황제내경 오행론에 나타난 시(時)관념과 의학적 정체성

        김혜랑 ( Hye Rang Kim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3 동양문화연구 Vol.15 No.-

        이 논문은 황제내경 오행론이 고대 음양론적 四時관념의 바탕위에 오행론적 사유체계가 결합된 것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내경 본문에 나타나는 四時五行의 용례들과 四時를 중심으로 체계화 된 오행배속, 四時와 五臟의 대응관계를 바탕으로 한 五行相勝과 같은 이론적 표현들은 모두 고대 四時개념을 바탕으로 한 오행체계의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본인은 이 글을 통해서 四時개념이 이론적 핵심으로 나타나는 내경 오행론의 특성을 파악하여, 의학적 오행론이 만물의 변화의 근본 요소라 할 수 있는 時개념을 포섭함으로써 의학이론으로서 정체 성을 확보하게 되었음을 말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identify the basic concept of the wuxing as a traditional medical theory of Huangdi Neijing. And I would like to submit the idea that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wuxing in Huangdi Neijing is based on Four season concept of ancient society in China. The evidence of this idea includes ``四時五行`` and the antagonistic theory of Wuxing, the connection of things under Wuxing, etc. These are the characteristics of Wuxing as a medical theory which are different with Wuxing of philosophical view like 五材and 五 德. As conclusion of this paper, I insist the identity of Wuxing theory of Huangdi Neijing is the time-concept that bring things changed yearly and circulatory

      • KCI등재후보

        황제내경 오행론에 나타난 時 관념과 의학적 정체성

        김혜낭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3 동양문화연구 Vol.15 No.-

        This paper is intended to identify the basic concept of the wuxing as a traditional medical theory of Huangdi Neijing. And I would like to submit the idea that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wuxing in Huangdi Neijing is based on Four season concept of ancient society in China. The evidence of this idea includes '四時五行' and the antagonistic theory of Wuxing, the connection of things under Wuxing, etc. These are the characteristics of Wuxing as a medical theory which are different with Wuxing of philosophical view like 五材 and 五德. As conclusion of this paper, I insist the identity of Wuxing theory of Huangdi Neijing is the time-concept that bring things changed yearly and circulatory. 이 논문은 황제내경 오행론이 고대 음양론적 四時관념의 바탕위에 오행론적 사유체계가 결합된 것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내경 본문에 나타나는 四時五行의 용례들과 四時를 중심으로 체계화 된 오행배속, 四時와 五臟의 대응관계를 바탕으로 한 五行相勝과 같은 이론적 표현들은 모두 고대 四時개념을 바탕으로 한 오행체계의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본인은 이 글을 통해서 四時 개념이 이론적 핵심으로 나타나는 내경 오행론의 특성을 파악하여, 의학적 오행론이 만물의 변화의 근본 요소라 할 수 있는 時 개념을 포섭함으로써 의학이론으로서 정체성을 확보하게 되었음을 말하고자 한다.

      • 자연치유에서의 형상체질과 푸드테라피 활용방안 연구

        장석종(Seok-Jong Jang) 한국자연치유교육학회 2017 자연치유교육학회지 Vol.1 No.1

        자연치유는 인체의 항상성(恒常性), 자기방어(自己防禦), 자기재생(自己再生)의 기능이 향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자연치유는 자연스럽게 치유되는 Spontaneous Healing, 자연을 통하여 치유되는 Natural Healing, 오감을 통해 수용되는 자연의 힘으로 자연스럽게 치유되는 Naturopathy를 포괄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연치유를 자연을 통해 자연스럽게 치유되는 Naturopathy를 의미롭게 여기고 있다. 자연치유를 통해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안녕을 이뤄가며, 나아가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으로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자연치유를 전개함에 있어서 가강 기준이 될 수 있는 체질과 푸드테라피(음식치유)를 황제내경 소문과 영추의 문헌을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개인마다의 특성 분석의 도구로서 활용되는 형상체질을 목형인, 화형인, 토형인, 금형인, 수형인 기본 5형인으로 분류하였다. 목형인은 간담의 발달과 비장·위장, 폐와 대장의 보완이 필요하다. 화형인은 심장·소장의 발달과 폐와 대장, 신장과 방광의 보완이 필요하다. 토형인은 비장·위장의 발달과 신장과 방광, 간과 쓸개의 보완이 필요하다. 금형인은 폐와 대장의 발달과 간과 쓸개, 심장과 소장의 보완이 필요하다. 수형인은 신장과 방광의 발달과 심장과 소장, 비장과 위장의 보완이 필요하다. 오미(五味)와 오색(五色)을 활용한 푸드테라피는 음식의 맛과 색이 정해진 장기로 들어가고(五入), 달려가고(五走), 귀경(歸經)됨을 문헌 연구하였다. 음식의 색과 맛중에서 청색(靑色)과 산미(酸味)는 간과 쓸개, 적색(赤色)과 고미(苦味)는 심장과 소장, 황색(黃色)과 감미(甘味)는 비장과 위장, 백색(白色)과 신미(辛味)는 폐와 대장, 흑색(黑色)과 함미(鹹味)는 신장과 방광을 영향한다. 본 논문은 형상체질 분석과 합당한 음식 섭취로 오장육부의 조화와 균형을 회복하여 인체의 자연치유력 활성화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Autotherapy means that functions of human homeostasis, self-defense, and self-renewal are improved. Autotherapy includes ‘spontaneous healing,’ ‘natural healing,’ and ‘naturopathy.’ Spontaneous healing implies that human body is healed by itself without treatments. Natural healing means that body is healed through not the medicine but natural things. Naturopathy signifies that body is healed naturally through the natural powers which are appropriated by five senses. Among these, the author places special attention on naturopathy to promote physical, mental, social and spiritual well-being, and, furthermore, examines a way to live a happy life with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This article studies constitutional feature (physical form constitution) and foodtherapy based on the texts of “Suwen and Lingshu” from Huangdi Neijing. Huangdi Neijing classifies constitutional feature into five types, that is, wooden, fire, earth, iron, and water type. The wooden type is strong on liver and gall and requires the complementation of spleen, stomach, lungs and colon. The fire type is strong on heart and small intestine and requires the complementation of lung, colon, kidney and bladder. The earth type is strong on spleen and stomach and requires the complementation of kidney, bladder, liver and gall bladder. The iron type is strong on lung and colon and requires the complementation of liver, gall bladder, heart and small intestine. The water type is strong on kidney and bladder and requires the complementation of heart, small intestine, spleen and stomach. Foodtherapy makes use of both taste and color in food. Huangdi Neijing explains that five tastes and five colors in food affect the corresponding internal organs. Blue and sourness work on liver and gall bladder. Red and bitterness work on heart and small intestine. Yellow and sweetness work on spleen and stomach. White and sourness work on lung and large intestine. Black and acerbity work on kidney and bladder. This article explores how to vitalize human natural healing powers by restoring the harmony and balance of internal organs through the analysis of physical form constitution and the proper food intake.

      • KCI등재

        동아시아의학의 관계적 존재론 - 존재론적 전회를 통해 읽는 『황제내경-소문』, 「음양응상대론」

        김태우 한국의철학회 2019 의철학연구 Vol.27 No.-

        이 논문은 최근 인류학의 ‘존재론적 전회’ 논의와 동아시아의학을 연결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인류학은 최근, 인간-비인간, 문화-자연, 인간-물질등 근대서구의 분절적 사유를 내재한 채 연구를 진행해 왔다는 성찰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존재론적 전회’의 이름 아래 인류학을 다시 쓰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인류학의 존재론적 전회는, 최근 여타 인문사회과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신유물론(New materialism), 에이젼셜 리얼리즘(Agential realism), 행위자연결망이론(Actor-Network Theory, ANT) 등과 방향성을 공유하고 있지만, 비서구에대한 현지조사를 통해 비서구의 형이상학을 적극적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다는차별점이 있다. 이러한 인류학의 존재론적 전회의 방향성은 한의학에 내재한 동아시아 사유를 다시 읽는 모멘텀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황제내경-소문』 텍스트와 이에 대한 공부 모임에 대한 현장 연구를 바탕으로 동아시아의학에 내재한 존재론을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내경-소문』은 하나의 관계적 존재론을 제시하고 있다. 사시음양과 같은 이치를 바탕으로 각각의 컨텍스트에서 다양하게드러나는 존재들과 그 존재들 사이 관계를 말하고 있다. ‘일관성-내재 관계적 존재론(consistency-embedded relational ontology)’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이러한 동아시아의 존재론은 근대적 형이상학에 의해 제한되어 있던 사유의 지평 확장의 가능성을 드러낸다. 본 논문이 존재론적 전회와 동아시아의학 속 동아시아사유를 연결한 예시를 제시할 수 있기를 고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