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년대 서울의 재개봉관 연구 - 명동극장을 중심으로

        이길성 한국문학연구학회 2021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4

        Previous research on theaters has been divided into discussions on theaters in Seoul and local areas. Among them, theater research in Seoul is focused on first-run theater. This trend is due to the lack of basic data for theaters other than first-run theater. In particular, it was difficult to get basic information such as management programs and audience tendencies because the second-run theater in the 1950s paid little attention to discussions at that time. At that time, however, the audience in Seoul watched more movies in second-run theater than in first-run theater and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industry. This study summarizes the topography of the second-run theater, which was often used by Seoul citizens during this period, through newspaper articles, advertising, and memoirs. The topography map of the theater in Seoul was similar to that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until 1954. However, both first-run theater and second-run theater increased dramatically since 1955. In the case of first-run theater, it was established around Jongno-gu and Jung-gu, which were existing theater areas, but in the case of second-run theater, there was a greater increase in other areas. In addition, until the mid-1950s, threr were second-run theaters like Myeong-dong Theater, which specialized in foreign movie theaters, but most of them were theaters where performances and movies coexisted. Places like Gyerim Theater and Dongyang Theater had more performances. However, with the steady supply and demand of movies and the success of the box office, the proportion of movies in the second-run theaters gradually increased. By the end of the 1950s, most second-run theaters had programs centered on movies, and performances had almost disappeared. Depending o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second-run theater, the trend of movie screenings varies greatly. As Korean films gradually became successful, more theaters were converted into Korean cinema theaters. While Myeong-dong Theater and Gyeongnam Theater were mainly foreign movie theaters in the downtown area, theaters in the region gradually became Korean movie theaters. It can be assumed that if the audience in the downtown area preferred foreign films because they were composed of college students or office workers, the theaters located in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were mainly local residents and they preferred to watch Korean films. Research on second-run theater in Seoul is in its infancy with general information. In fact, discussions on second-run theater, which were visited by more Seoul citizens than first-run theater, will enable a comprehensive study of Seoul's theater culture. And this discussion will be a major source of research on the changes in cities in Seoul at the time and the resulting socio-cultural changes. 기존의 극장 연구는 크게 서울의 개봉관과 지방 극장에 대한 논의로 나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서울지역 극장 연구는 개봉관 연구로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경향은 개봉관이 아닌 극장들의 경우 기본 자료가 너무 부족하여 심도 깊은 연구를 하기 어려운 점에도 기인한다. 특히 1950년대 재개봉관은 당시 담론들조차도 거의 주목하지 않았기 때문에 운영프로그램이나 관객의 성향 같은 기초자료조차 알기 힘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서울 관객들은 개봉관보다는 재개봉관에서 더 많이 영화를 관람했으며 영화산업에서도 재개봉관의 비중은 적지 않다. 이 연구는 신문기사와 광고, 회고담 등을 통해서 이 시기 서울시민들이 자주 애용했던 재개봉관의 지형도를 개괄해보고자 한다. 전쟁 후 1954년 정도까지 서울의 극장 분포는 일제시기 형성된 것과 유사했다. 그러나 1955년 이후 개봉관과 재개봉관 모두 급속히 증가하였다. 개봉관의 경우 기존 극장지역이었던 종로구와 중구를 중심으로 신설되었지만 재개봉관의 경우 서울 주변부 지역에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1950년대 중반까지 재개봉관은 대부분 공연과 영화가 공존하는 극장이었다. 예외적으로 영화를 전문적으로 상영하는 명동극장 같은 경우도 있었지만, 계림극장이나 동양극장 같은 곳은 공연 프로그램 수가 더 많았고 대부분의 재개봉관 역시 공연물 비중이 더 컸다. 그러나 영화가 점차 안정적으로 수급되면서 재개봉관 역시 점차 영화의 비중이 높아졌다. 1950년대 말에 이르면 대부분 재개봉관은 영화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이 구성되었고 공연은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재개봉관은 지역적 분포에 따라 영화 상영의 경향도 매우 달랐다. 특히 1958년 이후 한국영화가 흥행에 크게 성공하면서 개봉관에서 한국영화전용관과 외국영화전용관이 분리된 것처럼 1959년 이후 재개봉관도 지역적으로 한국영화전용관으로 전환되는 극장이 늘어났다. 주로 시내 중심가의 명동극장과 경남극장 등이 외국영화전용관이었다면 지역에 있는 극장들은 점차로 한국영화전용관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시내 중심가의 관객이 대학생이나 직장인들로 구성되었으며 외국영화를 선호하였던 관객층이었던 반면, 동대문구나 영등포구에 있는 극장들은 지역 주민이 주관객이었고 이들은 한국영화 관람을 선호하였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서울 지역의 재개봉관 연구는 이제 개괄적인 정보를 중심으로 시작 단계에 있다. 실제로 개봉관보다 더 많은 서울시민이 방문했던 재개봉관에 대한 논의는 서울의 극장문화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리고 이 논의는 당시 서울 도시변동과 그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에 대한 주요한 연구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연극과 드라마투르그의 역할과 위치 :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 개념을 중심으로

        김옥란 ( Ock Ran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3 드라마연구 Vol.- No.39

        This paper is a report on the activities of dramturg in the Korean theater. I started dramaturg job by the proposal of directors in the middle of 2000s. My early dramaturg duties, without a clear recognition, were critical commentary in the objective gaze(``outside eye``). Having a lasting relationships with particular theater company, I began to recognize the role of ``production dramaturg``. In the 2010s, producing theaters, Namsan Arts Center, Myeongdong Theater and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were launched and I began to work professional dramaturg. This process showed how dramaturg works and environment changes of the Korean theater production we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This paper sought to explore the role of the Korean dramaturg through the dramaturg theory and history of world theater`s. This article mentioned theoretical case of Lessing and Brecht. In particular, Brecht`s concept of ``production dramaturg`` will be a good reference to ``theater company dramaturg`` and ``producing theater dramamturg`` in Korea. 이 글은, 한국연극에서의 드라마투르그 활동에 대한 현장 보고서의 성격을가진다. 필자는 2000년대 중반 개별 연출가들의 제안에 의해 드라마투르그 작업을 시작했다. 필자의 초기 드라마투르그 활동은 드라마투르기에 대한 명확한 인식 없이 평론가의 객관적 시선(``외부자적 시선``)에서의 논평에 대한 요구로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여러 시행착오를 거치며 드라마투르그 활동에 대한의식적인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특히 특정 극단과 지속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의 역할을 인지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0년대에접어들면서 남산예술센터, 명동예술극장, (재)국립극단, 두산아트센터 등 국공립 제작극장의 출범 이후 전문적인 드라마투르그로서 활동하게 되었다. 이상초기의 자생적이고 무의식적인 활동 과정, 특정 극단과 지속적인 유대감과 파트너십을 가지고 활동하던 시기, 2009년 이후 본격화된 제작극장 시대에 요구되는 전문적인 드라마투르그 활동 등 필자의 활동 과정 자체가 한국연극의 환경 변화와 드라마투르그의 작업이 얼마나 긴밀하게 맞물려 있는지 보여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필자가 드라마투르그로서 겪었던 혼란과 고민들을 정리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러한 고민들을 해결해나가는 방법의 하나로 드라마투르기의 이론과 역사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과 현실적인 비전을 제시해보고자했다. 이 글에서 이론적 역할 모델의 일부로 제시한 레싱과 브레히트의 사례, 특히 브레히트의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의 개념은 한국적 현실에서 ``극단 드라마투르그``와 ``극장 드라마투르그``의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중요한 참고지점이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